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475U - 안전망 충격 시험기 - Google Patents

안전망 충격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475U
KR20120007475U KR2020120007642U KR20120007642U KR20120007475U KR 20120007475 U KR20120007475 U KR 20120007475U KR 2020120007642 U KR2020120007642 U KR 2020120007642U KR 20120007642 U KR20120007642 U KR 20120007642U KR 20120007475 U KR20120007475 U KR 201200074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weight
safety net
lifter
weigh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용
김학도
Original Assignee
(주)청아아이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아아이앤시 filed Critical (주)청아아이앤시
Priority to KR2020120007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475U/ko
Publication of KR20120007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Abstract

본 고안의 과제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망의 성능을 미리 시험할 수 있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시험추(10)와, 상기 시험추(10)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추(10)를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20)와, 상기 리프터(20)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리프터(20)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프터(20)가 상기 시험추(10)를 분리하여 상기 시험추(10)가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제어모듈(30)과, 상기 시험추(10)의 연직하방에 위치하고, 중공의 구조체인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안전망(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망 충격 시험기{APPARATUS FOR TESTING OF SAFETY NET IMPACT}
본 고안은 안전망 충격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추락사고 시의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안전망의 성능을 시험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현장에서는 여러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각종 중장비에 의한 안전사고는 물론이고, 작업자의 낙하, 기기오작동, 조작미숙, 작업통제 실수 등에 기인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시설이 요구된다.
즉, 공사현장에서 공사장비나 작업자를 적절하게 통제하여, 작업자가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불의의 사고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안전장비가 필요하다. 특히, 비계 또는 거푸집 구조체에 작업자가 몸을 지탱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벨트를 하지 않아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락사고로 인해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사 현장에서 공사 인부들에게 이러한 위험 현상들에 대해 충분하게 설명을 하고 그 결과를 인지시키지만, 반복되는 공사 현장에서의 습관 때문에 그 위험의 결과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안전 행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만약의 경우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아래로 추락하는 경우 발생하는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안전장비가 절실히 요구된다.
대표적인 안전장비로서 안전망을 들 수 있다. 안전망은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그물형상의 안전설비로서, 일정한 신축성 내지 탄력성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안전망의 반동으로 인해 작업자가 지면으로 직접 추락하는 경우에 받는 충격에 비해 매우 경미한 충격만을 입게 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05196호
위와 같은 대표적인 안전예방설비인 안전망은 직접 직하하는 작업자의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할 정도의 내구성 및 강도를 갖추어야 한다. 만약 작업자가 실수로 안전망으로 낙하하였으나 안전망이 파손되는 등으로 안전망을 관통하여 지면에 낙하한다면 안전망으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는 반대로 적절한 신축성을 유지하는 것 이상으로 높은 신축성을 가져서 작업자가 안전망으로 인해 큰 반동을 얻게 되면 다시 높이 튀어 올랐다가 지면으로 낙하하여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따라서, 안전망은 적절한 충격에 적절한 반동을 가하도록 제작되어 작업자가 추락해도 안전하게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안전망이 적절한 성능을 갖추었는지 미리 시험할 수 있는 시험장비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되었으며, 본 고안의 과제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망의 성능을 미리 시험할 수 있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안전망의 성능을 미리 시험함으로써, 실제 작업자가 안전망으로 낙하하기 전에 미리 적절한 안전망의 내충격성을 시험할 수 있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시험추와, 상기 시험추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추를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리프터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프터가 상기 시험추를 분리하여 상기 시험추가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시험추의 연직하방에 위치하고, 중공의 구조체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안전망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의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시에 직접 지면에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망을 미리 시험하여 적절한 내충격성을 가지는지 시험해볼 수 있도록 하고, 안전망 시험 결과에 따라 안전망을 보강하여 부실한 안전망으로 인한 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에서 시험추가 낙하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시험추(10)와, 상기 시험추(10)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추(10)를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20)와, 상기 리프터(20)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리프터(20)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프터(20)가 상기 시험추(10)를 분리하여 상기 시험추(10)가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제어모듈(30)과, 상기 시험추(10)의 연직하방에 위치하고, 중공의 구조체인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안전망(50)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망(50)이 적절한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지를 미리 시험하여, 실제 작업자가 비계 등의 구조물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안전망(50)에 낙하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반동에 의해 부상없이 안전하게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는 리프터(20)에 의해 시험추(10)를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린 후, 제어모듈(30)이 리프터(20)에 명령을 송출하면 리프터(20)가 시험추(10)를 자유낙하시키게 된다. 하강하는 시험추(10)는 지지대(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망(50)과 충돌하게 된다. 이 때, 안전망(50)은 신축성 내지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험추(10)가 안전망(50)을 관통하는 일 없이 안전망(50)의 반동에 의해 시험추(10)가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무게추(10)의 무게 및 하강높이에 대한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여, 위와 같은 실험을 반복하여 안전망(50)이 실제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지를 시험할 수 있다. 이 때, 무게추(10)는 다른 종류의 다양한 무게를 갖는 추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선택에 따라 도시된 원통 형상과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안전망 충격 시험기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 충격 시험기의 무게추(10)가 상승할 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게추(10)와 직접 연결되어 무게추(10)를 들어올리는 리프터(20)는 구체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와, 모터(2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릴(22)과, 릴(22)에 권취되는 케이블(23)과, 케이블(23)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풀리(25, 26)와, 케이블(23)의 무게추(10)와 인접한 측의 말단부에 연결된 전자기발생부(2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2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2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릴(22)이 위치하며, 이 릴(22)에는 케이블(23)이 권취되어 있다. 케이블(23)은 무게추(10)를 들어올릴 때 걸리는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여러 겹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케이블(23)은 무게추(10)를 들어올리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어모듈(30)로부터 전자기발생부(24)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23)은 하나 이상 구비된 풀리(25, 26)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경되어 최종적으로 시험추(10)를 자기력에 의해 지탱하고 있는 전자기발생부(24)와 연결된다. 전자기발생부(24)는 제어모듈(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무게추(10)를 들어올리는 동안에는 자기력을 발생시켜 무게추(10)와의 인력에 의해 무게추(10)가 낙하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무게추(10)는 바람직하게 자기력에 의해 반응할 수 있는 자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모듈(30)에서 신호를 보내 전자기 발생부(24)에서 무게추(10)를 끌어당기고 있는 자기력의 발생을 중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무게추(10)는 중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무게추(10)가 낙하하여 지지대(40)의 상부면에 고정된 안전망(50)을 충격하여 충격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이 때, 무게추(10)가 자유낙하할 때, 낙하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60)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직접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낙하시작 시점과 감지센서(60)의 감지 시점까지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높이를 고려해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속도는 제어모듈(30)로 송출된다. 제어모듈(30)에서는 측정된 낙하속도와 입력된 무게추(10)의 무게를 바탕으로 하여 자유낙하로 인해 안전망(50) 가해지는 충격량을 계산하게 되고, 계산된 충격량 값을 시험 진행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0)는 바람직하게 LED 또는 LCD 표시장치 일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 : 시험추 20 : 리프터
21 : 모터 22 : 릴
23 : 케이블 24 : 전자기발생부
25 : 제1 풀리 26 : 제2 풀리
30 : 제어모듈 40 : 지지대
50 : 안전망 60 : 감지센서
70 : 표시부

Claims (7)

  1. 일정한 무게를 갖는 시험추와,
    상기 시험추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추를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리프터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프터가 상기 시험추를 분리하여 상기 시험추가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시험추의 연직하방에 위치하고, 중공의 구조체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안전망을 포함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2. 일정한 무게를 갖는 시험추와,
    상기 시험추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리프터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프터가 상기 시험추를 분리하여 상기 시험추가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시험추의 하부에 위치하고, 중공의 구조체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위치하는 안전망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망은 상기 시험추의 폭보다 넓고,
    상기 시험추는 상기 안전망의 임의의 위치에 낙하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3. 일정한 무게를 갖는 시험추와,
    상기 시험추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리프터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프터가 상기 시험추를 분리하여 상기 시험추가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시험추의 하부에 위치하고, 중공의 구조체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위치하는 안전망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망은 상기 시험추의 폭보다 넓고,
    상기 시험추는 상기 안전망의 임의의 위치에 낙하하고,
    상기 안전망은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시험추는 상기 안전망에 자유낙하할 때 상기 안전망의 반동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전달받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릴과,
    상기 릴에 권취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추는 자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기 리프터의 상기 시험추와 연결된 단부에는 전자기발생부가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와 상기 시험추 간에 전자기력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추가 자유낙하 할 때 낙하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속도와 입력된 상기 시험추의 무게를 기초로 충격량을 계산하고,
    상기 충격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망 충격 시험기.
KR2020120007642U 2012-08-28 2012-08-28 안전망 충격 시험기 KR201200074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42U KR20120007475U (ko) 2012-08-28 2012-08-28 안전망 충격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42U KR20120007475U (ko) 2012-08-28 2012-08-28 안전망 충격 시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543A Division KR20110118005A (ko) 2010-04-22 2010-04-22 안전망 충격 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75U true KR20120007475U (ko) 2012-10-30

Family

ID=4751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42U KR20120007475U (ko) 2012-08-28 2012-08-28 안전망 충격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47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6149A (zh) * 2013-01-05 2013-05-01 西安建筑科技大学 预应力钢丝网冲击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3323224A (zh) * 2013-06-20 2013-09-25 国家电网公司 一种防坠落安全检测装置
CN104568361A (zh) * 2014-12-30 2015-04-29 广东华田电器有限公司 安全网自动检测装置
CN109186917A (zh) * 2018-10-12 2019-01-11 广东建源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网耐冲击试验装置
CN110196147A (zh) * 2019-05-21 2019-09-03 西南交通大学 一种多维多向多功能联合冲击试验台
CN114323534A (zh) * 2022-01-05 2022-04-12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一种模拟坠落撞击测试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6149A (zh) * 2013-01-05 2013-05-01 西安建筑科技大学 预应力钢丝网冲击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3076149B (zh) * 2013-01-05 2014-12-17 西安建筑科技大学 预应力钢丝网冲击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3323224A (zh) * 2013-06-20 2013-09-25 国家电网公司 一种防坠落安全检测装置
CN104568361A (zh) * 2014-12-30 2015-04-29 广东华田电器有限公司 安全网自动检测装置
CN109186917A (zh) * 2018-10-12 2019-01-11 广东建源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网耐冲击试验装置
CN109186917B (zh) * 2018-10-12 2024-05-03 广东建源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网耐冲击试验装置
CN110196147A (zh) * 2019-05-21 2019-09-03 西南交通大学 一种多维多向多功能联合冲击试验台
CN114323534A (zh) * 2022-01-05 2022-04-12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一种模拟坠落撞击测试设备
CN114323534B (zh) * 2022-01-05 2024-04-09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一种模拟坠落撞击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475U (ko) 안전망 충격 시험기
KR20110118005A (ko) 안전망 충격 시험기
ES2702536T3 (es) Control y evaluación de estado de par de frenado
CN103687798B (zh) 用于高压电塔和风轮塔的升降机
CN105683084B (zh) 用于检测用于起重设备的高强度纤维绳索的报废状态的设备
EP2865628B1 (en) Inspection tests for an elevator without additional test weights
US20110042165A1 (en)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CN102458593A (zh) 用于提供攀缘辅助的设备和方法
JP5224933B2 (ja) エレベーターの復旧運転方法および装置
MXPA06013238A (es) Metodo de medicion con reduccion de fuerza para mecanismos de traccion, en particular mecanismos de impulsion por polea motriz para ascensores.
JP2009161302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調整方法
JP2016195763A (ja) 落下保護装置
KR20180057326A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및 비상정지장치 연동 시험장치
JP5989372B2 (ja) 安全柵
CN108455397A (zh) 电梯安全系统和监控电梯系统的方法
JP4253600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試験方法
JP3198995U (ja) X線撮影装置
KR20190076724A (ko)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 장치
JP5877909B2 (ja) 上方空間を維持するためのかご止めを含む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106015B1 (ko)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JP56731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7235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belt
KR101495830B1 (ko) 승강식 피난기용 성능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CN211527797U (zh) 一种安全带综合测试架
Wimer et al. Evaluating the stability of a freestanding Mast Climbing Work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