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133A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133A
KR20180083133A KR1020170005231A KR20170005231A KR20180083133A KR 20180083133 A KR20180083133 A KR 20180083133A KR 1020170005231 A KR1020170005231 A KR 1020170005231A KR 20170005231 A KR20170005231 A KR 20170005231A KR 20180083133 A KR20180083133 A KR 2018008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 line
portable terminal
rear support
supp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276B1 (ko
Inventor
이종혁
권기훈
Original Assignee
고문당인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당인쇄(주) filed Critical 고문당인쇄(주)
Priority to KR102017000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개도를 따라 간편하게 접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개도를 따라 접어서 만들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지참해야 할 필수품으로 느낄 만큼 대중적이고 보편화되어,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기기가 되었다.
통신수단의 진보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 크고 무거웠던 데스크탑 컴퓨터가 현재는 소형화되어 손안에 들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사용자들은 영화 등 동영상 시청, 음악 감상 등 다양한 컨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즐기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영화 등 동영상 시청, 음악 감상 등을 즐길 때, 장시간 스마트폰을 들고 보거나 바닥에 놓고 감상하게 되는 바, 장시간의 경직된 자세 등으로 인해 목, 팔, 어깨 등 여러 신체 부위에 무리가 가해지게 된다.
물론,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가 개발되어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대부분 고가여서, 소비자들이 구입을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이 재질로 만들어지는 거치대가 소개되고 있으나,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시 안정성 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560호 '물품 거치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71981호 '모바일 장치 종이 거치대 만드는 도면'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개도를 따라 간편하게 접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이 재질 등 쉽게 구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 수 있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종이 접기 완구, 판촉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닥판부(101); 상기 바닥판부(101)의 하단에 제1절첩선(103)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전면판(105)과, 상기 전방지지대 전면판(105)의 하단에 제2절첩선(107)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과, 상기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의 하단에 제3절첩선(111)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후면판(113)과, 상기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의 하단에 제4절첩선(115)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첩선(103) 내지 제4절첩선(115)을 따라 접혀진 후 상기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이 상기 바닥판부(101)의 하측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대부(119); 및 상기 바닥판부(101)의 상단에 제5절첩선(121)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과, 상기 후방지지대 후면판(123)의 상단에 제6절첩선(125)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과, 상기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의 상단에 제7절첩선(129)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전면판(131)과, 상기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의 상단에 제8절첩선(133)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을 포함하며, 상기 제5절첩선(121) 내지 제8절첩선(133)을 따라 접혀진 후 상기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이 상기 바닥판부(101)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대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개도를 따라 간편하게 접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이 재질 등 쉽게 구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 수 있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종이 접기 완구, 판촉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도를 접어서 거치대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도를 접어서 만들어진 거치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도를 접어서 거치대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도를 접어서 만들어진 거치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단, 하단, 좌측단, 우측단 등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도 1을 기준으로 하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종이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바닥판부(101); 바닥판부(101)의 하단에 제1절첩선(103)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전면판(105)과, 전방지지대 전면판(105)의 하단에 제2절첩선(107)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과,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의 하단에 제3절첩선(111)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후면판(113)과,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의 하단에 제4절첩선(115)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을 포함하며, 제1절첩선(103) 내지 제4절첩선(115)을 따라 접혀진 후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이 바닥판부(101)의 하측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대부(119); 및 바닥판부(101)의 상단에 제5절첩선(121)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과, 후방지지대 후면판(123)의 상단에 제6절첩선(125)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과,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의 상단에 제7절첩선(129)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전면판(131)과,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의 상단에 제8절첩선(133)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을 포함하며, 제5절첩선(121) 내지 제8절첩선(133)을 따라 접혀진 후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이 바닥판부(101)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대부(137);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바닥판부(10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를 조립완료하였을 때 만들어지는 입체적 구조물인 거치대의 바닥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바닥판부(101)는 직사각형으로 제공된다.
이어서, 전방지지대부(119)는 전방지지대 전면판(105),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 전방지지대 후면판(113) 그리고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을 포함한다.
전방지지대 전면판(105)은 바닥판부(101)의 하단에 제1절첩선(103)으로 연결된다.
전방지지대 전면판(105)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날개판(139, 141)이 접철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날개판(139, 141)은 입체적 구조물로 접혀진 전방지지대부(119)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게 된다(도 3 참조).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은 전방지지대 전면판(105)의 하단에 제2절첩선(107)으로 연결된다.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은 전방지지대 전면판(105) 보다 상하폭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은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의 하단에 제3절첩선(111)으로 연결된다.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날개판(143, 145)이 접철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날개판(143, 145)은 입체적 구조물로 접혀진 전방지지대부(119)의 양측면 일부(상술한 날개판(139, 141)이 가리는 부분과 겹치지 않도록)를 가리게 된다(도 3 참조).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은 전방지지대 전면판(105)과 동일한 상하폭 길이 및 좌우폭 길이를 갖는다.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은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의 하단에 제4절첩선(115)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방지지대부(119)는 제1절첩선(103) 내지 제4절첩선(115)을 따라 접혀진 후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이 바닥판부(101)의 하측에 결합되어, 입체적인 구조물을 만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입체적인 구조물로 만들어진 전방지지대부(119)는, 일예로 평행육면체로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대부(119)는, 전방지지대 전면판(105)과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이 서로 나란하되, 상단부가 후방지지대부(137) 쪽으로 기울어진 평행육면체로 형성된다.
이어서, 후방지지대부(137)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 후방지지대 전면판(131) 그리고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을 포함한다.
후방지지대 후면판(123)은 바닥판부(101)의 상단에 제5절첩선(121)으로 연결된다.
후방지지대 후면판(123)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날개판(147, 149)이 접철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날개판(147, 149)은 입체적 구조물로 접혀진 후방지지대부(137)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날개판(147)과 후방지지대 후면판(123) 좌측단 사이의 연결부분(절첩선) 길이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 좌측단의 전체 길이보다 짧다.
또한, 날개판(149)과 후방지지대 후면판(123) 우측단 사이의 연결부분(절첩선) 길이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 우측단의 전체 길이보다 짧다.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은 후방지지대 후면판(123)의 상단에 제6절첩선(125)으로 연결된다.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은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의 상단에 제7절첩선(129)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7절첩선(129)은 중앙에 불연속 영역이 형성되어,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나눠지게 된다.
또한,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은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의 일부 영역(A, 도 1 참조)을 더 포함하도록 이뤄질 수 있는데, 즉, 후방지지대 전면판(131)과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의 경계 라인이, 불연속적인 제7절첩선(129) 및 양단이 제7절첩선(129)과 만나고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절개라인(151)을 포함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방지지대부(137)가 입체적 구조물로 접혀진 후,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의 상측으로 상술한 일부 영역(A)이 돌출연장됨으로써,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801)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날개판(153, 155)이 접철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날개판(153, 155)은 입체적 구조물로 접혀진 후방지지대부(137)의 양측면 일부(상술한 날개판(147, 149)이 가리는 부분과 겹치지 않도록)를 가리게 된다(도 5 참조).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은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의 상단에 제8절첩선(133)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후방지지대부(137)는 제5절첩선(121) 내지 제8절첩선(133)을 따라 접혀진 후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이 바닥판부(101)의 상측에 결합되어, 입체적인 구조물을 만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입체적인 구조물로 만들어진 후방지지대부(137)는, 일예로 평행육면체로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대부(137)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과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이 서로 나란하되, 상단부가 후방 쪽으로 기울어진 평행육면체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바닥판부(101)의 좌측단에 제9절첩선(157)으로 연결되되, 전방지지대부(119)와 후방지지대부(137)가 접혀진 후 전방지지대부(119)와 후방지지대부(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측면을 폐쇄하는 제1측면커버판(159);을 포함한다.
물론, 도면들에서는 제1측면커버판(159)이 전방지지대부(119)의 좌측면과 후방지지대부(137)의 좌측면을 모두 폐쇄하도록, 제9절첩선(157)을 따라 접혔을 때, 전방지지대부(119)의 좌측면을 폐쇄하는 폐쇄판(161)과, 후방지지대부(137)의 좌측면을 폐쇄하는 폐쇄판(163)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바닥판부(101)의 우측단에 제10절첩선(165)으로 연결되되, 전방지지대부(119)와 후방지지대부(137)가 접혀진 후 전방지지대부(119)와 후방지지대부(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우측면을 폐쇄하는 제2측면커버판(167);을 포함한다.
물론, 도면들에서는 제2측면커버판(167)이 전방지지대부(119)의 우측면과 후방지지대부(137)의 우측면을 모두 폐쇄하도록, 제10절첩선(165)을 따라 접었을 때, 전방지지대부(119)의 우측면을 폐쇄하는 폐쇄판(169)과, 후방지지대부(137)의 우측면을 폐쇄하는 폐쇄판(171)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제1측면커버판(159)과 제2측면커버판(167)은 바닥판(101)의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측면커버판(159)에 포함된 폐쇄판(161)과 폐쇄판(163)은 연결판(173)으로 연결되고, 제2측면커버판(167)에 포함된 폐쇄판(169)과 폐쇄판(171)은 연결판(175)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판(173, 175)은, 접혀진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801)를 가로로 거치시 휴대용 단말기(801)의 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도 9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측면커버판(159) 및/또는 제2측면커버판(167)이 포함됨으로써, 전개도가 모두 접혀진 후 완성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심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내구성, 안정성 역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개도를 따라 간편하게 접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이 재질 등 쉽게 구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 수 있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종이 접기 완구, 판촉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01 : 바닥판부
103 : 제1절첩선
105 : 전방지지대 전면판
107 : 제2절첩선
109 : 전방지지대 상부면판
111 : 제3절첩선
113 : 전방지지대 후면판
115 : 제4절첩선
117 : 전방지지대 바닥면판
119 : 전방지지대부
121 : 제5절첩선
123 : 후방지지대 후면판
125 : 제6절첩선
127 : 후방지지대 상부면판
129 : 제7절첩선
131 : 후방지지대 전면판
133 : 제8절첩선
135 : 후방지지대 바닥면판
137 : 후방지지대부
139 : 날개판
141 : 날개판
143 : 날개판
145 : 날개판
147 : 날개판
149 : 날개판
151 : 절개라인
153 : 날개판
155 : 날개판
157 : 제9절첩선
159 : 제1측면커버판
161 : 폐쇄판
163 : 폐쇄판
165 : 제10절첩선
167 : 제2측면커버판
169 : 폐쇄판
171 : 폐쇄판
173 : 연결판
175 : 연결판
801 : 휴대용 단말기

Claims (5)

  1. 바닥판부(101);
    상기 바닥판부(101)의 하단에 제1절첩선(103)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전면판(105)과, 상기 전방지지대 전면판(105)의 하단에 제2절첩선(107)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과, 상기 전방지지대 상부면판(109)의 하단에 제3절첩선(111)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후면판(113)과, 상기 전방지지대 후면판(113)의 하단에 제4절첩선(115)으로 연결되는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첩선(103) 내지 제4절첩선(115)을 따라 접혀진 후 상기 전방지지대 바닥면판(117)이 상기 바닥판부(101)의 하측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대부(119); 및
    상기 바닥판부(101)의 상단에 제5절첩선(121)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후면판(123)과, 상기 후방지지대 후면판(123)의 상단에 제6절첩선(125)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과, 상기 후방지지대 상부면판(127)의 상단에 제7절첩선(129)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전면판(131)과, 상기 후방지지대 전면판(131)의 상단에 제8절첩선(133)으로 연결되는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을 포함하며, 상기 제5절첩선(121) 내지 제8절첩선(133)을 따라 접혀진 후 상기 후방지지대 바닥면판(135)이 상기 바닥판부(101)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대부(1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1)의 좌측단에 제9절첩선(157)으로 연결되되, 상기 전방지지대부(119)와 상기 후방지지대부(137)가 접혀진 후 상기 전방지지대부(119)와 상기 후방지지대부(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측면을 폐쇄하는 제1측면커버판(15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1)의 우측단에 제10절첩선(165)으로 연결되되, 상기 전방지지대부(119)와 상기 후방지지대부(137)가 접혀진 후 상기 전방지지대부(119)와 상기 후방지지대부(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우측면을 폐쇄하는 제2측면커버판(16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대부(119)는,
    상기 제1절첩선(103) 내지 제4절첩선(115)을 따라 접혀진 후 평행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대부(137)는,
    상기 제5절첩선(121) 내지 제8절첩선(133)을 따라 접혀진 후 평행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170005231A 2017-01-12 2017-01-1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90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31A KR101901276B1 (ko) 2017-01-12 2017-01-1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31A KR101901276B1 (ko) 2017-01-12 2017-01-1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3A true KR20180083133A (ko) 2018-07-20
KR101901276B1 KR101901276B1 (ko) 2018-09-28

Family

ID=6310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231A KR101901276B1 (ko) 2017-01-12 2017-01-1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984B1 (ko) 2019-01-30 2020-06-22 퍼니피쉬(주) 수납형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116A1 (en) * 2001-04-30 2002-10-31 Shair Harold M. Holder for business cards
KR200463560Y1 (ko) 2012-04-23 2012-11-13 이윤숙 물품 거치대
KR20120008384U (ko) * 2011-05-29 2012-12-07 김남현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40136342A (ko) * 2013-05-20 2014-11-28 김형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60019136A (ko) * 2014-08-11 2016-02-19 유영훈 접이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71981A (ko) 2014-12-13 2016-06-22 고동준 모바일 장치 종이 거치대 만드는 도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116A1 (en) * 2001-04-30 2002-10-31 Shair Harold M. Holder for business cards
KR20120008384U (ko) * 2011-05-29 2012-12-07 김남현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63560Y1 (ko) 2012-04-23 2012-11-13 이윤숙 물품 거치대
KR20140136342A (ko) * 2013-05-20 2014-11-28 김형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60019136A (ko) * 2014-08-11 2016-02-19 유영훈 접이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71981A (ko) 2014-12-13 2016-06-22 고동준 모바일 장치 종이 거치대 만드는 도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276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41856S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120181410A1 (e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olding method thereof
KR200458313Y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10010009U (ko) 휴대용 소형 전자 기기용 접힘가능성 스탠드
USD735711S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D730883S1 (en) Electronic device
KR10190127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206341268U (zh) 一种带隐形支架的手机套
US2016025293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rotective Foldable Cover with a Built-in Membrane Keyboard
KR200472787Y1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0479083Y1 (ko)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CN202600990U (zh) 一种学习机
CN202818418U (zh) 手机趣味护角套
KR20160071829A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CN205040796U (zh) 具有包挂和手机座功能的折叠式钥匙扣
KR200458168Y1 (ko)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USD954703S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170069670A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03368524U (zh) 具有支撑功能的手机外壳
KR200468388Y1 (ko) 다각도에서 지지가 가능한 다중의 접선을 구비한 태블릿 전자장치의 하우징
CN203240222U (zh) 多功能电子产品支架
JP3192893U (ja) 折り畳み式携帯台座型音量増幅器
KR20130005681U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04259068U (zh) 一种分离式机挂的面向三网融合的全业务智能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