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834A -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834A
KR20140137834A KR1020130058936A KR20130058936A KR20140137834A KR 20140137834 A KR20140137834 A KR 20140137834A KR 1020130058936 A KR1020130058936 A KR 1020130058936A KR 20130058936 A KR20130058936 A KR 20130058936A KR 20140137834 A KR20140137834 A KR 2014013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lication
screen
virtua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922B1 (ko
Inventor
강원철
서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3005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92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내부 구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Interfacing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f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시 방송 수신 장치 제어 인터페이스로 동작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TV는 단방향 서비스만을 제공하였던 것에 비해, 최근에 디지털 방송 표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채널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네트워크 처리 용량의 증가로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셋탑박스 또는 TV 자체 성능의 향상 및 네트워크 대역폭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과거부터 제공되던 라이브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다양한 주문형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실시간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 이외에도, 게임, 쇼핑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가 셋탑 박스 또는 TV를 통해 제공되더라도, 사용자는 셋탑 박스 또는 TV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서비스만 시청할 수 밖에 없으며, 다양한 확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동작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 없이도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 중인 휴대 단말에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 중인 휴대 단말에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시 정지, 정지 및 다시 시작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이벤트이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는, 상기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이거나 PIP(picture in picture) 기능 활성화 상태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하지 않는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대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채널 변경, 콘텐츠 검색, 오디오 크기 변경, 프로그램 가이드 및 EPG 메뉴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하는 중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하는 중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앱 매니저; 및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앱 매니저는 상기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이거나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대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페어링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중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실행된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시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하는 중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 및 상기 상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대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동작되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 없이도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방송 수신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른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로 화면을 미러링하고 있는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를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미러링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일시 정지 등)가 트리거되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인터페이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방송 수신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10)은 방송 수신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페어링되어 연결되며, 방송 수신 장치(120)로 당해 휴대 단말(110)의 화면을 미러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과 방송 수신 장치(120)는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페어링될 수도 있으며, 유에스비(USB), HDMI, MHL 등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을 통해 페어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110)이 방송 수신 장치(120)와 페어링 연결되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미러링하고 있은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일시 정지, 멈춤(정지), 다시 시작)가 트리거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미러링을 일시 중지하고, 방송 수신 장치(120) 제어를 위한 가상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특정 이벤트가 일시 정지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특정 이벤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재생을 중지하거나 새로 시작하기(예를 들어, 다시 시작 등) 위한 이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10)은 실행된 가상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아 이를 페어링된 방송 수신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20)는 휴대 단말(1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당해 방송 수신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은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 태블릿 PC, 태블릿 패드 등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20)는 휴대 단말(110)과 페어링 연결되어 휴대 단말(110)의 화면을 미러링받아 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20)는 출력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제1 화면을 통해 방송 수신 장치(120)의 방송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분할된 제2 화면을 통해 휴대 단말(110)을 통해 미러링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20)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고, 주화면 및 부화면(PIP 화면) 중 다른 하나로 휴대 단말(110)을 통해 미러링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수신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채널 변경, 채널 검색, 방송 콘텐츠 검색, 방송 수신 장치 환경 설정 등과 같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20)는 셋탑 박스, TV 등일 수 있다.
도 1에는 방송 수신 장치(120)이 하나의 휴대 단말(110)과 페어링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방송 수신 장치(120)는 복수의 휴대 단말(110)과 페어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장치(120)가 복수의 휴대 단말(110)과 페어링 연결되더라도 방송 수신 장치(120)는 하나의 휴대 단말(110)로부터 화면을 미러링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른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10)은 통신부(210), 입력부(215), 출력부(220), 설정부(225), 미러링부(230), 앱 관리부(235), 메모리(240) 및 제어부(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통신부(21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및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제어부(245)의 제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2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페어링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외에도, 입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5)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휴대 단말(110)을 통해 입력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220)는 액정화면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입력부(215)와 출력부(220)가 개별적인 구성 요소로 휴대 단말(110)에 구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입력부(215)와 출력부(22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휴대 단말(11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설정부(225)는 당해 휴대 단말(110)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동작되기 위한 다양한 설정 조건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설정부(225)는 방송 수신 장치(120)와 페어링 연결된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미러링 허용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써 설정받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부(225)에 설정/저장된 미러링 허용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시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설정부(225)는 미러링 차단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별도로 설정받아 저장 관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미러링 차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더라도 미러링부(23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러링부(230)는 휴대 단말(110)의 화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하기 위한 수단이다. 미러링부(230)는 미리 정해진 주기(예를 들어, 1초 등)마다 휴대 단말(110)의 전체 화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20)로 전송하여 미러링할 수 있다. 즉, 미러링부(230)는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할 수 있다.
앱 관리부(235)는 휴대 단말(110)에 저장/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앱 관리부(235)는 휴대 단말(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실행)된 상태에서, 해당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일시 정지)가 발생하면, 방송 수신 장치(120)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앱 관리부(235)는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이 허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3의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일시 정지와 같은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도 3의 320과 같이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채널 변경, 전원 온 또는 오프, 음성 크기 변경, 환경 설정, 콘텐츠 검색, EPG 메뉴 선택 및 프로그램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앱 관리부(235)는 방송 수신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화면 출력 상태에 따라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더라도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이거나 PIP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면, 앱 관리부(23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이 미러링되어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방송 신호도 함께 출력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앱 관리부(235)는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화면 출력 상태가 싱글 출력 상태(즉, 미러링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만 미러링되어 출력중인 상태이거나 PIP 기능 비활성화 상태)이면, 앱 관리부(235)는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더라도 해당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1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2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입력부(215), 출력부(220), 설정부(225), 미러링부(230), 앱 관리부(235), 메모리(24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245)는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은 미러링부(230)를 통해 미러링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5)는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조작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통신부(21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20)는 통신부(310), 입력부(315), 출력부(320), 분할부(325), 메모리(330) 및 제어부(3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제어부(335)의 제어에 따라 당해 방송 수신 장치(120)의 화면 출력 상태를 휴대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휴대 단말(110)로부터 미러링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수신받아 제어부(335)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315)는 외부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315)는 적외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 화면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320)는 제어부(335)의 제어에 따라 튜닝된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출력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320)는 제어부(335)의 제어에 따라 분할부(325)에 의해 분할된 출력 화면의 제1 화면을 통해 튜닝된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제2 화면을 통해 휴대 단말(110)로부터 미러링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분할부(325)는 출력 화면을 분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분할부(325)는 제어부(335)의 제어에 따라 출력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20)는 PIP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고, 주화면 및 부화면(PIP 화면) 중 다른 하나로 휴대 단말(110)을 통해 미러링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2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방송 프로그램 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3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310), 입력부(315), 출력부(320), 분할부(325), 메모리(33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335)는 출력 화면에 대한 상태(즉, 화면 출력 상태)를 페어링 연결된 휴대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 상태는 분할 출력 상태 또는 싱글 출력 상태일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화면 출력 상태는 방송 신호 출력 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로 화면을 미러링하고 있는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를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110)과 방송 수신 장치(120)가 페어링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110)의 화면이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되어 출력 중인 경우를 가정하며, 그 이후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 여기서,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방송 수신 장치(120)로 화면을 미러링중인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515에서 휴대 단말(110)은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20)의 화면 출력 상태를 고려하여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수신된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인 경우 해당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10)은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수신된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이면, 해당 방송 수신 장치(120)가 화면 분할을 통해 어느 하나(즉, 제1 화면)를 통해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분할된 화면의 다른 하나(즉, 제2 화면)를 통해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중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수신된 화면 출력 상태가 PIP 기능 활성화 상태인 경우 해당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휴대 단말(110)은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수신된 화면 출력 상태가 PIP 기능 활성화 상태이면, 해당 방송 수신 장치(120)가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로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주화면 및 부화면(PIP 화면) 중 다른 하나로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중인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가 방송 수신 장치(12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미러링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휴대 단말(110)은 해당 활성화된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만일 휴대 단말(110)은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수신된 화면 출력 상태가 싱글 출력 상태이면,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더라도 가성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10)과 방송 수신 장치(120)가 페어링 연결되어 휴대 단말(110)을 통해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이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중인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120)의 출력 화면이 분할되지 않은 경우, 미러링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만 출력되고 있는 상태로, 별도의 방송 수신 장치(120) 독립적으로 별도의 콘텐츠 또는 방송 신호를 출력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일시 정지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더라도 방송 수신 장치를 별도로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단계 520에서 휴대 단말(110)은 활성화된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어, 단계 525에서 휴대 단말(110)은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을 방송 수신 장치(120)로 전송한다.
단계 530에서 방송 수신 장치(120)는 휴대 단말(1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535에서 방송 수신 장치(120)는 변환된 제어 명령으로 방송 수신 장치(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채널 변경”이라고 가정하자. 방송 수신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도록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오디오 크기 변경”이라고 가정하자. 방송 수신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오디오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널 변경, 오디오 크기 변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 가이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메뉴, 채널 변경을 위한 숫자 버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통해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직접 선택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610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110)을 통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인 상태라고 가정하자. 이때, 휴대 단말(110)과 방송 수신 장치(120)는 페어링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11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방송 수신 장치(120)로 미러링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가정하자. 즉, 방송 수신 장치(120)는 출력 화면을 분할하여 제1 화면을 통해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며, 제2 화면을 통해 미러링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 중이라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일시 정지 기능을 터치한 경우,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일시 정지 이벤트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실행 중인 게임은 일시적으로 중지된다.
도 6의 61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일시 정지 이벤트 발생에 따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 중인 게임이 일시 정지한 화면을 나타낸다. 휴대 단말(11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중인 게임의 일시 정지에 따라 미러링도 일시적으로 중지시킨다. 미러링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더라도, 방송 수신 장치(120)는 가장 최종(마지막) 수신된 화면에 대한 영상을 분할된 출력 화면의 제2 화면을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일시 정지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휴대 단말(110)은 도 6의 620과 같이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이어, 사용자가 활성화된 가상 원격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널 변경”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면, 휴대 단말(110)은 이를 방송 수신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도 6의 630과 같이, 방송 수신 장치(120)는 채널을 변경하고, 채널 변경에 따른 방송 신호를 분할된 출력 화면의 제1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휴대 단말
120: 방송 수신 장치

Claims (14)

  1.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 중인 휴대 단말에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시 정지, 정지 및 다시 시작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는,
    상기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이거나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활성화 상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인터페이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대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채널 변경, 콘텐츠 검색, 오디오 크기 변경, 프로그램 가이드 및 EPG 메뉴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8.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하는 중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앱 매니저; 및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시 정지, 정지 및 다시 시작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앱 매니저는 상기 화면 출력 상태가 분할 출력 상태이거나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대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3. 휴대 단말과 페어링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중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특정 이벤트 발생 감지에 따라 실행된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시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14.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을 미러링하는 중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미러링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에 따라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가상 원격 인터페이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 및
    상기 상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대응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30058936A 2013-05-24 2013-05-24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10206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936A KR102062922B1 (ko) 2013-05-24 2013-05-24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936A KR102062922B1 (ko) 2013-05-24 2013-05-24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834A true KR20140137834A (ko) 2014-12-03
KR102062922B1 KR102062922B1 (ko) 2020-01-07

Family

ID=5245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936A KR102062922B1 (ko) 2013-05-24 2013-05-24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94A (ko) * 2017-11-13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43057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들 및 화면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578A (ko) * 2010-07-29 2012-02-08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2012253716A (ja) * 2011-06-07 2012-12-20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動画再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578A (ko) * 2010-07-29 2012-02-08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2012253716A (ja) * 2011-06-07 2012-12-20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動画再生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94A (ko) * 2017-11-13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43057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들 및 화면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922B1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4914B (zh) 便携式设备的操作方法、内容再现设备的操作方法、便携式设备以及内容再现设备
WO2020207132A1 (zh) 应用程序的音频数据的输出方法及显示设备
KR102154800B1 (ko) 전자 장치의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651226B2 (ja) 情報プレゼンテーションアイテム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マルチメディア再生デバイス
US2012005479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890626B1 (ko) 이동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120210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using electronic device
US201900188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pplications
KR20140140720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1516530B2 (en) Televis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control device
KR102585876B1 (ko)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1818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mart televisions
US10349109B2 (en) Televis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control device
WO2017181603A1 (zh) 一种视频显示方法及装置
KR20210025812A (ko)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81595A1 (zh) 一种视频显示方法及装置
KR10220862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131862B1 (ko) 라디오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37834A (ko)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1026113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KR10254732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2004127B (zh) 一种信号状态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2097173B1 (ko)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295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102157397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