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732U -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32U
KR20120006732U KR2020110002363U KR20110002363U KR20120006732U KR 20120006732 U KR20120006732 U KR 20120006732U KR 2020110002363 U KR2020110002363 U KR 2020110002363U KR 20110002363 U KR20110002363 U KR 20110002363U KR 20120006732 U KR20120006732 U KR 20120006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bed
electric motor
rail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856Y1 (ko
Inventor
최승열
Original Assignee
최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열 filed Critical 최승열
Priority to KR2020110002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5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1)가 구비된 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침대(100) 아래에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3); 상기 베이스(3)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1) 좌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제1난간(4); 상기 제1난간(4)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35, 36); 상기 각 레일(35, 36)과 치합되는 승강부재(33, 34); 상기 베이스(3)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1) 우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제2난간(5); 상기 제2난간(5)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45, 46); 상기 각 레일(45, 46)과 치합되는 승강부재(43, 44); 상기 베이스(3)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 상기 베이스(3) 내측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0)로 제어신호로 정역회전하는 제1전동모터(30) 및 제2전동모터(40); 상기 제1전동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기(31)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33, 34)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32); 상기 제2전동모터(40)의 회전력을 감속기(41)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43, 44)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로 제1전동모터(30)와 제2전동모터(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동되어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침대의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을 각각 설치하고, 난간을 원격에서 리모컨의 조작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자는 도중에 낙상하는 위험이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침대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Height Adjusting of Bed Guard}
본 고안은 침대 난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Bed)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구이다. 침대는 오랜 역사를 통해 사용된 것으로, 형상이나 모양뿐만 아니라, 기능과 용도도 다양하다. 침대는 재료의 개발과 생산기술의 진보로 다양한 형식의 것이 만들어지게 되어 실용성과 아울러 새로운 의미에서의 장식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용도에 따라 일반가정용 침대, 병원용 침대, 군대용 침대, 차량침대, 계단침대, 알코브 침대, 소파겸용 침대 등이 있고, 크기에 따라서 더블 침대(2인용, 킹 또는 퀸 사이즈), 싱글(1인용), 세미더블(싱글과 더블의 중간형), 어린이용 및 유아용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 밖에 2단 침대, 간단히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야전용 목조침대인 아이디얼 베드 등이 있다. 보통 가정용 침대는 프레임(틀), 헤드보드, 풋보드, 보텀(바닥), 매트리스의 4개 부분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은 침대 전체의 형을 구성하는 부분인데, 표준적인 형은 틀의 전후에 헤드보드나 풋보드를 붙인다. 바닥판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부분인데 대나 판자를 발식으로 붙인 것, 네트식, 스프링식 등의 종류가 있다. 매트리스는 일반 스프링, 포켓스프링, 천연 또는 가공 라텍스 등이 적용된 것이 있다.
종래 침대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사용자가 침대에서 자는 동안에 뒤척이다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사용자가 무의식중에 떨어지면서 부상을 당할 수 있고, 특히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에는 더 큰 상처나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인용 침대는 체격이 큰 사용자 2명이 사용하면 다소 좁다는 느낌을 줄 수 있었다. 더욱이 침대를 방에 설치할 때에 방이 크지 않으면 침대의 좌측이나 우측 중에서 어느 한 쪽은 벽면과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벽면에 침대가 밀착된 방향으로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지만, 벽면에 밀착되지 않은 쪽에서는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내재되어 있고, 또, 침대를 사용할 때에 벽면에 밀착되지 않은 한 쪽에서만 오르고 내리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방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침대를 방 가운데 설치하여 좌측방향이나 우측방향에서 자유롭게 오르고 내릴 수 있는 반면, 침대에서 자는 동안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침대에 설치된 난간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지만, 난간은 대부분 고정식으로 제작되므로 한번 설치된 난간을 쉽게 분리할 수 없어 침대 사용에 불편을 주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일정 크기의 폭을 갖는 난간을 설치하여 침대에서 자는 도중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침대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로 매트리스의 수평면과 동일한 위치에 난간을 위치시킴으로써, 침대 좌우측으로 사용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침대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로 양측 난간의 선택적인 승강으로 침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침대에 설치된 난간에 의하여 침대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는, 매트리스가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아래에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 좌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제1난간; 상기 제1난간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각 레일과 치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 우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제2난간; 상기 제2난간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각 레일과 치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베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베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컨트롤러로 제어신호로 정역회전하는 제1전동모터 및 제2전동모터; 상기 제1전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 상기 제2전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로 제1전동모터와 제2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동되어 제1난간과 제2난간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의 높낮이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이 포함되고,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리모컨에는 제1난간 및 제2난간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전체 난간조작버튼부와, 제1난간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1난간조작버튼부와, 제2난간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2난간조작버튼부와, 제1난간과 제2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작동시키거나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시작/정지버튼과, 제1난간과 제2난간의 작동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컨트롤러에서 제1난간 및 제2난간의 작동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하여, 침대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로 사용자가 자는 동안에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 난간의 선택적인 승강 조작으로 침대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침대 양측에 난간 설치로 인하여 침대의 사용공간을 넓힐 수 있고, 침대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한 리모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침대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는 통상의 침대, 즉 매트리스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고, 난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포함되고, 난간 높낮이의 조정을 위한 리모컨이 포함된다. 더욱이 난간과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가 침대와 일체형으로 제작 설치된 침대도 포함될 것이다.
베이스(3)는 침대(100) 아래에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3)에는 난간(30, 40)이 승강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난간(30, 40)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발생과 동력전달수단이 내장되며, 난간(30, 4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0)도 내장된다.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각각 베이스(3)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1) 좌측면과 우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것이다. 제1난간(4)과 제2난간(5)은 매트리스(1)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여 침대(100)로부터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리스(1)의 넓이를 확장하거나 매트리스(1)로부터 바닥면 사이에 단턱을 형성하거나 소파와 같이 기댈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제1난간(30)과 제2난간(40)은 매트리스(1)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단단한 재질이어도 좋다.
상기 제1난간(4) 내측에는 복수의 레일(35, 36)이 설치된다. 레일(35, 36)은 제1난간(4)에 고정 결합되어 제1난간(4)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레일(35, 36)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레일(35, 36)과 승강부재(33, 34)가 치합된다.
또한, 상기 제2난간(5) 내측에도 복수의 레일(45, 46)이 설치된다. 레일(45, 46)은 제2난간(5)에 고정 결합되어 제2난간(5)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레일(45, 46)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레일(45, 46)과 승강부재(43, 44)가 치합된다.
승강부재(33, 34) 또는 (43, 44)은 베이스(3) 내측에서 각 레일(35, 36) 또는 (45, 46)과 치합되는 것으로, 각 레일(35, 36) 또는 (45, 46)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회전력을 발휘하여 레일(35, 36) 또는 (45, 46)에 전달하는 것이다.
컨트롤러(20)는 베이스(3)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컨트롤러(20)는 마이컴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컨트롤러(20)는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신호로 제1전동모터(30)와 제2전동모터(40)를 구동시키고, 컨트롤러(20)의 작동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장치(220에 저장하는 것이다.
제1전동모터(30)는 베이스(3) 좌측 내부에 설치되고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로 정역회전하는 것으로, 제1전동모터(30)는 제1난간(4)을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제2전동모터(40)는 베이스(3) 우측 내부에 설치되고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로 정역회전하는 것으로, 제2전동모터(40)는 제2난간(5)을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제1동력전달부재(32)는 제1전동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기(31)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33, 34)로 전달하는 것으로, 복수의 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동력전달부재(42)는 제2전동모터(40)의 회전력을 감속기(41)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43, 44)로 전달하는 것으로, 복수의 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원격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10)이 포함된다. 리모컨(10)은 제1난간(4)과 제2난간(5)의 높낮이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컨트롤러(20)에는 리모컨(1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20)로 출력하는 수신부(21)가 포함된다.
리모컨(10)에는 제1난간(4) 및 제2난간(5)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전체 난간조작버튼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전체 난간조작버튼부(12)에는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로 작동되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 버튼은 한 번의 입력으로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모두 최고점과 최저점까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난간(4)과 제2난간(5)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승강 위치는 레일에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되어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으로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체 난간조작버튼부(12)에는 제1난간(4)과 제2난간(5)의 승강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 버튼의 조작으로 제1난간(4)과 제2난간(5)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난간조작버튼부(13)는 제1난간(4)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것으로, 제1난간조작버튼부(13)에는 제1난간(4)을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로 작동되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 버튼은 한 번의 입력으로 제1난간(4)을 최고점과 최저점까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난간(4)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승강 위치는 레일에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되어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으로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난간조작버튼부(13)에는 제1난간(4)의 승강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 버튼의 조작으로 제1난간(4)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난간조작버튼부(14)는 제2난간(5)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것으로, 제2난간조작버튼부(14)에는 제2난간(5)을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로 작동되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 버튼은 한 번의 입력으로 제2난간(5)을 최고점과 최저점까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난간(5)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승강 위치는 레일에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되어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으로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난간조작버튼부(14)에는 제2난간(5)의 승강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 버튼의 조작으로 제2난간(5)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작/정지버튼(11)은 제1난간(4)과 제2난간(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누르거나 작동 중인 제1난간(4)이나 제2난간(5)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10)을 사용하기 위하여 처음에 시작/정지버튼(11)을 누르면 전체 난간조작버튼부(12)와 제1난간조작버튼부(13) 및 제2난간조작버튼부(14)에 각각 구비된 해당 버튼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버튼의 조작 중에 제1난간(4) 및/또는 제2난간(5)의 작동을 멈추기 위하여 시작/정지버튼(11)을 누르면 작동 중안 제1난간(4)이나 제2난간(5)의 작동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버튼부(15)는 사용자가 조작된 현재의 제1난간(4) 및/또는 제2난간(5)의 작동위치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된 것이다. 메모리버튼부(15)는 3개의 메모리버튼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 버튼은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메모리버튼부(15)의 메모리버튼의 입력은 저장장치(220에 저장된다. 즉 컨트롤러(20)에서 제1난간(4) 및 제2난간(5)의 작동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부(21)를 통해 리모컨(10)으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제1난간(4) 및 제2난간(5)의 위치정보를 저장장치(220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20)는 리모컨(10)의 메모리버튼부(15)의 해당 메모리버튼의 입력이 수신되면 저장장치(220에 저장된 제1난간(4) 및 제2난간(5)의 위치정보에 따라 제1전동모터(30)와 제2전동모터(40)를 구동시킨다.
본 고안에서 침대의 매트리스 양측에 설치된 제1난간(4)과 제2난간(5)의 조작위치에 관하여 실시예를 도 3에서 살펴보면, 도 3a에서, 제1난간(4)과 제2난간(5)이 매트리스(1)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에 걸터앉았을 때에 제1난간(4)이나 제2난간(5) 위에 발은 올려놓을 수 있고, 제1난간(4)이나 제2난간(5)에 앉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b는 제1난간(4)과 제2난간(5)이 매트리스(1)의 상면과 수평위치까지 상승된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의 넓이를 제1난간(4)과 제2난간(5)까지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트리스(1)를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체격이 크거나 2인 이상이 침대(100)의 매트리스(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c는 제1난간(4)과 제2난간(5)이 매트리스(1)의 상면보다 더 높이 상승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 위에서 자는 동안에 낙상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에 자는 도중에 매트리스(1)로부터 낙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침대(100)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는 침대의 양측에 승강이 가능한 난간을 각각 설치하고, 난간을 원격에서 리모컨의 조작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자는 도중에 낙상하는 위험이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침대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매트리스 3: 베이스 4: 제1난간 5: 제2난간 10: 리모컨 11: 시작/정지버튼 12: 전체 난간조작버튼부 13: 제1난간조작버튼부 14: 제2난간조작버튼부 15: 메모리버튼부 20: 컨트롤러 21: 수신부 22: 저장장치 30: 제1전동모터 31, 41: 감속기 32: 제1동력전달부재 33, 34, 43, 44: 승강부재 35, 36, 45, 46: 레일 40: 제2전동모터 42: 제2동력전달부재 100: 침대

Claims (4)

  1. 매트리스(1)가 구비된 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침대(100) 아래에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3);
    상기 베이스(3)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1) 좌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제1난간(4);
    상기 제1난간(4)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35, 36);
    상기 각 레일(35, 36)과 치합되는 승강부재(33, 34);
    상기 베이스(3) 내측으로부터 매트리스(1) 우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하는 제2난간(5);
    상기 제2난간(5)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45, 46);
    상기 각 레일(45, 46)과 치합되는 승강부재(43, 44);
    상기 베이스(3)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
    상기 베이스(3) 내측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0)로 제어신호로 정역회전하는 제1전동모터(30) 및 제2전동모터(40);
    상기 제1전동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기(31)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33, 34)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32);
    상기 제2전동모터(40)의 회전력을 감속기(41)를 통해 감속시킨 후에 각 승강부재(43, 44)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로 제1전동모터(30)와 제2전동모터(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동되어 제1난간(4)과 제2난간(5)을 승강시키는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4)과 제2난간(5)의 높낮이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10)이 포함되고, 리모컨(1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20)로 출력하는 수신부(21)가 포함된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10)에는 제1난간(4) 및 제2난간(5)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전체 난간조작버튼부(12)와, 제1난간(4)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1난간조작버튼부(13)와, 제2난간(5)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2난간조작버튼부(14)와, 제1난간(4)과 제2난간(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작동시키거나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시작/정지버튼(11)과, 제1난간(4)과 제2난간의 작동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메모리버튼부(15)가 더 포함된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에서 제1난간(4) 및 제2난간(5)의 작동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220가 더 포함된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110002363U 2011-03-22 2011-03-22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68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63U KR200468856Y1 (ko) 2011-03-22 2011-03-22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63U KR200468856Y1 (ko) 2011-03-22 2011-03-22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32U true KR20120006732U (ko) 2012-10-04
KR200468856Y1 KR200468856Y1 (ko) 2013-09-04

Family

ID=4750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363U KR200468856Y1 (ko) 2011-03-22 2011-03-22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45B1 (ko) *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
KR200474848Y1 (ko) * 2013-08-12 2014-10-22 조기환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CN112790551A (zh) * 2020-12-27 2021-05-14 焦作大学 一种智能学生床
KR20220160276A (ko) * 2021-05-27 2022-12-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튼식 침대 모션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16Y1 (ko) * 2000-02-25 2000-08-16 박상규 자동 온열 치료기용 이동식 승하강장치의 소음 방지장치
JP2010124860A (ja) * 2008-11-25 2010-06-10 Toyota Motor Corp ベッ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45B1 (ko) *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
KR200474848Y1 (ko) * 2013-08-12 2014-10-22 조기환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CN112790551A (zh) * 2020-12-27 2021-05-14 焦作大学 一种智能学生床
CN112790551B (zh) * 2020-12-27 2024-03-19 焦作大学 一种智能学生床
KR20220160276A (ko) * 2021-05-27 2022-12-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튼식 침대 모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56Y1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88128B (zh) 预防褥疮医疗床
JP5227444B2 (ja) マットレスの構造
CA2743223C (en) An infant bed
US11284725B2 (en) Inflatable mattress bumper system
KR200468856Y1 (ko)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JP2015096201A (ja) 患者支持体の高さを自動的に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03662376U (zh) 婴幼儿防摔床
US9933775B2 (en) Programmable mattress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5853097A (zh) 一种智能床
CN111265375A (zh) 一种家庭用姿态可调多功能老人床
KR102123610B1 (ko) 노약자용 기능성 전동 침대
KR200424941Y1 (ko)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TWM554790U (zh) 智慧型電動床
KR20090094419A (ko) 양옆으로 기울게 해 욕창을 방지하는 기구
CN209126582U (zh) 一种电动升降卧铺及具有该电动升降卧铺的车辆
CN208989431U (zh) 一种可升降折起的病床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200477913Y1 (ko) 자동조절이 가능한 에어백 베개
JP3130840U (ja) 超低式電動健康べッド
KR101994359B1 (ko) 다기능 전동 소파
US20160374880A1 (en) Adjustable Bedframe for Existing Bedframe Structures
JP2001340198A (ja) 高低自動可変枕
KR102637969B1 (ko) 버튼식 침대 모션 구동장치
US20240138588A1 (en) Adjustable universal crib mattress device
CN214072626U (zh) 一种简易式自动升降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