KR20120012379A -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379A
KR20120012379A KR1020110049663A KR20110049663A KR20120012379A KR 20120012379 A KR20120012379 A KR 20120012379A KR 1020110049663 A KR1020110049663 A KR 1020110049663A KR 20110049663 A KR20110049663 A KR 20110049663A KR 20120012379 A KR20120012379 A KR 2012001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cable
adjusting
railway syste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861B1 (ko
Inventor
마르쿠스 벡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1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4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uspended tracks serving as haulage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케이블철도시스템은 이송케이블과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진로를 따라 이송케이블에 결합되고 정류소의 입구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류소를 통하여 안내되고 정류소의 출구에서 다시 이송케이블에 결합되는 탑승체를 가지며, 탑승체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정류소의 출구측에 배치된다.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와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장치 및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와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확인장치가 정류소의 출구측에 배치된다.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에 결합된 제1 확인장치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조절장치가 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CABLE RAILWA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두 종착정류소의 방향전환풀리를 통하여 안내되는 이송케이블과 이러한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장치와 주행기어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체어형태의 탑승체를 갖는 케이블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들 탑승체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진로를 따라 이송케이블에 결합되고, 정류소의 입구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되며, 정류소를 통하여 그리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제어타이어에 의하여 안내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탑승자가 탑승체에 승차하거나 이로부터 하차하며, 다시 정류소의 출구에서 이송케이블에 결합된다. 또한 탑승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가 구비되어 있고 시스템은 안전바를 폐쇄위치로 이동되게 조절하여 이를 잠그어 고정하기 위한 장치와 정류소의 출구에 배치되어 정확히 잠겨 고정된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US 7,690,313 B2와 이에 대응하는 유럽특허 EP 1 780 091 B1과, 미국특허출원 US 2004/003751 A1에는 탑승체를 가지고 정류소의 출구에 탑승체의 안전바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게 조절되어 고정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탑승체의 안전바가 고정되지 않은 것을 확인장치가 확인한 순간에 케이블철도시스템은 정지하고 해당 안전바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는 시스템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중에, 비록 안전바를 그 폐쇄위치로 조절하여 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항상 안전바가 그 폐쇄위치로 조절되어 고정되는 즉각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고 이러한 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확인장치는 안전바가 폐쇄위치로 이동되지 않았고 탑승자에 의하여 취하여지는 조치를 고려하여 이러한 안전바가 아직은 고정되어 있어야 함을 알리거나 제어명령을 보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인 종래기술의 장치와 방법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능한 한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조치를 위하여 제공되는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 그리고 다른 목적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철도시스템은 케이블철도시스템의 두 종착정류소 사이로 연장되고 이들 정류소의 방향전환풀리를 돌아 안내되는 이송케이블, 이송케이블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주행기어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진로를 따라 이송케이블에 결합되고 정류소의 입구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류소를 통하여 안내되어 탑승객이 하차하거나 승차하고 정류소의 출구에서 이송케이블에 결합되며 각각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를 갖는 탑승체, 안전바를 폐쇄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와 안전바가 폐쇄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장치, 탑승체의 이동방향에서 제1 조절장치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활동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안전바를 폐쇄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와, 제2 조절장치에 결합되어 안전바가 정류소의 출구에서 폐쇄위치에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확인장치로 구성되고, 제1 확인장치가 제1 조절장치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을 때, 제1 확인장치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가 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장치의 응답시에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중단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확인장치가 안전바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에 할당되고, 본 발명에 따라서,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와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장치와, 탑승체의 이동방향으로 보았을 때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로부터 거리를 두고,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와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장치가 정류소의 출구측에 제공되고,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에 할당된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장치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가 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만약 탑승체의 안전바가 이러한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에 의하여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지 않아 고정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즉시 중단될 필요가 없다. 차라리 탑승체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제2 장치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으므로, 안전바의 고정상태가 다시 확인된다. 만약 안전바가 아직까지도 고정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제2 확인장치에 의하여 중단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가 안전바를 고정하지 않은 경우에,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에 할당된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탑승체의 구동속도가 감소되도록 한다. 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이송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에 무관하게 제어타이어를 위한 구동속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안전바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장치에 할당된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음향 및/또는 광학적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장치는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할당되고 탑승체에 배치되며 비활동위치로부터 활동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방법에 따르면, 탑승체의 안전바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에 의하여 조절되고, 이러한 안전바의 고정상태는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에 할당된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여 확인되며, 안전바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장치가 그 활동위치로 이동되고, 탑승체의 구동속도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서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장치에 할당된 안전바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해당 탑승체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고, 안전바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중단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제1 확인장치가 응답할 때,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해당 탑승체의 안전바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재개되고, 탑승체의 안전바는 안전바용 제2 조절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다른 구성에 대하여서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비록 본 발명이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에 관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과 구조적인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방법이 그 부가적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특정 실시형태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철도시스템의 한 종착정류소를 보인 것으로, 케이블철도시스템의 한 탑승체가 제1 작동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탑승체가 그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두개의 장치를 갖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탑승체가 제2작동위치에 배치되고 탑승체의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장치가 제1 작동위치에 배치된 것을 보인 도 1의 종착정류소의 사시도.
도 3은 탑승체의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장치가 제2 작동위치에 배치된 것을 보인 도 2의 종착정류소의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1B는 도 1A에서 보인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본 확대사시도.
도 1C는 도 1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2A는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 2의 확대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보인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본 확대사시도.
도 3A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 3의 확대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보인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본 확대사시도.
도면에서, 특히 도 1에서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한 종착정류소를 보이고 있는 바, 이는 지주(1, 1a)로 구성된 하중지지구조물(10)로 이루어져 있고 그 위에 헤드휠(20)로 불리기도 하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이송케이블(2)을 위한 케이블 방향전환풀리(20)가 착설되어 거의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송케이블(2)은 케이블철도시스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풀리(20)를 통하여 구동된다.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진로를 따라서 다수의 체어형 탑승체(3)가 이송케이블(2)에 결합되어 있다. 탑승체(3)는 2명, 또는 3명, 또는 4명, 또는 6명, 또는 8명 이상의 탑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다인승 탑승체이다. 이송케이블(2)의 이동방향은 화살표 A 및 B로 표시하였다. 탑승체(3)가 종착정류소로 들어올 때, 이들 탐승체(3)는 이송케이블(2)로부터 분리되어 제어타이어(4)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러한 정류소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제어타이어(4)는 이송케이블(2)을 따라 반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케이블(2)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여기에서, 제1 그룹의 제어타이어(4)는 감속타이어(41)로서 사용되며 이에 의하여 탑승체(3)의 속도는 예를 들어 6 m/sec로부터 3 m/sec로 감속된다. 이송타이어(42)로서 사용되는 제2 그룹의 제어타이어(4)에 의하여, 탑승체(3)는 탑승자의 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약 0.3 m/sec의 속도로 이동된다. 이 승하차영역에서 탑승자는 탑승체로부터 하차하거나 승차한다. 가속타이어(43)로서 사용되는 제3 그룹의 제어타이어(4)에 의하여, 탑승체(3)는 예를 들어 6 m/sec의 속도인 이송케이블(2)의 이동속도로 가속되고 이때에 이들 탑승체는 정류소의 출구에서 이송케이블(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잘 알려진 케이블철도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탑승체(3)에는 탑승자가 탑승체(3)에 승차하였을 때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서 탑승자가 탑승체(3)로부터 미끌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바(31)가 구비되어 있다. 하중지지구조물(10)상에 제공된 제1 조절장치(5)는 안전바(31)를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게 조절하여 이를 잠그어 고정하도록 작용한다. 이 조절장치(5)는 제어레일(51)을 가지며, 이는 탑승체(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이를 따라 탑승체(3)에 배치된 캠 롤러 또는 제어롤러(32)가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롤러(32)는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운동으로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그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장치가 본 발명에서 인용하고 있는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US 7,690,313 B2 및 유럽특허 EP 1 780 091 B1에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확인장치(checking device)(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회전형 롯드 형태인 센서 50)가 캠 롤러 또는 제어롤러(32)의 이동진로내에 제공되고, 이러한 센서는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된 회전위치에 제어롤러(32)가 배치되었을 때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만약 반대로, 제어롤러(32)가 이러한 회전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 센서(50)는 어떠한 신호도 발생하지 않으며,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에 배치되지도 않았고 또한 고정되지도 않았음이 확인되어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중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중에,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통과하면서 단 한번 센서(50)를 통과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어롤러(32)가 그 회전위치로 조절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안전바(31)가 잠기어 고정되는 경우 작동이 중단될 필요는 없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철도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철도 정류소에는, 안전바(31)를 폐쇄위치로 조절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5)의 하류측에, 이러한 제2의 조절장치(6)가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마찬가지로 제어레일(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작동시에 만약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롤러(32)가 이러한 위치로 회전되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제2의 조절장치(6)에는 제어롤러(32)의 회전위치와 안전바(31)의 폐쇄위치 및 고정상태를 확인하는 회전형 롯드 형태인 센서(60)가 구비되어 있다. 만약 제2의 조절장치(6)를 통과한 후라 하여도 제어롤러(32)가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그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은 정지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안전바(31)를 위한 제2 조절장치(6)는 활동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반대로, 도 3에서는 제2 조절장치(6)가 비활동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제1 조절장치(5)의 일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레일(51)은 조절모터(52)에 의하여 거의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평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모터(52)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고 구동모터(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그 단부에 횡방향 가이드 볼트(54)가 구비되어 있는 신축롯드(53)가 사용된다. 제어레일(51)은 이에 삼각형 지지판(55)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가이드 볼트(54)가 통과하는 가이드 슬로트(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레일(51)에는 다수의 중량바(5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중량체로서 사용되고 이에 의하여 제어레일(51)이 신축롯드(53)에 의하여 결정된 최하측 위치로 회전된다. 만약 탑승체(3)의 안전바(31)가 탑승체(3)의 장애물, 예를 들어 탑승자의 가방과 같은 장애물의 방해로 그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없는 경우, 제어레일(51)은 제어롤러(32)에 의하여 중량바(57)의 작용에 대응하여 상승되는 바, 이는 가이드 슬로트(56)에서 가이드 볼트(54)의 조절성에 의하여 가능할 수 있다. 센서(50)는 탑승체(3)의 이동방향에 배치된 제어레일(51)의 단부에 배치된다.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이송작동중에, 조절장치(5)는 항상 그 활동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탑승체(3)의 복귀이동을 위하여, 제어레일(51)은 구동모터(52)에 의하여 그 상부의 비활동위치로 회전된다.
도 1C는 탑승체(3)에 배치된 제어롤러(32)의 3 위치를 보이고 있다. 제어롤러(32)는 각이 진 조절레버(33)상에 착설되어 있으며, 상부의 제1 회전위치와 하부의 회전위치 사이로 조절될 수 있다. 조절레버(33)는 이에 바우덴 케이블(34)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탑승체(3)의 안전바(31)가 조절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어롤러(32)가 제어레일(51)상에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어롤러(32)가 구비된 제어레버(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결과로서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롤러(32)가 구비된 제어레버(33)는 상사점 위치로 통과하고 그 결과로서 안전바(31)가 폐쇄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러나, 안전바(31)가 탑승체(3)의 장애물에 의하여 제어롤러(32)가 상사점 위치에 배치되고 안전바(31)가 고정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없는 경우, 제어롤러(32)를 구비하고 있는 제어레버(33)는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은 중앙위치에 놓일 것이다. 안전바(31)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애물이 제거되면 곧바로 안전바(31)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안전바(31)가 고정되는 그 하부위치에 제어롤러(32)가 배치되는 경우, 제어롤러의 움직임이 센서(50)를 작동시켜 센서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반대로, 제어롤러(32)가 다른 회전위치에 있는 경우, 센서(50)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제2 제어레일(61)이 그 활동위치로 회전되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구동속도가 감소된다.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전바(31)를 위한 제2 조절장치(6)는 탑승체(3)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모터(62)에 의하여 골격에 취부된 핀(68)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어레일(61)을 갖는다. 이러한 조절장치(6)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레일(61)은 신축롯드(63)와 제어레일(61)에 고정된 지지판(65)에 형성된 가이드 슬로트(66)를 통하여 안내되는 횡방향 가이드 볼트(64)를 통하여 구동모터(62)에 결합된다. 더욱이, 이러한 제어레일(61)에도 중량바(67)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레일(61)은 통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회전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이러한 제어레일(61)의 비활동 상부위치이며 이러한 위치에서는 탑승체(3)의 제어롤러(32)가 제어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없다. 만약, 반대로, 제어레일(61)이 도 3,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인 제2의 하부회전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이는 활동위치에 놓이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에서 탑승체(3)에 배치된 제어롤러(32)가 제어레일 상에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이는 회전되고 그 결과로 아직 폐쇄위치에 이르지 못한 탑승체(3)의 안전바(31)가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제어레일(61)의 회전운동은 조절형 정지구(69)에 의하여 제한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제어롯드의 형태인 센서(60)가 제어레일(61) 상에 배치되고, 이러한 센서는 안전바(31)가 고정되는 회전위치에 제어롤러(32)가 배치되었을 때 작동되고, 그 결과로 탑승체(3)의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빌생되며, 이러한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철도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탑승체(3)가 이송타이어(42)에 의하여 승하차영역을 이동할 때, 이는 안전바(31)를 위한 제1 조절장치(5)를 통과하게 되고, 탑승체(3)상에 배치된 안전바(31)를 위한 제어롤러(32)는 안내레일(51)를 따라 이동하고 회전됨으로서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롤러(52)가 센서(50)를 작동시켜 센서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계속될 수 있다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로써 각 탑승체(3)는 가속타이어(43)에 의하여 증가된 속도로 이동되고 케이블철도 정류소의 출구에서 이송케이블(2)에 결합된다.
이때에 안전바(31)를 위한 제2 조절장치(6)는 비활동위치에 놓여 있다.
그러나, 안전바(31)를 위한 제1 조절장치(5)에 할당된 센서(50)가 작동되지 않아 탑승체(3)가 통과할 때 어떠한 작동신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회전위치에 제어롤러(32)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한편으로는 안전바(31)를 위한 제2 조절장치(6)가 조절모터(62)에 의하여 제2회전위치로 이동되는 제어레일(61)에 의하여 작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송케이블(2)의 속도, 즉 함께 반송되도록 이송케이블(2)에 결합되는 가속타이어(43)의 구동속도가 감소된다. 회전에 의하여, 제어레일(61)은 탑승체(3)에 배치된 제어롤러(32)의 이동진로를 통과함으로서 제어롤러가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작동으로 아직 폐쇄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 안전바(31)가 이러한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조절장치(6)에 할당된 센서(60)가 제러롤러(32)의 회전위치를 확인하여, 안전바(31)가 고정되는 회전위치에 제어롤러(32)가 배치된 경우, 제2 센서(60)가 작동된다. 이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정상적이라는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만약, 반대로, 센서(6)가 어떠한 작동신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롤러(32)가 안전바(31)의 고정을 위하여 필요한 회전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철도시스템이 정지되도록 한다.
만약 제2 조절장치(6)가 이송타이어(42)의 영역에 배치된 경우, 제1 조절장치(5)에 할당된 센서(60)의 응답시에 케이블철도시스템의 구동속도를 줄일 필요가 없다. 그러나, 만약 탑승체(3)가 제1 조절장치(5)와 제2 조절장치(6) 사이에서 가속되는 경우, 탑승체(3)가 제2 조절장치(6)를 통하여 안내되는 속도에서 센서(50)의 응답시에 정상 작동속도에 대하여 감소될 필요가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1 조절장치(5)에 할당된 센서(50)가 어떠한 신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고 탑승체(3)의 안전바(3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이 재개될 때, 제어롤러(52)가 제2 제어레일(61)에서 이동하고 그 결과로서 제어롤러(32)가 그 상사점 위치로 회전되고 이로써 안전바(31)가 고정된다.
2: 이송케이블, 3: 탑승체, 4: 제어타이어, 5, 6: 조절장치, 30, 31: 안전바, 32: 제어롤러, 33: 조절레버, 40: 가이드 레일, 41: 감속타이어, 42: 이송타이어, 43: 가속타이어, 50, 51: 제어레일, 52: 조절모터, 53: 신축롯드, 54: 가이드 볼트, 60: 센서, 61: 제어레일, 62: 구동모터, 63: 신축롯드, 64: 가이드 볼트.

Claims (6)

  1. 케이블철도시스템의 두 종착정류소 사이로 연장되고 이들 정류소의 방향전환풀리를 돌아 안내되는 이송케이블, 이송케이블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주행기어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진로를 따라 이송케이블에 결합되고 정류소의 입구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류소를 통하여 안내되어 탑승객이 하차하거나 승차하고 정류소의 출구에서 이송케이블에 결합되며 각각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를 갖는 탑승체, 안전바를 폐쇄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와 안전바가 폐쇄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장치, 탑승체의 이동방향에서 제1 조절장치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활동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안전바를 폐쇄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와, 제2 조절장치에 결합되어 안전바가 정류소의 출구에서 폐쇄위치에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확인장치를 포함하고, 제1 확인장치가 제1 조절장치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을 때, 제1 확인장치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절장치가 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케이블철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장치가 안전바를 고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확인장치가 부가하여 상기 각 탑승체의 구동속도가 감소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케이블철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장치가 안전바를 고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확인장치가 음향 및/또는 광학적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케이블철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2 장치가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할당되고 탑승체에 배치된 제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롤러가 비활동위치로부터 활동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됨을 특징으로 케이블철도시스템.
  5.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케이블철도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절장치에 의하여 각 탑승체의 안전바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한 단계, 제1 조절장치에 결합된 제1 확인장치를 이용하여 안전바가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각 안전바가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되지 못한 것을 제1 확인장치가 확인하는 경우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장치를 활동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안전바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장치에 결합된 제2 확인장치를 이용하여 탑승체의 안전바가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각 안전바가 고정되지 못한 것을 제2 확인장치가 확인하는 경우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각 안전바가 폐쇄위치에 고정되지 못한 것을 제1 확인장치가 확인하는 경우 정류소를 통하여 탑승체를 이동시키는 제어타이어의 구동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철도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20110049663A 2010-07-29 2011-05-25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KR101385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275/2010 2010-07-29
AT12752010 2010-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79A true KR20120012379A (ko) 2012-02-09
KR101385861B1 KR101385861B1 (ko) 2014-04-29

Family

ID=4476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663A KR101385861B1 (ko) 2010-07-29 2011-05-25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35958B2 (ko)
EP (1) EP2412596B1 (ko)
JP (1) JP5504522B2 (ko)
KR (1) KR101385861B1 (ko)
CN (1) CN102343913B (ko)
AT (1) AT12420U1 (ko)
AU (1) AU2011203497B2 (ko)
CA (1) CA2743213C (ko)
ES (1) ES2398735T3 (ko)
NZ (1) NZ592915A (ko)
RU (1) RU251685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1618A1 (it) * 2007-08-03 2009-02-04 Rolic Invest Sarl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e metodo di azionamento dello stesso
EP2899728B2 (en) 2014-01-22 2019-11-13 ABB Schweiz AG A device comprising a high voltage apparatus including a fluid and equipment for detecting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luid
AT515733B1 (de) * 2014-04-10 2016-0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CN106945675B (zh) * 2014-07-30 2019-11-08 耿云花 具有缓冲设施的安全型索道车
JP6499838B2 (ja) * 2014-08-25 2019-04-10 独立行政法人自動車技術総合機構 索道の椅子式搬器のセーフティバー警告装置及び警告方法
WO2016034697A1 (fr) * 2014-09-04 2016-03-10 Agence Nationale Pour La Gestion Des Déchets Radioactifs Funiculaire entraîné par un câble a deux tronçons tracteurs et procédé de commande d'un tel funiculaire
ITUB20150167A1 (it) * 2015-03-05 2016-09-05 Eurotech S P A Impianto di risalita a fune, metodo per incrementare la sicurezza di un impianto di risalita a fune e sistema di sicurezza per un impianto di risalita a fune
FR3037304B1 (fr) 2015-06-12 2018-07-27 Poma Dispositif d'accouplement d'un vehicule a un cable tracteur,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et installation de transport par cable tracteur comprenant un tel vehicule
FR3044627B1 (fr) * 2015-12-04 2018-01-05 Poma Installation de transport aerien
AT520065B1 (de) * 2017-06-12 2022-1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 mit Verriegelungsüberwachung eines Fahrzeugs
AT520445B1 (de) * 2017-10-19 2019-04-15 Innova Patent Gmbh Reifenförderer für Transportmittel
JP7138330B2 (ja) * 2018-04-03 2022-09-16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JP7138331B2 (ja) * 2018-04-17 2022-09-16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JP7435973B2 (ja) 2020-02-28 2024-02-21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チェアリフト搬器のセフティーバーロック装置
AT523971A1 (de) 2020-07-06 2022-01-15 Innova Patent Gmbh Türsteuerung für ein Seilbahnfahrzeug
AT523970A1 (de) * 2020-07-06 2022-01-15 Innova Patent Gmbh Türsteuerung für eine Seilbahn
CN112553981B (zh) * 2020-09-07 2022-04-15 同济大学 一种用于索轨结构中的长线型索力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463U (ko) * 1986-11-21 1988-06-03
JPH0780452B2 (ja) * 1988-09-24 1995-08-30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スキーリフトの風防開閉装置
AT396095B (de) * 1991-04-22 1993-05-25 Doppelmayr & Sohn Sessel fuer eine sesselbahn
JPH08244599A (ja) * 1995-03-10 1996-09-24 Kawaden Co Ltd 索道における搬器のフード開閉方法及びその装置
US6494145B2 (en) * 2000-09-15 2002-12-17 Joseph F. Kernan Automatic crossbar on ski chair-lift for facilitating passenger dismount
US20020043829A1 (en) * 2000-10-04 2002-04-18 Garaventa Holding Ag Method and arrangement to close a bubble top for a chairlift
DE50300157D1 (de) 2002-07-04 2004-12-23 Innova Patent Gmbh Wolfurt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Verriegelung des Schliessbügels der Sessel einer Seilbahnanlage
FR2879547B1 (fr) * 2004-12-17 2007-03-02 Pomagalski Sa Mecanisme de commande a verrouillage d'un capot pivotant pour telesiege
AT502754A3 (de) 2005-10-28 2008-11-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 mit einer sicherungseinrichtung
AT503615A3 (de) * 2006-04-26 2010-06-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mit an ein trag- und förderseil ankuppelbaren fahrbetriebsmitteln
AT504614B1 (de) * 2006-12-04 2009-02-15 Innova Patent Gmbh Schliessbügel eines sessels eines sesselliftes
ITMI20070157U1 (it) * 2007-04-20 2008-10-21 Rolic Invest Sarl Seggiov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16858C2 (ru) 2014-05-20
CA2743213C (en) 2015-01-06
CN102343913B (zh) 2015-05-06
ES2398735T3 (es) 2013-03-21
NZ592915A (en) 2012-06-29
RU2011122502A (ru) 2012-12-10
AU2011203497A1 (en) 2012-02-16
US8635958B2 (en) 2014-01-28
KR101385861B1 (ko) 2014-04-29
US20120024187A1 (en) 2012-02-02
JP2012030781A (ja) 2012-02-16
AU2011203497B2 (en) 2014-04-17
EP2412596A1 (de) 2012-02-01
EP2412596B1 (de) 2012-12-12
CN102343913A (zh) 2012-02-08
CA2743213A1 (en) 2012-01-29
AT12420U1 (de) 2012-05-15
JP5504522B2 (ja)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861B1 (ko) 케이블철도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US11034547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KR101446380B1 (ko) 케이블철도시스템
US7823511B2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individuals
KR20160138222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462714B1 (ko) 케이블철도시스템
US7490556B2 (en) Cableway installation with rotatable cableway transport devices
KR20070045925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웨이
US10435043B2 (en) Funicular driven by a cable with two towing sec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funicular
JP4912747B2 (ja) 回転可能な索道輸送装置を持つ索道設備
CA3082171A1 (en) Hybrid cable/rail transportation system
US20220089407A1 (en) Elevator system
JP2008285248A (ja) 安全装置付き自動開閉扉
US11713212B2 (en) Vehicle with shock absorption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n a variable slope track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vehicle
US20220048736A1 (en) Elevator system
US20230264721A1 (en) Door Controller for a Cable Car Vehicle
US9695018B2 (en) Drive system for handrails of walkways and moving stairs
RU2813171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амортизацией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ассажиров по пути с переменным наклоном и устан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AU2020222206B2 (en) Lift system
CN118062062A (zh) 用于循环索道的停车系统
JP2000026061A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