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588A -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588A
KR20120006588A KR1020100067142A KR20100067142A KR20120006588A KR 20120006588 A KR20120006588 A KR 20120006588A KR 1020100067142 A KR1020100067142 A KR 1020100067142A KR 20100067142 A KR20100067142 A KR 20100067142A KR 20120006588 A KR20120006588 A KR 2012000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eok
fermentation broth
sprout
fermented produ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권
이순자
Original Assignee
뫼내뜰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뫼내뜰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뫼내뜰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0006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588A/ko
Publication of KR2012000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덕을 세척하는 공정; 상기 세척한 더덕을 증자하는 공정; 상기 증자한 더덕을 전처리 하는 공정; 상기 전처리한 더덕 60∼90 중량%에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 10∼40 중량%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는 공정; 상기 발효물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으로 제조된 더덕 발효물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을 활용하는 발효가공을 통해 사포닌 성분의 증가는 물론 몸에 흡수가 뛰어나고 기능적 활성을 가진 사포닌 성분으로 인하여 기존의 더덕 가공품과 차별이 된다.
더덕, 더덕 발효물, 김치유산균, 새싹채소 발효액

Description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덕을 세척하는 공정; 상기 세척한 더덕을 증자하는 공정; 상기 증자한 더덕을 전처리 하는 공정; 상기 전처리한 더덕 60∼90 중량%에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 10∼40 중량%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는 공정; 상기 발효물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덕은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산간지방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도라지와 함께 일반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채식품이다. 더덕은 기호품으로도 상당한 호평을 받는 식품일 뿐 아니라 진해, 거담 등의 약효가 있다고 고래부터 식이요법이 전해지며 혈적, 경기, 두통 및 소화약으로 또는 인삼의 대용약으로 쓰이고 있다.
더덕은 전국적으로 500 ha에서 년간 7000톤이 생산되고 있는 주요 농산물이나 상품화가 어려운 등급외품이 40∼50% 이상으로 재배농가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으나 이런 중하위품 더덕의 가공기술은 거의 초보적인 수준으로 단순 양념구이 포장, 장아찌, 단순 추출에 의한 일부 화장품의 소재 등으로만 소진되고 있다.
식품의 발효는 오래전부터 행해져온 가공공정의 일환으로 미생물 작용을 통해 식품에 좋은 맛과 향, 조직감을 부여하고 유용성분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식품소재에 저장성을 부여하고 영양성을 증진하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사포닌을 함유하는 근채류의 보관기간 연장 및 사포닌을 함유하는 근채류의 약효성분이 인체 내로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하며, 또한 근채류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성분들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써 김치유산균을 근채류에 직접 투입하여 발효물로 제조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은 항산화, 면역증강, 고혈압예방, 항암효과 및 변비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김치유산균으로 생리활성화 물질이 풍부한 새싹채소를 발효시킨 발효액으로써 새싹채소는 밀싹, 보리싹, 메밀싹, 알팔파싹, 브로콜리싹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리활성이 우수한 더덕 발효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처리한 더덕을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을 활용하여 발효시킨 후, 건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더덕을 세척하는 공정; 상기 세척한 더덕을 증자하는 공정; 상기 증자한 더덕을 전처리 하는 공정; 상기 전처리한 더덕 60∼90 중량%에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 10∼40 중량%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는 공정; 상기 발효물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 더덕을 세척하는 공정
본 발명에 따른 더덕 발효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더덕은 건조더덕 또는 그 분말이든 생더덕이든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되도록 표피를 제거하지 않은 생더덕을 선택하여 깨끗한 물에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다.
제2단계 : 더덕을 증자하는 공정
상기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더덕을 증자기를 활용하여 100℃에서 60분 이상 증자시킨다.
제3단계 : 증자한 더덕을 전처리 하는 공정
상기 증자한 더덕을 원형상태로 40℃로 냉각시켜 이용하거나, 분쇄 또는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전처리를 한다.
제4단계 : 혼합공정
상기 전처리한 더덕 60∼90 중량%에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 10∼40 중량%을 투입하여 혼합한다.
제5단계 : 발효공정
상기 혼합물을 25∼40℃에서 24∼120시간 발효시킨다.
제6단계 : 건조공정
상기 발효물을 동결건조기를 활용하여 건조시킨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더덕 발효물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을 활용하는 발효가공을 통해 사포닌 성분의 증가는 물론 몸에 흡수가 뛰어나고 기능적 활성을 가진 사포닌 성분으로 인하여 기존의 더덕 가공품과 차별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을 활용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아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아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1.더덕을 세척하는 공정
생더덕 5Kg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였다.
2.더덕을 증자하는 공정
상기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더덕을 증자기를 활용하여 100℃에서 60분간 증자시켰다.
3.더덕을 전처리 하는 공정
상기 증자한 더덕을 원형상태로 40℃로 냉각시켰다.
4.혼합공정
상기 냉각한 더덕 5Kg에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보리싹 발효액 1Kg을 투입 하여 혼합하였다.
5.발효공정
상기 혼합물을 30℃에서 96시간 발효시켰다.
6.건조공정
상기 발효물을 동결건조기를 활용하여 건조시켰다.
[시험예]
상기 더덕 발효물을 식품공전에 준한 조사포닌 함유량, Folin-Denis 방법으로 비색정량한 총페놀 함량, Moreno 방법으로 행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 1, MeOH 추출물을 HPLC을 이용하여 분석한 진세노사이드 조성함량은 표 2과 같다.
Figure 112010502412672-PAT00001
Figure 112010502412672-PAT00002
[도 1]
생더덕 사진
[도 2]
더덕 발효물 사진

Claims (2)

  1.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덕을 세척하는 공정; 상기 세척한 더덕을 증자하는 공정; 상기 증자한 더덕을 전처리하는 공정; 상기 전처리한 더덕 60∼90 중량%에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 10∼40 중량%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는 공정; 상기 발효물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김치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새싹채소 발효액은 보리싹 발효액, 밀싹 발효액, 메밀싹 발효액, 브로콜리싹 발효액, 알팔파싹 발효액, 다채싹 발효액, 적양배추싹 발효액, 무순 발효액, 청경채싹 발효액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67142A 2010-07-13 2010-07-13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20006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142A KR20120006588A (ko) 2010-07-13 2010-07-13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142A KR20120006588A (ko) 2010-07-13 2010-07-13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88A true KR20120006588A (ko) 2012-01-19

Family

ID=4561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142A KR20120006588A (ko) 2010-07-13 2010-07-13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5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084A (ko) 2014-07-04 2016-01-21 샘표식품 주식회사 향기성분이 증진된 발효더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084A (ko) 2014-07-04 2016-01-21 샘표식품 주식회사 향기성분이 증진된 발효더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17340A (zh) 一种结合复合酶解的两步式蛹虫草酵素的发酵制备方法
KR101277760B1 (ko) 식품소재용 발효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CN107929339B (zh) 一种黑参的制备方法
CN103907741A (zh) 一种树莓果味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KR100857003B1 (ko) 저분자화된 진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제조된 저분자화된 진피 추출물
CN105996008A (zh) 一种人参黄精酵素产品及其制备方法
CN103387928A (zh) 一种黑莓余甘子果醋的加工方法
KR101183541B1 (ko) 흑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KR101076104B1 (ko) 쌀겨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10910A (ko) 뽕잎 차 제조방법
CN102524453A (zh) 雪莲果茶
KR20120006588A (ko) 더덕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7536855A (zh) 一种银杏果饮片的制备方法
KR20090078013A (ko)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KR102094084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509838A (zh) 一种发酵型黑米茶的制备方法
KR102172368B1 (ko)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가된 차가버섯 제조방법 및 이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가버섯 추출물
KR101318336B1 (ko) 압출성형 팽화 및 발효에 의한 기호성과 우수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발효홍삼차의 제조방법
CN106235343A (zh) 一种菠萝风味发酵竹笋超微粉及其制备方法
CN105361113A (zh) 一种扇贝海鲜调味酱及其制备方法
KR20120006913A (ko) 도라지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50142958A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은 발효팽화삼의 제조 방법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101045997B1 (ko) 참숯 발효 숙성시킨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607846B1 (ko) 프로사포게닌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고상발효 홍삼 및 백삼의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