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295A -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 Google Patents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295A
KR20190080295A KR1020170182667A KR20170182667A KR20190080295A KR 20190080295 A KR20190080295 A KR 20190080295A KR 1020170182667 A KR1020170182667 A KR 1020170182667A KR 20170182667 A KR20170182667 A KR 20170182667A KR 20190080295 A KR20190080295 A KR 20190080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layer
hole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778B1 (ko
Inventor
박성민
박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18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켜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콘크리트 표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내공(211)을 구비하는 발포층(210)과, 발포층(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층(220)과, 발포층(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층(230)으로 패널(200)이 이루어지고; 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0)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결합하는 체결구(400)는 패널(20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패널(20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며; 프레임(100)과 가로앵글(300)에는 다수의 구멍(150)(330)이 형성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Euro-form type concrete form}
본 발명은 토목건축용, 건축용, 아파트용, 옹벽용, 슬라브용 등으로 사용되는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패널의 구조를 개선하여 휨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패널과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분야에서는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외 벽체 및 기둥 등의 건축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 및 높이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아파트 등과 같은 빌딩형 건축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형틀인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게 된다. 이때, 아파트와 같은 건물은 신축 시에 외벽은 시스템 타입 거푸집을 사용하고, 내부 벽체와 천장의 슬라브에는 유로폼 거푸집 또는 합판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타입 거푸짐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2m 이상의 크기로 이루어진 것으로 아파트 및 빌딩의 외벽에 사용한다.
그러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거푸집은 재질의 특성상 외부와 부딪치거나 충격을 받으면 변형이 발생하고,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작용함으로 사용 시 조심해야 하는 불편함과, 사용 후 콘크리트 잔여물이 붙어 굳은 상태가 되므로 이를 깨끗하게 벗겨 내어야 하는 관리상의 불편한 점이 있다.
유로폼은 주철로 이루어진 금속 틀에 합성수지 패널을 덧대어 형성된 것으로, 이는 크기가 통상의 합판크기와 같은 크기로 만들어지며, 사용 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콘크리트 잔여물을 박리시키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라나 주철 틀에 합성수지 패널을 고정할 때 리벳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면과 대응되는 면에 다수의 리벳 머리 부분이 노출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시킨 다음 유로폼 거푸집을 분리하면 콘크리트 면에 리벳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관계로 콘크리트와 합성수지 패널이 장시간 접촉된 상태로 있다가 경화 후 거푸집을 분리하면 합성수지 패널이 콘크리트 독성에 의해 연화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야적장에 적층시켜 보관할 때 여름철의 따가운 햇볕과, 30도 이상의 온도가 유지될 경우 합성수지 패널의 일부분이 볼록하게 변형이 이루어져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의 경우에는 온도에 의한 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나 습기에 약하고, 사용 후 콘크리트 잔여물이 묻어 굳게 되므로 이를 박리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으며, 분리 시 장도리 등으로 못을 빼낸 후 분리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합판 등이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재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목재 거푸집은 2~3회 반복 사용하면 더 이상은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경제적 비용문제와 일일이 사람이 작업하게 되므로 인건비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되어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수회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판재와,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의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판재 및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철제 앵글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는 파이프 후크(pipe hook) 및 웨지핀(wedge pin)이 체결될 수 있는 웨지구멍과, 납작하고 길이가 긴 사각형의 플랫 타이 바(flat tie bar)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프레임 및 판재를 보강하기 위한 앵글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는 프레임의 전면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서 리벳이나 볼트 등으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웨지구멍에 웨지핀을 끼우기 위하여 앵글의 단부에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판재는 통상적으로 목재 합판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그 이유는 목재 합판은 여러 개의 단판들이 적층되어 제작되므로 그 두께나 중량에 비하여 휨 하중에 대한 커다란 저항 능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재 합판은 재료의 특성상 내수성 및 내구성이 부족하여 통상 5 내지 10회 사용 후 교체해야 한다. 또한, 목재 합판은 콘크리트에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므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탈리되는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는 정도가 커서 반복사용의 횟수가 크게 제한된다. 아울러, 목재 합판은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이나 볼트로 체결됨에 따라 리벳이나 볼트가 판재의 외부로 돌출되어 거푸집 탈형 시 콘크리트 타설 면에 리벳이나 볼트 자국이 남아 있어 이를 마감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목재 합판 대신에 합성수지로 제조한 판재를 철제로 성형하거나 합성수지로 제조한 프레임에 결합시킨 유로폼 타입 거푸집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판재는 목재 합판에 비해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고 콘크리트 접합 면과 쉽게 분리되는 즉, 탈형의 용이함 등의 이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목재 합판 대신에 합성수지로 제조한 판재를 철제 프레임에 결합시킨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4606호에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한쪽 면에 합판대용으로 두께가 얇은 경량의 플라스틱판을 일면은 평면으로 두고 타면은 상호 교차가 되는 종,횡리브를 형성시켜 강도를 보강시키되 알루미늄 프레임과 대응되게 가장자리의 장,단측테와 여러 개의 종중간대 그리고 횡중간대와 상접하는 부분의 종,횡리브의 높이를 낮게 형성시켜서 알루미늄 프레임에 플라스틱판을 리벳으로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고 또한 이렇게 플라스틱판을 사용하므로서 여러 번에 걸쳐 사용할 수가 있는 강도 및 경량을 겸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플라스틱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 판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야적장에 적층시켜 보관시 여름의 경우 따가운 햇볕과, 30도 이상의 온도가 유지될 경우 합성수지 패널의 일부분이 볼록하게 변형이 이루어져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판재가 프레임의 사각 테두리 속으로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프레임의 전면 사각 테두리가 콘크리트에 맞닿아 거푸집 해체 시 잘 떨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벽면에 프레임의 사각 테두리 자국이 남으므로 견출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생기는 압력에 의해 콘크리트 잉여수가 흘러나와 프레임과 앵글에 시멘트가 묻어 굳어지면서 떨어지지 않아 무거워지고, 이러한 현상으로 시멘트가 프레임과 앵글에 굳어서 쉽게 떨어지지 않으므로 거푸집 해체 시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물을 지을 때 벽을 만드는 과정에 바이브레이터를 치면서 진동 다지기 작업을 하는바, 바이브레이터를 쳐주는 이유는 콘크리트 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내 기포가 남아 있을 시 벽면이 매끄럽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매끄러운 콘크리트 작업을 하기 위해선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주는 것이 필수다.
이와 같이 매끄러운 콘크리트 벽면을 위해서는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야 하는데, 종래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제 판재는 강도가 취약하여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주면 판재가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주지 못하면 콘크리트 벽면에 크랙이 가고 시멘트가 벽면에 채워지지 않는 등 부실공사의 원인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목재 합판보다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제 판재를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 등록실용신안 제20-0394606호(등록일자 : 2005.08.2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패널의 구조를 개선하여 휨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야적장에 보관시 여름철 외부의 온도에 의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과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틀로 형성되어 다수의 웨지구멍과 체결홈을 구비하는 철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패널;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핀홀을 구비하는 철제 가로앵글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구성하되, 상기 패널은 다수의 내공을 구비하는 폐합성수지 발포층과, 상기 발포층의 내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내면층과, 상기 발포층의 외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외면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패널은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턱의 내측 모서리에는 삼각바를 연결하고; 상기 삼각바와 가로앵글에는 체결구가 끼워지는 체결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으로 끼워지는 체결구는 패널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하여 체결시 패널의 전면으로 체결구가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하며; 상기 프레임과 가로앵글에는 다수의 구멍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층의 내공과 내공 사이에 위치하는 내면층의 표면에는 신축조절용 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홈은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면층에는 내공과 통하도록 다수의 방열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층과 내,외면층에는 접촉면을 증대시키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물결모양의 요철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하 중앙부와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가로앵글에는 세로앵글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세로앵글에는 핀홀과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앵글들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세로앵글을 각각 연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삼각바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앵글의 양측에는 삼각바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구는 나사선형 리벳 또는 피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따르면, 다수의 내공이 형성된 폐합성수지 발포층과, 다수의 신축조절용 홈 또는 방열공을 구비하는 신재합성수지 내면층과, 신재합성수지 외면층으로 패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널의 휨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야적장에 보관시 여름철 외부의 온도에 의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과 가로앵글 및 세로앵글에 콘크리트 잉여수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시멘트가 굳어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이 프레임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전면 테두리가 콘크리트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거푸집 해체 시 패널이 콘크리트 벽면에서 잘 떨어지고, 콘크리트 벽면에 프레임의 테두리 자국이 남지 않으므로 견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과 패널을 결합시키는 체결구가 패널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패널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기 때문에, 패널의 외면에는 체결구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벽면에는 체결구의 자국이 남지 않아 미장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과 패널의 구조가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밀어내는 압력에 대응하도록 매우 강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생기는 열과 압력에 의해 프레임이 뒤틀리거나 패널의 배가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옹벽을 만드는 과정에서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도 프레임과 패널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
도 11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도 1 내지 도 16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틀로 형성되어 다수의 웨지구멍(110)과 체결홈(120)을 구비하는 철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패널(200);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핀홀(310)을 구비하는 철제 가로앵글(300)로 이루어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으로서, 상기 패널(200)은 다수의 내공(211)을 구비하는 폐합성수지 발포층(210)과, 상기 발포층(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내면층(220)과, 상기 발포층(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외면층(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0)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턱(130)이 형성되어 지지턱(130)의 내측 모서리에는 삼각바(140)가 연결되고; 상기 삼각바(140)와 가로앵글(300)에는 체결구(400)가 끼워지는 체결공(141)(32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1)(320)으로 끼워지는 체결구(400)는 패널(20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패널(20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100)과 가로앵글(300)에는 다수의 구멍(150)(330)이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토목건축용, 아파트용, 옹벽용, 슬라브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프레임(100), 패널(200), 가로앵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하부 수평프레임과 양측 수직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0)의 테두리에는 파이프 후크 및 웨지핀을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웨지구멍(110)과, 납작하고 길이가 긴 사각형의 플랫 타이 바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주철 등의 철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30)의 내측 모서리에는 삼각바(140)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삼각바(140)에는 체결구(400)가 끼워지는 체결공(1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턱(130)과 삼각바(140)는 프레임(10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패널(200)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레임(10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구멍(15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150)은 프레임(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경량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구멍(150)은 콘크리트 잉여수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시멘트가 굳어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전면에 다수의 체결구(400)로 결합되어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이러한 패널(200)은 다수의 내공(211)을 구비하는 폐합성수지 발포층(210)과, 상기 발포층(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내면층(220)과, 상기 발포층(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외면층(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널(200)은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내부의 내공(211)과 발포층(210)으로 인해 소음을 흡수해서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저온과 고온 및 햇빛에 의한 변형이나 뒤틀림이 없다.
상기 발포층(210)은 패널(200)의 중앙으로 배치되어 기판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발포층(210)에는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내공(2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포층(210)은 재활용 폐합성수지 및 폐비닐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내공(211)은 충격 흡수성에 대한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다수의 내공(211)는 패널(200)의 중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다수의 내공(211)은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패널(200)이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발포층(210)에서 내공(2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결합하기 위해 패널(200)에 체결되는 체결구(4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내공(211)은 위치에 상관없이 자유자재로 임의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면층(220)은 발포층(210)의 내면으로 압출되면서 밀접하게 중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내면층(220)은 재생하지 않은 순원료 상태의 신재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면층(220)은 강화표면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면층(230)은 표면이 미려하고 절단 및 조립시 적절한 강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발포층(210)의 내공(211)과 내공(211) 사이에 위치하는 내면층(220)의 표면에는 신축조절용 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홈(221)은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 또는 여름철 야적장 보관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패널(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외부 온도에 의해 패널(200)에 열이 가해져 늘어남이 발생하는 경우 패널(200)이 볼록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홈(221)은 신축되면서 늘어남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홈(221)은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홈(221)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홈(221)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홈(221)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내면층(220)에는 내공(211)과 통하도록 다수의 방열공(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열공(222)은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 또는 여름철 야적장 보관 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패널(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외면층(230)은 발포층(210)의 외면으로 압출되면서 밀접하게 중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외면층(230)은 재생하지 않은 순원료 상태의 신재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면층(230)은 강화표면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면층(230)은 표면이 미려하고 절단 및 조립시 적절한 강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면층(220)과 외면층(230)은 재생하지 않은 순원료 상태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0)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프레임(100)의 전면 테두리가 콘크리트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거푸집 해체 시 패널(200)이 콘크리트 벽면에서 잘 떨어지고, 또한 콘크리트 벽면에 프레임(100)의 테두리 자국이 남지 않으므로 견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포층(210)과 내,외면층(220)(230)에는 접촉면을 증대시키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물결모양의 요철(210a)(220a)(230a)이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철(210a)(220a)(230a)은 발포층(210)과 내,외면층(220)(23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요철(210a)(220a)(230a)에 의해 발포층(210)과 내,외면층(220)(230)은 한층 더 밀접하게 중합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가로앵글(300)은 프레임(100)의 내부에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로앵글(300)은 수직부와 수평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엘(L)보형으로 형성되고, 가로앵글(300)의 수평부 양측에는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웨지구멍(110)에 웨지핀을 끼우기 위한 핀홀(310)이 형성되며, 가로앵글(300)의 수직부에는 체결구(400)가 끼워지는 체결공(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앵글(300)은 주철 등의 철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앵글(300)의 수직부와 수평부에는 다수의 구멍(33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330)은 가로앵글(3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경량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구멍(330)은 콘크리트 잉여수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시멘트가 굳어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체결구(400)는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구(400)는 프레임(100)과 가로앵글(30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41)(320)을 통해 패널(20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400)는 패널(20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패널(20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패널(200)의 외면에는 체결구(400)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벽면에는 체결구(400)의 자국이 남지 않아 미장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구(400)는 나사선형 리벳 또는 피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구(400)는 도 11에서와 같이 패널(200)에 박히면서 체결되는 나사선형 리벳으로 구성하여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박음결합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체결구(400)는 도 12에서와 패널(20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피스로 구성하여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나사결합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구(400)가 체결되는 패널(200)의 발포층(210)에는 내공(211)이 형성되지 않아야 체결구(400)와 패널(2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 중앙부와 프레임(10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가로앵글(300)에는 세로앵글(50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로앵글(500)에는 핀홀(510)과 다수의 구멍(5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앵글(500)은 프레임(100)과 가로앵글(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세로앵글(500)은 수직부와 수평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엘(L)보형으로 형성되고, 세로앵글(500)의 수평부에는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웨지구멍(110)에 웨지핀을 끼우기 위한 핀홀(510)이 형성되고, 세로앵글(300)의 수직부와 수평부에는 다수의 구멍(5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로앵글(500)은 주철 등의 철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앵글(500)은 프레임(10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패널(200)을 후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세로앵글(500)은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생기는 열과 압력에 의해 프레임(100)이 뒤틀리거나 패널(200)의 배가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세로앵글(500)에 의해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도 프레임(100)과 패널(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로앵글(500)의 구멍(520)은 세로앵글(5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경량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구멍(520)은 콘크리트 잉여수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시멘트가 굳어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앵글(300)들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구멍(520)이 형성된 세로앵글(500)이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로앵글(500)은 프레임(100)과 다수의 가로앵글(300)들 사이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즉 다단으로 설치되는 가로앵글(300)들의 중앙부에는 모두 세로앵글(500)이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프레임(100)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의 길이가 길 경우 체결구(400)를 많이 체결하면, 프레임(100)이 늘어나는 것을 체결구(400)가 잡아주고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서로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의 세로앵글(500)은 프레임(100)이 뒤틀리지 않도록 "ㄱ"형과 "ㄴ"형으로 배열되는 지그재그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13,14,15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앵글(300)의 양측에는 삼각바(60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삼각바(600)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프레임(100)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삼각바(600)는 도 4,15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 가로앵글(300)의 양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삼각바(600)는 도 13,14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설치된 가로앵글(300)들 중에서 중간 부분에 배치된 가로앵글(300)의 양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삼각바(600)는 다수의 가로앵글(300)들 중에서 전체를 선택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택일하여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삼각바(70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삼각바(700)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프레임(100)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토목건축용, 아파트용, 옹벽용, 슬라브용 등으로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각각 제작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사이즈와 용도에 따라 도 4,13,14,15에서와 같이 가로앵글(300), 세로앵글(500), 삼각바(600)(700)의 배열상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프레임(100)의 사이즈와 용도에 따라 도 16a 내지 도 16d에서와 같이 패널(200)의 발포층(210)에 형성되는 내공(211)의 배열상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앵글(300)은 프레임(100)에 다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지만, 상기 세로앵글(500)과 삼각바(600)(700)는 프레임(100)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공(211)이 형성된 폐합성수지 발포층(210)과, 다수의 신축조절용 홈(221) 또는 방열공(222)을 구비하는 신재합성수지 내면층(220)과, 신재합성수지 외면층(230)으로 패널(200)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널(200)의 휨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패널(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야적장에 보관시 여름철 외부의 온도에 의해 패널(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가로앵글(300) 및 세로앵글(500)에 콘크리트 잉여수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시멘트가 굳어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150)(330)(520)이 형성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패널(200)이 프레임(100)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전면 테두리가 콘크리트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거푸집 해체 시 패널(200)이 콘크리트 벽면에서 잘 떨어지고, 콘크리트 벽면에 프레임(100)의 테두리 자국이 남지 않으므로 견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패널(200)을 결합시키는 체결구(400)가 패널(20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패널(20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기 때문에, 패널(200)의 외면에는 체결구(400)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벽면에는 체결구(400)의 자국이 남지 않아 미장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패널(200)의 구조가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밀어내는 압력에 대응하도록 매우 강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생기는 열과 압력에 의해 프레임(100)이 뒤틀리거나 패널(200)의 배가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옹벽을 만드는 과정에서 바이브레이터를 많이 쳐도 프레임(100)과 패널(200)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프레임 110 : 웨지구멍
120 : 체결홈 130 : 지지턱
140 : 삼각바 141 : 체결공
150 : 구멍 200 : 패널
210 : 발포층 210a : 요철
211 : 내공 220 : 내면층
220a : 요철 221 : 홈
222 : 방열공 230 : 외면층
230a : 요철 300 : 가로앵글
310 : 핀홀 320 : 체결공
330 : 구멍 400 : 체결구
500 : 세로앵글 510 : 핀홀
520 : 구멍 600 : 삼각바
700 : 삼각바

Claims (10)

  1. 사각틀로 형성되어 다수의 웨지구멍(110)과 체결홈(120)을 구비하는 철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패널(200);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핀홀(310)을 구비하는 철제 가로앵글(300)로 이루어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으로서,
    상기 패널(200)은 다수의 내공(211)을 구비하는 폐합성수지 발포층(210)과, 상기 발포층(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내면층(220)과, 상기 발포층(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신재합성수지 외면층(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0)의 전면에 맞닿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턱(130)이 형성되어 지지턱(130)의 내측 모서리에는 삼각바(140)가 연결되고;
    상기 삼각바(140)와 가로앵글(300)에는 체결구(400)가 끼워지는 체결공(141)(32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1)(320)으로 끼워지는 체결구(400)는 패널(20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패널(20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100)과 가로앵글(300)에는 다수의 구멍(150)(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210)의 내공(211)과 내공(211) 사이에 위치하는 내면층(220)의 표면에는 신축조절용 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221)은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층(220)에는 내공(211)과 통하도록 다수의 방열공(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210)과 내,외면층(220)(230)에는 접촉면을 증대시키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물결모양의 요철(210a)(220a)(230a)이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유로폼 타입 거푸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 중앙부와 프레임(10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가로앵글(300)에는 세로앵글(50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로앵글(500)에는 핀홀(510)과 다수의 구멍(5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앵글(300)들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구멍(520)이 형성된 세로앵글(500)이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앵글(300)의 양측에는 삼각바(60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삼각바(70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0)는 나사선형 리벳 또는 피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1020170182667A 2017-12-28 2017-12-28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KR102076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667A KR102076778B1 (ko) 2017-12-28 2017-12-28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667A KR102076778B1 (ko) 2017-12-28 2017-12-28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95A true KR20190080295A (ko) 2019-07-08
KR102076778B1 KR102076778B1 (ko) 2020-05-18

Family

ID=6725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667A KR102076778B1 (ko) 2017-12-28 2017-12-28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69Y1 (ko) * 1999-11-12 2000-04-15 이영철 유로폼 패널과 합판 체결용 볼트장치
KR200223163Y1 (ko) * 2000-12-14 2001-05-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면따기 스트립
KR200268239Y1 (ko) *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KR200394606Y1 (ko) 2005-06-15 2005-09-0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강도 및 경량을 겸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플라스틱판
KR20120010354A (ko) * 2010-07-26 2012-02-03 박효선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KR20150116373A (ko) * 2014-04-07 2015-10-15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69Y1 (ko) * 1999-11-12 2000-04-15 이영철 유로폼 패널과 합판 체결용 볼트장치
KR200223163Y1 (ko) * 2000-12-14 2001-05-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면따기 스트립
KR200268239Y1 (ko) *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KR200394606Y1 (ko) 2005-06-15 2005-09-0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강도 및 경량을 겸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플라스틱판
KR20120010354A (ko) * 2010-07-26 2012-02-03 박효선 발포폴리스티렌 거푸집의 표면 마감방법
KR20150116373A (ko) * 2014-04-07 2015-10-15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78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6373A (ko)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JP4592688B2 (ja) 外断熱構造
KR100977804B1 (ko) 줄눈 가변형 갱폼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CN109914742A (zh) 一种装配式预制高强混凝土地面砖体系及其施工方法
WO2009064157A2 (en) Improvements to formwork panel and accessory
KR101953064B1 (ko)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190080295A (ko) 유로폼 및 시스템 타입 거푸집
JPH1136234A (ja) プレキャスト埋設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US8658072B2 (en) Support gasket for use in a concrete mold for vertically forming concrete panels
JP2006283433A (ja) 発泡性断熱体の型枠部材と改良されたセパレー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770958B1 (ko) 거푸집용 합성패널
JP4243242B2 (ja) 仕上げ下地材兼断熱打ち込み型枠パネル及び該パネルを用いた施工方法
JP7005474B2 (ja) 高欄外面の補修
KR200435772Y1 (ko) 우레탄 문양 거푸집을 가지는 갱폼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H10292624A (ja) 三次元曲線の凹凸模様と、コンリートの側圧を保持する保持装置を埋設した立体装飾コンクリート化粧型枠とその成形方法
KR101263765B1 (ko) 다층 경량 단열 판재의 제조방법
KR200347584Y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KR100609309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JP2681138B2 (ja) 永久型枠板ユニット
TWM525972U (zh) 一種frp模版結構
US9381671B2 (en) Form liner with backer panel
KR200444636Y1 (ko) 거푸집 폼 타이를 연결하는 구조
KR100668069B1 (ko) 건축용 문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