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082A - 헬멧의 뺨패드 - Google Patents

헬멧의 뺨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082A
KR20120010082A KR1020100106050A KR20100106050A KR20120010082A KR 20120010082 A KR20120010082 A KR 20120010082A KR 1020100106050 A KR1020100106050 A KR 1020100106050A KR 20100106050 A KR20100106050 A KR 20100106050A KR 20120010082 A KR20120010082 A KR 2012001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k
shape
space
helmet
cheek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176B1 (ko
Inventor
미치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Publication of KR2012001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의 양호한 지지기능 및 양호한 착용감을 구비함과 함께 헬멧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장착부재(2)와, 장착부재(2)의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부재(3)를 구비하고, 장착부재(2)는 모자체(B1)에 접해 장착되는 기초부재(20)와, 기초부재(20)의 내측 하방 부분에 있어 기초부재(20)와의 사이에 공간(S)을 확보해 형성된 형상 유지부재(5)를 구비하고, 형상 유지부재(5)는 쿠션부재(3)에 대응하는 면을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헬멧(B)의 착탈시에 가해지는 통상보다 큰 힘에 대해서는 두께 방향 외측으로 변위함으로써 공간(S)을 축소함과 함께 이 공간(S)을 축소시키는 변위로부터 통상시의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복원, 유지한다.

Description

헬멧의 뺨패드{CHEEK PAD OF HELMET}
본 발명은 자동차나 자동이륜차 등의 각종 이동 차량 및 모터보트 등의 선박, 나아가서는 자전거 등의 이동 기구를 탈 때 머리부 및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풀페이스형 헬멧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뺨부를 보호하는 뺨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의 뺨부 및 턱부의 지지기능이나 착용감은 쿠션부재의 탄성과 관계가 있다. 뺨부 및 턱부의 지지기능에 대해서는 쿠션부재의 탄성을 이용해서 뺨부 및 턱부에 대해 쿠션부재를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착용감에 대해서는 쿠션부재의 탄성을 이용해서 뺨부 및 턱부에 대한 쿠션부재의 접촉 압력을 이 쿠션부재의 두께 방향의 변형으로 내보내는 것에 의해, 뺨부 및 턱부에 과도한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 참조)
뺨에서부터 턱에 걸쳐 감싸는 것과 같은 이상적인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쿠션부재를 지지하는 기초부재가, 좌우 간격이 착용자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라 좁아진 상태에서 쿠션부재를 통해 거의 균일한 밀착력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것을 실현시키고자 하면, 머리부, 특히 귀가 걸려 헬멧의 착탈이 곤란하다(도 13 참조). 따라서, 좌우 기초부재간의 폭은 착용자의 머리부의 폭 이하로 좁히는 것은 구조상 곤란하며,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재(100)의 형상을 바꾸지 않고 쿠션부재(101)의 두께로 보완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쿠션부재(101)만으로 보완한 경우에는 옆에서부터 누를 수는 있어도, 뺨부에서부터 턱부에 걸쳐 감싸도록 지지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에서는 양호한 지지기능 및 양호한 착용감을 구비하고, 착탈이 용이한 헬멧(의 뺨패드)이 제공된다.
헬멧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모자체에 두께 방향으로 대면하는 장착부재와, 그 장착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부재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모자체의 내측 좌우 양측부에 배치되는 헬멧의 뺨패드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모자체에 접해 장착하는 기초부재와, 그 기초부재의 내측 하방 부분에 있어 그 기초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해 형성된 형상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을 착용자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헬멧의 착탈시에 가해지는 통상보다 큰 힘에 대해서는 두께 방향 외측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축소함과 함께 이 공간을 축소시키는 변위로부터 통상시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복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형상 유지부재가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을 착용자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헬멧의 착탈시에 가해지는 통상보다 큰 힘에 대해서는 두께 방향 외측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축소함과 함께 통상시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으므로, 착용시에 있어서의 헬멧의 양호한 지지기능 및 양호한 착용감을 구비하고, 또한 헬멧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뺨패드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헬멧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헬멧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뺨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뺨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뺨패드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뺨패드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뺨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뺨패드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뺨패드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뺨패드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뺨패드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뺨패드의 종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뺨패드의 종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헬멧용 뺨패드(이하 「뺨패드」라고 한다)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뺨패드(1)를 장착한 풀페이스형 헬멧(A)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풀페이스형 헬멧(이하, 헬멧이라고 한다)(B)은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풀페이스형으로 성형되며, 헬멧(B)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모자체(B1)의 내측에 발포 스티롤 또는 이것과 같은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해 모자체(B1)의 머리부측에 적합한 형상으로 성형된 충격 흡수 라이너(B2)와, 충격 흡수 라이너(B2)의 내면에 장착된 착장체(B3)와, 모자체(B1)의 전면 개구부(B10)의 하부에 있어서의 턱부에서 좌우의 뺨부 바로 직전에 이르는 부분에 적합한 형상으로 성형된 턱 가드부(B4)와, 모자체(B1)에 대해서 개구부(B10)를 개폐하도록 축 지지된 실드(B5)와, 모자체(1)의 좌우 뺨부(도시에서는 우측만을 나타낸다)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 뺨패드(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단을 모자체(B1)의 좌우 뺨부에 축 지지한 한 쌍의 턱끈(도시에서는 우측을 나타낸다)(B6)을 구비하고 있고, 이 턱끈(B6)의 타단을 뺨패드(1)에 형성된 턱끈 통과구멍(10)을 관통시켜 헬멧(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도 5는 뺨패드(1)의 구성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뺨패드(1)를 헬멧(B)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외장커버(11) 및 걸림부재(21A, 21B)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뺨패드(1)는 장착부재(2), 쿠션부재(3), 탄성부재(4)를 적층 형상으로 고착하고, 이들 장착부재(2), 쿠션부재(3), 탄성부재(4)를 외장커버(11)로 씌워서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재(2)는 충격 흡수 라이너(B2)와 동일한 소재를 이용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기초부재(20)와, 뺨패드(1)를 모자체(B1)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 2개소의 걸림부재(21A, 21B)와, 쿠션부재(3)의 착용자(C)측의 면을 이 착용자(C)의 뺨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조정함과 함께 이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기초부재(20)는 턱끈 통과구멍(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10A)이 개공되어 있다.
걸림부재(21A, 21B)는 기초부재(20)의 전후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재이며, 후방의 걸림부재(21B)가 충격 흡수 라이너(B2)와 모자체(B1)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전방의 걸림부재(21A)가 턱 가드부(B4)에 형성된 걸림부재(21A')와 끼워 맞춰짐으로써 뺨패드(1)를 모자체(B1)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쿠션부재(3)는 우레탄재, 스펀지재, 발포 폴리에틸렌재 등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에 대해 변형으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반발력으로 밀착하고, 또한 착용자(C)를 다치게 하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유연한 소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쿠션부재(3)에는 턱끈 통과구멍(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10B)이 개공되어 있고, 장착부재(2)와 쿠션부재(3)를 적층했을 때 관통공(10A, 10B)이 정면으로 마주 봄으로써 턱끈 통과구멍(10)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공간(S)은 형상 유지부재(5)를 두께 방향 외측(눌리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서 두께 방향 외측으로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S)은 쿠션부재(3)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수반하는 형상 유지부재(5)의 변위에 의해 두께 방향 외측으로 축소하도록 되어 있고, 이 공간(S)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의 축소에 의해 형상 유지부재(5)를 기초부재(20)에 근접하도록 변위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이 공간(S)은 헬멧(B)의 착탈시에 있어서 턱끈(B6)을 외측으로 당겨 헬멧(B)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통상의 힘을 웃돌며, 또한 이 헬멧(B)을 좌우 방향으로 확개하는 힘이 뺨패드(1)에 작용했을 때 쿠션부재(3)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이 한계에 달하면 형상 유지부재(5)의 변형이 시작됨과 함께 두께 방향 외측으로 축소하는 것에 의해 쿠션부재(3)를 기초부재(20)에 근접하도록 변위시킬 수 있다. 즉, 헬멧(B)의 착탈시에 있어서 헬멧(B)의 하방 개구부(B11)를 용이하게 확개시킬 수 있으므로 헬멧(B)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4)는 쿠션부재(3)보다 고탄성인 우레탄재, 스펀지재, 발포 폴리에틸렌재 등, 변형으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고, 또한 착용자(C)를 다치게 하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다.
이 탄성부재(4)는 기초부재(20)의 두께 정도의 두께로 함과 함께, 상하폭을 두께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하고, 또한 안내로(A)를 제외한 기초부재(20)의 하단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는 안내로(A)를 제외한 기초부재(20)의 하단 전역에 걸쳐서 탄성부재(4)의 하단이 기초부재(20)의 하단과 면이 일치하도록 공간(S)에 개재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이 공간(S)이 개재된 부위를 제외하고 기초부재(20)와 쿠션부재(3)를 접착함으로써 기초부재(20), 형상 유지부재(5), 쿠션부재(3), 탄성부재(4)를 일체화하고 있다.
형상 유지부재(5)는 착용자(C)를 다치게 하지 않을 정도의 연질, 또한 절곡 변형에 대해 탄성이 발생하는 합성 수지재 등의 탄성 소재가 도면상 역V자 형상(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면이 공간(S) 내의 기초부재(20)에 고착되며, 타단면이 공간(S) 내의 쿠션부재(3)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일단면은 공간(S) 내에 있어서의 기초부재(20) 상방측의 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초부재(20) 상방측의 면에 대해 고착하는 고착부(50)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타단면은 쿠션부재(3)의 공간(S)에 접한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부재(3)의 두께 방향 외측에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이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까지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유지해 지지하는 면을 가지는 지지부(51)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역V자 형상의 각부(5A)는 공간(S)의 축소에 따라 그 내각의 각도가 축소되지만, 이 축소로부터 복귀할 경우에 발생하는 복귀력(반발력)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즉, 이 복귀력으로 공간(S)의 축소에 의해 변위된 형상 유지부재(5)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이 형상 유지부재(5)가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하여, 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각부(5A)가 축소로부터 복귀하는 방향은, 형상 유지부재(5)가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각부(5A)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공간(S)이 축소되었을 때 이 공간(S)의 축소에 대해 공간(S)을 확개시키는 방향이 된다. 즉, 각부(5A)가 축소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복귀력은 이 각부(5A)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는 방향이며,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3)가 형상 유지부재(5)에 의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되어 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헬멧(B)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이 방지되어 헬멧(B)의 지지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것과 함께 헬멧(B)의 착용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재(5)는 쿠션부재(3)의 두께 방향 외측에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복귀하여 유지하는 것으로, 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면 되지만, 예시한 역V자 형상으로 형성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51)와 기초부재(20) 사이에 탄성부재(4)가 고착되어 있고, 이와 같이 탄성부재(4)를 공간(S) 내에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헬멧(B)의 착용시에 있어서 공간(S)의 축소에 의한 지지부(51)의 변위에 따라 탄성부재(4)가 탄성변형함과 함께, 이 탄성변형으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복귀력(반발력)을 지지부(51)에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탄성부재(4)의 복귀력이 지지부(51)를 쿠션부재(3) 측에 누르는 힘이 되고, 이 힘이 공간(S)의 축소에 따라 변위하는 형상 유지부재(5)의 복귀력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와 형상 유지부재(5)에 의해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쿠션부재(3)를 착용자의 뺨부 및 턱부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헬멧(B)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헬멧(B)의 지지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과 함께 헬멧(B)의 착용감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의 경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쿠션부재(3) 및 형상 유지부재(5) 등을 교환하지 않고 착용감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뺨패드(1)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위에 대한 설명은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뺨패드(1)는 공간(S) 내에 쿠션부재(3)의 탄성보다 저탄성이며, 형상 유지부재(5)의 변형을 저해시키지 않는 충전물(7)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충전물(7)은 공간(S)에, 또한 기초부재(20)와 쿠션부재(3) 사이에, 공간(S)에 의한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충전되어 있다. 그러나 요철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충전물(7)을 충전한 뺨패드(1)에 의하면 기초부재(20)와 쿠션부재(3)에 외장커버(11)를 씌웠을 때 이 외장커버(11)에 요철에 의한 주름 등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어, 디자인적으로 양호한 뺨패드(1)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충전물(7)이 형상 유지부재(5)의 변형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S)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축소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쿠션부재(3)를 두께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쿠션부재(3)의 탄성보다 저탄성으로 하는 충전물(7)의 소재로서, 예를 들면 쿠션부재(3)보다 저밀도인 우레탄재, 스펀지재, 발포 폴리에틸렌재, 면재 등을 들 수 있다. 이 충전물(7)은 형상 유지부재(5)의 변형을 저해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쿠션부재(3)의 탄성보다 저탄성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도 8은 뺨패드(1)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뺨패드(1)는 형상 유지부재(5)의 형태를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부재(5)와 상이한 형태로 한 것이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위에 대한 설명은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생략한다. 도 8은 외장커버(11) 및 걸림부재(21A, 21B)를 생략하고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부재(5)는 제1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부재(5)에 비해 각부(5A)가 둔각이고, 고착부(50)가 제1 실시형태의 지지부(51)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지지부(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형태이다. 고착부(50)는 공간(S) 상방의 기초부재(20)에 고착되고, 이 기초부재(20)와 쿠션부재(3)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착부(50)와 지지부(51)는 공간(S)의 상단 부분에 있어서 지지부(51)가 쿠션부재(3)의 두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해 쿠션부재(3)의 변형을 억제함과 함께, 이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까지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복원,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는 각도가 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착부(50)는 지지부(51)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 (도 8에 있어서 3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착부(50)는 기초부재(20)에 대해 고착하는 경우, 서로의 간격을 좁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51)의 형상을 쿠션부재(3)의 두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쿠션부재(3)의 변형을 억제함과 함께, 이 쿠션부재(3)를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까지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복원,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는 입체적인 형상 및 각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유지부재(5)를 구비한 뺨패드(1)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의 뺨패드(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재(20)에 대한 장착 형태를 고착부(50)가 기초부재(20)와 쿠션부재(3)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장착 형태로 하고 있으므로, 기초부재(20)에 대한 형상 유지부재(5)의 장착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뺨패드(1)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017514호에 기재된 안내로(A)가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로(A)가 구비되지 않은 뺨패드(1)도 포함한다(제4 실시형태). 또한,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위에 대한 설명은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생략한다. 도 9에서는 외장커버(11) 및 걸림부재(21A, 21B)를 생략하고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뺨패드(1)는 제1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부재(5)에 있어서의 안내로(A)에 대응하는 부분이 없는 형상 유지부재(5)를 구비하고 있으며, 안내로(A)에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 쿠션부재(3)와 기초부재(20)를 접착하고 있어, 이 접착 부분에서 후방으로 공간(S)이 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뺨패드(1)에 의해서도 쿠션부재(3)가 형상 유지부재(5)에 의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복원, 유지되어, 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헬멧(B)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이 방지되어 헬멧(B)의 지지기능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헬멧(B)의 착용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뺨패드(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재(4)(도시에 있어서는 2개)를 구비한 형태로 해도 된다(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뺨패드(1)는 길이가 짧은 2개의 탄성부재(4, 4)를 서로 간격을 두고 개재시킨 형태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위에 대한 설명은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재(4)를 2개로 한 형태로서 예시하고 있지만, 이 탄성부재(4)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10에서는 외장커버(11) 및 걸림부재(21A, 21B)를 생략하고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뺨패드(1)에 의해서도 탄성부재(4, 4)의 탄성에 의해 공간(S)의 축소에 저항하는 탄성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과 동시에 공간(S)을 원래 상태로 복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뺨패드(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4)가 개재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해도 된다(제6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뺨패드(1)는 형상 유지부재(5)에 의해 쿠션부재(3)가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복원, 유지되어 이 착용자(C)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헬멧(B)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이 방지되어 헬멧(B)의 지지기능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헬멧(B)의 착용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외장커버(11) 및 걸림부재(21A, 21B)를 생략하고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뺨패드(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 형상으로 하는 형태의 기초부재(20)를 구비한 형태로 해도 된다(제7 실시형태). 이러한 기초부재(20)를 구비한 뺨패드(1)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위에 대한 설명은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풀페이스형 헬멧용 형상으로 구성된 뺨패드(1)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헬멧은 풀페이스가 아닌 헬멧을 포함하고 있고, 즉 뺨패드(1)를 제트형 헬멧용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오픈 페이스형 헬멧용 뺨패드(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상 유지부재는 탄성체이며, 상기 기초부재와 상기 쿠션부재 사이의 상기 공간을 상기 형상 유지부재의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 유지하여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을 착용자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신축성이 적은 판재이며,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을 착용자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신축성이 적은 판재이며, 상기 기초부재에 고착되는 복수의 고착부를 가지고, 그 고착부를 상기 기초부재에 고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이 착용자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부재와 상기 형상 유지부재 사이에 상기 공간의 축소에 저항하는 탄성 강도를 조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공간을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 내에 상기 형상 유지부재의 변형을 저해시키지 않는 충전물을 충전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기초부재는, 예를 들면 완충성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각 항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구성에 의한 실시가 가능하다.
B: 헬멧 B1: 모자체
C: 착용자 S: 공간
1: 뺨패드 2: 장착부재
3: 쿠션부재 4: 탄성부재
5: 형상 유지부재 7: 충전물
20: 기초부재

Claims (8)

  1. 헬멧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모자체에 두께 방향으로 대면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부재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모자체의 내측 좌우 양측부에 배치되는 헬멧의 뺨패드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모자체에 접해 장착하는 기초부재와, 상기 기초부재의 내측 하방 부분에 있어 상기 기초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해 형성된 형상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을 착용자의 뺨부에서부터 턱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헬멧의 착탈시에 가해지는 통상보다 큰 힘에 대해서는 두께 방향 외측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축소함과 함께 이 공간을 축소시키는 변위로부터 통상시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복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탄성체이며, 상기 기초부재와 상기 쿠션부재 사이의 상기 공간을 상기 형상 유지부재의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신축성이 적은 판재이며,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이 착용자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신축성이 적은 판재이며, 상기 기초부재에 고착되는 복수의 고착부를 가지고, 상기 고착부를 상기 기초부재에 고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는 면이 착용자의 뺨에서부터 턱을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와 상기 형상 유지부재 사이에 상기 공간의 축소에 저항하는 탄성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공간을 원래 상태로 복원,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에 상기 형상 유지부재의 변형을 저해시키지 않는 충전물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가 완충성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뺨패드.
  8. 제 1 항에 기재된 뺨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1020100106050A 2010-07-23 2010-10-28 헬멧의 뺨패드 KR101547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6347A JP5214672B2 (ja) 2010-07-23 2010-07-23 ヘルメットの頬パッド
JPJP-P-2010-166347 2010-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82A true KR20120010082A (ko) 2012-02-02
KR101547176B1 KR101547176B1 (ko) 2015-08-25

Family

ID=4303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050A KR101547176B1 (ko) 2010-07-23 2010-10-28 헬멧의 뺨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4264B2 (ko)
EP (1) EP2409589B1 (ko)
JP (1) JP5214672B2 (ko)
KR (1) KR101547176B1 (ko)
CN (1) CN102342615B (ko)
TW (1) TWI4813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4059B2 (en) 2008-07-16 2016-01-12 Outlast Technologies, LLC Articles containing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404341B2 (en) 2006-01-26 2013-03-26 Outlast Technologies, LLC Microcapsules and other containment structures for articles incorporating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US8221910B2 (en) 2008-07-16 2012-07-17 Outlast Technologies, LLC Thermal regulating building materials and other construction components containing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US8673448B2 (en) 2011-03-04 2014-03-18 Outlast Technologies Llc Articles containing precisely branched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US10039335B2 (en) * 2012-11-29 2018-08-07 Bell Sports, Inc. Multi-component helmet construction
CN104413991B (zh) * 2013-09-03 2017-09-05 李焕玲 安全头盔的强化结构及其制造方法
US10431858B2 (en) 2015-02-04 2019-10-01 Global Web Horizons, Llc Systems, structures and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device thermal management
US9943129B2 (en) * 2015-04-06 2018-04-17 Cascade Maverik Lacrosse, Llc Protective headgear
JP6800027B2 (ja) * 2017-01-20 2020-12-16 株式会社Shoei ネックカバー及びヘルメット
JP1609255S (ko) 2017-04-03 2018-07-17
CN109752849B (zh) * 2017-11-03 2021-05-1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装置
US20230041919A1 (en) 2019-12-16 2023-02-09 Ogk Kabuto Co., Ltd.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3970A (en) * 1973-03-19 1974-10-29 M Marietta Protective headgear
JPH026606A (ja) * 1988-06-14 1990-01-10 Michio Arai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JPH0635684B2 (ja) * 1990-10-03 1994-05-11 昭栄化工株式会社 乗車用ヘルメット
JPH0621369B2 (ja) * 1991-02-04 1994-03-2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開閉制御装置
JPH08199417A (ja) * 1995-01-10 1996-08-06 Yamah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のエアフィッティング構造
JP2904416B1 (ja) * 1998-06-23 1999-06-14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JP2948582B1 (ja) 1998-07-31 1999-09-13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JP4592871B2 (ja) * 2000-05-09 2010-1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JP3506372B2 (ja) * 2000-10-31 2004-03-15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支持構造
US6370699B1 (en) * 2001-02-08 2002-04-16 Southern Impact Research Center, Llc Jaw pad for helmet
KR200290080Y1 (ko) 2002-06-11 2002-09-26 이병남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DE202004005188U1 (de) 2004-04-01 2004-06-17 Long Huei Helmet Co., Yung-Kang Wangenschutz für Sicherheitshelm
US7207071B2 (en) * 2004-06-18 2007-04-24 Fox Racing, Inc. Ventilated helmet system
CN201189644Y (zh) * 2008-02-20 2009-02-04 郝柏超 镊子
JP5232505B2 (ja) * 2008-03-06 2013-07-10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ネックパッド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14672B2 (ja) 2013-06-19
TWI481353B (zh) 2015-04-21
EP2409589A2 (en) 2012-01-25
CN102342615B (zh) 2015-11-25
EP2409589A3 (en) 2012-05-09
JP2012026056A (ja) 2012-02-09
CN102342615A (zh) 2012-02-08
TW201204279A (en) 2012-02-01
US8584264B2 (en) 2013-11-19
KR101547176B1 (ko) 2015-08-25
EP2409589B1 (en) 2014-04-16
US20120017357A1 (en)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0082A (ko) 헬멧의 뺨패드
JP4939586B2 (ja) オープンフェースヘルメット
KR940004844Y1 (ko) 전면형(全面型) 헬멧
EP2682014B1 (en) Microphone mounting device and open-face helmet
JP2948582B1 (ja) ヘルメット
KR100323188B1 (ko) 풀페이스형 헬멧
US20110004980A1 (en) Helmet
JP2010509511A (ja) 防護ヘルメット
TWI402042B (zh) Neck pad installation
KR102099555B1 (ko) 접이식 헬멧
EP3571946B1 (en) Neck cover and helmet
KR20100009554U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JP3086938U (ja) 安全ヘルメットの一体複合式緩衝構造
JP2925136B1 (ja) ジェット型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