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578A -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578A
KR20120011578A KR1020100073481A KR20100073481A KR20120011578A KR 20120011578 A KR20120011578 A KR 20120011578A KR 1020100073481 A KR1020100073481 A KR 1020100073481A KR 20100073481 A KR20100073481 A KR 20100073481A KR 20120011578 A KR20120011578 A KR 2012001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user
information
virtual
ip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599B1 (ko
Inventor
김유석
박창현
Original Assignee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5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상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셋탑박스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b)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c) 가상화 서버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d) 가상화 서버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 박스(STB, Set Top Box)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품 개발 및 기술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디지털 휴대폰에 초소형 컴퓨터를 결합한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폰 용도로 사용하는 것 외에 휴대형 컴퓨터로도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무선으로 인터넷 및 PC통신, 팩스 전송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PDA, PMP 등 이동 단말기의 경우 WLAN(WIFI), WiBro 등 인터넷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뿐 아니라, USB, 블루투스(bluetooth), IrDA, CDMA 등 추가적인 각종 인터페이스까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 카메라, GPS, 가속도 센서, 터치스크린 등 강력한 하드웨어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써 모바일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안드로이드(android), 심비안(symbian), 블랙베리(blackberry), 윈도우스 모바일(windows mobile), 아이폰(iphone), 팜(palm) 등의 운영체제(OS)를 채택한 이동 단말기(스마트폰)들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과 방송 및 통신 기술의 융합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시청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IPTV에 사용자가 입력 수단(리모컨 등)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원격 서버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명령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리모컨과 같은 통산의 입력 수단의 경우, 각종 제어 신호와 텍스트의 입력이 불편하거나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IPTV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단문 문자 메시지 및 음성 인식을 통한 원격 제어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실시간으로 셋탑박스를 제어하기 힘들거나, 이동 단말기와 셋탑박스의 상이한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명령어 분석에 상당한 소요 시간이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IPTV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제어가 가능하고,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가상의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탑박스의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와 연결된 IPTV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탑박스의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의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해당 셋탑박스에 제공함으로써, 원격 제어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방법은 (a)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셋탑박스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b)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c) 가상화 서버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d) 가상화 서버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IPTV 망을 통해 셋탑 박스(STB, Set Top Box)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셋탑박스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어 수신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화면 전송부를 포함하되, 화면 전송부는 가상 머신의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실행 결과 화면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실행 결과 화면을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망을 통해 셋탑박스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셋탑박스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상화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 및 실행 결과 화면을 IPTV 모니터에 표시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되, 가상화 서버와 셋탑박스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망으로 연결되고, 가상화 서버는 IPTV 망과는 상이한 네트워크로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가상화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셋탑박스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로 전송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IPTV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제어가 가능하고,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가상의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탑박스의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와 연결된 IPTV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탑박스의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의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해당 셋탑박스에 제공함으로써, 원격 제어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에뮬레이션된 운영 환경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의 계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뮬레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Virtual Remote Control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 인터페이스부(105), 가상화 서버(201)(또는 호스트 서버) 및 셋탑박스(STB, Set Top Box)(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가상화 서버(201)로부터 제어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 인터페이스는 가상화 서버(201)가 셋탑박스(300)에 제공한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며, 텍스트, 아이콘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 인터페이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105)로 전달한다.
인터페이스부(105)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가상화 서버(201)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05)는 무선 네트워크로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고, 유선 네트워크로 가상화 서버(20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5)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독립된 서버로 구성되거나 가상화 서버(201)내에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상화 서버(201)는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기초로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의 신상정보(이름, 주민번호 등), 사용자의 이동단말기(100) 정보(번호, 모델명 등), 사용자의 셋탑박스(300) 정보(IP 정보, 모델명 ID, MAC 어드레드 등) 등을 이용하여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화 서버(201)는 사용자의 셋탑박스(300)로 IPTV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IPTV 컨텐츠에는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및 프로그램 추천 서비스 메뉴를 포함하는 EPG 정보(PSIP/PSI/S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PTV의 제어(끄기, 켜기 등)를 위한 제어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화 서버(201)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상술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 인터페이스는 IPTV 끄기 요청, IPTV 시청채널 제한 설정 요청, IPTV 켜기 요청, 방송 프로그램 제어 및 기타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한 텍스트 형태로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화 서버(201)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부(105)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실행 결과 화면을 가상 머신의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셋탑박스(300)의 클라이언트 모듈(302)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가상화 서버(201)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공개 운영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운영체제를 에뮬레이션(emulation)할 수 있다. 이때, 공개 운영체제는 상술된 오픈 소스 형태의 모바일 운영체제로서, 호스트 서버(즉, 가상화 서버(201))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고, 호스트 서버의 운영체제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에뮬레이션을 위해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은 호스트 서버 플랫폼 구조 상에서 운영될 수 있다. 가상화 기술은 호스트 서버 운영체제(host OS) 상에 가상화 계층(virtualization layer)을 형성하거나 직접 가상화 계층을 제공하는 가상 머신 IPTV 모니터(400)(VMM, Virtual Machine Monitor) 혹은 하이퍼바이저를 두고, 이 가상화 계층 상에 복수의 논리적인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가상 머신에는 각각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는 해당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가상화 서버(201)로부터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여 IPTV 모니터(4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셋탑박스(300)는 클라이언트 모듈(3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모듈(302)은 실행 결과 화면을 디코딩하여 IPTV 모니터(40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의 실행 화면을 IPTV 모니터(400)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셋탑박스(300)는 CPU, 미디어 프로세서, 플래시 램, 이더넷 모듈 등의 STB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계층,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운영체제 등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계층,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 JVM), 수신 제한 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모듈 및 디지털 저작권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인터페이스 모듈, 스트리밍 프로토콜(RTP, RTSP)을 탑재한 미들웨어 계층, MPEG2, MPEG4, MPEG7, H.264, WMV-9 등의 다양한 멀티 코덱(Multi CODEC)을 지원하며 IPTV 서비스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4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요자의 셋탑 박스(300)에는 IPv4 주소 또는 IPv6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종래에는 IPTV에 사용자 입력 장치(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를 직접 연결하여, 원격 서버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직접 전달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로 IPTV에 연결된 사용자 입력 장치가 없이도,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셋탑박스(300)의 IPTV 컨텐츠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가상화 서버(201)로 전달하면, 가상화 서버(201)가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3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원격 제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상화 서버(201)에서 수행되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해당 제어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호스트 서버의 운영체제와 호환되지 않는 운영체제 상에서도 동작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300)와 연결된 IPTV 모니터(4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호스트 서버의 운영체제에 제한되지 않고도,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원격 제어(Remote Control)를 통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된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플랫폼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플랫폼은 운영체제, 컴퓨터 시스템의 보조 프로그램, 마이크로프로세서, 논리연산을 수행하고 컴퓨터 내의 데이터 이동을 관장하는 마이크로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운영체제 및 플랫폼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운영체제가 플랫폼에 포함되어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와 인터페이스부(105)는 3G, WIFI 등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5)와 가상화 서버(201)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유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화 서버(201)와 셋탑박스(300)는 유선망으로서 예컨대 IPTV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상화 서버에는 논리적인 가상 머신이 생성될 수 있다. 가상 머신에는 각각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는 해당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머신은 게스트의 코드를 바로 실행하지 않고, 기본 블록으로 나누어 필요한 코드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코드 변환 작업은 수정되지 않은 게스트 운영체제의 특수 권한 명령어들을 동적으로 변환하여 가상 머신 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게스트 운영체제에는 안드로이드, 심비안, 블랙베리, 윈도우스 모바일, 아이폰, 팜 등의 모바일 운영체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운영체제는 오픈 소스 형태의 공개 운영체제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상화 서버에는 Window 9x, NT, 2000, XP, 2003, VISTA 등의 윈도우 계열 또는 Linux, Solaris x86, Lindows, BSD Unix 등의 Linux 계열의 운영체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상술된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에뮬레이션된 운영 환경의 계층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에뮬레이션된 운영 환경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의 계층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뮬레이션 프로그램(104)은 호스트 서버 운영체제 및 호스트 서버 하드웨어 구조(102) 상에서 실행된다. 그리고 에뮬레이션 프로그램(104)은 게스트 하드웨어 구조(106) 및 게스트 운영체제(108)를 에뮬레이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10)(또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게스트 운영체제(108) 상에서 실행된다. 여기서, 호스트 서버 플랫폼과 호환되지 않는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일 경우에도, 에뮬레이션 프로그램(104)의 동작으로 인해 호스트 서버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매칭부(220), 명령어 수신부(230), 에뮬레이터 구동부(240), 화면 전송부(250) 및 사용자 정보 관리부(260)를 포함하며, 가상화 서버(201)로 구현되거나 가상화 서버(20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이동 단말기(100)로 셋탑박스(300)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IPTV 컨텐츠에는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및 프로그램 추천 서비스 메뉴를 포함하는 EPG 정보(PSIP/PSI/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구체적으로 IPTV 끄기 요청, IPTV 시청채널 제한 설정 요청, IPTV 켜기 요청, 방송 프로그램 제어 및 기타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매칭부(220)는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300)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셋탑박스(300) 정보를 후술될 화면 전송부(250)로 전달하여, 해당 제어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이 검색된 셋탑박스(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예컨대 이름, 주민번호 등), 이동 단말기(100)의 번호, 모델명 및 네트워크 정보(예컨대 WIFI, 3G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셋탑박스(300) 정보에는 셋탑박스(300)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 모델명,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네트워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이 검색된 셋탑박스의 IP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셋탑박스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는 후술될 사용자 정보 관리부(26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명령어 수신부(23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명령어 수신부(230)는 이동 단말기(100) 및 가상화 서버(201)와 상이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에뮬레이터 구동부(24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실행시킨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오픈 소스 형태의 공개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에뮬레이터 구동부(24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될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 전송부(25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화면 전송부(250)는 가상 머신의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를 통해 실행 결과 화면을 인코딩하여 셋탑박스(3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60)는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를 위한 회원 가입, 해지, 회원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 관리부(260)는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에 가입 신청 또는 해지 신청한 사용자의 신상정보(이름, 주민번호 등), 사용자의 이동단말기(100) 정보(번호, 모델명, 네트워크 정보 등), 사용자의 셋탑박스(300) 정보(IP 정보, 모델명, MAC 어드레드, 네트워크 정보 등) 등을 가입자 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뮬레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에뮬레이터 구동부(240)는 에뮬레이션부(242), 운영체제 실행부(244)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6)를 포함한다.
에뮬레이션부(242)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 및 플랫폼을 에뮬레이션(또는 가상화)한다. 이때, 에뮬레이션부(242)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실행 요청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운영체제가 가상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운영체제와 상이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 및 플랫폼을 에뮬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서 게스트 플랫폼은, x86, PowerPC, ARM, Alpha, ETRAX CRIS, MIPS, MicroBlaze 및 SPARC의 CP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스트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뮬레이션부(242)는 게스트 CPU를 에뮬레이션하는 CPU 시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CPU 에뮬레이터를 구동하여 실행 요청된 제어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CPU 시뮬레이터는, 에뮬레이터의 가장 복잡한 부분이다. 특정한 장치의 우수하고 효율적인 에뮬레이션에 집중하기 위하여, 많은 에뮬레이터들이 “프리-패키지(pre-packaged)” CPU 시뮬레이터들을 이용하여 기록된다. CPU 시뮬레이터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해석 프로그램(interpreter)이며, 이는 에뮬레이션된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 흐름을 따르고, 조우(encounter)되는 모든 장치 코드 명령어에 대해 원래 명령어들과 의미상 동등한 호스트 서버 프로세서 상의 운영을 실행한다.
운영체제 실행부(244)는 게스트 운영체제를 호스트 서버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시킨다. 이때, 셀프 테스트, 디바이스 스캔, 및 게스트 운영체제가 동작하기 위한 환경 파일 로딩, 디바이스 정보 인출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실행부(244)는 가상의 하드웨어를 지정하고 가상의 하드웨어와 해당 가상화 서버의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리소스들을 공유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게스트 운영체제가 실행되면서 수행되는 과정들은 단일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된 게스트 운영체제에 대한 파일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6)는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운영체제가 가상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운영체제와 상이한 경우에도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가상화 서버(201)가 사용자의 셋탑박스(300)로 IPTV 컨텐츠를 제공한다(S501).
다음으로 가상화 서버(201)가 이동 단말기(100)로 셋탑박스(300)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11). 이때, 제어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형태로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화 서버(201)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S521). 여기서, 제어 명령은 IPTV 끄기 및 켜기 등의 IPTV의 직접적 제어에 대한 명령 및 동영상 플레이 등의 컨텐츠 실행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IPTV의 직접적 제어에 대한 명령의 경우, 가상화 서버(201)가 해당 명령을 셋탑박스(300)에 전달하여 IPTV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실행에 대한 명령의 경우, 해당 컨텐츠 실행에 따른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300)에 전달하여 셋탑박스(300)와 연결된 IPTV 모니터에 해당 실행 결과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행 결과 화면을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가상화 서버(201)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통한 제어 명령으로 IPTV의 직접적 제어 또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가상화 서버(201)가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시킨다(S531). 이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게스트 플랫폼을 에뮬레이션(emulation)하고, 가상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운영체제 상에서 게스트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서 해당 제어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화 서버(201)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300)로 전송한다(S541). 여기서, 가상화 서버(201)는 셋탑박스(300)와 IPTV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행 결과 화면을 인코딩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은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300)의 정보에 따라 해당 셋탑박스(300)에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셋탑박스(300)가 해당 실행 결과 화면을 IPTV 모니터(400)에 표시한다(S551). 여기서, 셋탑박스(300)는 인코딩된 실행 결과 화면을 디코딩하여 IPTV 모니터(40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제어 인터페이스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사용자 정보 관리부(26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부 220: 매칭부
230: 명령어 수신부 240: 에뮬레이터 구동부
250: 화면 전송부 260: 사용자 정보 관리부

Claims (15)

  1. 가상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가상화 서버가 사용자의 셋탑박스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가상화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가상화 서버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가상화 서버가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IPTV 망을 통해 상기 셋탑 박스(STB, Set Top Box)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원격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셋탑박스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원격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가상 머신의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실행 결과 화면을 인코딩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원격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인코딩된 실행 결과 화면을 디코딩하여 IPTV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원격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셋탑박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번호, 모델명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정보, 모델명,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게스트 플랫폼을 에뮬레이션(emulation)하는 단계,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를 상기 가상화 서버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원격 제어 방법.
  8. 가상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셋탑박스에 제공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어 수신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및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화면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전송부는 상기 가상 머신의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 결과 화면을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실행 결과 화면을 IPTV 망을 통해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 정보를 검색하는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검색된 셋탑박스 정보를 상기 화면 전송부로 전송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번호, 모델명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정보, 모델명,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셋탑박스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원격 제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게스트 플랫폼을 에뮬레이션(emulation)하는 에뮬레이션부 및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를 상기 가상 원격 제어 장치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시키는 운영체제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장치.
  13.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셋탑박스에 제공된 IPTV 컨텐츠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상화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화면을 상기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 및
    상기 실행 결과 화면을 IPTV 모니터에 표시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화 서버와 상기 셋탑박스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IPTV 망과는 상이한 네트워크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셋탑박스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셋탑박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번호, 모델명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정보, 모델명,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게스트 플랫폼을 에뮬레이션(emulation)하고,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를 상기 가상화 서버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시키고,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상기 가상화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00073481A 2010-07-29 2010-07-29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7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81A KR101173599B1 (ko) 2010-07-29 2010-07-29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81A KR101173599B1 (ko) 2010-07-29 2010-07-29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78A true KR20120011578A (ko) 2012-02-08
KR101173599B1 KR101173599B1 (ko) 2012-08-13

Family

ID=4583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481A KR101173599B1 (ko) 2010-07-29 2010-07-29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9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151A1 (en) * 2012-05-02 2013-11-07 Oasys Information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application programs to devices
KR20140137833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7834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101528367B1 (ko) * 2012-07-24 2015-06-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사운드 제어 방법
KR20170017055A (ko) * 2015-08-04 2017-0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과 그를 위한 접속 장치
US9609365B2 (en) 2013-01-17 2017-03-28 Kt Corporation Application execution on a server for a television device
KR20180125097A (ko) * 2017-05-12 2018-11-22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 하이브리드 스마트 tv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33272A (ko) * 2017-06-05 2018-12-14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격지 pc와 연결하는 방법
CN113543364A (zh) * 2020-04-20 2021-10-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代理服务方法、投屏方法、终端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390297A (zh) * 2021-12-22 2022-04-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配置方法、云端服务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865Y1 (ko) 2017-03-02 2019-02-08 주식회사 티티랩씨 무선 공유기 겸용 셋탑박스
KR102265886B1 (ko) * 2020-07-24 2021-06-16 (주)온넷시스템즈코리아 Arm 서버 기반의 가상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151A1 (en) * 2012-05-02 2013-11-07 Oasys Information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application programs to devices
KR101528367B1 (ko) * 2012-07-24 2015-06-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사운드 제어 방법
US9609365B2 (en) 2013-01-17 2017-03-28 Kt Corporation Application execution on a server for a television device
KR20140137833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7834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20170017055A (ko) * 2015-08-04 2017-0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과 그를 위한 접속 장치
KR20180125097A (ko) * 2017-05-12 2018-11-22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 하이브리드 스마트 tv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33272A (ko) * 2017-06-05 2018-12-14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격지 pc와 연결하는 방법
CN113543364A (zh) * 2020-04-20 2021-10-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代理服务方法、投屏方法、终端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390297A (zh) * 2021-12-22 2022-04-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配置方法、云端服务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599B1 (ko) 201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99B1 (ko)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US11909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on of applications in a cloud system
US10298721B2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a work distribution model for an application deployed on a cloud
US9451043B2 (en) Remote virtualization of mobile apps
US9621926B1 (en) Predictive transmitting of video stream data
US11900551B2 (en) Creating cloud-hosted, stream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with low perceived latency
WO2014089114A1 (en) Distributed cross-platform user interface and application projection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4674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사이즈 기반의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54932A (ko) 비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80189090A1 (en) Exposing Hardware Work Queues as Virtual Devices in Virtual Machines
KR2016012198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2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02450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영상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181508B1 (ko) 가상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6069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이동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10231353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68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치환을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082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화질 정보에 따른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4850B1 (ko) 멀티 프레임을 고려한 키 처리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034845B1 (ko) 선택적 인코딩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위한 장치
CN118075514A (zh) 播放响应方法及装置、播放方法、终端设备及服务器
KR20220137260A (ko) 비디오 컬러 공간 변환 생략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03271A (ko) 스킵 프레임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63382A1 (zh) 一种频道播放的方法以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