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416U -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416U
KR20120008416U KR2020110004735U KR20110004735U KR20120008416U KR 20120008416 U KR20120008416 U KR 20120008416U KR 2020110004735 U KR2020110004735 U KR 2020110004735U KR 20110004735 U KR20110004735 U KR 20110004735U KR 20120008416 U KR20120008416 U KR 20120008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stepping plate
stepping
base frame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636Y1 (ko
Inventor
양보식
이상복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4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3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4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with provisions for shoe scr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승객의 탑승 동작시 신발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디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승,하차시 신발 등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은 물론 눈, 비와 같은 물기가 쌓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발판이 더러워지거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으로서, 미끄럼방지 및 이물질제거를 위한 요부와 철부를 길이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하고, 하부로는 고정을 위한 고정 홈을 형성한 다수의 디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홈으로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 결합하여 디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과 디딤 플레이트를 수용하여 계단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는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A boarding foothold for Railway car}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승객의 탑승 동작시 신발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디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승,하차시 신발 등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은 물론 눈, 비와 같은 물기가 쌓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발판이 더러워지거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생활주변에서 사용되는 발판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이 부가되기도 한다. 즉, 발에 지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에서부터, 운송수단의 승, 하차시 신발에 뭍은 흙이나 먼지를 털어주기 위한 발판 및 보다 안정된 착지를 위해서 마련되는 발판 등이 있다.
한편, 운송수단의 하나인 철도차량의 탑승구에 설치되는 발판은, 바닥면이 미끄럼방지를 위한 얇은 요철부가 형성되고 이 요철부의 아래로는 막힌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승객의 신발에 묻은 흙,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물론, 눈이나 비를 용이하게 제거하지 못해 빨리 더러워지거나 미끄러짐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 되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여 다양한 구조의 발판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탑승 발판은 흙이나 먼지 같은 이물질이 신발로부터 떨어져 발판의 상면이나 홈 등으로 쌓이기 때문에 신발에서 이탈되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지 못해 아래쪽은 물론 발판 상면으로까지 이물질이 쌓여 철도차량의 실내를 더럽힘은 물론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 미끄럼에 의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의 승, 하차시 신발 바닥에 묻은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여 발판 밑으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가 고이는(머무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의 더러워짐을 예방하고 승객의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으로서, 미끄럼방지 및 이물질제거를 위한 요부와 철부를 길이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하고, 하부로는 고정을 위한 고정 홈을 형성한 다수의 디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홈으로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 결합하여 디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과 디딤 플레이트를 수용하여 계단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디딤 플레이트는 상호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부와 철부는 각형 또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딤 플레이트의 하부는 천공 형태로 개방되어 디딤 플레이트를 밟고 승,하차하는 승객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과 눈, 비가 선로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딤 플레이트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단부 또는 외측단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낮게 형성되고, 외 측에 위치하는 것이 높게 테이퍼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승,하차시 발판의 디딤 동작으로 인해 신발로부터 이탈되는 흙, 먼지나 기타 이물질 및 눈, 비의 배출을 용이하게 발판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눈이나 비도 쌓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발판에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깨끗하고 쾌적함을 제공함은 물론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탑승 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프레임과 디딤 플레이트가 결합된 정면, 평면, 저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탑승 발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보강 프레임(120) 및 디딤 플레이트(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철도차량의 탑승구(미도시)에 설치되며, 각 층의 중앙부분으로는 상기 보강 프레임(120)과 디딤 플레이트(130)를 수용하도록 프레임 수용 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디딤 플레이트 수용 공간(111)의 가장자리부분으로는 상기 보강 프레임(120)의 양쪽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 브래킷(112)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 브래킷(112)은 상기 보강 프레임(120)과 디딤 플레이트(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디딤 플레이트(130)의 사이로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를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공간(10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각 층 중앙부분이 프레임 수용 공간(111)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수용 공간(111)으로 상기 보강 프레임(120)이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120)의 상부로 다수의 디딤 플레이트(13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120)은,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의 각 고정 홈(131)을 통해 결합 되어 디딤 플레이트(130)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홈(131)과 동일한 개략 아치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120)과 결합 되는 디딤 플레이트(130)의 고정 홈(131)은, 먼저 끼움 결합 후,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상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는, 파손에 강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부식을 방지하도록 내 부식성을 갖는 금속재료 또는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하여 밴드형으로 구성되어,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에 의한 미끄럼을 방지하고, 승객의 신발에 묻은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요부(132)와 철부(133)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번갈아 형성되고, 하부로는 상기 보강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도록 보강 프레임(120)과 결합을 위한 복수의 고정 홈(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홈(131)은 상기 보강 프레임(120)과의 결합 후, 승객의 디딤에 의한 한층 견고한 지지력을 이루도록 개략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는 내구성 향상과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를 이루도록 두께를 개략 2mm~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요부(132)와 철부(133)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각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형태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상호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다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객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항하여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된다. 즉, 디딤 플레이트(130)는 다수가 연이어지게 수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체적으로 강도가 보강되고, 강도가 보강됨으로 그 두께를 그만큼 얇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보강 프레임(120)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복수의 길이방향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각각의 공간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이물질 배출공간(100a)이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나 모래 등 이물질이 들어가더라도 쌓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는, 중간 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낮게 형성되고, 외 측에 위치하는 것이 높게 형성되어 테이퍼진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미끄러짐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120)과 디딤 플레이트(1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분리가능하도록 안착하는 것이 유지보수 및 교체 등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결합된 보강 프레임(120)의 각 단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받침 브래킷(112)에 분리 가능하도록 안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100)은, 각 디딤 플레이트(130)의 사이로는 바닥이 형성되지 않은 뚫은 구멍 형태의 이물질 배출공간(100a)을 이루게 되므로, 탑승 발판(100)을 밟고 승, 하차하는 승객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은 물론 눈, 비가 내릴 경우 상기 이물질 배출공간(100a)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100)이 설치된 철도차량을 승,하차할 경우, 승객은 디딤 플레이트(130)에 올라서서 신발 바닥을 디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형성된 요부(132)와 철부(133)에 문지르게 되면, 신발 바닥에 묻은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긁혀 신발 바닥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발 바닥에 묻어 있던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디딤 플레이트(130) 사이의 이물질 배출공간(10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는 수직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이물질 배출 공간(10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의 요부(132)와 철부(133)에 의해 떨어진 흙이나 먼지는 이물질 배출공간(100a)을 통해서 차량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디딤 플레이트(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단부 또는 외측단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낮게 형성되고, 외 측에 위치하는 것이 높게 테이퍼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뿐만 아니라, 눈이나 비와 같은 물기도 고이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승객의 승,하차시 상기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신발 바닥에 묻은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우기나 겨울철에 내리는 눈과 같은 물기를 계속해서 탑승 발판의 외부로 배출시켜, 청결하고 쾌적한 승차감 보장받음과 동시에 미끄러움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100a : 이물질 배출 공간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프레임 수용 공간
112 : 받침 브래킷 120 : 보강 프레임
130 : 디딤 플레이트 131 : 고정 홈
132 : 요부 133 : 철부

Claims (5)

  1.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으로서,
    미끄럼방지 및 이물질제거를 위한 요부와 철부를 길이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하고, 하부로는 고정을 위한 고정 홈을 형성한 다수의 디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홈으로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 결합하여 디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과 디딤 플레이트를 수용하여 계단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딤 플레이트는 상호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철부는 각형 또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딤 플레이트의 하부는 천공 형태로 개방되어 디딤 플레이트를 밟고 승,하차하는 승객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과 눈, 비가 선로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딤 플레이트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단부 또는 외측단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낮게 형성되고, 외 측에 위치하는 것이 높게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탑승 계단 발판.
KR2020110004735U 2011-05-31 2011-05-31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KR200464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35U KR200464636Y1 (ko) 2011-05-31 2011-05-31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35U KR200464636Y1 (ko) 2011-05-31 2011-05-31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16U true KR20120008416U (ko) 2012-12-10
KR200464636Y1 KR200464636Y1 (ko) 2013-01-14

Family

ID=4751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35U KR200464636Y1 (ko) 2011-05-31 2011-05-31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41U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용 발판
CN111572456A (zh) * 2020-06-12 2020-08-25 胡贵华 一种公交车前端上车用除尘台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901B1 (ko) 2006-02-22 2006-05-02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출입구의 신발 바닥 청소장치
JP4748811B2 (ja) 2007-11-01 2011-08-17 内浜化成株式会社 車両用ステップ
KR200447495Y1 (ko) 2009-08-27 2010-01-26 이진주 흙,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발판
JP2011093469A (ja) 2009-10-30 2011-05-12 Lecip Holdings Corp 乗客案内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41U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용 발판
CN111572456A (zh) * 2020-06-12 2020-08-25 胡贵华 一种公交车前端上车用除尘台阶
CN111572456B (zh) * 2020-06-12 2023-10-13 台州市路桥吉祥厨具有限公司 一种公交车前端上车用除尘台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36Y1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KR200464636Y1 (ko) 철도차량용 탑승 발판
KR101101231B1 (ko) 공동주택용 틸팅계단 구조
JP4085480B2 (ja) 産業車両
JP3103514U (ja) プラットホーム用乗降補助装置
KR200494053Y1 (ko) 지게차용 발판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JP5097177B2 (ja) 鉄道踏切のゴム製舗装板およびそのゴムパッド
KR101843988B1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CN209799308U (zh) 一种防滑式操作平台
KR100547443B1 (ko) 건축물의 미끄럼 방지 구조용 계단
KR20110007013U (ko) 배수용 그레이팅
CN210482800U (zh) 一种防滑楼梯
CN213359159U (zh) 一种工厂用易于清理的楼梯
CN218235022U (zh) 客车顶置空调的安装平台
JPS6141636Y2 (ko)
CN111706109B (zh) 商贸楼用拓宽式楼梯
JP7004402B2 (ja) 乗降板構造
JP2010184789A (ja) 乗客コンベア
CN207847152U (zh) 一种新型脚手架提升式钢马道
CN217517998U (zh) 一种轻质楼梯
CN219033836U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楼梯
JP7096459B2 (ja) アルミニウム製歩み板の踏み面滑り止め構造及びアルミニウム製歩み板を用いた小型船舶用渡船橋梁
CN211169467U (zh) 一种带有保护结构的防滑扶梯
JP2814071B2 (ja) 歩車道用ブロック及び中央分離帯用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