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733A -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33A
KR20120006733A KR1020100067367A KR20100067367A KR20120006733A KR 20120006733 A KR20120006733 A KR 20120006733A KR 1020100067367 A KR1020100067367 A KR 1020100067367A KR 20100067367 A KR20100067367 A KR 20100067367A KR 20120006733 A KR20120006733 A KR 2012000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power
regulator
microcomput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567B1 (ko
Inventor
조창룡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동키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이그니션 전원을 수신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1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 레귤레이터;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의 제1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자동차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는 마이컴; 상기 베터리 전압을 상기 제1 전원 보다 작은 제2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2 전원을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서브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의 제2 전원에 따라 활성화하여 상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BATTERY VOLATAGE}
본 발명은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원은 발전기에서 발전하여, 그 전력(전압과 전류의 곱의 총칭)을 전기 부하와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한다. 전기 부하가 커서 발전기의 발전 전력만으로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로부터 방전하여 전력을 전기 부하에 공급한다.
발전기의 발전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발전기는 상시 규정의 발전 전압을 유지하도록 발전하고 있고, 그러한 발전 때문에 쓸데없이 연료를 소비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수년 전부터, 차량을 감속할 때의 연료 컷(cut)시에 집중적으로 발전기를 발전시키고, 연료를 분사하고 있는 아이들(idle)이나 일정 속 주행, 가속 주행시의 발전기의 발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가변전압 발전방식의 시스템 채용이 시작되었다.
도 1에 차속(a), 발전기의 발전 전압(b), 연료 분사량(c)의 관계를 시간 축에 맞추어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엔진전자제어기(이씨유/ECU)와 발전제어용 알터네이터가 추가 되었는데, 발전 제어용 알터네이터는 이씨유에서 제어하는 목표전압 값을 수신하여 발전 전압을 설정 / 레귤레이팅 하며 이씨유에 실제 발전량을 출력하여 피드 백 제어를 가능토록 한다.
상기한 시스템을 갖춘 차량에서는 가속을 오프(off)한 차량 감속 시에 연료 컷하고 있고, 그 사이에서만 발전기의 발전 전압을 높게 설정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차량 감속 시 이외에는 각 자동차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발전기의 발전을 정지하거나 최소한의 발전으로 억제함으로써 엔진 풀리에 연결된 발전기의 부하(발전부하/역기전력)를 최소화하는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발전기를 통한 발전 부하를 최소화하여 연료 소비를 대폭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차종에 따라 연비 상승 효과를 1 ~ 3% 정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 베터리 전압의 모니터링은 연비 개선에 중요한 로직 중이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베터리 전압의 모니터링하기 위한 별도의 마이컴과,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용 마이컴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 레귤레이터가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즉, 베터리 전압용 모니터링 마이컴 및 레귤레이터의 구동에 따른 소비 전력이 크고, 또한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원으로 정형화하고 시동키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이그니션 전원을 수신될 때 상기 제1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 레귤레이터와,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의 제1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자동차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는 마이컴과, 상기 베터리 전압을 상기 제1 전원 보다 작은 제2 전원으로 정형화한 후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서브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의 제2 전원에 따라 활성화하여 상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서브 레귤레이터의 추가만으로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을 정형화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1 전원에 의해 구동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상기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경우 상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타이머의 추가만으로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시동키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이그니션 전원을 수신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1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 레귤레이터;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의 제1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자동차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는 마이컴;
상기 베터리 전압을 상기 제1 전원 보다 작은 제2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2 전원을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서브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의 제2 전원에 따라 활성화하여 상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원은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마이컴을 활성화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전원은,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마이컴을 활성화하는 제2 웨이크 업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웨이크 업 신호는
상기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최소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구동 전원 및 상기 구동 전원 보다 큰 제3 전원 중 하나를 정형화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구동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3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상기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트리거 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생성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타이머의 트리거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베터리 전압을 상기 제3 전원 보다 큰 제4 전원으로 정형화하고 정형된 제4 전원을 상기 마이컴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4 전원으로 활성화하여 자동차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레귤레이터의 추가하는 구성으로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작업 공정이 용이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고, 또한, 타이머를 추가 설치하는 구성으로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에 대한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는,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때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2 전원을 정형화환 후 마이컴에 제공하고 마이컴에서 상기 제2 전원을 제공받아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베터리(10), 메인 레귤레이터(30), 마이컴(50), 및 서브 레귤레이터(70)로 구비된다.
상기 베터리(10)는 발전용 알터네이터 또는 자동차의 소비되는 전압을 축적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베터리(10)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30)는 상기 시동키의 온 상태로 스위칭될 때 수신되는 이그니션 전원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베터리(10) 전원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마이컴(50)을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도록 제1 웨이크업 신호로 상기 마이컴(50)에 공급된다.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제1 전원을 제공받아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해당 시스템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레귤레이터(30)는 정형된 제1 전원을 마이컴에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정형된 제1 전원이 미리 정해진 소정치 이상일 때 제1 웨이크 업 신호의 고전위 레벨로 마이컴에 제공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어 이그니션 전원이 메인 레귤레이터(30)에 공급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1 전원의 공급이 정지되므로, 상기 마이컴(50)의 구동은 정지된다.
한편,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70)는 상기 베터리(10) 전원을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제1 전원 보다 작은 값의 제2 전원을 정형화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2 전원은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최소값이고, 상기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웨이크업 신호로서, 마이컴(50)에 제공되며, 제2 전원을 제공받은 마이컴(50)은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제2 전원을 미리 정해진 판단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웨이크 업 신호의 레벨을 결정하여 결정된 제2 웨이크 업 신호를 마이컴에 제공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우선 시동키가 온 상태로 스위칭되면, 상기 이그니션 전원이 메인 레귤레이터(30)에 제공되고,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30)는 베터리(10)의 전원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으로 정형화한 후 졍형된 제1 전원을 상기 마이컴(50)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제1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시스템에 각각 제공된다.
이 후 상기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이그니션 전원이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30)에 제공되지 아니하게 됨에 따라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30)가 디스에이블되어 마이컴(50)은 제1 전원이 마이컴(50)에 공급되지 아니함에 따라 상기 마이컴(50)의 제어 신호 생성은 정지되고, 그로 인해 시스템의 구동은 정지된다.
한편,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70)는 베터리(10) 전원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제2 전원을 정형화한 후 정형된 제2 전원은 상기 마이컴(50)에 공급한다.
상기 마이컴(50)은 정형된 제2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한 후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레귤레이터(70)에서 미리 정해진 최소치로 설정되는 제2 전원을 정형화하고 정형화된 제2 전원에 의해 마이컴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마이컴에서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함에 따라 서브 레귤레이터(70)의 추가하는 구성만으로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작업 공정이 용이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는, 타이머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3 전원을 마이컴에 제공되어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베터리(100), 타이머(300), 레귤레이터(500), 및 마이컴(700)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타이머(300)와 마이컴(700)이 분리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베터리(100)는 발전기의 발전 전압 또는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축적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500)는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때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구동 전원으로 정형화하고 정형된 구동 전원을 상기 타이머(300)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받은 상기 타이머(300)는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트리거 신호를 저전위 레벨로 생성하여 상기 레귤레이터(5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500)는 트리거 신호가 저전위 레벨로 수신될 때 베터리(100)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3 전원으로 정형화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전원은 상기 구동 전원 보다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3 전원은 마이컴(700)로 전송된다.
싱기 마이컴(700)은 상기 제3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한 후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타이머(300)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하여 트리거 신호가 고전위 레벨로 생성되어 레귤레이터(500)에 제공되면, 상기 레귤레이터(500)는 인에이블되어 상기 베터리 (100)의 전압을 상기 제4 전원으로 정형화한 후 상기 제3 전원 보다 큰 제4 전원을 마이컴(700)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마이컴(700)은 수신되는 제4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하여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 시스템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의 트리거 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레귤레이터가 인에이블되어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지 아니한 경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반대로 타이머의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가 인에이블되어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고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레귤레이터(500)는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때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구동 전원으로 정형화하고 정형화된 구동 전원은 타이머(300)에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300)는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500)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3 전원으로 정형화한 후 정형된 제3 전원을 마이컴(700)에 전송한다.
상기 마이컴(700)은 상기 제3 전원으로 웨이크 업하여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한다.
이어 상기 타이머(300)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500)로 전송한다.
상기 레귤레이터(500)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수신된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4 전원으로 정형화한 후 정형된 제4 전원을 마이컴(700)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컴(700)은 상기 제4 전원으로 웨이크 업 한 후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의 해당 시스템으로 제공한다.
즉, 타이머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아니한 경우 제3 전원에 마이컴에 제공되어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생성된 트리거 신호로 상기 제 3 전원 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4 전원을 마이컴으로 제공하여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이 구동됨에 따라 타이머의 구동에 따라 베터리 전압의 모니터링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고,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대한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서브 레귤레이터의 제2 전원을 제공받아 배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거나 타이머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아니한 경우 제3 전원에 마이컴에 제공되어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생성된 트리거 신호로 상기 제 3 전원 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4 전원을 마이컴으로 제공하여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이 구동됨에 따라 타이머의 구동에 따라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고,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대한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12)

  1. 시동키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이그니션 전원을 수신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1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 레귤레이터;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의 제1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자동차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는 마이컴;
    상기 베터리 전압을 상기 제1 전원 보다 작은 제2 전원으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2 전원을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서브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의 제2 전원에 따라 활성화하여 상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은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마이컴을 활성화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은,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마이컴을 활성화하는 제2 웨이크 업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상기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최소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는
    상기 시동키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이그니션 전원이 공급될 때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1 전원으로 정화화한 후 정형된 제1 전원이 미리 정해진 소정치 이상일 때 자동차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발생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는
    상기 시동키의 스위칭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또는 정형된 제1 전원이 미리 정해진 소정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저전위 레벨로 발생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2 전원으로 정형화하고 정형된 제2 전원이 미리 정해진 판단 기준치 이상일 때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웨이크 업 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생성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브 레귤레이터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제2 전원으로 정형화하고 정형된 제2 전원이 미리 정해진 판단 기준치 이상이 아닌 경우 베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웨이크 업 신호를 저전위 레벨로 생성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9.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압을 미리 정해진 구동 전원 및 상기 구동 전원 보다 큰 제3 전원 중 하나를 정형화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구동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3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하여 상기 베터리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트리거 신호을 고전위 레벨로 발생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타이머의 트리거 신호가 고전위 레벨로 수신될 때 상기 베터리 전압을 상기 제4 전원을 상기 마이컴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4 전원으로 활성화하여 자동차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KR1020100067367A 2010-07-13 2010-07-13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KR10172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67A KR101721567B1 (ko) 2010-07-13 2010-07-13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67A KR101721567B1 (ko) 2010-07-13 2010-07-13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33A true KR20120006733A (ko) 2012-01-19
KR101721567B1 KR101721567B1 (ko) 2017-03-30

Family

ID=4561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367A KR101721567B1 (ko) 2010-07-13 2010-07-13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9464A (zh) * 2019-06-18 2019-09-1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防爆车辆用隔爆型低压备用电源装置
KR102394340B1 (ko) * 2021-08-27 2022-05-06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WO2024039101A1 (ko) * 2022-08-18 2024-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그니션 웨이크업 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944A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다출력 전원 레귤레이터 회로
KR20030037479A (ko) * 2001-11-05 2003-05-14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에스씨알을 이용한 베터리의 일시 개방 진단 장치
JP2009003663A (ja) * 2007-06-21 2009-01-08 Hitachi Ltd 電源制御装置
KR20100011564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원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944A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다출력 전원 레귤레이터 회로
KR20030037479A (ko) * 2001-11-05 2003-05-14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에스씨알을 이용한 베터리의 일시 개방 진단 장치
JP2009003663A (ja) * 2007-06-21 2009-01-08 Hitachi Ltd 電源制御装置
KR20100011564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원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9464A (zh) * 2019-06-18 2019-09-1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防爆车辆用隔爆型低压备用电源装置
KR102394340B1 (ko) * 2021-08-27 2022-05-06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WO2023027355A1 (ko) * 2021-08-27 2023-03-02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WO2024039101A1 (ko) * 2022-08-18 2024-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그니션 웨이크업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67B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3247B2 (en) Control apparatus for motor generator of hybrid vehicle
CN103780177B (zh) 一种汽车交流发电机电压调节器及电压调节方法
CN111836740B (zh) 电动车辆的充电控制装置
CN103935258A (zh) 车辆的电源系统和包括其的车辆
CN106314183B (zh) 一种基于双超级电容能源管理系统的电动汽车控制方法
JP2013062980A (ja) 電子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JP2006335097A (ja) 補機付きのエンジンの制御装置
CN101519074A (zh) 一种可外接充电式混合动力汽车发电机组的控制方法
JP2011190735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装置、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及び、エンジン始動方法
KR20120006733A (ko) 베터리 전압 모니터링 장치
CN105383420B (zh) 利用瞬间操作提供升压电压
KR101407973B1 (ko) 차량용 전원 장치
KR20130011293A (ko) 차량용 배터리충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394276B (zh) 电源控制系统
JP2005344645A (ja) 電源装置
JP5277976B2 (ja) 車両の発電制御装置
JP3136912U (ja) 自動車に装備した冷凍機の運転制御装置
JP6898812B2 (ja) エンジンシステム
CN110733345A (zh) 高低压直流转换器的控制方法及装置
US11260740B2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KR100236226B1 (ko)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KR20140121645A (ko)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03249A (ko) 자동차의 전원 장치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16545247B (zh) 一种带定时唤醒的xEV功能集成式电机控制器的上下电方法
JP2013224069A (ja) 車両のバッテリ上が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