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15B1 -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15B1
KR102106015B1 KR1020187029810A KR20187029810A KR102106015B1 KR 102106015 B1 KR102106015 B1 KR 102106015B1 KR 1020187029810 A KR1020187029810 A KR 1020187029810A KR 20187029810 A KR20187029810 A KR 20187029810A KR 102106015 B1 KR102106015 B1 KR 10210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heel
pair
rope
elevato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935A (ko
Inventor
가즈히로 히라키
아키히로 가도이
도요히로 노구치
야스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Abstract

승강로를 따라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와, 로프 걺 작업시에서의 로프의 U자부가 하부로부터 걸려지는 휠, 휠을 지지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 중심축, 휠 중심축을 매개로 하여 휠을 지지하는 휠 지지부 및 휠 중심축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위치와 수직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휠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가지며, 가이드 장치에 마련되는 휠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본 발명은, 로프 걺 작업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강로를 따라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와, 가이드 장치에 마련되고, 로프 걺 작업시에서의 로프의 U자부가 하부로부터 걸려지는 휠을 구비하며, 휠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서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가이드 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0-344440호 공보
그렇지만, 휠에 하부로부터 U자부가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로프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는 로프의 꼬임을 해소한 상태에서 휠로부터 로프의 U자부를 떼어낼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휠에 하부로부터 U자부가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로프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는, 승강로를 따라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와, 로프 걺 작업시에서의 로프의 U자부가 하부로부터 걸려지는 휠, 휠을 지지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 중심축, 휠 중심축을 매개로 하여 휠을 지지하는 휠 지지부 및 휠 중심축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위치와 수직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휠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가지며, 가이드 장치에 마련되는 휠 장치를 구비하며, 휠 지지부는, 로프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휠 중심축이 수직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 위치로 변위하도록 회동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에 의하면, 휠 중심축이 수직 위치와 경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므로, 휠에 하부로부터 U자부가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로프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로프의 꼬임을 해소한 상태에서 휠로부터 로프의 U자부를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휠 중심축이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플레이트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를 이용하여 로프 걺 작업을 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2:1 로핑 엘리베이터에서의 로프(2)를 가설(架設)하는 로프 걺 작업시에 이용된다. 이 예에서는, 로프(2)를 균형추의 서스펜션 쉬브(suspension sheave)에 가설하는 로프 걺 작업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승강로(3)를 따라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101)와, 가이드 장치(101)에 마련되는 휠 장치(10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장치(10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03)와, 한 쌍의 가이드부(103)에 걸쳐서 마련되고, 휠 장치(102)를 지지하는 메인 빔(beam)(104)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가이드 레일(4)을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고, 가이드 레일(4)의 폭방향면(面)을 전동(轉動)하는 한 쌍의 롤러(105)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 장치(106)와, 롤러(10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마련되고, 가이드 레일(4)을 전동하는 롤러(105)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부(107)와, 메인 빔(104)에 지지되고, 롤러 장치(106) 및 이물 제거부(107)를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108)를 가지고 있다. 롤러 장치(106)는, 가이드 레일(4)의 꼭대기면을 전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2개의 롤러 장치(106)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103)에서의 2개의 롤러 장치(106)는,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도시하지 않은 자석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철로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에 흡인된다.
메인 빔(104)은, 이미 가설된 로프인 기가설(旣架設) 로프에 대해서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대향하는 영역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메인 빔(104)은, 각각의 가이드부(103)에 접속된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beam部)(109)와,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109)에 걸쳐서 마련된 휠측 빔부(110)와, 가이드측 빔부(109)와 휠측 빔부(110)에 걸쳐서 마련된 복수의 볼트(111)와, 각각의 볼트(111)에 끼워진 복수의 너트(11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109) 및 휠측 빔부(110)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103)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경우에, 가이드측 빔부(109) 및 휠측 빔부(110)의 길이 방향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이 된다.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109) 중 일방의 가이드측 빔부(109)에는, 가이드측 빔부(109)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111)는, 긴 구멍(113)에 삽입되어 있다. 볼트(111)와 너트(112)가 가이드측 빔부(109) 및 휠측 빔부(110)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휠측 빔부(110)에 대한 가이드측 빔부(109)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한편, 볼트(111)와 너트(112)에 의한 가이드측 빔부(109) 및 휠측 빔부(11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서, 휠측 빔부(110)에 대해서 가이드측 빔부(10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109) 중 타방의 가이드측 빔부(109)에는, 복수의 둥근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둥근 구멍(114)는, 가이드측 빔부(109)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볼트(111)는, 둥근 구멍(114)에 삽입되어 있다. 볼트(111)가 삽입되는 둥근 구멍(114)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 휠측 빔부(110)에 대한 가이드측 빔부(109)의 위치가 바뀐다. 또,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109) 중 타방의 가이드측 빔부(109)에는, 둥근 구멍(114)이 아니라, 긴 구멍(113)이 형성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볼트(111)와 너트(112)에 의한 가이드측 빔부(109) 및 휠측 빔부(11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서, 휠측 빔부(110)에 대해서 가이드측 빔부(10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휠측 빔부(110)에 대한 한 쌍의 가이드측 빔부(109)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메인 빔(104)은, 한 쌍의 가이드부(103)의 사이의 치수가 변화되도록 신축된다.
휠 장치(102)는, 로프 걺 작업시에서의 로프(2)의 U자부(21)가 하부로부터 걸려지는 휠(115)과, 휠(115)을 지지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 중심축(116)과, 휠 중심축(116)을 매개로 하여 휠(115)을 지지하는 휠 지지부(117)와, 휠측 빔부(110)에 마련되고, 휠 지지부(11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118)를 가지고 있다.
휠 지지부(117)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19)를 가지고 있다. 휠 중심축(116)은, 한 쌍의 플레이트(119)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회동 지지부(118)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위치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경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휠 중심축(116)이 변위하도록 휠 지지부(11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4는 도 2의 휠 중심축(116)이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휠 지지부(117)의 하단부는, 휠 지지부(117)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메인 빔(104)의 휠측 빔부(110)에 부딪히도록 되어 있다. 휠 지지부(117)의 하단부가 메인 빔(104)에 부딪히는 것에 의해서, 휠 지지부(117)의 회동 범위로 제한된다. 메인 빔(104)은, 휠 지지부(117)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가이드 장치(101)와 휠 장치(102)에 걸쳐 마련되는 회동 규제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 규제부(120)는, 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120)는, 휠 중심축(116)의 위치가 수직 위치인 경우에, 회동 규제부(120)가 가이드 장치(101)의 휠측 빔부(110)와 휠 장치(102)의 휠 지지부(117)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회동 규제부(120)가 휠측 빔부(110)와 휠 지지부(117)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회동 지지부(118)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휠 중심축(116)의 위치가 수직 위치에 유지된다. 휠(115)은, 휠 중심축(1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휠(115)에 마련되어 휠(115)에 걸려진 로프(2)의 U자부(21)가 휠(115)로부터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로프 커버(121)와, 가이드 장치(101)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커버(122)와,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휠(115)을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발광 장치(1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호 커버(122)는, 가이드 장치(101)가 낙하하고,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의 하부에 설정된 부재에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가 충돌하는 경우에, 가이드 장치(101) 및 휠 장치(102)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한다. 또, 보호 커버(122)는, 보호 커버(122)가 가치면(假置面)에 놓여진 경우에, 가이드 장치(101)를 지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 장치(102)는, 한 쌍의 플레이트(119) 중 일방의 플레이트와 휠측 빔부(110)에 걸쳐서 마련된 경첩(124)과, 경첩(124)보다도 상부로서, 한 쌍의 플레이트(119) 중 일방의 플레이트와 휠측 빔부(110)에 걸쳐서 마련된 볼트(125)와, 볼트(125)에 끼워지는 너트(126)를 더 가지고 있다.
도 6은 도 3의 플레이트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방의 플레이트(119)는, 경첩(12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휠 중심축(116)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와, 휠 중심축(116)으로부터 떨어지는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일방의 플레이트(119)의 위치가 장착 위치인 경우에, 일방의 플레이트(119)는, 타방의 플레이트(119)와 함께 휠 중심축(116)을 지지한다. 일방의 플레이트(119)의 위치가 해방 위치인 경우에, 로프(2)의 U자부(21)는, 휠(115)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로프 커버(121)는, 일방의 플레이트(119)와 함께 변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25)는, 일방의 플레이트(119)의 위치가 장착 위치인 경우에, 한 쌍의 플레이트(119) 중 일방의 플레이트(119)와 휠측 빔부(110)에 걸쳐서 배치 가능하게 된다. 볼트(125)에 너트(126)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일방의 플레이트(119)의 위치가 장착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이용하여 로프 걺 작업을 행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이용하여 로프 걺 작업을 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승강로(3)의 상부에 배치하고,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에 오른 작업자는, 로프(2)의 U자부(21)를 휠(115)에 하부로부터 걸고, 또, 로프 커버(121)를 휠(115)에 장착한다.
그 후, 볼트(111)와 너트(112)에 의한 가이드측 빔부(109) 및 휠측 빔부(110)의 고정을 해제하고, 메인 빔(104)을 신축시켜, 가이드부(103)를 가이드 레일(4)에 접촉시킨다. 이 때, 둥근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측 빔부(109)는, 서로 이웃하는 둥근 구멍(114)의 치수에 대응하여, 휠측 빔부(110)에 대해서 크게 슬라이드시킨다. 긴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측 빔부(109)는, 메인 빔(104)의 길이의 미세 조정을 하도록, 휠측 빔부(110)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킨다.
그 후, 귄회 드럼(6)으로부터 로프(2)를 송출하고,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수하(垂下)시킨다. 이 때,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에 오른 작업자는, 발광 장치(123)가 내보내는 광(光)을 보고,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귄회 드럼(6)으로부터 로프(2)를 송출한다.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가 수하할 때에, 롤러(105)에 부착된 이물은, 이물 제거부(107)에 의해서 롤러(105)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스무스하게 수하된다.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가 승강로(3)에서의 목적 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에 오른 작업자는, 귄회 드럼(6)으로부터의 로프(2)의 송출을 정지한다. 그 후, 피트에 설치된 발판(7)에 오른 작업자는, 회동 규제부(120)를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로프(2)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휠 중심축(116)이 수직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로 변위하도록 휠 지지부(117)가 회동 지지부(118)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휠(115)은, 휠 지지부(1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한다. 휠 지지부(117)의 회동은, 휠 지지부(117)의 하단부가 메인 빔(104)에 부딪히는 것에 의해서 제한된다.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에 오른 작업자는, 로프(2)의 단부인 로프 섀클(shackle)(22)을, 로프(2)의 꼬임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프(2)의 꼬임이 해소되는 것에 의해서, 휠 중심축(116)이 경사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변위하도록 휠 지지부(117)가 회동 지지부(118)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휠(115)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때,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에 오른 작업자는, 발광 장치(123)가 내보내는 광을 보는 것에 의해서, 휠(115)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다.
로프(2)의 꼬임이 해소된 후, 발판(7)에 오른 작업자는, 너트(126)를 볼트(125)로부터 떼어내고, 볼트(125)를 플레이트(119)로부터 떼어내어, 플레이트(119)를 장착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 때, 로프 커버(121)는, 플레이트(119)와 함께 휠(115)로부터 떼어내어진다. 그 후, 작업자는, 로프(2)를 휠(115)로부터 떼어낸다.
그 후, 휠(115)로부터 떼어내어진 로프(2)를 균형추(8)의 서스펜션 쉬브(81)에 건다. 모든 로프(2)가 서스펜션 쉬브(81)에 걸릴 때까지, 상술의 순서를 반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에 의하면, 승강로(3)를 따라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101)와, 로프 걺 작업시에서의 로프(2)의 U자부(21)가 하부로부터 걸려지는 휠(115), 휠(115)을 지지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 중심축(116), 휠 중심축(116)을 매개로 하여 휠(115)을 지지하는 휠 지지부(117) 및 휠 중심축(116)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위치와 수직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휠 지지부(11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118)를 가지며, 가이드 장치(101)에 마련되는 휠 장치(10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휠(115)에 하부로부터 U자부(21)가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로프(2)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로프(2)의 꼬임을 해소한 상태에서 휠(115)로부터 로프(2)의 U자부(21)를 떼어낼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휠 지지부(117)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휠(115)이 1주(周)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프(2)가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장치(10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03)와, 한 쌍의 가이드부(103)에 걸쳐서 마련되고, 휠 장치(102)를 지지하는 메인 빔(104)을 가지며, 메인 빔(104)은, 이미 가설된 로프(2)인 기가설 로프에 대해서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대향하는 영역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장치(101)가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수하하는 경우에, 가이드 장치(101)가 기가설 로프에 부딛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휠(115)은, 휠 중심축(1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가 수하하는 경우에, 휠(115)과 로프(2)와의 사이에 미끄럼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프(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가이드 장치(101)와 휠 장치(102)에 걸쳐서 마련되고, 휠 중심축(116)의 위치가 수직 위치인 경우에 회동 지지부(118)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1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수하시킬 때에 휠 중심축(116)이 수직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장치(10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03)를 가지며,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가이드 레일(4)을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롤러(105)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 장치(106)를 가지며, 가이드부(103)에서의 복수의 롤러 장치(106)는,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마련되므로, 가이드 장치(101)는, 안정되게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수하할 수 있다. 특히, 메인 빔(104)이, 이미 가설된 로프(2)인 기가설 로프에 대해서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이 대향하는 영역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가이드 장치(101)는, 안정되게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수하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장치(10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03)를 가지며,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가이드 레일(4)을 전동하는 롤러(105)와, 가이드 레일(4)을 전동하는 롤러(105)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부(107)를 가지고 있으므로, 롤러(105)는 스무스하게 가이드 레일(4)을 전동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장치(10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03)와, 한 쌍의 가이드부(103)에 걸쳐 마련되는 메인 빔(104)을 가지며, 메인 빔(104)은, 한 쌍의 가이드부(103)의 사이의 치수가 변화되도록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사이의 치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동일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장치(10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03)를 가지며, 각각의 가이드부(103)는, 자석을 가지고,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4)에 흡인되므로, 가이드부(103)를 용이하게 가이드 레일(4)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휠(115)에 걸려진 로프(2)의 U자부(21)가 휠(115)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로프 커버(12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수하시킬 때에, 휠(115)로부터 로프(2)의 U자부(21)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가이드 장치(101)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커버(122)를 구비하며, 보호 커버(122)는, 보호 커버(122)가 가치면에 놓여진 경우에, 가이드 장치(101)를 지지하므로, 가이드 장치(101)가 낙하하여 가이드 장치(101)보다도 하부에 있는 부재에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가 충돌하는 경우에, 가이드 장치(101)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를 자립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는,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휠(115)을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발광 장치(12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가 승강로(3)에서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고, 또, 휠 중심축(116)이 수직 위치 및 경사 위치 중 어디에 있는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로프(2)를 균형추의 서스펜션 쉬브에 가설하는 로프 걺 작업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1)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 외의 서스펜션 쉬브에 가설하는 로프 걺 작업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라도 좋다.

Claims (12)

  1. 승강로를 따라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와,
    로프 걺 작업시에서의 로프의 U자부가 하부로부터 걸려지는 휠, 상기 휠을 지지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 중심축, 상기 휠 중심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휠을 지지하는 휠 지지부 및 상기 휠 중심축이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위치와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상기 휠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장치에 마련되는 휠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휠 지지부는, 상기 로프에 꼬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휠 중심축이 상기 수직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 위치로 변위하도록 회동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지지부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휠 장치를 지지하는 메인 빔(beam)을 가지며,
    상기 메인 빔은, 이미 가설(架設)된 로프인 기가설(旣架設) 로프에 대해서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이 대향하는 영역에 대해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와 상기 휠 장치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휠 중심축의 위치가 상기 수직 위치인 경우에 상기 회동 지지부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폭방향으로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 장치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에서의 복수의 상기 롤러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전동(轉動)하는 롤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을 전동하는 상기 롤러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 걸쳐 마련되는 메인 빔을 가지며,
    상기 메인 빔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의 치수가 변화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각각에 의해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는, 자석을 가지고,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인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에 걸려진 상기 로프의 U자부가 상기 휠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로프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보호 커버가 가치면(假置面)에 놓여진 경우에, 상기 가이드 장치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휠을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발광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KR1020187029810A 2016-04-22 2016-04-22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KR102106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2788 WO2017183189A1 (ja) 2016-04-22 2016-04-22 エレベータロープ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935A KR20180124935A (ko) 2018-11-21
KR102106015B1 true KR102106015B1 (ko) 2020-04-29

Family

ID=6011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810A KR102106015B1 (ko) 2016-04-22 2016-04-22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51886B2 (ko)
KR (1) KR102106015B1 (ko)
CN (1) CN109071168B (ko)
WO (1) WO2017183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4172B1 (en) * 2018-04-30 2023-11-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gear actuation device
EP3564171B1 (en) 2018-04-30 2021-04-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gear actuation device
WO2020035930A1 (ja) * 2018-08-16 2020-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用のロープおろし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440A (ja) * 1999-06-04 2000-12-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2: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掛け作業方法およびその主ロープ案内装置
JP2010260677A (ja) * 2009-05-01 2010-11-18 Toshiba Elevator Co Ltd 磁気ガ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6543A (en) * 1978-02-28 1979-09-10 Toshiba Corp Grooved pulley for elevator
JPS6016477U (ja) * 1983-07-08 198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JPH06107392A (ja) * 1992-09-29 1994-04-19 Toshiba Corp 斜行エレベータの清掃装置
JP3377711B2 (ja) * 1996-12-11 2003-02-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5522792B2 (ja) * 2010-07-30 2014-06-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440A (ja) * 1999-06-04 2000-12-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2: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掛け作業方法およびその主ロープ案内装置
JP2010260677A (ja) * 2009-05-01 2010-11-18 Toshiba Elevator Co Ltd 磁気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935A (ko) 2018-11-21
CN109071168A (zh) 2018-12-21
JPWO2017183189A1 (ja) 2018-04-26
JP6351886B2 (ja) 2018-07-04
WO2017183189A1 (ja) 2017-10-26
CN109071168B (zh)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015B1 (ko) 엘리베이터 로프 안내 장치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JP623827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579736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64689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05097B1 (ja) カウンタウェイトの搬送レール及びカウンタウェイト搬送方法
JP627063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7033513B2 (ja)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交換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交換方法
CN109250603B (zh) 电梯的绳索脱落防止辅具和电梯的绳索更换方法
JP5966996B2 (ja) 主ロープ取り替え用補助具
JP6250107B1 (ja) エレベーター改修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改修用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6218483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固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152963B2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追加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6721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50458B2 (ja) エレベーターのオモリ撤去装置およびオモリ撤去方法
JP6847319B1 (ja) エレベーターロープ交換作業用のロープ送り支援治具
JP6211216B2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引上レバー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7040305B2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支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支持方法
WO2019239516A1 (ja) エレベーターの重り枠組立支援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重り枠組立方法
SU16666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роблени твердых материалов
JP5300036B1 (ja) ワイヤロープ繰り出し装置
JP6909178B2 (ja) ロープ案内装置及びロープ交換方法
JP680666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020735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