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080Y1 -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 Google Patents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080Y1
KR200290080Y1 KR2020020017711U KR20020017711U KR200290080Y1 KR 200290080 Y1 KR200290080 Y1 KR 200290080Y1 KR 2020020017711 U KR2020020017711 U KR 2020020017711U KR 20020017711 U KR20020017711 U KR 20020017711U KR 200290080 Y1 KR200290080 Y1 KR 200290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user
helmet
support part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남
Original Assignee
이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남 filed Critical 이병남
Priority to KR2020020017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080Y1/ko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에 관한 것으로, 헬멧의 귀부위 내측에 고정되는 쿠션부재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어 하측 전방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밑 턱뼈부위와 목부위를 감싸는 귀밑지지부와, 귀밑지지부에서 상측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볼부위를 감싸는 볼지지부와, 귀밑지지부와 볼지지부 사이 내측에서 하측으로 요부로 형성되어 사용자 귀의 하측에 밀착 위치되는 귀지지요부 및 귀지지요부의 몸체 내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요부로 형성시키되 귀지지요부에서 멀어질수록 얇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바퀴가 편하게 안착되는 귓바퀴안착요부를 구비하여 헬멧의 사용시 사용자의 귀와 헬멧 내부가 접촉되는 느낌이 좋고, 착탈시 또는 사용시의 착용감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ear region cushion member for helmet}
본 고안은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부위와 직물지를 통해 접촉되는 쿠션부재의 내측면에 경사면인 귓바퀴안착요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헬멧의 사용시 사용자의 귀와 헬멧 내부가 접촉되는 느낌이 좋고, 착탈시 또는 사용시의 착용감이 뛰어난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helmet)은 방어용으로 만들어진 모자로, 11세기경 기사(騎士)가 금속제의 판과 가죽이나 천으로 머리·입·귀·코를 덮는 방호구(防護具)를 사용한 것이 기원이다.
보통, 건축작업·갱내작업이나 오토바이를 탈 때의 사고방지를 위하여, 또는 열대지방에서 방서용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것도 보급되어 소방수나 경관·스포츠 선수 등이 사용한다.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적인 사고 및 재해로부터 신체 특히, 머리부위를 보호하는 안전모를 사용하고 있는 바, 예를 들면 모터 싸이클을 운전할 때 운행중 돌발적인 추돌 및 전복사고시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50cc 이상의 모터 싸이클의 경우에는 헬멧착용을 의무화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헬멧은 그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쿠션부재가 장착되고 그 최외측면에는 직물지가 씌워져 구성된 것으로, 쿠션부재로는 스폰지와 같은 쿠션부재를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 헬멧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귀부위를 보호하는쿠션부재는 여러 층의 쿠션부재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바, 그 접착되는 쿠션부위의 모서리 선단부가 거의 직각면의 단층을 이루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헬멧을 쓰거나 벗을 때 귀부위의 쿠션부재가 직물지를 통해 피부에 닿는 느낌이 않좋으며, 심하게는 이질감으로 인해 착용시 불편함을 호소하는 등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귀부위와 직물지를 통해 접촉되는 쿠션부재의 내측면에 완만한 경사면인 귓바퀴안착요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헬멧의 사용시 사용자의 귀와 헬멧 내부가 접촉되는 느낌이 좋고, 착탈시 또는 사용시의 착용감이 뛰어난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헬멧의 귀부위 내측에 고정되는 쿠션부재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어
하측 전방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밑 턱뼈부위와 목부위를 감싸는 귀밑지지부와;
귀밑지지부에서 상측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볼부위를 감싸는 볼지지부와;
귀밑지지부와 볼지지부 사이 내측에서 하측으로 요부로 형성되어 사용자 귀의 하측에 밀착 위치되는 귀지지요부 및
귀지지요부의 몸체 내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요부로 형성시키되 귀지지요부에서 멀어질수록 얇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바퀴가 편하게 안착되는 귓바퀴안착요부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쿠션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쿠션부재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쿠션부재의 헬멧내 안착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쿠션부재 10 : 몸체
12 : 귓바퀴안착요부 14 : 귀지지요부
16 : 볼지지부 18 : 귀밑지지부
20 : 귀 22 : 귓바퀴
30 : 헬멧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쿠션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쿠션부재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쿠션부재의 헬멧내 안착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1)는 헬멧(30)의 좌우측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다공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대략 " L "자 형상의 몸체(10)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턱뼈부위와 목부위를 감싸는 귀밑지지부(18)와, 볼부위를 감싸는 볼지지부(16)와, 귀(20)주변부를 감싸는 귀지지요부(14)와, 귓바퀴(22)를 감싸는 귓바퀴안착요부(12)로 구성된다.
몸체(10)중 귀밑지지부(18)는 대략 사각형상의 바형상으로 헬멧(30) 착용시 사용자 귀(20)의 후방측에서 전방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20)밑에 위치한 턱뼈부위와 목부위를 감싸서 외부충격시, 사용자의 측면 턱뼈부위와 목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또는 감쇠시켜 사용자에게 직접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 시켜 주는 것이다.
볼지지부(16)는 귀밑지지부(18)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헬멧(30) 착용시 사용자의 볼부위를 감싸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외부충격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귀지지요부(14)는 귀밑지지부(18)와 볼지지부(16) 사이의 내측에서 하측으로 요부로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 귀(20)의 하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헬멧(30) 착용시 사용자 얼굴 측면에서 돌출된 사용자의 귀(20)를 귀밑지지부(18)와 볼지지부(16) 사이에 위치시켜 귀(2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귀밑지지부(18)와 볼지지부(16)로 분산 흡수시켜 귀(20)를 보호하는 것이다.
귓바퀴안착요부(12)는 몸체(10)의 귀지지요부(14)의 내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요부로 형성시킨 것으로, 귀지지요부(14)에서 멀어질수록 요부를 얇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귓바퀴(22)가 편하게 안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런 본 고안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1)는 헬멧(30)의 좌우 내측에 고정되고 그 내면은 얇은 직물지(도시않음)에 의해 감싸여 사용자의 신체는 직물지를 사이에 두고 본 고안의 쿠션부재(1)와 접촉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헬멧(30)의 좌, 우측면에 본 고안의 귀부위 쿠션부재(1)를 장착시키고, 사용자가 헬멧(30)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서 돌출된 양쪽 귀(20)와 귓바퀴(22)는 헬멧(30) 내측에서 쿠션부재(1)의 몸체(10)중 귀지지요부(14)와 귓바퀴안착요부(12)에 각각 위치되어 편안하게 안착된다.
이때, 사용자의 귀(20)와 귓바퀴(22)는 귓바퀴안착요부(12)의 경사면으로 인해 부드럽게 헬멧(30) 내측면에 안착된다.
즉, 쿠션부재(1) 몸체(10)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요부로 형성된 귀지지요부(14)와 귓바퀴안착요부(12)는 사용자의 귀(20)와 귓바퀴(22)가 자연스럽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며 귀(20)와 귓바퀴(22)가 편안히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쿠션부재(1) 몸체(10)의 귀밑지지부(18)는 사용자 귀(20)밑의 턱뼈부위와 목부위를 감싸고 볼지지부(16)는 볼부위를 감싸서, 만약 사고로 인한 외부의 충격시 그 충격량을 흡수 또는 분산시켜 인체의 얼굴 중 특히 귀(20)부위와 측면 턱뼈부위 및 목부위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쿠션부재(1)의 몸체(10)는 특히 사용자의 귀(20)부위를 헬멧(30)내에서 편안한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귀부위와 직물지를 통해 접촉되는 쿠션부재의 내측면에 경사면인 귓바퀴안착요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헬멧의 사용시 사용자의 귀와 헬멧 내부가 접촉되는 느낌이 좋고, 착탈시 또는 사용시의 착용감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헬멧의 귀부위 내측에 고정되는 쿠션부재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의 몸체(10)로 형성되어
    하측 전방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20)밑 턱뼈부위와 목부위를 감싸는 귀밑지지부(18)와;
    귀밑지지부(18)에서 상측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볼부위를 감싸는 볼지지부(16)와;
    귀밑지지부(18)와 볼지지부(16) 사이 내측에서 하측으로 요부로 형성되어 사용자 귀(20)의 하측에 밀착 위치되는 귀지지요부(14) 및
    귀지지요부(14)의 몸체(10) 내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요부로 형성시키되 귀지지요부(14)에서 멀어질수록 얇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바퀴(22)가 편하게 안착되는 귓바퀴안착요부(1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KR2020020017711U 2002-06-11 2002-06-11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KR200290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11U KR200290080Y1 (ko) 2002-06-11 2002-06-11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11U KR200290080Y1 (ko) 2002-06-11 2002-06-11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080Y1 true KR200290080Y1 (ko) 2002-09-26

Family

ID=7312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711U KR200290080Y1 (ko) 2002-06-11 2002-06-11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0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176B1 (ko) 2010-07-23 2015-08-25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의 뺨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176B1 (ko) 2010-07-23 2015-08-25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의 뺨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9729B2 (ja) 安全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頭部保護体
JP4420669B2 (ja) 保護ヘッドギア
JP2904416B1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JP3004264B1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EP1369149A1 (en) Protection device
US20020189004A1 (en) Headguard to reduce injury severity to the wearer
KR200290080Y1 (ko) 헬멧의 귀부위 쿠션부재
GB234284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afety caps
EP1329168A1 (en) Windshield reducing whistling sounds of wind
JP3230601U (ja) フェイスシールド保持具
CN214407176U (zh) 一种减震透气的军警防弹头盔
CN212630038U (zh) 一种防撞安全头盔
CA2285487A1 (en) Flexbile helmet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JP3213691U (ja) ヘルメット
JP4700458B2 (ja) 頭部保護具
CN206880171U (zh) 一种可调式头盔
JP3114046U (ja) 車椅子用安全具
CN217170025U (zh) 一种泡棉转动缓冲结构及其安全帽
CN215124779U (zh) 护头盔内衬
JP3231126U (ja) 被り心地が調整可能なヘルメットインナーライニング
KR102640577B1 (ko)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접이식 휴대형 헬멧
KR101248100B1 (ko) 머릿결 보호부재가 장착된 헬멧
CN218852953U (zh) 一种颅骨缺失保护帽
CN212165040U (zh) 一种人工学头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