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789U - 밴드 클램프 - Google Patents

밴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789U
KR20120007789U KR2020110003841U KR20110003841U KR20120007789U KR 20120007789 U KR20120007789 U KR 20120007789U KR 2020110003841 U KR2020110003841 U KR 2020110003841U KR 20110003841 U KR20110003841 U KR 20110003841U KR 20120007789 U KR20120007789 U KR 20120007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xing
screw shaft
shaf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897Y1 (ko
Inventor
노건상
Original Assignee
노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건상 filed Critical 노건상
Priority to KR2020110003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9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클램핑부에 밴드의 타측단부을 삽입 관통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밴드의 양 단부를 연결함에 따라, 밴드 클램프를 설치하는 초기에 밴드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직경을 줄이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밴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밴드 클램프는, 타측단부에 다수의 경사장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 일측단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밴드의 상면과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전,후방 돌출판을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전,후방 돌출판의 일측에 일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진 경사장홀과; 상기 전,후방 경사장홀에 전,후방에 돌출된 회전축이 양측으로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회전 고정판과; 상기 회전 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축 고정홀과, 이 나사축 고정홀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형성된 축 통과개방부로 구성된 축 장착부와; 상기 나사축 고정홀에 일측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부가 삽입 고정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부의 일부가 상기 경사장홀들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머리부로 구성된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 클램프{BAND CLAMP}
본 고안은 밴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클램핑부에 밴드의 타측단부을 삽입 관통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밴드의 양 단부를 연결함에 따라, 밴드 클램프를 설치하는 초기에 밴드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직경을 줄이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밴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밴드 클램프라 함은, 경질의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에 신축성을 가진 연질의 호스나 배관 등의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즉 밴드 클램프은 경질 연결관의 외주연에 연질 연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질 연결관의 연결 부분의 외주연을 감사면서 클램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밴드 클램프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종래의 밴드 클램프의 일예로 대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9396호의 "밴드 클램프"(이하, "종래의 밴드 클램프"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밴드클램프는, 일측단부에서 일정 거리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가지는 띠형상의 환형 밴드와, 상기 환형 밴드의 타측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환형 밴드의 슬롯에 치합되는 조임 볼트를 구비하는 밴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조임 볼트의 꼬리부에는 둥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조임 볼트의 나사산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가 걸리게 되고, 상기 조임 볼트의 머리부(62)에는 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밴드 클램프는, 초기에 환형 밴드의 양단부를 연결하기위하여 환형밴드의 일측단부를 하우징에 삽입시켜 관통시킬 경우에는, 조임 볼트를 회전시켜 환형밴드의 일측단부를 하우징에 삽입 관통시켜야 한다.
따라서 초기에 환형밴드의 일측단부를 하우징에 관통시켜 환형 밴드의 직경을 줄이는 과정에서는, 드라이버를 통해 조임볼트를 많은 수로 회전시켜야 함으로써, 초기에 밴드 클램프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시간이 과다하게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밴드 클램프를 설치하는 초기에, 밴드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연결부에 밴드의 타측단부를 삽입시켜 관통시키는 과정만으로 밴드의 양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램핑부를 구성하는 고정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나사축의 나사산부를 하강시킴에 따라 밴드의 연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밴드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타측단부에 다수의 경사장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 일측단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밴드의 상면과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전,후방 돌출판을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전,후방 돌출판의 일측에 일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진 경사장홀과; 상기 전,후방 경사장홀에 전,후방에 돌출된 회전축이 양측으로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회전 고정판과; 상기 회전 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축 고정홀과, 이 나사축 고정홀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형성된 축 통과개방부로 구성된 축 장착부와; 상기 나사축 고정홀에 일측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부가 삽입 고정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부의 일부가 상기 경사장홀들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머리부로 구성된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밴드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클램핑부에 밴드의 타측단부을 삽입 관통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밴드의 양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밴드 클램프를 설치하는 초기에 밴드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직경을 줄이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램핑부를 구성하는 고정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나사축의 나사산부를 하강시킴에 따라 밴드의 연결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좀더 견고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밸트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사시도 이며,
도 2c는 정면도이고,
도 2d는 도 2b의 A-A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밸트 클램프를 통해 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부의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클램핑부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밸트의 타측단부를 클램핑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클램핑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클램핑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밸트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사시도 이며, 도 2c는 정면도이고, 도 2d는 도 2b의 A-A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밸트 클램프는, 타측단부에 다수의 경사장홀(2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밴드(10)와, 이 밴드(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1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핑부(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1)는, 밴드(10)의 일측단부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전,후방 돌출판(22)(23)에 형성된 경사장홀(3)과, 상기 전,후방 경사장홀(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고정판(4)과, 회전 고정판(4)의 중앙에 구비된 축 장착부(5)와, 축 장착부(5)에 고정되는 고정볼트(6)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브라켓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10) 일측단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10)의 상면과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21)과, 고정판(21)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전,후방 돌출판(22)(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21)은 밴드(10)의 상면과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타측이 상기 전,후방 돌출판(22)(23)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하향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판(21)의 절곡된 부분이 밴드(10)의 일측단부의 상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방 돌출판(22)(23)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양측의 모서리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밴드(10)의 설치시 모서리부에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경사장홀(3)은,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돌출판(22)(23)의 일측에 상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장홀(3)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하 단부와, 이 상하단부의 양측에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반원호형 단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회전 고정판(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경사장홀(3)에 전,후방에 돌출된 회전축(41)이 삽입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전,후방의 회전축(41)은 상기 전,후방에 형성된 경사장홀(3)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회전 고정판(4)의 전,후방에 돌출되는 것으로 판 형상의 돌출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축(41)은 회전 고정판(4)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싱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축 장착부(5)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고정판(4)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6)를 회전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 고정판(4)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축 고정홀(51)과, 이 나사축 고정홀(51)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축 통과개방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축 통과개방부(52)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형성된 것으로, 양측의 경사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축 통과개방부(52)에 상기 고정볼트(6)의 나사축(61)에 형성된 고정홈부(612)를 하부에서 상부로 빠지지 않게 삽입 고정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고정볼트(6)는, 나사축 고정홀(51)에 일측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부(612)가 삽입 고정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부(611)의 일부가 상기 경사장홀(20)들에 삽입되는 나사축(61)과, 나사축(61)의 타단에 구비되는 머리부(62)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축(61)에 형성된 고정홈부(612)는, 상기 축 장착부(5)를 구성하는 축 통과개방부(52)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고정판(4)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축 고정홀(51)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홈부(612)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상기 축 통과개방홀을 강제적인 힘으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나사축 고정홀(51)에 끼워진 후에는 하부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62)의 단부에는 공구인 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 또는 일자형의 공구 삽입홈(6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10)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장홀(20)들은 각 경사장홀(20)간의 거리인 피치가 상기 나사산부(611)의 피치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나사축(61)의 나사산부(611)가 상기 경사장홀(20)들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밸트 클램프를 통해 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부의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클램핑부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밸트의 타측단부를 클램핑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클램핑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클램핑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밸트 클램프를 이용하여 경질의 관(100)에 연질의 연결관(200)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의 관(100)의 외주연에 연질의 연결관(200)을 삽입한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부(1)을 구성하는 고정볼트(6)를 수직으로 세워 회전 고정판(4)을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회전 고정판(4)의 하부에 밸트 통과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회전 고정판(4)의 전,후방에 구비된 회전축(41)이 연결 브라켓(2)의 전,후방 돌출판(22)(23)에 형성된 경사장홀(3)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 밴드(10)의 타측 단부를 상기 회전 고정판(4)의 하부에 형성된 밸트 통과공간으로 삽입 관통시키면서, 밴드(10)를 상기 연질의 연결관(200)의 외주연에 신속히 감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밴드(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클램핑부(1)의 볼트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밴드(10)의 타측단부을 삽입 관통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밴드(10)의 직경을 신속히 줄임으로써, 밴드 클램프를 설치하는 초기에 밴드(10)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밴드(10)의 양단부를 클램핑부(1)에서 상호 포개어 연결한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졌던 고정볼트(6)를 수평상태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 고정판(4)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 고정판(4)의 전,후방에 구비된 회전축(41)이 상기 연결브라켓의 전,후방 돌출판(22)(23)에 형성된 경사장홀(3)의 타측 상부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도 3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6)의 머리부(62)에 형성된 공구 삽입홈(621)에 드라이버를 끼운 후 드라이버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6)의 나사축(61)에 형성된 나사산부(611)가 상기 밴드(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경사장홀(20)들에 삽입되면서 회전됨에 따라, 밴드(10)의 타측단부를 후방으로 당겨주게 됨으로써, 연질의 연결관(200)을 경질의 관(100)의 외주연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밴드(10)의 타측단부는 후방으로 당겨지고 나사축(61)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나사축(61)의 전방이 고정된 회전 고정판(4)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 고정판(4)의 전,후방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41)이 연결 브라켓(2)의 전,후방 돌출판(22)(23)에 형성된 경사장홀(3)의 일측 하부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 고정판(4)에 고정된 나사축(61)의 전체가 하부로 하강됨에 따라, 나사축(61)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부(611)가 상기 밴드(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경사장홀(20)들에 깊게 박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밴드(10)를 조이는 과정에서 고정볼트(6)를 구성하는 나사축(61)이 하강됨으로써, 나사산부(611)가 경사장홀(20)에 깊게 박히게 됨에 따라 밴드(10)의 연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질 관(100)의 외주연에 연질의 연결관(200)을 고정함에 있어서 우수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밴드 클램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클램핑부
2 : 연결 브라켓
21 : 고정판
22 : 전방 돌출판
23 : 후방 돌출판
3 : 경사장홀
4 : 회전 고정판
41 : 회전축
5 : 축 장착부
51 : 나사축 고정홀
52 : 축 통과개방부
6 : 고정볼트
61 : 나사축
611 : 나사산부, 612 : 고정홈부
62 : 머리부
621 : 공구 삽입홈
10 : 밴드
20 : 경사장홀
100 : 관
200 : 연결관

Claims (1)

  1. 타측단부에 다수의 경사장홀(2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밴드(10)와;
    상기 밴드(10) 일측단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밴드(10)의 상면과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21)과, 고정판(21)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전,후방 돌출판(22)(23)을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2)과;
    상기 전,후방 돌출판(22)(23)의 일측에 일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진 경사장홀(3)과;
    상기 전,후방 경사장홀(3)에 전,후방에 돌출된 회전축(41)이 양측으로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연결된 회전 고정판(4)과;
    상기 회전 고정판(4)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축 고정홀(51)과, 이 나사축 고정홀(51)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형성된 축 통과개방부(52)로 구성된 축 장착부(5)와;
    상기 나사축 고정홀(51)에 일측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부(612)가 삽입 고정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부(611)의 일부가 상기 경사장홀(20)들에 삽입되는 나사축(61)과, 나사축(61)의 타단에 구비되는 머리부(62)로 구성된 고정볼트(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클램프.
KR2020110003841U 2011-05-04 2011-05-04 밴드 클램프 KR200467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41U KR200467897Y1 (ko) 2011-05-04 2011-05-04 밴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41U KR200467897Y1 (ko) 2011-05-04 2011-05-04 밴드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89U true KR20120007789U (ko) 2012-11-14
KR200467897Y1 KR200467897Y1 (ko) 2013-07-10

Family

ID=4751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41U KR200467897Y1 (ko) 2011-05-04 2011-05-04 밴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52U (ko) * 2017-07-31 2019-02-11 조재영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KR20200076483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모터코어의 체결력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227U (ja) * 1994-12-26 1995-10-24 有限会社川村製作所 アジャストクランプ
DE19653005B4 (de) * 1996-12-19 2005-11-24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chlauchschelle
KR200169396Y1 (ko) 1999-03-16 2000-02-15 임윤식 밴드 클램프
KR200377801Y1 (ko) 2004-11-04 2005-03-11 오성종합기술(주) 조임식 이음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52U (ko) * 2017-07-31 2019-02-11 조재영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KR20200076483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모터코어의 체결력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897Y1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1513B2 (ja) 接続ナットおよびホールダウン工法
US9287637B2 (en) Split bolt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8274591A (ja) 屋根補修用金具とこれを用いた屋根補修構造
KR100893038B1 (ko) 벨트식 클램프
KR200467897Y1 (ko) 밴드 클램프
KR101263365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트 부재
KR101095174B1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JP6081828B2 (ja) 竪樋支持具
KR101170405B1 (ko) 벨트타입 클램프
KR101224843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US7090514B2 (en) Screw radial connector for electric wires
KR200360643Y1 (ko)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KR20100128767A (ko) 체결용 밴드
KR101334852B1 (ko) 벨트식 클램프
JP2009044890A (ja) 電線設備具
JP3104579U (ja) ボルトの回り止めプレート
JP3205407U (ja) 電動工具用吊り下げ具のホースバンド
CN215802400U (zh) 一种装配式墙板安装卡具
CN220491596U (zh) 一种电子鼓鼓架固定接头
KR200281931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2559393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JP6212371B2 (ja) 固定手段のキャップ
KR200468582Y1 (ko) 완철용 접지클램프
CN204040324U (zh) 金属屋面的锁边夹具
KR200257532Y1 (ko) 밴드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