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354A -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 Google Patents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354A
KR20120010354A KR1020100071821A KR20100071821A KR20120010354A KR 20120010354 A KR20120010354 A KR 20120010354A KR 1020100071821 A KR1020100071821 A KR 1020100071821A KR 20100071821 A KR20100071821 A KR 20100071821A KR 20120010354 A KR20120010354 A KR 2012001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panel
mortar
anchor
foamed poly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031B1 (ko
Inventor
박효선
김동호
Original Assignee
박효선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선, 김동호 filed Critical 박효선
Priority to KR102010007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0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 발생율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은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과 마감용 패널(20)을 별도로 제작한 후 앵커(30)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므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에 GRG나 GRC를 타설하여 마감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감용 패널(20)에는 앵커(3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부(21)가 형성되어 마감용 패널(20)의 두께와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서, 마감용 패널(20)의 무게에 의해 건물피로도가 높아지거나 폴리스티렌패널의 두께가 얇아져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Surface finishing method for ICF(Insulated Concrete Form)}
본 발명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 발생율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콘크리트 타설용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에서, 내장을 유리섬유강화석고(Glass fiber Reinforced Gypsum, GRG)로, 외장을 유리섬유강화시멘트(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GRC)로 마감하여, 강도를 높이고 구조체에 균열이 발생해도 누수 침투현상이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내외장 마감방법을 개발하여 특허등록 받은 바 있다.(10-0942463호)
그런데, 이러한 마감방법에 따르면,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에 몰드를 장착하여 GRG나 GRC를 타설하므로, GRG나 GRC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GRG나 GRC를 타설할 때는 각별한 주의를 요하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불량 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혼합된 자연석 입자의 비중에 따라 각 원료가 균일하게 배합되지 않아서 의도한 색감과 입자의 배열을 얻기 힘들며, GRG나 GRC의 양생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GRG나 GRC이 양생되면서 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GRG나 GRC가 완전히 양생될 때까지 기다린 후 거푸집을 탈영하여야 하므로 많은 수의 몰드를 마련하여야 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속경이나 기타 첨가제를 써서 경화를 촉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 발생율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마감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의 일면을 마감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표면마감방법에 있어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과 별도로 마감용 패널을 제작하고,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용 패널을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의 일면에 결합하여 마감하며, 상기 마감용 패널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앵커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표면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용 패널은,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마감용 패널의 표면을 이루는 1차 몰타르를 1차 압축성형한 후, 1차 압축성형된 1차 몰타르의 상부에 마감용 패널의 강도를 보장하는 2차 몰타르를 추가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성형기로 재차 압축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1차 몰타르는 시멘트와, 천연석 입자와, 세골제와, 첨가제와, 산화철 염료가 희석된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2차 몰타르는 시멘트와, 세골제와, 유리섬유 쵸프트와, 첨가제와,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1차 몰타르와 2차 몰타르의 두께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용 패널은 천연석재를 상기 돌출부가 일면에 형성되도록 절단 또는 연마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을 고정하는 폼타이를 제거한 후, 폼타이의 슬리브에 무수축 몰타르를 채워넣고 슬리브에 장식물의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식물은 장식용 메달리온이나 조명등 또는 길이가 긴 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용 패널은 상기 돌출부가 상호 인접되도록 둘레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의 인접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앵커의 단부에 형성된 앵커핀을 상기 결합공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은 발포폴리스티렌 패널과 마감용 패널을 별도로 제작한 후 앵커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므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에 GRG나 GRC를 타설하여 마감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감용 패널에는 앵커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마감용 패널의 두께와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서, 마감용 패널의 무게에 의해 건물피로도가 높아지거나 폴리스티렌패널의 두께가 얇아져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마감방법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패널을 제조하는 마감용 패널 제조장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에서 폼타이를 제거하여 발생된 공간부를 마감한 일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에서 폼타이를 제거하여 발생된 공간부를 마감한 다른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공간부를 막는 메달리온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패널을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마감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일면을 마감하여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은 도 1의 (a)와 같이,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과 별도로 마감용 패널(20)을 제작하고, 앵커(30)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용 패널(20)을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일면에 결합하여 마감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은 줄눈금(11)과 오목홈(12)이 배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12)에는 앵커(30)를 지지하는 슬롯(31)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용 패널(20)은 몰타르를 압축성형하여 제작되는 CGRC(Compressed Glassfiber Reinforced Cement)로 구성되며, 배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에 앵커(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오목홈(12)과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부(21)와 대응되는 결합홈(13)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앵커(30)는 소켓(33)과 상기 소켓(34)에 결합되는 볼트(34)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34)를 조이면 소켓(33)이 외부로 벌어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드롭인 앵커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30)의 소켓(33)을 돌출부(21)에 매입한 상태에서, 돌출부(21)와 결합홈(13)이 상호 맞물리도록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과 마감용 패널(20)을 상호 조립한 후, 상기 앵커(30)의 볼트(34) 선단부를 돌출부(21)에 매입된 소켓(33)에 끼워 조임으로써,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을 마감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마감용 패널(20)을 제조하는 마감용 패널 제조장비를 도시한 것으로, 1차 몰타르를 배합하는 1차 몰타르 배합장치(41)와, 2차 몰타르를 배합하는 2차 몰타르 배합장치(42)와, 상기 1차 몰타르 배합장치(41)와 2차 몰타르 배합장치(42)에서 배합된 1차 및 2차 몰타르를 공급받아 압축성형하는 압축성형기(43)로 구성되어, 1차 몰타르를 1차 압축성형한 후, 1차 압축성형된 1차 몰타르의 상부에 2차 몰타르를 추가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성형기(43)로 재차 압축성형하여 성형을 완료하며, 이와같이, 성형이 완료된 반제품을 일정시간 양생시켜 마감용 패널(20)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1차 몰타르는 시멘트와, 천연석 입자와, 세골제와, 첨가제와, 산화철 염료가 희석된 물을 혼합하여 마감용 패널(20)의 표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2차 몰타르는 시멘트와, 세골제와, 유리섬유 쵸프트(chop)와, 첨가제와, 물을 혼합하여 패널의 강도를 보장하는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성형기(43)는 하부의 베이스몰드(43a)와, 베이스몰드(43a)의 상부에 위치된 금형몰드(43b)로 구성되어, 금형몰드(43b)에 연결된 실린더장치(43c)로 금형몰드(43b)를 승강시켜 베이스몰드(43a)에 투입된 몰타르를 고압으로 압축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몰드(43a)에는 도시안된 진동기가 구비되어 베이스몰드(43a)에 투입된 몰타르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몰타르 배합장치(41)는 시멘트와 천연석 입자와 세골제와 첨가제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장치(41a)와, 공급된 원료를 배합하는 로터리배합기(41b)와, 상기 로터리배합기(41b)에 구비된 분무기(41c)로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배합기(41b)로 시멘트와 천연석 입자와 세골제 및 첨가제를 배합하면서, 산화철 염료(41e)가 희석된 물(41f)을 분무기(42)로 골고루 뿌려 원료가 균일하게 혼합된 1차 몰타르를 생산하여 상기 베이스몰드(43a)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2차 몰타르 배합장치(42)는 시멘트와 세골제와 유리섬유 쵸프트(chop)와 첨가제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장치(42a)와, 공급된 원료를 배합하는 시멘트믹서(42b)와 시멘트믹서(42b)에 구비된 분무기(42c)로 구성되어, 상기 시멘트믹서(42b)로 시멘트와 세골제와 유리섬유 쵸프트(chop) 및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분무기(42)로 물을 골고루 뿌려 원료가 균일하게 혼합된 2차 몰타르를 생산하여 상기 베이스몰드(43a)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1차 및 2차 몰타르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완성된 몰타르에 요구되는 성질에 맞게 적절히 선택되며, 2차 몰타르에 첨가되는 유리섬유 쵸프트는 시멘트중량의 7% 정도가 투입된다.
따라서, 1차 몰타르를 압축성형기(43)의 베이스몰드(43a)에 1/4 정도의 높이로 투입하고 최종압력의 1/4정도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1차 압축성형하고, 1차 압축성형된 1차 몰타르의 상부에 3/4높이로 2차 몰타르를 투입하여 하여 재차 압축하여 성형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1차 몰타르와 2차 몰타르의 두께는 1:3의 비율로 되며, 상기 압축성형기(43)로 몰타르를 압축할 때는 상기 진동기로 베이스몰드(43a)에 투입된 몰타르를 진동시킨다. 특히, 1차 압축성형된 1차 몰타르의 상부에 2차 몰타르를 투입하여 재차 압축성형할 때는 몰타르를 최종압력의 1/4 정도의 압력으로 한번 압축하여 2차 몰타르가 1차 몰타르와 같은 정도로 압축되도록 하고, 금형몰드(43b)를 들어올린 후 100%의 최종압력으로 재차 압축하는 2번의 압축과정을 거쳐, 1차 몰타르와 2차 몰타르가 균일하게 압축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1, 2차 압축성형을 거쳐 제조된 마감용 패널(20)의 반재품은 팔래트에 받쳐져 선반에 올려진 상태로 자리를 이동하여 양생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때, 고압증기양생시설을 이용하면 더욱 빠른 시간에 고품질의 양생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마감용 패널(20)을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과 별도로 제작한 후, 앵커(30)를 이용하여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에 결합하여 마감하므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에 몰타르를 직접 타설하는 종래의 마감방법과 달리,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감용 패널(20)을 별도로 제작함에 따라, 작업속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불량 발생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용 패널(20)에는 앵커(30)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돌출부(21)가 형성되어, 마감용 패널(20)을 충분히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마감용 패널(20)에 의해 건물피로도가 높아지거나 폴리스티렌 패널(10)의 두께가 얇아져 단열효과가 덜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마감용 패널(20)에 앵커(3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마감용 패널(20)의 두께가 3cm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이와같은 두께로 마감용 패널(20)을 제작할 경우 마감용 패널(20)의 무게가 증가되어 건물에 피로도가 증가될 뿐 아니라, 마감용 패널(20)의 두께만큼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두께가 얇아져 단열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마감용 패널(20)에 다수의 돌출부(21)가 형성되어 마감용 패널(20)의 두께를 두껍게 만들지 않아도 앵커(30)가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돌출부(21)에 의해 마감용 패널(20)이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용 패널(20)을 충분히 얇게 제작하여 무게를 줄이면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두께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용 패널(20)을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2종류의 몰타르를 순차적으로 압축성형하여 제작하므로써, 마감용 패널(20)의 강도를 보장하면서도 표면을 가공하여 자연석의 느낌이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몰타르를 고압으로 압축하므로, 몰타르에 포함된 유리섬유 쵸프트가 시멘트 및 골재와 일체화 되어 고체화 되므로써 높은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높은 칫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이격배치된 상태에서, 플라스틱재질의 연결쇠(60)를 사이에 설치하고, 폼타이(70)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폼타이(70)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외부면에 설치된 각목(7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거푸집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굳으면 폼타이(70)를 제거하며, 폼타이(70)가 제거되어 공간부(80)가 발생되면 공간부(80)에 장식물을 고정 설치하여 공간부(80)를 가릴 수 있도록 마감한다.
도 4 및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폼타이(70)가 제거된 부위에 발생된 공간부(80)에 장식물을 고정하여 마감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간부(80)가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측면이 만나는 부분에 길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물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긴 띠부재(91)로 구성된다. 상기 띠부재(91)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색상과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의 석재로 구성되며, 상기 폼타이(70)의 슬리브(71)에 삽입되는 고정볼트(91a)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폼타이(70)를 제거하여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긴 공간부(80)가 형성되면, 상기 슬리브(71)에 무수축 몰타르를 채워넣고 상기 무수축 몰타르에 고정볼트(91a)가 잠기도록 상기 슬리브(71)에 삽입하여, 무수축 몰타르에 의해 고정볼트(91a)와 띠부재(91)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71)에 폼타이(70)가 제거되어 발생되는 공간부(80)를 은폐하여 공간부(80)를 통해 콘크리트(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띠부재(91)의 재질과 색상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주어 벽면의 외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상기 공간부(80)가 각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모서리부분에 구멍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장식물은 다양한 형태의 메달리온(medallion,92)이나 조명등(93)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방법으로 폼타이(70)의 슬리브(71)에 고정되어, 공간부(80)를 가리거나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외부면을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달리온(9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라미드 형태의 헤드부(92a)와 상기 헤드부(92a)에 고정된 고정볼트(92b)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볼트(92b)를 슬리브(71)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헤드부(92a)의 형상은 원형이나 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은 앵커(30)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용 패널(20)을 고정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마감용 패널(20)은 상기 돌출부(21)가 상호 인접되도록 상호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21)의 인접면에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앵커(30)의 단부에 형성된 앵커핀(32)을 상기 결합공(22)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용 패널(20)을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마감용 패널(20)은 몰타르를 압축성형하여 제작되는 CGRC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GRC(Glassfiber Reinforced Cement)로 제작하거나, 판형상의 천연석재를 상기 돌출부(21)가 배면에 형성되도록 절단 또는 연마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용 패널(20)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발포폴리스티렌 패널 11. 줄눈금
12. 오목홈 13. 결합홈
20. 마감용 패널 21. 돌출부
22. 결합홈 30. 앵커
31. 슬롯 32. 앵커핀
33. 소켓 34. 볼트
41. 1차 몰타르 배압장치 41a. 원료공급장치
41b. 로터리배합기 41c. 분무기
42. 2차 몰타르 배압장치 42a. 원료공급장치
42b. 시멘트믹서 42c. 분무기
43. 압축성형기 43a. 베이스몰드
43b. 금형몰드 43c. 실린더장치
60. 연결쇠 70. 폼타이
71. 슬리브 80. 공간부
91. 띠부재 91a. 고정볼트
92. 메달리온 93.조명등

Claims (9)

  1.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일면을 마감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에 있어서,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과 별도로 마감용 패널(20)을 제작하고, 앵커(30)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용 패널(20)을 발포폴리스티렌 패널(10)의 일면에 결합하여 마감하며, 상기 마감용 패널(20)에는 복수개의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에 앵커(3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 패널(20)은, 압축성형기(43)를 이용하여 마감용 패널(20)의 표면을 이루는 1차 몰타르를 1차 압축성형한 후, 1차 압축성형된 1차 몰타르의 상부에 마감용 패널(20)의 강도를 보장하는 2차 몰타르를 추가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성형기(43)로 재차 압축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몰타르는 시멘트와, 천연석 입자와, 세골제와, 첨가제와, 산화철 염료가 희석된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몰타르는 시멘트와, 세골제와, 유리섬유 쵸프트와, 첨가제와,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몰타르와 2차 몰타르의 두께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 패널(20)은 천연석재를 상기 돌출부(21)가 일면에 형성되도록 절단 또는 연마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100)가 경화되면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을 고정하는 폼타이(70)를 제거한 후, 폼타이(70)의 슬리브(71)에 무수축 몰타르를 채워넣고 슬리브(71)에 장식물의 고정볼트(91a,92a)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장식용 메달리온(92)이나 조명등(93) 또는 길이가 긴 띠부재(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 패널(20)은 상기 돌출부(21)가 상호 인접되도록 둘레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21)의 인접면에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앵커(30)의 단부에 형성된 앵커핀(32)을 상기 결합공(22)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 마감방법.
KR1020100071821A 2010-07-26 2010-07-26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KR10116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821A KR101167031B1 (ko) 2010-07-26 2010-07-26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821A KR101167031B1 (ko) 2010-07-26 2010-07-26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354A true KR20120010354A (ko) 2012-02-03
KR101167031B1 KR101167031B1 (ko) 2012-07-27

Family

ID=4583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821A KR101167031B1 (ko) 2010-07-26 2010-07-26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295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에이피글로벌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693Y1 (ko) 2005-02-03 2005-05-06 이병옥 기능성 내외장재를 이용한 거푸집 일체형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295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에이피글로벌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031B1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62713A (zh) 高性能的门
CN100334315C (zh) 纤维增强人造石墓箱及其制作方法
CN101468487A (zh) 一种工业合成石加工工艺
CN104499498B (zh) 一种大体积混凝土建筑的施工方法
CN104891916B (zh) 石膏组合物,砌块和钢骨架轻质高强防裂石膏条板
KR101167031B1 (ko)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KR101829391B1 (ko) 칼라 콘크리트 성형체의 제조방법
KR20100050631A (ko) 건물 외벽 장식용 경량 콘크리트 몰딩 및 그 제조방법
RU228883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изделий из легких бетонов с лицевым фактурным слоем и изделия, изготовл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US20060020048A1 (en) Polyurethane-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RU224578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фасадных изделий из архитектурного бетона и фор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7190758A (ja) レジン被覆コンクリー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1054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te insulated high strength concrete element having a superior surface, as well as a high strength concrete elemen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CN1413813A (zh) 一种彩色混凝土砌块的生产方法
CN206917090U (zh) 一种基于纤维彩石混凝土板的干挂式罗马柱
RU202106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RU254325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зитобетонных блоков
RU2071456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и конструкци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и конструкций
JPS598529B2 (ja) Grc成形体の振動成形法
RU2003106001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фасадных изделий из архитектурного бетона и фор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30065243A (ko) 타일 일체형 경량 블록
CN110372287B (zh) 一种仿岩石带状构造的多彩混凝土制品及其制作方法
KR20120006178A (ko) 건축용 인조석 제조장치, 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석
CN117966924A (zh) 一种混凝土与陶粒泡沫混凝土复合板体及其制备方法
JP2000072560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