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989U -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 Google Patents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989U
KR20120008989U KR2020110005598U KR20110005598U KR20120008989U KR 20120008989 U KR20120008989 U KR 20120008989U KR 2020110005598 U KR2020110005598 U KR 2020110005598U KR 20110005598 U KR20110005598 U KR 20110005598U KR 20120008989 U KR20120008989 U KR 201200089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elastic
tissu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303Y1 (ko
Inventor
윤수근
Original Assignee
윤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근 filed Critical 윤수근
Priority to KR2020110005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0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2Producing patterns by locally destroying or modifying the fibres of a web by chemical actions, e.g. making transluc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용 번-아웃(BURN-OUT) 원단에 관한 것으로,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로 된 1번사 위에 비탄성사(나일론)를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을 특수하게 바닥원단을 제직한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를 제직하여 표면을 고르게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파일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도록 한 더블(이중)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완성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원단이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의 1번사 위에 제직되는 비탄성사(나일론)인 2번사가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을 특수하게 제직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올이 착용자의 잘못된 부주의로 끊어지더라도 중복하여 감싸서 짜여진 다른 올이 그대로 유지되어 연속적으로 찢어짐을 방지하고, 원단 자체도 허물거리지 않는 것은 물론, 원단의 균형을 잘 유지하며, 탄성사일 경우 신축성과 탄력성을 그대로 유지 하면서도 무늬모양을 이루는 잔여 폴리에스터사가 기본조직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지 않는등 의복을 만들어 착용 하였을 때 사용자 에게 편안함과 편리함을 갖도록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DOUBLE STITCH CUT PILE BURN-OUT WARP KNITTED FABRIC}
본 고안은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로 된 1번사 위에 비탄성사(나일론)로 한 운동(하나의 루프 형성)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을 이중으로 특수하게 제직한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 제직하여 표면을 고르게 원사를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파일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도록 한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완성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원단이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로된 1번사 위에 제직되는 비탄성사(나일론)가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올이 착용자의 잘못 부주의로 끊어지더라도 중복하여 감싸서 짜여진 다른 올이 그대로 유지되어 연속적으로 찢어짐을 방지하고, 원단 자체도 허물거리지 않는 것은 물론, 원단의 균형을 잘 유지하며, 탄성사 원단일 경우 신축성과 탄력성을 그대로 유지 하면서도 무늬모양을 이루는 잔여 폴리에스터사가 기본조직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지 않는 등 의복을 만들어 착용 하였을 때 사용자 에게 편안함과 편리함을 갖도록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번-아웃(BURN-OUT)원단은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를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상기 1번사위에 비탄성사(나일론)를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2에서 1-0 또는 2-3에서 1-0으로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를 파일형성용 3번사로 조직루프 6-7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3번사를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폴리에스터사)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여,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완성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지금까지의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은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원단의 1번사위에 비탄성사(나일론)를 한 운동에 한 코를 감싸도록 제직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올이 착용자의 잘못 부주의로 끊어지면 반복적으로 끊어져 찢어지거나 파손되며, 원단 자체도 허물거리며, 폴리에스터로 된 3번사가 녹아서 제거된 부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며, 상기 1번사가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일 경우 무늬모양을 이루는 잔여 폴리에스터사가 기본조직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는 등 의복을 만들어 착용 하였을 때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제직함에 있어서,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로 된 1번사위에 비탄성사(나일론)의 2번사를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한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 된 3번사를 제직하여 표면을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폴리에스터)사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완성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올이 잘못 부주의로 끊어지더라도 중복하여 감싸서 짜여진 다른 올이 그대로 유지되어 연속적으로 찢어지지 않으며, 원단 자체도 허물거리지 않는 것은 물론,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 된 3번사가 녹아서 제거된 부위가 균형을 이루며, 무늬모양을 이루는 잔여 비탄성사(폴리에스터)사가 기본조직으로 부터 빠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의복을 만들었을 때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를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신축성을 갖는 고신축 고탄력의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샤링컷팅 한 후에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상기 비탄성사인 나일론 1번사위에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제직하여 표면을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되, 상기 폴리에스터로 된 번-아웃(BURN-OUT) 무늬형성용 비탄성사의 제직 간격을 선택적으로 증, 감하여 사용함으로서 파일의 길이를 조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탄성사 또는 비탄성사로 된 1번사위에 비탄성사(나일론)로된 2번사를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한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인 3번사를 제직하여 표면을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완성함으로서,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올이 잘못 부주의로 끊어지더라도 중복하여 감싸서 짜여진 다른 올이 그대로 유지되어 연속적으로 찢어지지 않으며, 원단 자체도 허물거리지 않는 것은 물론,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 된 3번사가 녹아서 제거된 부위가 균형을 이루며, 상기 1번사를 탄성사로 하여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구성하였을 때, 무늬모양을 이루는 잔여 폴리에스터사가 기본조직으로 부터 빠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의복을 만들었을 때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원단의 조직을 조밀하게 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하며, 고신축성 고탄력의 번-아웃(BURN-OUT) 원단을 제공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직된 원단으로 의복을 만들어 착용시에는 착용감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활동이 자유롭고 옷맵시 또한 구겨짐이 없이 원형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 등 실사용에 있어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획기적인 고안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탄성사로 된 1번사의 제직도
도2는 본 고안의 기본조직을 구성하는 비탄성사(나일론)로 된 2번사의 제직도.
도3은 본 고안의 1번사와 2번사의 기본조직 제직도.
도4는 본 고안의 번-아웃 무늬를 형성하는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된 3번사의 제직도
도5는 본 고안의 전체 제직 상태도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은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를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비탄성사(나일론)를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신축성을 갖는 고신축 고탄력의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를 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비탄성사(폴리에스터)를 샤링컷팅 한 후에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 바 (L1) 미 들 바 (L2) 프런 트 바 (L3)



1-0 / 1-2


1-3 / 2-0
2-4 / 2-0
0-2 / 2-0
2-3 / 1-0
3-4 / 1-0
4-5 / 1-0
5-6 / 1-0
6-7 / 1-0
7-8 / 1-0
8-9 / 1-0
9-10 / 1-0
또한,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상기 비탄성사인 나일론 1번사위에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백 바 (L1) 미 들 바 (L2) 프런 트 바 (L3)



1-0 / 1-2


1-3 / 2-0
2-4 / 2-0
0-2 / 2-0
2-3 / 1-0
3-4 / 1-0
4-5 / 1-0
5-6 / 1-0
6-7 / 1-0
7-8 / 1-0
8-9 / 1-0
9-10 / 1-0
또한,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제직하여 표면을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되, 상기 폴리에스터로 된 번-아웃(BURN-OUT) 무늬형성용 비탄성사의 제직 간격을 선택적으로 증, 감하여 사용함으로서 파일의 길이를 조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 바 (L1) 프런 트 바 (L3)


1-3 / 2-0
2-4 / 2-0
0-2 / 2-0
2-3 / 1-0
3-4 / 1-0
4-5 / 1-0
5-6 / 1-0
6-7 / 1-0
7-8 / 1-0
8-9 / 1-0
9-10 / 1-0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나 비탄성사를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상기 1번사위에 비탄성사(나일론)로 된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 2-0 , 2-4/2-0 , 0-2/2-0의 조직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을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 7-8/1-0의 조직을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함으로써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을 얻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조직용 1번사를 탄성사로 하면 신축성을 갖는 번 아웃 원단을 얻게 되고, 상기 1번사를 비탄성사로 하거나 1번사를 제외시키고 제직하였을 경우에는 신축성이 없는 번 아웃 원단을 얻게 되며, 비탄성사(나일론)인 2번사의 굵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원단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된 번 아웃(BURN-OUT)무늬형성용 3번사의 제직 간격을 선택적으로 증, 감하여 제직함으로서 무늬를 형성하는 파일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나 비탄성사를 1번사로 하여 첨부도면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루프 1-0에서 1-2로 제직하고, 이와 같이 제직된 1번사위에 비탄성사(나일론)로 된 2번사로 하여 첨부도면의 도2와 같이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코를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면 도3과 같은 기본조직이 완성된다. 여기에 다시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 된 번-아웃(BURN-OUT)무늬형성용 3번사로 도4에서와 같이 조직루프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하여 도5와 같은 조직을 얻은 다음 상기 번-아웃(BURN-OUT)무늬형성용 비탄성사(폴리에스터) 3번사의 표면원사를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함으로서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을 얻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조직용 1번사를 탄성사로 하면, 신축성을 갖는 번 아웃원단을 얻게 되고 상기 1번사를 비탄성사로 하였을 경우에는 신축성이 없는 번 아웃원단을 얻게 되며, 비탄성사(나일론)인 2번사의 굵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서 원단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비탄성사(폴리에스터)로된 번 아웃(BURN-OUT) 무늬형성용 3번사의 제직 간격을 선택적으로 증, 감하여 제직함으로서 무늬를 형성하는 파일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탄성사 20 : 나일론사
30 : 무늬형성사

Claims (3)

  1.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탄성사를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비탄성사(나일론)를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신축성을 갖는 고신축 고탄력의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폴리에스터)를 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비탄성사(폴리에스터)를 샤링컷팅 한 후에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2.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0에서 1-2로 기본제직하고, 상기 비탄성사인 나일론 1번사위에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2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7-8에서 1-0으로 제직하여, 상기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3. 의류용 번 아웃 원단(BURN-OUT FABRIC)을 구성함에 있어서,
    비탄성사인 나일론을 1번사로 하여 조직루프 1-3에서 2-0으로 한 운동에 두 바늘을 감싸도록 조직이 특수하게 제직하여 기본조직을 얻은 다음, 그 위에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를 제직하여 표면을 샤링컷팅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한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터의 일부를 특수한 가공처리로 녹여서 다양한 무늬가 형성 되도록 하되, 상기 폴리에스터로 된 번-아웃(BURN-OUT) 무늬형성용 비탄성사의 제직 간격을 선택적으로 증, 감하여 사용함으로서 파일의 길이를 조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KR2020110005598U 2011-06-21 2011-06-21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KR200469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598U KR200469303Y1 (ko) 2011-06-21 2011-06-21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598U KR200469303Y1 (ko) 2011-06-21 2011-06-21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89U true KR20120008989U (ko) 2012-12-31
KR200469303Y1 KR200469303Y1 (ko) 2013-10-04

Family

ID=5073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598U KR200469303Y1 (ko) 2011-06-21 2011-06-21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03B1 (ko) * 2013-06-24 2015-06-11 주식회사 일송텍스 무늬 문양을 갖는 직물 및 그 직물의 제조 방법
KR101675587B1 (ko) * 2015-10-08 2016-11-22 주식회사 포모스트 번아웃 가공용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가공방법
CN111996656A (zh) * 2020-08-26 2020-11-27 江苏优室家纺织品有限公司 一种菠萝绒面料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14Y1 (ko) * 1998-04-20 2000-09-01 윤수근 더블 니들 스티치 번 아웃 원단
KR100269798B1 (ko) 1998-05-15 2000-10-16 윤수근 번아웃으로 입체무늬를 형성한 수영복 원단
US20070243783A1 (en) 2004-09-03 2007-10-1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Conjugated Stretch Yarn, Gloves and Stretch Fabric with Openwork Pattern
KR100661697B1 (ko) 2005-12-30 2006-12-26 주식회사 효성 신축성 날염 번 아웃 편ㆍ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신축성 편ㆍ직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03B1 (ko) * 2013-06-24 2015-06-11 주식회사 일송텍스 무늬 문양을 갖는 직물 및 그 직물의 제조 방법
KR101675587B1 (ko) * 2015-10-08 2016-11-22 주식회사 포모스트 번아웃 가공용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가공방법
CN111996656A (zh) * 2020-08-26 2020-11-27 江苏优室家纺织品有限公司 一种菠萝绒面料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303Y1 (ko) 201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9031B2 (ja) 衣類用の編地
JP5443412B2 (ja) 伸縮性たて編地
US10480109B2 (en)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JP4457141B2 (ja) 部分低伸長伸縮性経編地
US20050115282A1 (en) Seamless knit garments
KR200469303Y1 (ko) 더블 스티치 커트파일 번 아웃 경편직물
CN112538682A (zh) 具有可移除纱线的立体织物
EP3165647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fine knitwear with air permeable holes
JP2012180620A (ja) 筒状部分を有する分割可能なダブルラッシェル編地
JP5974467B2 (ja) 保温性衣類の製造方法
JP5050174B2 (ja) 異なる編組織からなる経編地
JP3200361U (ja) 伸縮性経編地
JP2019508604A (ja) 子供用肌着
US3154933A (en) Sock having a bulky knit cuff
JP6757951B2 (ja) 伸縮性経編地及びそれを用いた衣料
JP6037686B2 (ja) 筒状経編物からなる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Chang et al. Warp knitting for preparation of high-performance apparels
JP3142955U (ja) 部分伸縮性変化経編レース地
AU2010100637A4 (en) Knitted garment
JP4181623B1 (ja) 浮柄経編レース地
JP2010248661A (ja) ほつれ防止経編レース地
JP5984766B2 (ja) ラッシェル経編地
JP2015055014A (ja) ダブルラッシェル経編地
JP2008248456A (ja) 袋状経編地と衣料及び袋状経編地の製造方法
Chang et al.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Institute of Textiles and Clothing, Hung Hom, Hong Kong,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