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84U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84U
KR20120008384U KR2020110009353U KR20110009353U KR20120008384U KR 20120008384 U KR20120008384 U KR 20120008384U KR 2020110009353 U KR2020110009353 U KR 2020110009353U KR 20110009353 U KR20110009353 U KR 20110009353U KR 20120008384 U KR20120008384 U KR 201200083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heet
front sheet
sheet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김철중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2020110009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384U/ko
Publication of KR20120008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스마트폰, DMB폰, PMP, 내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하나의 시트를 가공하여 제작되어지며, 상기의 시트는 전면시트(110)와 측면시트(120, 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측면시트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경사변(210)와 경사변에서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꺽어지도록 가공된 거치변(220), 전면시트와 측면시트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절곡하여 사용하도록 가공되어진 절곡부(230), 두 개의 측면시트(120, 130)가 체결되어 질 수 있도록 가공된 체결부(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Handhelds holder}
본 고안은 휴대폰, 스마트폰, DMB폰, PMP, 내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DMB폰과 같이 넓은 화면과 고출력의 스피커가 구비되어 영상이나 음악을 재생할 수 있거나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용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를 책상에 내려놓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은 천장이나 책상 면에 맞닿아버린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학교나, 사무실, 집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DMB를 시청한다거나,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서핑을 할 경우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올바르게 볼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한 손은 휴대용 단말기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강의를 들을 경우에는 더욱더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거치대가 마련된 상태로 제작된 특수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55690호 2006. 12. 08.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DMB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그리고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는 특성에 맞게 한 장소에서만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통하여 광고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된 휴대용단말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면시트; 그리고 일변이 상기 전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전면시트에 대해 절곡되어 상호체결가능한 제1 및 제2 측면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변; 그리고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거치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의 절곡시, 상기 제1 거치변과 상기 제1 경사변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거치변과 상기 제2 경사변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된 휴대용단말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면시트; 그리고 일변이 상기 전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전면시트에 대해 절곡되어 상호체결가능한 제1 및 제2 측면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변; 그리고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거치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의 절곡시, 상기 제1 거치변과 상기 제1 경사변은 동일 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거치변과 상기 제2 경사변은 동일 곡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전면시트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시트는 하나의 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 중 어느 하나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절개된 상부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 중 다른 하나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절개된 하부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치변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변과 상기 제1 및 제2 경사변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이나 DMB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특성에 맞게 한 장소에서만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인쇄된 문자와 이미지를 통하여 효과적인 광고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측면시트를 절곡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체결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체결부가 다른 형태로 가공되어 질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놓고 사용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광고를 인쇄한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1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광고를 인쇄한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2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하나의 시트를 가공하여 제작하고, 상기의 가공된 시트는 전면시트(110)와 측면시트(120, 13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시트(110)는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하며, 전면시트(110)는 하나의 평면(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시트(120, 130)는 전면시트(1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전면시트(110)와 측면시트(120,130)의 경계 상에는 절곡부(2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곡부(230)를 따라 측면시트(120,130)를 전면시트(110)에 대해 쉽게 절곡할 수 있다.
측면시트(120,130)는 각각 체결부(240)를 구비하며, 체결부(240)는 측면시트(12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절개된 하부절개부이거나, 측면시트(13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절개된 상부절개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절곡부(230)를 따라 측면시트(120,130)를 절곡한 후, 체결부(240)를 통해 측면시트(120,130)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500)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전면시트(110)와 측면시트(120, 130)의 경계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절곡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진 절곡부(230)를 절곡한 형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두개의 측면시트(120, 130)가 체결되어 질 수 있도록 가공된 체결부(240)를 체결한 형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500)를 거치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측면시트(120,130)는 경사변(210) 및 거치변(220), 지지변(215)을 가지며, 경사변(210), 거치변(220), 그리고 지지변(215)은 하나의 측면시트(120,130) 상에 각각 형성된다. 거치변(220)은 상단부에 위치하며, 절곡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경사변(210)은 상단부에 위치하여 거치변(220)의 외측에 배치되며, 절곡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지지변(215)은 상단부에 위치하며, 절개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거치변(220)은 지지변(215)과 경사변(210) 사이에 위치하며, 지지변(215)의 기울기는 거치변(220)의 기울기보다 크다.
전면시트(110)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고, 측면시트(120,130)는 각각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며, 측면시트(120,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변(210)와 거치변(220), 지지변(215)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면시트(110)와 두 개의 측면시트(120,130)는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할 경우, 측면시트(120,130)는 체결부(240)를 통해 체결되며, 휴대용 단말기는 경사변(210) 및 거치변(220), 그리고 지지변(215) 상에 놓여진다. 이때, 경사변(210), 거치변(220), 그리고 지지변(215)은 절곡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시트(120,130) 상에 각각 위치하므로, 측면시트(120,130)가 파손되지 않는 한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에 의해 경사변(210)과 거치변(220), 그리고 지지변(215)이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은 측면시트(120,130)의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측면시트(120,130)는 그 형상의 특징상 측면시트(120,130)와 수직한 방향에 대한 외력에 대해서는 약한 반면, 측면시트(120,130)와 나란한 방향에 대한 외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측면시트(120,130)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그 목적한 바를 훌륭히 수행해 내기 위한 크기와 모양에 있어서도 최적의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건설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는 I빔이나, H빔과 그 원리를 같이한다. 건물을 지을 때 구조물로 I빔이나, H빔을 활용하는 데, 그 이유는 다른 모양에 비해 단면 2차 모멘트 값이 크기 때문이다. 굽힘응력 = M / Z (M : 굽힘모멘트, Z : 단면계수(I / y))이므로 같은 면적에서 단면 2차 모멘트가 크면 응력이 더 작아 적은 재료로도, 처짐을 일으키려하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시트(120,130)가 완전한 평면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측면시트(120,130)는 사용상태 또는 제조상태에 따라 완전한 평면이 아닌 불완전한 평면이거나 곡면일 수 있다.
상기의 체결부(240)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하는 방법 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측면시트(120) 내에 1개 이상의 절개부(410)를 구성하고, 또 다른 측면시트(130)에는 돌출부(420)를 구성하도록 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체결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절곡부(230)를 위한 절곡 가공 대신, 재단 가공을 행하고, 전면시트(110) 양 측면과 상기 전면시트의 양 측면과 연결되어질 측면시트(120, 130)의 일 측면에 체결부(240)와 유사하게 절개가공을 하여, 전면시트(110)와 측면시트(120, 13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게 가공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종이로 제작이 가능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로도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회사나 학원, 단체 등)가 원하는 형태의 이미지와 문자가 전면광고부(310)와 측면광고부(320, 330)에 용이하게 인쇄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전면광고부(310)와 측면광고부(320, 330)는 광고 인쇄가 되어질 전면시트(110)와 측면시트(120, 130)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로 TV 시청, 강의 시청, 영화 시청, 인터넷 서핑 등에 있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지지해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해 주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로써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와 같이 휴대용 거치대로써의 기능을 수행해내면서도 휴대하기 매우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로써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가 편리한 단말기 거치대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기업이나 학교, 단체의 이미지와 문자를 인쇄한 광고물로써도 이용되어 질 수 있다.
10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10 : 전면시트
120,130 : 측면시트
210 : 경사변
215 : 지지변
220 : 거치변
230 : 절곡부
240 : 체결부
310,320,330 : 광고부
50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6)

  1. 거치된 휴대용단말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면시트; 및
    일변이 상기 전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전면시트에 대해 절곡되어 상호체결가능한 제1 및 제2 측면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변; 및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거치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의 절곡시, 상기 제1 거치변과 상기 제1 경사변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거치변과 상기 제2 경사변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2. 거치된 휴대용단말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면시트; 및
    일변이 상기 전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전면시트에 대해 절곡되어 상호체결가능한 제1 및 제2 측면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변; 및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거치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의 절곡시, 상기 제1 거치변과 상기 제1 경사변은 동일 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거치변과 상기 제2 경사변은 동일 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시트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시트는 하나의 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 중 어느 하나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절개된 상부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 중 다른 하나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절개된 하부절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시트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치변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변과 상기 제1 및 제2 경사변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20110009353U 2011-05-29 2011-10-20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200083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53U KR20120008384U (ko) 2011-05-29 2011-10-20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678 2011-05-29
KR2020110009353U KR20120008384U (ko) 2011-05-29 2011-10-20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84U true KR20120008384U (ko) 2012-12-07

Family

ID=4751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53U KR20120008384U (ko) 2011-05-29 2011-10-20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3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33A (ko) * 2017-01-12 2018-07-20 고문당인쇄(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33A (ko) * 2017-01-12 2018-07-20 고문당인쇄(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544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24830B2 (en) Holder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62812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570883A2 (en) Support structure
US9259068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32298B2 (en) Stand for smartphone and the like
CN202873046U (zh) 振动扬声器
KR20160019136A (ko) 접이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72787Y1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120008384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54213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US20140203160A1 (en) Configurable coaster for holding a mobile device
KR200479083Y1 (ko)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20008385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JP3180141U (ja) 携帯端末用支持具
US8600091B2 (en) Electronic device
KR2015009425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40005225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JP2005141715A5 (ko)
CN202563389U (zh) 可折叠式平板电脑支架
KR20130007017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202421965U (zh) 具摆置及支撑功能的电子产品保护套
CN104053081A (zh) 麦克风阵列
CN210407584U (zh) 折叠式板垫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