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801Y1 - 조임식 이음관 - Google Patents

조임식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801Y1
KR200377801Y1 KR20-2004-0031199U KR20040031199U KR200377801Y1 KR 200377801 Y1 KR200377801 Y1 KR 200377801Y1 KR 20040031199 U KR20040031199 U KR 20040031199U KR 200377801 Y1 KR200377801 Y1 KR 200377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pipe
spiral
joi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오성종합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종합기술(주) filed Critical 오성종합기술(주)
Priority to KR20-2004-0031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임식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파형관들을 서로 결합하는 이음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나선형 조임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나선형 조임 부재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가 커버 내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음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나선형 조임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선형 돌기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으로 전진하는 사선형 슬릿이 형성된 스트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임식 이음관{Binding type joint pipe}
본 고안은 조임식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형관들을 서로 결합하는 이음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임식으로 이음관 시공이 가능한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외주면이 나선요철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관은 지중에 전선 등의 케이블을 매립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파형관은 필요에 따라 여러개를 연결하여 사용되게 되는데, 상기 파형관을 이어주는데 사용되는 것이 이음관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을 사용한 작업을 설명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 작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파형관(10)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음관(30)이 사용되고 있다.
작업자가 작업 도중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파형관(10)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파형관(10)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 낸 후, 이음관(30)을 두 개의 파형관(10)이 연결될 곳에 위치시킨다. 즉, 종래의 이음관(30)은 측부가 개방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기는 하지만, 이음관(30)의 탄성이 별로 없기 때문에, 개방된 부분을 벌려서 파형관(10)을 삽입할 수 없으므로, 전술된 바와 같이 파형관(10)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낸 후 이음관(30)을 끼워서 작업하게 된다.
이후, 두 개의 파형관(10)을 맞댄 후 실링 기능을 수행하는 환형의 연성튜브(50)를 이음 부분에 씌운 다음, 스테인레스 박판(20)과 함께 이음관을 삽입한다. 여기서 박판(20)은 이음관(3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이음관 체결 부분을 통해 연성튜브(50)가 이음관(30) 밖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이음관(30)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여 이음관(30)을 조이게 된다. 이음관(30)의 체결에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는 도3을 참조로 후술될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상태가 도2에 도시된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40)을 내장한 파형관(10)이 연성튜브(50), 박판(20)과 함께 이음관(30)에 내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음관(30)의 체결 방법을 도3을 참조로 기술한다.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 작업시의 체결 작업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30)의 체결은 허리 부분이 오목하게 파여진 볼트(32)와 너트(34)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음관(30)의 일단에 볼트(32)를 위치시키고 타단에 너트(34)를 위치시킨다.
이후, 볼트(32)를 드라이버 또는 렌치 등을 사용하여 회전시켜 너트(34)와 결합시킨다.
결합이 완료되면, 볼트(32)의 일부가 이음관(30) 밖으로 돌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은 작업자의 안전 사고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하게 파여진 허리 부분을 절단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에 따른 이음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이음관의 개방된 부분을 벌려서 파형관을 삽입할 수 있을 만큼 이음관의 탄성을 크게 만들 수 없기 때문에, 파형관의 이음 작업 전에 미리 파형관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작업과 이음관의 끼움 작업을 선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해서 하나씩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볼트와 너트의 체결 후에도 볼트를 절단하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파형관을 서로 이격시키는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파형관 이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음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음관의 양단을 조임식으로 쉽고 빠르게 체결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임식 이음관은,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나선형 조임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나선형 조임 부재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가 커버 내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음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나선형 조임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선형 돌기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으로 전진하는 사선형 슬릿이 형성된 스트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이음관은, 상부 이음관과 하부 이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이음관과 상기 하부 이음관은 힌지를 통해 서로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된 스트랩은, 사선형 슬릿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임식 이음관은,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인더가 결합되고, 상기 바인더의 내부에는, 원의 외주를 따라 조임 돌기가 형성되고 원의 일부에는 조임 손잡이가 형성된 조임부와, 원의 외주를 따라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원의 일부에는 해제 손잡이가 형성된 고정부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음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바인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조임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에 걸릴 수 있는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된 스트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이음관은, 상부 이음관과 하부 이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이음관과 상기 하부 이음관은 힌지를 통해 서로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체결부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100)은 일단에 나선형 조임 부재(110)가 결합되고, 타단에 스트랩(150)이 결합된다. 나선형 조임 부재(110)와 스트랩(150)이 서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이음관(100)의 양단이 결합되게 되는데, 나선형 조임 부재(110)는 나선형 돌기(114)가 형성된 회전체(112)가 나선형 조임 부재(110)의 커버(116) 내에서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스트랩(150)에는 사선형 슬릿(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선형 조임 부재(110)와 스트랩(150)의 체결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 체결부의 체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2)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114)와 스트랩(150)에 형성된 사선형 슬릿(152)이 서로 결합되어 이음관(100)의 양단을 조이게 된다.
즉, 회전체(11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형 돌기(114)가 회전되고, 나선형 돌기(114)의 회전에 따라 사선형 슬릿(152)이 도5를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나선형 돌기(114)와 사선형 슬릿(152)의 동작에 따라 이음관(100)의 양단이 이루고 있는 원주의 길이가 줄어들어 파형관(10)을 단단히 조이게 된다.
또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100)은 힌지를 통해 두 개의 이음관이 회절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100)은 상부 이음관(102)과 하부 이음관(104)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부 이음관(102)과 하부 이음관(104)은 힌지(160)를 통해 서로 회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시공시에 파형관을 서로 이격시킨 후 이음관을 끼우지 않고도, 파형관(10) 양단을 맞댄 후 이음부분에 미리 끼워진 연성 튜브(50)를 거치시킨 다음, 힌지(160)를 통해 상부 이음관(102)과 하부 이음관(104)을 벌려서 연성튜브(50)가 끼워진 파형관(10) 이음부를 감쌀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 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7을 참조로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사용한 작업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연결해야 할 두 개의 파형관(10)이 위치된 곳에, 힌지(160)를 사용하여 상부 이음관(102)과 하부 이음관(104)을 벌려서 이음관(100)을 위치시킨다.
이후, 박판(20)을 연성튜브(50) 외곽과 이음관(100) 체결부분 안쪽에 위치시킨 후, 나선형 조임 부재(110)의 회전체(11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114)와 사선형 슬릿(152)이 결합되게 하여 상부 이음관(102)과 하부 이음관(104)을 체결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8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설명한다.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200)은 일단에 바인더(210)가 결합되고, 타단에 스트랩(250)이 결합된다. 바인더(210)와 스트랩(250)이 서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이음관(200)의 양단이 결합되게 되는데, 바인더(210)는 크게 조임부(222)와 고정부(220)로 구성된다.
조임부(222)는 원의 외주를 따라 조임 돌기(212)가 형성되고, 원의 일부에는 조임 손잡이(214)가 형성된다. 고정부(220)는 원의 외주를 따라 고정 돌기(216)가 형성되고, 원의 일부에는 해제 손잡이(218)가 형성된다.
스트랩(250)의 돌기부(252)가 먼저 조임 돌기(212)와 맞물려서 도8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밀려오게 된다. 이후 돌기부(252)는 고정 돌기(216)에 맞물려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스트랩(250)의 돌기부(252)는 한쪽으로만 경사지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 돌기(212)와 고정 돌기(216)의 돌기와 맞물려서 반대 방향으로(도8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 이동되지 않게 된다. 스트랩을 너무 조인 경우에는, 해제 손잡이(218)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 돌기(216)가 없는 매끈한 부분으로 인해 스트랩(250)과 닿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도8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스트랩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200)도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100)과 마찬가지로, 힌지를 통해 두 개의 이음관이 회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 도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200)도 상부 이음관(202)과 하부 이음관(204)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부 이음관(202)과 하부 이음관(204)은 힌지(260)를 통해 서로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장점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되었기에 그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0을 참조로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사용한 작업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연결해야 할 두 개의 파형관(10)이 위치된 곳에, 파형관 양단을 맞댄 후 이음 부분에 미리 끼워진 연성튜브(50)를 거치시킨 다음, 힌지(260)를 사용하여 상부 이음관(202)과 하부 이음관(204)을 벌려서 연성 튜브 외곽에 이음관(200)을 위치시켜 감싼다.
이후, 박판(20)을 연성튜브(50) 외곽과 이음관 체결부분 안쪽에 위치시킨 후, 바인더(210)의 조임부(222)에 형성된 조임 손잡이(214)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스트랩(250)에 형성된 돌기부(252)가 조임 돌기(212)와 맞물려서 이음관(200)이 조여지게 된다. 스트랩(250)이 이동을 계속하면서 고정 돌기(216)와도 맞물린다. 이후, 작업자가 조임 손잡이(214)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중지하면, 상부 이음관(202)과 하부 이음관(204)의 체결 동작이 마무리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파형관을 서로 이격시키는 작업 없이도 파형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음관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음관의 양단을 조임식으로 쉽고 빠르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 체결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 작업시의 체결 작업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 체결부의 체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사용한 작업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사용한 작업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형관 20: 스테인레스 박판
30: 이음관 32: 볼트
34: 너트 40: 전선
50: 연성 튜브 100: 이음관
102: 상부 이음관 104: 하부 이음관
110: 나선형 조임 부재 112: 회전체
114: 나선형 돌기 116: 커버
150: 스트랩 152: 사선형 슬릿
160: 힌지 200: 이음관
202: 상부 이음관 204: 하부 이음관
210: 바인더 212: 조임 돌기
214: 조임 손잡이 216: 고정 돌기
218: 해제 손잡이 250: 스트랩
252: 돌기부 260: 힌지

Claims (5)

  1.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나선형 조임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나선형 조임 부재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가 커버 내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음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나선형 조임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선형 돌기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으로 전진하는 사선형 슬릿이 형성된 스트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식 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상부 이음관과 하부 이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이음관과 상기 하부 이음관은 힌지를 통해 서로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식 이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사선형 슬릿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식 이음관.
  4. 삭제
  5. 삭제
KR20-2004-0031199U 2004-11-04 2004-11-04 조임식 이음관 KR200377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199U KR200377801Y1 (ko) 2004-11-04 2004-11-04 조임식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199U KR200377801Y1 (ko) 2004-11-04 2004-11-04 조임식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801Y1 true KR200377801Y1 (ko) 2005-03-11

Family

ID=436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199U KR200377801Y1 (ko) 2004-11-04 2004-11-04 조임식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97Y1 (ko) 2011-05-04 2013-07-10 노건상 밴드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97Y1 (ko) 2011-05-04 2013-07-10 노건상 밴드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189B2 (ja) 少なくとも2つのパーツを有するナット
JP4659824B2 (ja) 変形可能なメカニカル管継手
US4521940A (en) Hose clamp
US6322273B1 (en) Joint restraint assembly
CA2698587C (en) Sealable drain pipe coupling
KR200377801Y1 (ko) 조임식 이음관
JP3945469B2 (ja) ホースクランプを事前に位置決めするためのホースクランプとホースとの接続
US4194768A (en) Liquid-tight connector
KR200409466Y1 (ko) 조임식 이음관
KR20170003058A (ko) 결합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374255Y1 (ko) 원터치식 이음관
JPH0749840B2 (ja) 管継手
WO2022180959A1 (ja) 管継手
KR20230100265A (ko) 관 이음 장치
KR200255474Y1 (ko) 회전 니플을 구비한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JP2554712B2 (ja) 波形管用管継手
JP2550157Y2 (ja) 波形管用管継手
JP5964697B2 (ja) 取付治具
JP2619598B2 (ja) 取付管の接続継手
KR102363635B1 (ko) 파형관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방법
KR200496826Y1 (ko)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CN113775827B (zh) 可变向管夹
JP2544039Y2 (ja) 異径ホース継手
JP4568630B2 (ja) 管継手
JP3542070B2 (ja) 軟質樹脂管用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