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961A -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961A
KR20120007961A KR1020110060737A KR20110060737A KR20120007961A KR 20120007961 A KR20120007961 A KR 20120007961A KR 1020110060737 A KR1020110060737 A KR 1020110060737A KR 20110060737 A KR20110060737 A KR 20110060737A KR 20120007961 A KR20120007961 A KR 2012000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seat
connecting shaft
backrest
sea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카와노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과제]
유아로부터 학동까지 일관해 사용 가능하고, 유소아의 연령에 응한 어느 사용 형태에서도, 유소아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관점에서 최적의 좌석의 배치를 실현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좌석 구조는, 좌석 베이스부(14)와, 제 1 연결축(15) 및 제 2 연결축(16)을 통하여 후경 가능하게 좌석 베이스부(14)에 연결되는 등받이부(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연결축(15)은, 좌석 베이스부(14) 또는 등받이부(13)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제 1 연결축(15)을 받아들이는 제 1 가이드홈(17)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연결축(16)은, 좌석 베이스부(14) 또는 등받이부(13)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제 2 연결축(16)을 받아들이는 제 2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A SEAT STRUCTURE OF A NURSERY APPLIANCE}
본 발명은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클라이닝 가능한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소아(乳幼兒)를 눕히기 또는 착좌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육아 기구의 전형례로서 자동차용의 차일드 시트가 있다. 차일드 시트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나, 전향(前向) 사용과 후향(後向) 사용을 전환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 등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차일드 시트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0-250426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일본 특개2002-301965호 공보(특허 문헌 2)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좌부(座部) 및 좌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된 등받이부로 구성된 좌석 장치와, 수직 방향에 세워지는 좌우의 암레스트부를 가지며, 상기 좌석 장치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 장치와, 상기 지지 장치를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석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등받이부와 좌우의 암레스트부는, 연결축(핀 볼트)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부와 좌우의 암레스트부는, 좌부에 마련된 볼록부와, 좌우의 암레스트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된 가이드홈을 통하여 서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부를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면, 좌부가 암레스트부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등받이부를 베드 상태의 위치까지 리클라이닝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장치를 좌석 베이스부상에서 좌석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좌석 장치 방향을 전방, 후방, 측방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 및 젖먹이의 시기부터 어느 정도 커진 유아(幼兒) 및 학동(學童)의 시기까지 일관해 사용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받침대와, 받침대상에 전후 방향으로만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 리클라이닝 베이스와, 리클라이닝 베이스에 대해 그 리클라이닝 베이스의 윗면에 수직한 축선의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받침대의 윗면에는, 전방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만곡형상으로 마련된 홈형상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베이스의 하면에는, 홈형상 레일과 계합하는 볼록형상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베이스를 받침대에 대해 전방으로 활주시키면, 상기 홈형상 레일의 형상에 따라 좌석 본체가 일체적으로 리클라이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석 본체를 리클라이닝 베이스상에서 회동시킴에 의해, 좌석 본체 방향을 전방, 후방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받침대에 대해 좌석 본체를 확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돌시 등에 있어서 좌석 본체가 생각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10-25042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2-301965호 공보
차일드 시트의 좌석 구조에서는 전방 충돌 사고에 대한 안전성 향상의 관점에서, 전향 및 후향의 사용 형태의 쌍방에 있어서, 착좌(着座)하는 유소아의 두부(頭部)를 자동차의 차체 전방측으로부터 보다 먼 위치, 즉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 등받이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유소아를 지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전향 및 후향의 사용 형태의 쌍방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의 등받이부를 보다 차체 후방측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 필요해진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등받이부와,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지지 장치에 고정된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고, 이 연결축을 중심으로 하여 등받이부를 회동시킴에 의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를 후향 사용 형태로 하고,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후향 사용 형태에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해, 등받이부를 배면측, 즉 차체 전방측으로 후경(後傾)시키면, 필연적으로 유소아의 두부가 차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소아의 안전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와 지지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가 지지 장치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의 회동 중심인 상기 연결축과 상기 좌석 회동축 사이의 거리가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전향 또는 후향의 어느 한쪽의 사용 형태에서, 등받이부가 보다 차체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등받이부의 부착 위치를 위치 결정하면 당해 부착 위치로부터 등받이부를 좌석 회동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킨 상태인 다른쪽의 사용 형태에서는, 필연적으로, 등받이부가 보다 차체 전방측에 배치되어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가 하나의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리클라이닝하는 구성을 구비한 종래의 차일드 시트는, 전향 사용 및 후향 사용의 쌍방의 형태에서 안전성상 및 쾌적성상 최적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만들어 내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의 경우에는, 받침대에 마련된 홈형상 레일의 형상에 따라 리클라이닝 베이스와 함께 좌석 본체 전체가 리클라이닝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후향 상태에서 리클라이닝시켰다고 하여도, 착좌하는 유소아의 두부가 차체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좌석 본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를 베드 상태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목을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 및 젖먹이의 시기로부터, 어느 정도 커진 유아 및 학동의 시기까지, 일관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그 구조상 등받이부를 좌부에 대해 회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향 또는 후향의 각각의 사용 형태에 응하여, 안전성 및 쾌적성의 관점에서 최적의 등받이부와 좌부의 사이의 각도나 배치를 만들어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신생아 및 젖먹이의 시기로부터 유아 및 학동의 시기까지 일관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소아의 연령에 응한 어느 사용 형태에서도 유소아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관점에서 최적의 좌석의 배치를 실현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는, 좌석 베이스부와, 제 1 연결축 및 제 2 연결축을 통하여 후경 가능하게 좌석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등받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연결축은, 좌석 베이스부 또는 등받이부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제 1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제 1 연결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연결축은, 좌석 베이스부 또는 등받이부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제 2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제 2 연결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제 1 및 제 2 연결축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에 계지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연재 방향에 따라 등받이부를 좌석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배치를 적절히 설계함에 의해, 등받이부의 위치나 리클라이닝 각도를 임의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전향 또는 후향 등의 사용 형태에 응하여 안전성 및 쾌적성에 알맞은 등받이부의 배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傾倒)하면, 제 1 연결축은, 제 1 가이드홈의 일방단(一方端)부터 타방단(他方端)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또한, 제 2 연결축은, 제 2 가이드홈의 일방단부터 타방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 또는 제 2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연결축은, 제 1 가이드홈의 단부에 계지(係止)되고, 또한, 제 2 연결축은, 제 2 가이드홈의 단부에 계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 또는 제 2 후경 위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연결축과 가이드홈 벽면과의 접촉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를 좌석 베이스부에 계지하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사고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의 충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이드홈은, 상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延在)되고, 제 2 가이드홈은, 후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연결축은,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에 따라 만곡형상으로 매끄럽게 이동한다. 따라서 등받이부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까지 보다 매끄럽게 경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축은, 등받이부에 부착되고, 제 1 가이드홈은, 좌석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연결축은, 좌석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제 2 가이드홈은, 등받이부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이드홈은, 그 후단부터 당해 후단의 전방 하방측에 위치하는 전단까지 상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고, 제 2 가이드홈은, 상단부터 하단까지 후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된다. 그리고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하면, 제 1 연결축은, 제 1 가이드홈의 후단부터 전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또한, 제 2 연결축은, 제 2 가이드홈의 하단부터 상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시키면, 제 1 연결축이, 제 1 가이드홈에 따라 전방 하방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즉, 제 1 연결축과 함께 등받이부가 전방 하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와 함께 좌석 베이스부에 부착된 제 2 연결축 및 제 2 가이드홈에 의해, 등받이부의 전방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등받이부가 좌석 베이스부의 소정의 위치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는,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할 때에 전방 하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석 베이스부에 대해 후경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후경 위치에서의 등받이부의 위치로부터 배면측으로 빗나가는 일 없이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에 제 1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된 좌부를 또한 구비한다. 그리고 좌부와 좌석 베이스부는 제 3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제 3 연결축은, 좌부 또는 좌석 베이스부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고, 제 3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제 3 연결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3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3 연결축은 좌부에 부착되고, 제 3 가이드홈은 좌석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부는, 등받이부가 전방 하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하는 움직임에 추종하여, 제 3 가이드홈의 연재 방향에 따르도록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즉, 제 3 가이드홈의 위치 및 연재 방향을 적절히 설계함에 의해, 제 1 후경 위치 및 제 2 후경 위치에서의 등받이부와 좌부 사이의 각도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향 및 후향의 사용 형태에서 최적의 등받이부 및 좌부의 배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좌석 베이스부에는, 제 1 가이드홈의 전단에 이어져서 상방측으로 늘어나고, 제 1 연결축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4 가이드홈이 또한 마련되어 있고, 제 1 연결축이 제 4 가이드홈의 상단으로 이동하면, 등받이부는 최대 후경 위치로 경도하고, 육아 기구는 베드 상태가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연결축을 제 1 가이드홈의 후단부터 전단으로 이동시키고, 뒤이어서 제 1 가이드홈의 전단부터 제 4 가이드홈의 상단까지 이동시키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등받이부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 뒤이어서 최대 후경 위치로 단계적으로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전향 사용 형태로부터 후향 사용 형태, 그리고 베드 형태로 차일드 시트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육아 기구를 베드 상태로 하여 이용하는 일이 많은 연령의 작은 신생아나 젖먹이의 시기로부터, 육아 기구를 의자 상태로 하여 이용하는 것이 많아지는 유아 및 학동의 시기까지 일관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연결축이 제 4 가이드홈의 하단부터 상단으로 이동하면, 제 2 연결축은, 제 2 가이드홈의 상단부터 하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제 4 가이드홈은, 하단부터 상단까지 전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육아 기구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차일드 시트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신생아 및 젖먹이의 시기로부터, 유아 및 학동의 시기까지 일관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향, 후향, 및 베드 상태의 어느 사용 형태에서도, 충돌 사고시에 있어서의 유소아의 안전을 확보하고, 또한, 유소아를 쾌적하게 착좌시킬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제 1 및 제 2 연결축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에 계지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연재 방향에 따라, 등받이부를 좌석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배치를 적절히 설계함에 의해, 등받이부의 위치나 리클라이닝 각도를 임의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전향 또는 후향 등의 사용 형태에 응하여, 안전성 및 쾌적성에 알맞은 등받이부의 배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차일드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받이부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등받이부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등받이부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좌석 베이스부의 전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좌석 베이스부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좌석 베이스부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좌석 베이스부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좌부의 전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좌부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좌부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13은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의 차일드 시트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14는 등받이부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시킨 경우의 차일드 시트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등받이부를 최대 후경 위치로 경도시킨 경우의 차일드 시트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제의 차일드 시트는, 착좌하는 유소아의 안전성 및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일드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경질의 심부재의 표면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 예를 들면 우레탄폼 등의 유연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덮고 있다. 그렇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하기 용이함의 관점에서, 이들 충격 흡수용의 부재를 도시하지 않고, 차일드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심부재만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의 개략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차일드 시트(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은, 차일드 시트(11)에 착좌하는 유소아가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착좌하는 유소아(도시 생략)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좌부(12)와, 착좌하는 유소아를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등받이부(13)와, 좌부(12) 및 등받이부(13)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부(14)를 구비한다. 좌부(12)는, 제 1 연결축(15)을 통하여 등받이부(13)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부(13)는, 제 1 연결축(15)과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제 2 연결축(16)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4)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석 베이스부(14)에는, 상기 제 1 연결축(15)을 받아들이는 제 1 가이드홈(17) 및 제 4 가이드홈(35)이 개략 V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가이드홈(17) 및 제 4 가이드홈(35)이, 제 1 연결축(15)을 내부에 받아들여서 지지한다. 또한, 등받이부(13)에는, 상기 제 2 연결축(16)을 받아들이는 제 2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가이드홈(18)이 제 2 연결축(16)을 내부에 받아들여서 지지하고 있다. 좌부(12)는, 좌부(12)에 마련된 제 3 연결축(19)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4)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석 베이스부(14)에서, 상기 제 1 가이드홈(17)의 전방측에 상기 제 3 연결축(19)을 받아들이는 제 3 가이드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3 가이드홈(20)이 제 3 연결축(19)을 내부에 받아들여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좌부(12), 등받이부(13), 및 좌석 베이스부(14)는, 제 1 내지 제 3 연결축과,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홈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받이부(13)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받이부(13)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등받이부(13)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등받이부(13)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고, 착좌하는 유소아의 등과 맞닿는 배벽부(21)와, 배벽부(21)의 좌우 측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나오는 좌우 측벽부(22, 23)를 갖는다. 좌우 측벽부(22, 23)는, 배벽부(21)의 하단부터 상단에 걸쳐 연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벽부(21)와 좌우 측벽부(22, 23)는, 착좌하는 유소아의 쾌적성 향상을 위해 서로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벽부(21)의 하단부(24)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5)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25)에, 상기 제 1 연결축(15)이 삽통(揷通)된다.
좌측벽부(22)의 중앙의 약간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만곡형상으로 연재되는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이 마련되어 있고, 우측벽부(23)의 중앙의 약간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만곡형상으로 연재되는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이 마련되어 있다.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은, 상단(26)부터 하단(27)까지, 후방측, 즉 등받이부(13)의 배면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만곡형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은, 상단(28)부터 하단(29)까지, 등받이부(13)의 배면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만곡형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제 2 가이드홈(18a, 18b)은, 서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좌우 측벽부(22, 23)에서의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모두 좌우 측벽부(22, 23)를 관통하는 관통홈이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좌석 베이스부(14)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좌석 베이스부(14)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좌석 베이스부(14)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좌석 베이스부(14)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좌석 베이스부(14)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좌석 베이스부(14)는, 저벽부(28)와, 저벽부(28)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좌우의 암레스트부(29, 30)와, 저벽부(28)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세워지고, 좌(左)암레스트부(29)로부터 우(右)암레스트부(30)에 걸쳐서 연재되는 전벽부(31)와, 저벽부(28)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세워지고, 좌암레스트부(29)로부터 우암레스트부(30)에 걸쳐서 연재되는 후벽부(32)를 갖는다.
우암레스트부(30)의 중앙 하방측에는, 서로 개략 V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마련된 우측 제 1 가이드홈(17b) 및 우측 제 4 가이드홈(35b)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제 1 가이드홈(17b)은, 후단(33)부터 당해 후단(33)의 전방 하방측에 위치하는 전단(34)까지, 상방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만곡형상이 되도록 연재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제 4 가이드홈(35b)은, 우측 제 1 가이드홈(17b)의 전단(34)부터 당해 전단(34)의 전방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단(36)까지, 전방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만곡형상이 되도록 연재되어 있다. 우측 제 1 가이드홈(17b) 및 우측 제 4 가이드홈(35b)은 같은 폭을 갖는 관통홈이다.
우측 제 4 가이드홈(35b)의 전방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는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이 또한 마련되어 있다.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은, 후단(38)부터 당해 후단(38)의 전방 상방측에 위치하는 전단(39)까지, 개략 직선적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의 전단(39)에는, 당해 전단(39)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패여지도록 노치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우암레스트부(30)의 내벽면(40)에는, 좌석 베이스부(14)의 내측 방향, 즉 대향하는 좌암레스트부(29)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마련된 우측 제 2 연결축(16b)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제 2 연결축(16b)은, 우측 제 1 가이드홈(17b)의 후단(33)의 후방 상방측에 배치되고, 우암레스트부(30)의 내벽면(40)으로부터 좌암레스트부(29)측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된 봉형상 부재이다.
우 암레스트부(30)와 마찬가지로, 좌암레스트부(29)의 중앙 하방측에는, 서로 개략 V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마련된 좌측 제 1 가이드홈(17a) 및 좌측 제 4 가이드홈(35a)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제 1 가이드홈(17a)은, 후단(41)부터 당해 후단(41)의 전방 하방측에 위치하는 전단(42)까지, 상방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만곡형상이 되도록 연재되어 있다. 또한, 좌측 제 4 가이드홈(35a)은, 좌측 제 1 가이드홈(17a)의 전단(42)부터, 당해 전단(42)의 전방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단(43)까지, 전방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만곡형상이 되도록 연재되어 있다. 좌측 제 1 가이드홈(17a) 및 좌측 제 4 가이드홈(35a)은, 같은 폭을 갖는 관통홈이다.
좌측 제 4 가이드홈(35a)의 전방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는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이 또한 마련되어 있다.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은, 후단(44)부터 당해 후단(44)의 전방 상방측에 위치하는 전단(45)까지, 개략 직선적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의 전단(45)에는, 당해 전단(45)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패여지도록 노치부(46)가 마련되어 있다.
좌암레스트부(29)의 내벽면(47)에는, 대향하는 우암레스트부(30)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마련된 좌측 제 2 연결축(16a)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제 2 연결축(16a)은, 좌측 제 1 가이드홈(17a)의 후단(41)의 후방 상방측에 배치되고, 좌암레스트부(29)의 내벽면(47)으로부터 우암레스트부(30)측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된 봉형상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제 1 가이드홈(17a, 17b), 좌우의 제 3 가이드홈(20a, 20b), 좌우의 제 4 가이드홈(35a, 35b), 및 좌우의 제 2 연결축(16a, 16b)은, 서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좌우 암레스트부(29, 30)에서의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좌우 암레스트부(29, 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1)에 조립된 경우에, 등받이부(13)의 좌우 측벽부(22, 23)의 외벽면과 맞닿아 겹쳐지도록, 등받이부(13)의 외방측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착좌하는 유소아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에 대해,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암레스트부와, 등받이부(13)에 마련된 측벽부의 이중 구조에 의해 유소아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등받이부(13)의 형상 및 두께나, 좌우 암레스트부(29, 30)의 형상, 높이, 두께 등은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에 대한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좌부(12)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좌부(12)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좌부(12)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좌부(12)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좌부(12)는, 착좌하는 유소아의 엉덩이와 하방에서 맞닿는 저벽부(48)와, 저벽부(48)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방 외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좌우의 측벽부(49, 50)를 갖는다. 저벽부(48)와 좌우 측벽부(49, 50)는, 착좌하는 유소아의 쾌적성 향상을 위해 서로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48)의 하면(51)의 좌측 단부에는, 하면(5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연결축 부착부(52)가 마련되어 있고, 좌측 제 3 연결축(19a)이, 연결축 부착부(52)로부터 외방측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재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면(51)의 우측 단부에는, 하면(5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연결축 부착부(53)가 마련되고, 우측 제 3 연결축(19b)이, 연결축 부착부(53)로부터 외방측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재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 부착부(52, 53)는, 저벽부(48)의 전후 방향 중앙의 약간 전방측에 마련되고, 저벽부(4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48)의 우측 단부의 후단에는,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연결축 삽입부(5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축 삽입부(55)의 중앙부에는, 후단(60)부터 전단(61)까지 전후 방향으로 개략 직선적으로 연재되는 관통홈(57)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저벽부(48)의 좌측 단부의 후단에는,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연결축 삽입부(54)가 마련되고, 연결축 삽입부(54)에는, 후단(58)부터 전단(59)까지 전후 방향으로 개략 직선적으로 연재되는 관통홈(5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의 조립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3)의 하단부(24)에 마련된 관통구멍(25)과, 좌부(12)의 연결축 삽입부(54, 55)에 마련된 관통홈(56, 57)이 연통하도록, 등받이부(13)의 하단부(24)가, 연결축 삽입부(54)와 연결축 삽입부(5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연결축(15)이, 관통구멍(25) 및 관통홈(56, 57)을 관통하도록 삽통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좌부(12)는, 등받이부(13)의 하단부(24)에 제 1 연결축(15)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연결축(15)은, 좌석 베이스부(14)의 좌암레스트부(29)의 내벽면(47)과, 우암레스트부(30)의 내벽면(40) 사이의 폭보다 길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축(15)의 좌측 단부가, 좌암 레스트부(29)에 개략 V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좌측 제 1 가이드홈(17a) 및 좌측 제 4 가이드홈(35a)에 삽통되어 지지 된다. 마찬가지로, 제 1 연결축(15)의 우측 단부가, 우 암레스트부(30)에 개략 V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우측 제 1 가이드홈(17b) 및 우측 제 4 가이드홈(35b)에 삽통되어 지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등받이부(13)의 하단부(24)와, 좌부(12)의 후단부에 상당하는 연결축 삽입부(54, 55)가, 제 1 연결축(15)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4)에 계지된다.
좌석 베이스부(14)의 좌암레스트부(29)의 내벽면(47)에 마련된 좌측 제 2 연결축(16a)은, 등받이부(13)의 좌측벽부(22)에 마련된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에 삽통된다. 그와 함께, 우암레스트부(30)의 내벽면(40)에 마련된 우측 제 2 연결축(16b)이, 등받이부(13)의 우측벽부(23)에 마련된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에 삽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등받이부(13)가, 제 2 연결축(16) 및 제 2 가이드홈(18)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4)에 계지된다. 즉, 등받이부(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축(15) 및 제 2 연결축(16)의 2개의 축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4)에 계지되게 된다.
좌부(12)의 연결축 부착부(52)에 부착되어 있는 좌측 제 3 연결축(19a)은, 좌석 베이스부(14)의 좌암레스트부(29)에 마련된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에 삽통되어 지지 된다. 그와 함께, 좌부(12)의 연결축 부착부(53)에 부착되어 있는 우측 제 3 연결축(19b)이, 우암레스트부(30)에 마련된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에 삽통되어 지지 된다. 이와 같이, 좌부(12)는, 제 1 연결축(15) 및 제 3 연결축(19)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4)에 계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부(12)와, 등받이부(13)와, 좌석 베이스부(14)는, 제 1 내지 제 3 연결축과, 이들의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홈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조립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차일드 시트(11)가 구성된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의 리클라이닝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의 차일드 시트(11)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4는, 등받이부(13)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시킨 경우의 차일드 시트(11)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등받이부(13)를 최대 후경 위치로 경도시킨 경우의 차일드 시트(11)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연결축(15)은, 좌측 제 1 가이드홈(17a) 및 우측 제 1 가이드홈(17b)의 후단(33, 41)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등받이부(13)의 하단부(24) 및 좌부(12)의 후단부에 상당하는 연결축 삽입부(54, 55)도, 좌석 베이스부(14)에서의 후단(33, 41)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함께,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좌측 제 2 연결축(16a)은, 등받이부(13)에 마련된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의 하단(27)과 맞닿고, 또한, 우측 제 2 연결축(16b)은,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의 하단(29)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연결축(16)의 위치와, 제 1 가이드홈(17)의 후단(33, 41)의 위치에 의해 규정되게 된다. 즉, 제 1 후경 위치에서의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6) 및 후단(33, 41)에 맞닿는 연결축(15)에 의해 구획되는 선(62)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θ1)로서 근사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좌부(12)에 마련된 좌측 제 3 연결축(19a)은,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의 후단(44)과 맞닿고, 또한, 우측 제 3 연결축(19b)은,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의 후단(38)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좌부(12)의 등받이부(13)에 대한 각도는, 제 1 가이드홈(17)의 후단(33, 41)에 대한 제 3 가이드홈(20)의 후단(38, 44)의 위치에 의해 규정된다.
등받이부(13)를, 도 13에 도시하는 제 1 후경 위치에서, 도 14에 도시하는 제 2 후경 위치로 후경시키면, 제 1 연결축(15)은, 제 1 가이드홈(17)의 후단(33, 41)부터 제 1 가이드홈(17)의 연재 방향에 따라 전방 하방측으로 안내되고, 제 1 가이드홈(17)의 전단(34, 42)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와 함께,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좌측 제 2 연결축(16a)은, 등받이부(13)에 마련된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의 하단(27)부터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에 의해 안내되어 상단(26)의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우측 제 2 연결축(16b)은,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의 하단(29)부터 상단(28)의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연결축(16)의 위치와, 제 1 가이드홈(17)의 전단(34, 42)의 위치에 의해 규정되게 된다. 즉, 제 2 후경 위치에서의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6) 및 전단(34, 42)에 위치하는 연결축(15)에 의해 구획되는 선(63)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θ2)로서 근사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좌부(12)에 마련된 좌측 제 3 연결축(19a)은,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의 후단(44)부터,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에 의해 안내되어 전단(45)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또한, 우측 제 3 연결축(19b)은,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의 후단(38)부터 전단(39)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좌부(12)는, 등받이부(13)가 전방 하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한 움직임에 추종하여, 제 3 가이드홈(20)의 연재 방향에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즉, 좌부(12)의 등받이부(13)에 대한 각도는, 제 1 가이드홈(17)의 전단(34, 42)에 대한 제 3 가이드홈(20)의 전단(39, 45)의 위치에 의해 규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까지 경도할 때에, 등받이부(13)는, 전방 하방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도 13에 도시하는 리클라이닝 각도(θ1)로부터 도 14에 도시하는 리클라이닝 각도(θ2)까지 경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후경 위치에서의 등받이부(13)의 위치(도 14중의 2점쇄선(A))로부터 배면측에 크게 빗나가는 일 없이, 등받이부(13)를 리클라이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전향 및 후향 쌍방의 사용 형태에서, 착좌하는 유소아의 안전성을 배려한 등받이부(13)의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차일드 시트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석 시트상에 재치되고, 안전 벨트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자동차의 좌석 시트는, 사용자의 앉는 느낌 등의 관점에서, 차체 전방을 향하여 솟아오르는 경사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향 사용 형태로부터 후향 사용 형태로 변경한 경우, 사용자는, 필연적으로, 등받이부를 배면측으로 후경시켜서 후향 사용 형태에 적합한 리클라이닝 각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하나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하여 등받이부를 회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를 배면측, 즉 차체 전방측으로 후경시키면, 필연적으로 착좌하는 유소아의 두부가 차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의 내부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연결축(15, 16)에 의해, 등받이부(13)를, 전방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후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까지 등받이부(13)를 리클라이닝시켜도, 등받이부(13)는, 좌석 베이스부(14)에서 보아, 배면측으로 크게 빗나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1)를 후향 사용 형태로 변경하고, 등받이부를 후경시킬 필요가 생긴 경우에도, 착좌하는 유소아의 두부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거의 고정한 채로, 등받이부(13)를 후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후향 사용 형태로 등받이부를 후경시키는 경우에도, 유소아의 두부를 보다 차체 후방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전향 및 후향 쌍방의 사용 형태에서, 충돌 사고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우수한 차일드 시트의 좌석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θ1, θ2)가 제 1 가이드홈(17), 제 2 가이드홈(18), 및 제 2 연결축(16)의 배치에 의해 규정되고, 또한, 등받이부(13)에 대한 좌부(12)의 각도가, 제 1 가이드홈(17)에 대한 제 3 가이드홈(20)의 배치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가이드홈의 단부의 위치나 연재 방향 및 제 2 연결축(16)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함에 의해, 전향 사용 형태에 적합한 제 1 후경 각도, 후향 사용 형태에 적합한 제 2 후경 각도, 및, 각각의 후경 각도에서의 등받이부(13)에 대한 좌부(12)의 각도를, 안전성 및 착좌하는 유소아의 쾌적성의 관점에서 최적이 되도록 적절히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연결축(15)이, 좌측 제 1 가이드홈(17a)의 후단(41) 및 우측 제 1 가이드홈(17b)의 후단(33)에 맞닿는다. 그리고 좌측 제 2 연결축(16a)이,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의 하단(27)과 맞닿고, 또한, 우측 제 2 연결축(16b)이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의 하단(29)과 맞닿고 있다. 또한, 등받이부(13)가 제 2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연결축(15)이, 좌측 제 1 가이드홈(17a)의 전단(42) 및 우측 제 1 가이드홈(17b)의 전단(34)에 배치된다. 그리고 좌측 제 2 연결축(16a)이,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의 상단(26)과 맞닿고, 또한, 우측 제 2 연결축(16b)이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의 상단(28)과 맞닿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 및 제 2 후경 위치의 위치에 있는 경우의 쌍방에 있어서, 제 1 연결축(15)이, 제 1 가이드홈(17)의 단부에 계지되고, 또한, 제 2 연결축(16)이, 제 2 가이드홈(18)의 단부에 계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 또는 제 2 후경 위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연결축과 가이드홈 벽면과의 접촉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13)를 좌석 베이스부(14)에 계지하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사고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1)의 충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13)를, 도 14에 도시하는 제 2 후경 위치로부터, 도 15에 도시하는 최대 후경 위치로 후경시키면, 제 1 연결축(15)은, 제 1 가이드홈(17)의 전단(34, 42)부터 제 4 가이드홈(35)의 연재 방향에 따라 상방측으로 안내되고, 제 4 가이드홈(35)의 상단(36, 43)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즉, 등받이부(13)의 하단부(24)가, 상단(36, 43)의 위치까지 상방측에 들어 올려진다. 그와 함께,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좌측 제 2 연결축(16a)은, 등받이부(13)에 마련된 좌측 제 2 가이드홈(18a)의 상단(26)부터 하단(27)의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우측 제 2 연결축(16b)은, 우측 제 2 가이드홈(18b)의 상단(28)부터 하단(29)의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연결축(16)의 위치와, 제 4 가이드홈(35)의 상단(36, 43)의 위치에 의해 규정되게 된다. 즉, 최대 후경 위치에서의 등받이부(13)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6) 및 상단(36, 43)에 맞닿는 연결축(15)에 의해 구획되는 선(64)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로서 근사적으로 표시된다.
좌부(12)에서는, 그 후단부에 상당하는 연결축 삽입부(54, 55)가, 제 1 연결축(15)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방측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 때에, 연결축 삽입부(54, 55)에 마련된 관통홈(56, 57)의 내부에서, 제 1 연결축(15)의 위치가, 관통홈(56, 57)의 후단(58, 60)부터 전단(59, 6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와 함께, 좌부(12)에 마련된 좌측 제 3 연결축(19a)은, 좌석 베이스부(14)에 마련된 좌측 제 3 가이드홈(20a)의 전단(45)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고, 노치부(46)에 들어가고, 또한, 우측 제 3 연결축(19b)은, 우측 제 3 가이드홈(20b)의 전단(39)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고, 노치부(37)에 들어간다. 이들의 관통홈(56, 57) 및 노치부(37, 46)가, 좌부(12)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여유」로서 기능함에 의해, 좌부(12)의 이동이 원활히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하여, 좌부(12)는, 등받이부(13)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이동하고, 등받이부(13)가 최대 후경 위치로 경도한 때에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좌부(12)의 등받이부(13)에 대한 각도는, 제 4 가이드홈(35)의 상단(36, 43)에 대한 노치부(37, 46)의 위치에 의해 규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제 1 연결축(15)을 제 1 가이드홈(17)의 후단(33, 41)부터 전단(34, 42)으로 이동시키고, 뒤이어서 제 1 가이드홈(17)의 전단(34, 42)부터 제 4 가이드홈(35)의 상단(36, 43)까지 이동시키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등받이부(13)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 뒤이어서 최대 후경 위치로 단계적으로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용이한 조작에 의해, 전향 사용 형태로부터 후향 사용 형태, 그리고 베드 형태로 차일드 시트(11)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차일드 시트를 베드 상태로 하여 이용하는 일이 많은 연령의 작은 신생아나 젖먹이의 시기로부터, 차일드 시트를 의자 상태로 하여 이용하는 일이 많아지는 유아나 학동의 시기까지 일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등받이부(13)가 최대 후경 위치에 있는 경우의 리클라이닝 각도(θ3)가, 제 4 가이드홈(35), 제 2 가이드홈(18), 및 제 2 연결축(16)의 배치에 의해 규정되고, 또한, 등받이부(13)에 대한 좌부(12)의 각도가, 제 4 가이드홈(35)의 상단(36, 43)에 대한 제 3 가이드홈(20)의 배치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들 가이드홈의 단부의 위치나 연재 방향, 및 제 2 연결축(16)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함에 의해, 베드 상태에 적합한 최대 후경 각도, 및, 베드 상태에 적합한 등받이부(13)에 대한 좌부(12)의 각도를, 안전성 및 착좌하는 유소아의 쾌적성의 관점에서 최적이 되도록 적절히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신생아 및 젖먹이의 시기로부터, 유아 및 학동의 시기까지 일관해서 사용 가능하고, 또한, 전향, 후향, 및 베드 상태의 어느 사용 형태에서도, 충돌 사고시에 있어서의 유소아의 안전성, 및 유소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3)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 뒤이어서 최대 후경 위치로 단계적으로 리클라이닝시키는데 수반하여, 제 1 연결축(15) 자체가, 전방 하방으로 이동하고, 뒤이어서 전방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에 추종하도록, 등받이부(13) 및 좌부(12)도 전방측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의자 상태로부터 베드 상태로 하였을 때에, 등받이부(13) 및 좌부(12)의 위치가 보다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드 상태에서의 등받이부(13) 및 좌부(12)의 중심(重心)을 좌석 베이스부(14)의 중심(中心) 위치에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11)의 중심(重心)을 보다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등받이부(13)가 제 2 후경 위치로부터 최대 후경 위치까지 경도할 때에, 등받이부(13)는, 제 1 연결축(15)을 회동의 기준점으로 하여 후경하는 것이 아니라, 좌석 베이스부(14)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연결축(16)을 회동의 기준점으로 하여 후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를 베드 상태로 한 경우에는, 등받이부(13) 및 좌부(12)가, 제 2 연결축(16)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계지되게 되기 때문에, 등받이부(13) 및 좌부(12)를 비교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자동차 차내에서 차일드 시트(11)를 베드 상태로 한 경우에, 등받이부(13) 및 좌부(12)를 자동차의 좌우의 도어의 내벽에 마련된 손잡이부의 상방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13) 및 좌부(12)와 도어의 손잡이부가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에서는, 제 1 가이드홈(17), 제 2 가이드홈(18), 및 제 4 가이드홈(35)은 모두 만곡형상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연결축(15) 및 제 2 연결축(16)은, 제 1 가이드홈(17), 제 2 가이드홈(18), 및 제 4 가이드홈(35) 내를, 각 가이드홈의 연재 방향에 따라 만곡형상으로 매끄럽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부(13)를,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 뒤이어서 최대 후경 위치까지, 보다 매끄럽게 경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일드 시트(11)는,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 제 2 후경 위치, 및 최대 후경 위치에 있을 때에, 등받이부(13)를 좌석 베이스부(14)에 계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이 로크 기구는, 등받이부(13)의 좌우 측벽부(22, 23)에 마련된 제 1 로크 관통구멍과, 좌석 베이스부(14)의 좌우 암레스트부(29, 30)에서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 제 2 후경 위치, 및 최대 후경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로크 관통구멍과 연통하도록 3개소에 마련된 제 2 로크 관통구멍과, 등받이부(13)가 제 1 후경 위치, 제 2 후경 위치, 최대 후경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로크 관통구멍 및 상기 제 2 로크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삽통시키는 로크 핀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크 핀에 의해 등받이부(13)를 제 1 후경 위치, 제 2 후경 위치, 및 최대 후경 위치에 계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사고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1)의 충격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연결축이 등받이부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제 1 가이드홈이 좌석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제 1 연결축 또는 제 1 가이드홈은, 등받이부 또는 좌석 베이스부의 어느 쪽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연결축이 좌석 베이스부에 마련되고, 제 2 가이드홈이 등받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제 2 연결축 또는 제 2 가이드홈은, 등받이부 또는 좌석 베이스부의 어느 쪽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연결축이 좌부에 마련되고, 제 3 가이드홈이 좌석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제 3 연결축 또는 제 3 가이드홈은, 좌부 또는 좌석 베이스부의 어느 쪽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 제 2 후경 위치, 및 최대 후경 위치에 있을 때에, 제 1 내지 제 3 연결축의 모두 가이드홈의 단부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 제 2 후경 위치, 및 최대 후경 위치에 있을 때에서도, 연결축이 가이드홈의 단부와 맞닿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가이드홈이, 후단부터 전단까지 전방 하방측으로 연재되도록 마련되어 있던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후단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재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등받이부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후경시키도록, 제 1, 제 2 가이드홈, 및 제 2 연결축이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부가 등받이부에 제 1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제 3 연결축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있고, 등받이부에 추종하도록 좌부도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가는 구성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좌부가 등받이부와 분리되어서 좌석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등받이부만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하고, 좌부가 타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는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석 베이스부에 제 4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차일드 시트를 베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제 4 가이드홈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 즉, 차일드 시트를 전향 또는 후향의 의자 상태로서만 이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좌석 구조를 차일드 시트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유모차나 베이비 체어 등이라는 리클라이닝 가능한 좌석 구조를 구비한 육아 기구 전반에 유리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착좌하는 유소아의 안전성,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고, 좌석 구조를 구비하는 육아 기구 전반에 유리하게 이용된다.
11 : 차일드 시트
12 : 좌부
13 : 등받이부
14 : 좌석 베이스부
15 : 제 1 연결축
16 : 제 2 연결축
16a : 좌측 제 2 연결축
16b : 우측 제 2 연결축
17 : 제 1 가이드홈
17a : 좌측 제 1 가이드홈
17b : 우측 제 1 가이드홈
18 : 제 2 가이드홈
18a : 좌측 제 2 가이드홈
18b : 우측 제 2 가이드홈
19 : 제 3 연결축
19a : 좌측 제 3 연결축
19b : 우측 제 3 연결축
20 : 제 3 가이드홈
20a : 좌측 제 3 가이드홈
20b : 우측 제 3 가이드홈
21 : 배벽부
22, 49 : 좌측벽부
23, 50 : 우측벽부
24 : 하단부
25 : 관통구멍
26, 28, 36, 43 : 상단
27, 29 : 하단
28, 48 : 저벽부
29 : 좌암레스트부
30 : 우암레스트부
31 : 전벽부
32 : 후벽부
33, 38, 41, 44, 58, 60 : 후단
34, 39, 42, 45, 59, 61 : 전단
35 : 제 4 가이드홈
35a : 좌측 제 4 가이드홈
35b : 우측 제 4 가이드홈
37, 46 : 노치부
40, 47 : 내벽면
51 : 하면
52, 53 : 연결축 부착부
54, 55 : 연결축 삽입부
56, 57 : 관통홈
62, 63, 64 : 선

Claims (11)

  1. 좌석 베이스부와, 제 1 연결축 및 제 2 연결축을 통하여 후경 가능하게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축은, 상기 좌석 베이스부 또는 상기 등받이부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상기 제 1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상기 제 1 연결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축은, 상기 좌석 베이스부 또는 상기 등받이부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상기 제 2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상기 제 2 연결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가,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하면,
    상기 제 1 연결축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일방단부터 타방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또한, 상기 제 2 연결축은, 상기 제 2 가이드홈의 일방단부터 타방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은, 상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후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축은,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은,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결축은,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등받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은, 그 후단부터 당해 후단의 전방 하방측에 위치하는 전단까지, 상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상단부터 하단까지 후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고,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제 1 후경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후경 위치로 경도하면,
    상기 제 1 연결축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후단부터 전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또한, 상기 제 2 연결축은, 상기 제 2 가이드홈의 하단부터 상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상기 제 1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된 좌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좌부와, 상기 좌석 베이스부는, 제 3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 3 연결축은, 상기 좌부 또는 상기 좌석 베이스부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고, 상기 제 3 연결축을 받아들여서 상기 제 3 연결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3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축은, 상기 좌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3 가이드홈은,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전단에 이어저서 상방측으로 늘어나고, 상기 제 1 연결축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4 가이드홈이 또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축이 상기 제 4 가이드홈의 상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등받이부는 최대 후경 위치로 경도하고, 상기 육아 기구는 베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축이 상기 제 4 가이드홈의 하단부터 상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연결축은, 상기 제 2 가이드홈의 상단부터 하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가이드홈은, 하단부터 상단까지 전방측으로 비어저 나오도록 만곡형상으로 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기구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차일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KR1020110060737A 2010-07-15 2011-06-22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KR20120007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0891A JP5650452B2 (ja) 2010-07-15 2010-07-15 チャイルドシートの座席構造
JPJP-P-2010-160891 2010-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61A true KR20120007961A (ko) 2012-01-25

Family

ID=4561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737A KR20120007961A (ko) 2010-07-15 2011-06-22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50452B2 (ko)
KR (1) KR20120007961A (ko)
CN (1) CN102371918A (ko)
TW (1) TW2012020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2980B2 (en) * 2012-05-09 2014-12-18 Britax Childcare Pty Ltd Child safety seat with improved reclining mechanism
DE202014104056U1 (de) * 2014-08-29 2014-09-19 Cybex Gmbh Kindersitz für ein Kraftfahrzeug
CN104553907B (zh) * 2014-12-31 2017-09-12 江苏百佳斯特汽车制品有限公司 汽车儿童安全提篮
CN104856488B (zh) * 2015-03-26 2018-02-02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座背联动机构
CN104840030B (zh) * 2015-03-26 2018-03-13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座背联动椅
CN106671836B (zh) * 2015-11-06 2020-04-0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调整机构及具有该调整机构的儿童安全座椅
NO343925B1 (no) * 2017-10-20 2019-07-08 Ekornes Asa Sittemodul
CN110103787A (zh) * 2019-05-05 2019-08-09 宁波环球娃娃婴童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倾斜角度的安全座椅
KR102459354B1 (ko) * 2021-06-18 2022-10-28 주식회사 세경카이프 유아용 안전시트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A (en) * 1845-04-22 Sawmill-carriage
GB191326446A (en) * 1913-11-18 1914-08-27 John Benjamin Penistan Self-adjustable Tilting Chair.
FR793673A (fr) * 1935-04-05 1936-01-29 Augmentation de la longueur et de l'inclinaison du dossier des fauteuils et similaires par avancement du siège
GB794138A (en) * 1955-12-20 1958-04-30 Res Interes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clining chairs
FR1596508A (ko) * 1968-07-18 1970-06-22
FR2527061B1 (fr) * 1982-05-19 1985-11-15 Ami Siege articule
DE4344812C2 (de) * 1993-12-28 2000-06-21 Hs Tech & Design Auf einem Kraftfahrzeugsitz befestigbarer Kindersitz
JPH0998849A (ja) * 1995-10-03 1997-04-15 Minerva:Kk 椅子の傾動装置
JP3288002B2 (ja) *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2075A (en) 2012-01-16
CN102371918A (zh) 2012-03-14
JP5650452B2 (ja) 2015-01-07
JP2012020686A (ja)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961A (ko)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US4230366A (en) Automotive seat with built-in child restraint
US7278683B2 (en) Child seat with object holder
US6196629B1 (en) Vehicular child safety seat
JP3416329B2 (ja) 子供用座席装置
US9771007B2 (en) Multi-position rear-facing child seat
JP5667807B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H1059034A (ja) 座面高さ可変の車両用シート
ES2236980T3 (es) Disposicion a menos dos asientos dispuestos uno junto a otro de una fila de asientos de un automovil.
CN208947133U (zh) 车辆座椅总成
JPH02106448A (ja) 子供用椅子を合体した車シート構造
CN100584247C (zh) 幼儿用座椅
JP5167359B2 (ja) 自動車シート用子供保護システム
ES2234178T3 (es) Disposicion de asientos con al menos dos asientos dispuestos uno al lado de otro de una fila de asientos de un vehiculo automovil.
CN209888698U (zh) 用于车辆的座椅总成
EP2662235A1 (en) Child vehicle seat and seat and base suitable for such a child vehicle seat
KR102448458B1 (ko) 차량의 시트 조립체
JP2001225684A (ja) 子供用座席を一体化した自動車座席
US10632888B2 (en) Manual recline swivel mechanism
CN113306464A (zh) 一种儿童安全座椅
KR101882766B1 (ko) 성인 및 유아 공용 의자
KR101040328B1 (ko) 자동차용 시트
CN114655089B (zh) 一种儿童安全座椅
JP4460873B2 (ja) 自転車及びその幼児用座席
CN116373703A (zh) 集成于汽车座椅的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