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509A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509A
KR20120006509A KR1020117024894A KR20117024894A KR20120006509A KR 20120006509 A KR20120006509 A KR 20120006509A KR 1020117024894 A KR1020117024894 A KR 1020117024894A KR 20117024894 A KR20117024894 A KR 20117024894A KR 20120006509 A KR20120006509 A KR 2012000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coating layer
urethane resin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이시 가와사키
토시히로 코다
마사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3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537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3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537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4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547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4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5373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1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 C08G18/0823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rboxylate salt groups or group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33Compounds of group C08G18/42
    • C08G18/6659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6Substr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Abstrac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같이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칼리액에 의한 표면 켄화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 염가로 입수할 수 있으며,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아울러 전광선 투과율이 높고, 편광막의 보호 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 면에,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도포층의 두께가 0.04~0.15μm이며,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Lamina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판을 보호하는 부재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가 텔레비젼,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등의 표시장치로서 넓게 이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통상, 염색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 알코올막의 편광막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접착시킨 구성이다(보호 필름/편광막/보호 필름). TAC 필름은 높은 투명성이나 광학 등방성을 갖기 때문에 보호 필름으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한편으로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고, 또한 편광막과 접착시키기 위해서 미리 알칼리액으로 표면을 켄화(ケン化) 처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고품질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또한 알칼리 처리에 의한 저분자 재료의 블리드 아웃이나 헤이즈 상승에 의한 품질 저하를 피할 필요성이 생겼다. 게다가 상기 알칼리 처리는 고농도의 알칼리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안전성, 환경보전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르보르넨계 필름 등, TAC 필름 이외의 소재의 검토도 이루어지고 있다(특허 문헌 1,2). 그러나, 타 소재의 필름은 범용 수지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높은 과제가 있다. 여기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각종 문제를 갖는 알칼리 처리의 공정을 필요로 함이 없이, 한층 더 비용면에서도 문제가 없는 범용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단체에서는, 편광막과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점, 및 TAC 필름과 비교했을 경우에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져, 편광판으로 만들었을 때 휘도가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 특개평 6-51117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 2006-22709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같이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칼리액에 의한 표면 켄화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 염가로 입수할 수가 있으며,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아울러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며, 편광막의 보호 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면, 상술한 과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 면에,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하면, 예컨대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편광막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양호하고, 한편, 편광판을 형성한 후, 전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가 있어 그 공업적 가치는 높다.
이하,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구성이어도 다층 구성이어도 좋고, 2층, 3층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이상 4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이어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 폴리에스테르이어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호모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경우,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은,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글리콜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한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은,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옥시카르복시산(예를 들면, p-옥시 안식향산 등)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 등이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에 부가되는 열에 견딜 만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자외선 흡수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있지만,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들면,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으로부터는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벤조트리아졸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2 종류 이상 병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면,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부틸-3'-(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메톡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시아노-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tert-부틸-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니트로-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의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면,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2-(1- 또는 2-나프틸)-3,1-벤조옥사진-4-온, 2-(4-비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m-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벤조일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o-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시클로헥실-3,1-벤조옥사진-4-온, 2-p-(또는 m-) 프탈이미드페닐-3,1-벤조옥사진-4-온, N-페닐-4-(3,1-벤조옥사진-4-온-2-일) 프탈이미드, N-벤조일-4-(3,1-벤조옥사진-4-온-2-일) 아닐린, N-벤조일-N-메틸-4-(3,1-벤조옥사진-4-온-2-일) 아닐린, 2-(p-(N-메틸카르보닐)페닐)-3,1-벤조옥사진-4-온, 2,2'-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데카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4,4'-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6- 또는 1,5-나프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메틸-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니트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클로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1,4-시클로헥실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벤젠,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4,6-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8-디메틸-4H,6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메틸-4H,9H-벤조(1,2-d;4,5-d')비스(1,3)-옥사진-4,9-디온, 2,8-디페닐-4H,8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페닐-4H,9H-벤조(1,2-d;4,5-d')비스(1,3)-옥사진-4,6-디온, 6,6'-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에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술포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술포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르보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술포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카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중, 색조를 고려했을 경우, 황색미가 붙기 어려운(付きにくい) 벤조옥사지논계의 화합물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고, 그 예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것이 더욱 적합하게 이용된다.
Figure pct00001
상기식 중, R은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이하의 관능기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능기군: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니트로기
상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다. 자외선 흡수제가 0.1중량% 미만인 경우, 자외선 흡수량이 적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투과하는 자외선에 의해 용도에 따라서는 액정의 열화를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0.0중량%를 초과하는 양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켰을 경우,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가 블리드아웃하여, 접착성 저하 등, 표면 기능성의 악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다층 구조의 필름의 경우, 적어도 3층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는, 그 중간층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당해 화합물이 필름 표면에 블리드 아웃히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필름의 접착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편광막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자외선에 의한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준으로서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필름의 폴리에스테르층 중에는, 이활성의 부여 및 각 공정에서의 기스(傷) 발생 방지를 주된 목적으로 입자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하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 가능한 입자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체적인 예는, 예를들면,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특공소 59-5216호 공보, 특개소 59-21775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유기 입자를 이용해도 좋다. 기타의 내열성 유기 입자의 예로서 열경화성 요소 수지,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 중, 촉매 등의 금속 화합물의 일부를 침전, 미(微) 분산시킨 석출 입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하는 입자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球)상, 괴(塊)상, 봉(棒)상, 편평(扁平)상 등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그 경도, 비중, 색 등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 일련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이용하는 입자의 평균 입경은, 통상 0.01~3μm, 바람직하게는 0.1~2μm의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0.01μm 미만의 경우, 이활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 없거나, 입자가 응집하여, 분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3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 조도가 너무 거칠어져서(粗くなりすぎて), 후속 공정에서 프리즘층이나 광확산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경우 등에 불편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폴리에스테르층 중의 입자 함유량은, 통상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3중량%의 범위이다. 입자 함유량이 0.00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필름의 이활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 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층 중에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각 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종료후,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등에 의해 행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상술한 입자 이외에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염료, 안료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 가능한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200μm, 바람직하게는 25~50μm의 범위이다.
다음,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의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에 기술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사용하여,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시트를 냉각 롤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 및/또는 액체 도포 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어서,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2축방향으로 연신된다. 그 경우, 먼저, 상기 미연신 시트를 일방향으로 롤 또는 텐타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 연신한다. 연신 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 연신 배율은 통상 2.5~7배, 바람직하게는 3.0~6배이다. 다음, 1단째의 연신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연신하지만, 그 경우, 연신 온도는 통상 70~170℃, 연신 배율은 통상 3.0~7배, 바람직하게는 3.5~6배이다. 그리고, 이어서 180~270℃의 온도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2축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기 연신에 대해서는, 일방향의 연신을 2 단계 이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최종적으로 2방향의 연신 배율이 각각 상기 범위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에 관해서는 동시 2축 연신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동시 2축 연신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로 온도 컨트롤 된 상태로 기계방향 및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이며, 연신 배율은, 면적 배율로 4~50배, 바람직하게는 7~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배이다. 그리고, 이어서 170~250℃의 온도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연신 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기 연신 방식을 채용하는 동시 2축 연신 장치에 관해서는, 스크류 방식, 팬터 그래프 방식, 리니어 구동 방식 등, 종래 공지의 연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도포층의 형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포층에 관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연신 공정 중에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인 라인 코팅에 의해 설치되어도 좋고, 일단 제조한 필름 상에 계외에서 도포하는 오프 라인 코팅을 채용해도 좋으며, 양자를 병용해도 좋다. 제막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염가로 대응가능하고, 도포층의 두께를 연신 배율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인 라인 코팅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인 라인 코팅에 대해서는, 이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면, 순차 2축연신에 있어서, 특히 종연신이 종료한 횡연신 전에 코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인 라인 코팅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막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게 됨과 함께 도포층을 고온으로 처리할 수 있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도포층(이하, 제 1 도포층으로 약칭함)을 갖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다른 한 면에,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이하, 제 2 도포층으로 약칭함)을 갖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도포층은, 편광판으로 만들었을 때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포층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 1 도포층, 제 2 도포층의 광학 특성을 고려한 것이지만, 편광막과 접착시킬 수 있는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접착시키는 측의 광학 특성은 편광판 전체의 전광선 투과율에 크게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광학 특성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편광막과 접착시키지 않는 측, 즉 제 1 도포층 측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제 2 도포층의 영향도 있으므로, 정확하게 논의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통상 90.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0% 이상이다.
제 1 도포층만의 광학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편광판으로 만들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을 고찰하기 위해서, 각종 검토를 한 결과, 제 1 도포층만의 절대 반사율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사율과 투과율은 서로 관계되는 특성이며, 빛의 흡수가 적고, 투명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투과율은 낮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도포층은, 절대 반사율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파장 300~800nm의 범위에서 1개의 극소치를 갖고, 그 극소치에 있어서 절대 반사율의 값이 3.5% 이하인 것이다. 극소치의 파장으로서 보다 바람직한 조건은, 400~700n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650nm의 범위이다. 또, 극소치에 있어서 절대 반사율의 더욱 바람직한 조건은 3.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이하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이 90.0% 미만의 경우, 또한, 제 1 도포층의 절대 반사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편광판으로 만들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지는 것에 의해, 편광판의 휘도의 저하를 일으켜, 액정 디스플레이로 만들었을 때 화면이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다.
아크릴 수지 및 우레탄 수지는, 일반적으로는 굴절률이 낮기 때문에,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 막 두께를 0.04~0.15μm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제 1 도포층에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어느 것이나 좋다. 또한, 이들 중합체와 다른 폴리머(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와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를들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경우에 따라서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경우에 따라서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폴리머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경우에 따라는 폴리머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한, 보다 효율 좋게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굴절률이 낮은 불소 원자 함유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대표적인 화합물은, 예를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류 및 그의 염;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 수산기 함유 모노머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 벤젠, 비닐 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과 같은 각종 비닐 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규소 함유 중합성 모노머류; 인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불화 비닐, 불화 비닐리덴,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같은 각종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역 디엔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 1 도포층에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는, 우레탄 수지를 분자내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통상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작성된다.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 폴리에테르 폴리올류, 폴리올레핀 폴리올류, 아크릴 폴리올류, 후술하는 제 2 도포층에 함유되는 것과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를 들 수 있고, 이러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복수종 이용해도 좋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는, 다가 카르복시산(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스베린산, 세바신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또는 이들의 산무수물과 다가 알코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5-디메틸-2,5-헥산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헥실-1,3-프로판디올, 시클로헥산디올,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디메탄올벤젠,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알킬디알칸올아민, 락톤 디올 등)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도포층에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해서, 이러한 폴리올과,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쇄연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 라인 코팅의 적정을 고려했을 경우,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의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수산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술포닐기, 인산기, 에테르기 등의 친수성기를 우레탄 수지에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친수성기 중에서도, 도막 물성 및 밀착성의 면에서 카르복실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제 1 도포층 중에 차지하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굴절률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는 논의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도포층 전체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범위이다. 40% 미만의 경우, 전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향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제 1 도포층에는, 도포면 상이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크릴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이외의 바인더 폴리머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병용하는 바인더는 전광선 투과율에의 영향을 고려하여, 굴절률이 높은 것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바인더 폴리머」란 고분자 화합물 안전성 평가 플로우 스킴(쇼와 60년 11월 화학물질 심의회 주최)에 준해,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로, 또 조막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바인더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제 1 도포층 중에는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포층이 강고하게 되기 때문에, 내습열성이나 내찰상성이 보다 향상하는 경우가 있다. 가교제는, 여러 가지 공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들면,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 화합물은, 화합물 중에 멜라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예를들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에 알코올을 반응시켜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에테르화한 화합물 및 이러한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에테르화에 이용하는 알코올은,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 부탄올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멜라민 화합물은, 단량체, 또는 2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는 이러한 혼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나아가 멜라민의 일부에 요소 등을 공축합한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멜라민 화합물의 반응성을 올리기 위해서 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폭시 화합물은, 예를들면,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포함한 화합물, 그의 프리폴리머 및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예를들면,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다가 알코올과의 축합물이 있다. 다가 알코올은,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저분자 폴리올의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물은, 수용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제공한다.
옥사졸린 화합물은, 분자 내에 옥사졸린환을 갖는 화합물이며, 옥사졸린환을 갖는 모노머나, 옥사졸린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의 하나로서 합성되는 폴리머도 포함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분자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나, 이들의 중합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복수종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나아가 인 라인 코팅에의 적용 등을 고려했을 경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도포층 중에는, 도포층의 블로킹성, 미끄러짐성(滑り性)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함유해도 좋고,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 금속 등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도포층은, 각종 기능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포층이며, 예를들면, 편광막과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각종 접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도포층에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우레탄 수지의 주요한 구성 성분의 폴리올의 하나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는, 다가 알코올류와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탈알코올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다가 알코올류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3,3-디메틸올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는, 예를들면, 폴리(1,6-헥실렌)카보네이트, 폴리(3-메틸-1,5-펜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시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복수종 병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 2 도포층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 이외의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류,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 폴리올레핀폴리올류, 아크릴폴리올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복수종 이용해도 좋다.
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때 쇄연장제를 사용해도 좋고, 쇄연장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활성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쇄연장제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2개 갖는 쇄연장제는,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지방족글리콜, 크시릴렌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피발레이트 등의 에스테르 글리콜의 글리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쇄연장제는, 예를들면, 톨릴렌디아민, 크시릴렌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산디아민, 2,2-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트리메틸헥산디아민, 2-부틸-2-에틸-1,5-펜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 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이소프로피리덴시클로헥실-4,4'-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우레탄 수지는, 용제를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을 매체로 하는 것이다. 우레탄 수지를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려면, 유화제를 이용하는 강제 유화형, 우레탄 수지 중에 친수성기를 도입하는 자기 유화형 또는 수용형 등이 있다. 특히, 우레탄 수지의 골격 중에 이온기를 도입해 이오노머화한 자기 유화 타입이, 액의 저장 안정성이나 얻어지는 도포층의 내수성, 투명성, 밀착성이 뛰어나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입하는 이온기는, 카르복실기, 술폰산, 인산, 포스폰산, 제4급 암모늄염 등, 여러 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카르복실기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중합 반응의 각 단계 중에서 여러 가지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프리폴리머 합성시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이나, 폴리올이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등의 일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성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디올을 이용하여, 이 성분의 주입량에 의해 소망하는 양의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우레탄 수지의 중합에 이용하는 디올에 대해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탄산, 비스-(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산, 비스-(2-히드록시에틸)부탄산 등을 공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카르복실기는 암모니아, 아민, 알칼리 금속류, 무기 알칼리류 등으로 중화한 염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도포 후 건조 공정에서 중화제가 떨어진(外れた) 카르복실기를, 다른 가교제에 의한 가교 반응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포 전의 액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도포층의 내구성, 내용제성, 내수성, 내블로킹성 등을 한층 더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우레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는 쇄연장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기 및 음이온성기를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 중의 음이온성기의 양은, 0.05중량%~8중량%가 바람직하다. 적은 음이온성기양으로는, 우레탄 수지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 불량하고, 많은 음이온성기양으로는, 도포 후의 도포층의 내수성이 떨어지는 경우나, 흡습하여 필름이 서로 고착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우레탄 수지중의 폴리카보네이트 성분의 함유량은, 통상 10~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70중량%이다. 이러한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우레탄 수지의 밀착성 개량 효과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고, 90중량%를 초과하면 도포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유리 전이점(이하, Tg라고 약칭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g가 10℃ 보다 높은 것을 사용했을 경우, 이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Tg의 측정은, 우레탄 수지의 건조 피막을 작성하고, 동적점탄성 측정을 실시하여, E''가 최대가 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도포층에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에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이중 결합은, 제 2 도포층상에 형성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도포층상에 형성되는 층이 이중결합의 라디칼 반응 등에 의한 경화성 수지인 경우에는, 제 2 도포층 중에 있는 이중결합과도 반응할 수 있어 보다 강고한 밀착성을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제 2 도포층과 그 위에 형성되는 층이, 강한 탄소-탄소 결합으로 연결되는 개소가 생기기 때문에,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이 낮지 않은 경우에서도 효과적으로 밀착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에 이중 결합을 도입하는 경우, 라디칼 등에 의한 반응성을 고려하여 비닐기가 바람직하다. 비닐기의 도입은 우레탄 수지를 작성하는 각 단계 중에서 여러 가지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프리폴리머 합성시에, 비닐기를 갖는 수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이나, 비닐기를 갖는 디올이나 디아민, 아미노 알콜 등을 중합의 각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화합물을 미리 성분의 일부로 공중합해 둘 수 있다.
우레탄 수지 중의 비닐기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들면, 우레탄 결합 100 몰에 대해 1 몰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고, 한층 더 밀착성의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5 몰 이상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한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과잉 함유해도 그 이상의 효과를 보기 어려운 점, 또 우레탄 수지의 기계 물성이 떨어지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5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도포층 중에는, 도포층의 도막을 강고하게 하고, 편광막을 붙인 후의 내습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이용되는 가교제는, 멜라민, 벤조구아나민 등의 아미노 수지계, 옥사졸린계, 카르보디이미드계, 에폭시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등, 또한, 다른 폴리머 골격 중에, 상기와 같은 가교 반응성의 관능기를 공중합 한, 이른바 폴리머형 가교제 등이 예시되지만, 본 발명에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접착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접착성을 유지하면서 도포층을 가교하기 위해서는, 도포층 중에 있어서 가교의 밀도를 너무 높게 하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가교제의 사용량을 너무 많이 하지 않거나, 관능기량이 적은 가교제를 사용하면 좋다.
여기서 관능기량은, 가교제 분자의 중량 당, 가교 관능기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가교제의 구조를 13C-NMR로 귀속하고, 관능기량 비를 1H-NMR로 구하여, 가교제의 분자량 당 가교 관능기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관능기량이 높은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소량으로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관능기량이 10mmol/g를 초과하는 가교제는, 도포층 전체에 대해 20중량% 이하의 양으로 한다.
한편, 관능기량이 낮은 가교제는 그 사용량에 관계 없이 특성이 안정되기 쉬워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머형 가교제는 관능기량이 낮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관능기량이 10mmol/g 미만의 가교제는, 도포층 전체에 대해 임의로 함유할 수 있지만, 상한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이하의 양으로 하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접착성 향상 효과가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양태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에 대해, 옥사졸린기를 갖는 폴리머형의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Tg가 낮은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만든 다음에 롤상으로 감았을 때, 필름의 표리가 달라붙는, 이른바 블로킹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포층의 구성 성분으로서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함유량은, 도포층 전체의 중량비로, 3~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1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3% 미만의 경우, 블로킹을 방지하는 효과가 불충분해 지는 경우가 있다. 또 25%를 초과하는 경우, 블로킹의 방지 효과는 높기는 하지만, 도포층의 투명성의 저하, 도포층의 연속성이 손상되는 것에 의해 도막 강도의 저하, 또는 이접착성의 저하가 염려된다. 상기 범위에서 입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 성능과 내블로킹 성능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용하는 입자는, 예를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 금속 등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도포층에의 분산성이나 얻어지는 도막의 투명성 면에서 실리카 입자가 매우 적합하다.
입자의 입경은, 너무 작으면 블로킹 방지의 효과를 얻기 어렵고, 너무 크면 도막으로부터의 탈락 등이 일어나기 쉽다. 평균 입경으로서 도포층의 두께의 1/2~1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입경이 너무 크면, 도포층의 투명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평균 입경으로서 300nm 이하, 또한 1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입자의 평균 입경은, 입자의 분산액을「마이크로 트럭 UPA」(닛키소 사제)에서, 개수 평균의 50% 평균경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도포층에는, 도포면 형상이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 이외의 바인더 폴리머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인더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2 도포층안에 차지하는 상기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당해 우레탄 수지를 주된 성분으로서 도포층을 구성해도 상관없지만, 그 외의 이접착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포층에, 우레탄 수지를 혼합하는 것만으로도 밀착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며, 소망하는 특성이 나오는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양이 너무 소량이면, 그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하한은 도포층 전체의 중량비로 통상 20% 이상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범위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 1 도포층 및 제 2 도포층에는 필요에 따라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유기계 윤활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발포제, 염료 등이 함유 되어도 좋다.
도포층 중의 각종 성분의 분석은, 예를들면, TOF-SIMS 등의 표면 분석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인 라인 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설치하는 경우는, 상술한 일련의 화합물을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로서 고형분 농도가 0.1~50중량% 정도를 기준으로 조정한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하는 요령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물에의 분산성 개량, 조막성 개량 등을 목적으로, 도포액 중에 소량의 유기용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유기용제는 1 종류만이어도 좋고, 적당히, 2 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1 도포층의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4~0.15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0.13μm의 범위이다. 막 두께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높은 전광선 투과율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2 도포층의 막 두께는, 통상 0.002~1.0μm, 바람직하게는 0.005~0.5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2μm의 범위이다. 막 두께가 0.002μm 미만의 경우는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고, 1.0μm를 초과하는 경우는, 외관이나 투명성, 필름의 블로킹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도포층을 설치하는 방법은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 롤 코트, 다이 코트, 바 코트, 커텐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공 방식에 관해서는「코팅 방식」(마키서점 하라사키 유우지 저 1979년 발행)에 기재예가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을 형성할 때 건조 및 경화 조건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오프 라인 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설치하는 경우, 통상, 80~200℃에서 3~40초간, 바람직하게는 100~180℃에서 3~40초간을 기준으로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인 라인 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설치하는 경우, 통상, 70~280℃에서 3~200초간을 기준으로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오프 라인 코팅 또는 인 라인 코팅과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를들면,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막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제 2 도포층 측에 편광막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개입시켜 편광막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화합물,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화합물, 글리시딜기나 에폭시시클로헥산으로 예시되는 지환식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작성한 접착제층 위에, 예를들면 1축 연신되어 요오드(ヨウ素) 등으로 염색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편광막으로서 접착시킬 수 있다. 편광막의 반대 측에도 보호 필름을 접착시켜 편광판으로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편광판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로 예시한 층 구성은, 제 1 도포층/폴리에스테르 필름/제 2 도포층/접착제/편광막/보호 필름이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이상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다른 폴리머 성분 및 안료를 제거한 폴리에스테르 1g를 정칭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ml를 가해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평균 입경(d50:μm)의 측정: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사제「SA-CP3형」)를 사용하여 측정한 등가 구형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중량 기준) 50%의 값을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
(3) 유리 전이점(Tg):
우레탄 수지 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건조 후의 막 두께가 500μm가 되도록 테플론(등록상표)제의 샬레 내에서 건조시키고 피막을 얻었다. 건조 조건은, 실온에서 1주간 건조시킨 후, 120℃에서 10분간 더 건조시켰다. 얻어진 피막을 폭 5 mm로 자르고, 아이티 계측 제어(주)제 동적점탄성 측정 장치「DVA-200형」에 척(チャック) 간 20mm가 되도록 측정 장치에 세트하며,-100℃에서 200℃까지, 10℃/분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주파수 10Hz로 측정하였다. E''가 최대가 되는 점을 Tg로 하였다.
(4) 도포층의 막 두께 측정 방법:
포매(包埋) 수지로 필름을 고정하고, 마이크로톰(ミクロト-ム)으로 단면을 잘라, 당해 단면을 오스뮴산으로 염색하고, 투과형 전자현미경(일본 전자제「JEM201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5)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헤이즈메타 HM-150」을 사용해, JIS K 7361으로 측정하였다.
(6)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제 1 도포층 표면으로부터의 절대 반사율 극소치의 측정 방법:
미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측정 이면(제 2 도포층면)에 흑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제 비닐 테이프「VT-50」)를 붙이고, 분광 광도계(일본 분광 주식회사제의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V-570」및 자동 절대 반사율 측정 장치「AM-500N」)를 사용하여, 동기 모드, 입사각 5°, N 편광, 리스폰스 패스트, 데이터 취구간격 1.0 nm, 밴드폭 10nm, 주사 속도 1000m/min로, 도포층 표면을 파장 범위 300~800nm의 절대 반사율을 측정하고, 그 극소치에 있어서의 파장(바텀 파장)과 절대 반사율을 평가하였다.
(7) 접착성의 평가방법:
제 2 도포층면에 접착제로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적층하고, 접착제층으로 만들었다. 이 접착제층에 대해서, 10×10의 크로스컷을 넣고 그 위에 18mm폭의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제「셀로테이프」(등록상표) CT-18)을 붙여 180도의 박리 각도로 급격하게 벗겨낸 후, 박리면을 관찰하고, 박리 면적이 5% 이하라면 ◎, 5% 초과 20% 이하라면 ○, 20% 초과 50% 이하라면 △, 50% 초과하면 ×로 하였다.
(8) 파장 380nm의 투과율의 측정:
분광 광도계(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사제「UV-3100 PC형」)에 의해, 스캔 속도를 저속, 샘플링 피치를 2nm, 파장 300~700nm영역에서 연속적으로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고, 380nm파장에서의 광선 투과율을 검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는 하기와 같이 하여 준비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방법>
테레프탈산디메틸 100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중량부를 출발 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초산마그네슘·4수염 0.09중량부를 반응기에 넣어, 반응 개시 온도를 150℃로 하고, 메탄올의 유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 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0.04 중량부를 첨가한 후, 삼산화안티몬 0.04중량부를 부가하여, 4시간 중축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에서부터 서서히 승온시켜 280℃으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에서 서서히 줄여 최종적으로는 0.3mmHg로 하였다. 반응 개시 후, 반응조의 교반 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 점도 0.63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 폴리머를 토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A)의 극한 점도는 0.63이었다.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 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방법에서, 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0.04 중량부를 첨가 후, 평균 입경 2.0μm의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실리카 입자를 0.2 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0.04 중량부를 부가하여, 극한 점도 0.65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중축합반응을 정지하는 것 이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B)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B)는 극한 점도 0.65였다.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 방법>
폴리에스테르(A)을 벤트부착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CYTEC 사제「CYASORB UV-3638」분자량 369 벤조옥사지논계)를 10중량% 농도가 되도록 공급하여 용융혼련하고 칩화를 실시하여 자외선 흡수제 마스터 배치 폴리에스테르(C)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C)의 극한 점도는, 0.59였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 예는 하기와 같다.
<아크릴 수지:(IA) 하기 조성으로 중합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
에틸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메틸올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65/21/10/2/2(중량%)의 유화 중합체(유화제: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아크릴 수지:(IB) 하기 조성으로 중합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N-메틸올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65/28/3/2/2(중량%)의 유화 중합체(유화제:음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IIA)>
1,6-헥산디올과 디에틸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400부, 네오펜틸글리콜을 10.4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58.4부, 디메틸올부탄산이 74.3부로 이루어지는 프리폴리머를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하고, 이소포론디아민으로 쇄연장하여 얻어지는, Tg가 -30℃인 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IIB)>
카르보키실기를 갖는, Tg가 -20℃인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인,「RU-40-350」(스타르 사제)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IIC)>
카르복시산 수분산형의 Tg가 3℃인 비닐기 함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인,「SPX-039」(ADEKA 사제)
<우레탄 수지:(IID)>
카르복시산 수분산형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인,「하이드란 AP-40」(DIC 사제)
<폴리에스테르 수지: (III) 하기 조성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체>
모노머 조성:(산성분)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소듐술포이소프탈산//(디올 성분)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디에틸렌글리콜=56/40/4//70/20/10(mol%)
<옥사졸린 화합물:(IVA)>
옥사졸린기가 아크릴계 수지에 브랜치된 폴리머형 가교제인,「에포크로스 WS-500」(일본촉매 사제), 옥사졸린기 양=4.5mmol/g
<에폭시 화합물:(IVB)>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인,「데나코르 EX-521」(나가세켐텍스제), 에폭시기량=5.5mmol/g
<멜라민 화합물:(IVC)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입자:(V) 평균 입경 65nm의 실리카졸>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을 중간층의 원료로 하여 2대의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고, 각각 285℃로 용융한 후, 40℃로 설정한 냉각 롤상에, 2종 3층(표층/중간층/표층)의 층 구성으로 모두 압출하여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롤주속차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5℃에서 종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편면에, 하기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1를 도포하고( 제 1 도포층의 형성), 반대면에 도포액 B1를 도포하며(제 2 도포층의 형성), 텐타에 도입하여, 횡방향으로 120℃에서 4.3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를 실시한 후, 횡방향으로 2% 이완하고, 도공량(건조 후)이 0.12g/m2의 제 1 도포층, 0.03g/m2의 제 2 도포층을 갖는 두께 38μm(표층 4μm, 중간층 30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전광선 투과율도 높고, 제 2 도포층의 접착성은 양호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와 같이 표 2-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28:
실시예 1에서, 도포제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1~7:
실시예 1에서, 도포제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반사율의 극소치를 볼 수 없는 것이나, 접착성이 약한 것이었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실시예 29:
폴리에스테르(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 (C)를 각각 85%, 1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전광선 투과율도 높고, 제 2 도포층의 접착성은 양호하며, 또 38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이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와 같이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0~42, 45~58:
실시예 29에서, 도포제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43, 59:
폴리에스테르(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 (C)를 각각 80%, 2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또, 380nm에 있어서 투과율은 1%이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4, 60:
폴리에스테르(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 (C)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또, 38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9%이며,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8~14:
실시예 29에서, 도포제 조성을 표 1에 나타낸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반사율의 극소치를 볼 수 없고 전광선 투과율이 낮은 것이나, 접착성이 약한 것이었다.
표 3
Figure pct00004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예를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막의 보호 필름 등, 각종 접착제와 양호한 접착성 및 높은 전광선 투과율이 필요한 용도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면에,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 중에 가교제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도포층의 두께가 0.04~0.15μm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옥사지논계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117024894A 2009-04-22 2010-04-15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006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3984A JP2010253720A (ja) 2009-04-22 2009-04-22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103872A JP2010253715A (ja) 2009-04-22 2009-04-22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JP-P-2009-103872 2009-04-22
JPJP-P-2009-103984 2009-04-22
JPJP-P-2009-104582 2009-04-23
JPJP-P-2009-104583 2009-04-23
JP2009104583A JP2010254771A (ja) 2009-04-23 2009-04-23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104582A JP2010253736A (ja) 2009-04-23 2009-04-23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09A true KR20120006509A (ko) 2012-01-18

Family

ID=4301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894A KR20120006509A (ko) 2009-04-22 2010-04-15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78500B2 (ko)
EP (1) EP2422977B1 (ko)
KR (1) KR20120006509A (ko)
CN (1) CN102395469B (ko)
WO (1) WO20101229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319A (ko) * 2014-12-13 2016-07-19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US10676651B2 (en) 2016-03-09 2020-06-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dhesiv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9489A1 (en) * 2008-09-08 2011-08-04 Taishi Kawasaki Laminated polyester film
JP5271204B2 (ja) * 2009-05-25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53627B2 (ja) * 2010-02-07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30057968A (ko) * 2010-04-19 2013-06-03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570289B2 (ja) * 2010-04-29 2014-08-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1152172A1 (ja) * 2010-05-29 2011-12-08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245809A (ja) * 2010-05-29 2011-12-08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36697B2 (ja) * 2011-03-15 2014-07-0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23641B2 (ja) * 2011-03-16 2015-05-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高分子化合物およびフィルム
EP2769841A4 (en) * 2011-10-22 2015-06-24 Mitsubishi Plastics Inc Coating Film
JP2015021014A (ja) * 2013-07-16 2015-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60312076A1 (en) * 2013-12-26 2016-10-27 Zeon Corporation Multilayer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S2750337T3 (es) 2014-01-31 2020-03-25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Soportes paramagnéticos para uso como reactivos de ensayo
GB201409063D0 (en) * 2014-05-21 2014-07-02 Dupont Teijin Films Us Ltd Coated polyester films
JP6365506B2 (ja) * 2015-10-31 2018-08-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70283664A1 (en) * 2016-03-05 2017-10-0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dhesiv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7024853B2 (ja) * 2019-02-13 2022-02-24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16B2 (ja) 1979-01-25 1984-02-03 ダイアホイ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DE3313923A1 (de)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JP2544792B2 (ja) 1988-12-12 1996-10-16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3297450B2 (ja) 1991-07-22 2002-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偏光フィルム
EP0884348B1 (en) * 1997-06-12 2004-09-1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Laminated polyester film
JP3722400B2 (ja) 1997-06-18 2005-11-30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写真印画紙用支持体の製造方法
KR20020030007A (ko) * 2000-09-29 2002-04-22 힐커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내가수분해성 투명이축배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4010875A (ja) * 2002-06-12 2004-01-1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4081090A1 (ja) * 2003-03-11 2004-09-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離型フィルム
JP2005179486A (ja) 2003-12-19 2005-07-0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高透明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578950B2 (ja) * 2004-11-24 2010-11-1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光学用保護フィルム
JP2006227090A (ja) 2005-02-15 2006-08-31 Asahi Kasei Chemicals Corp 偏光板保護フィルム
US8168297B2 (en) 2007-04-23 2012-05-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coated film,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and fluoropolymer liquid composition
JP4798156B2 (ja) * 2008-03-17 2011-10-19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5416864B2 (ja) 2008-03-22 2014-02-12 三菱樹脂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10189489A1 (en) * 2008-09-08 2011-08-04 Taishi Kawasaki Laminated polyester film
DE102009009791A1 (de) * 2009-02-20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Weiße, beschichte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Rückseitenabdeckung in Solarmodul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319A (ko) * 2014-12-13 2016-07-19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US10676651B2 (en) 2016-03-09 2020-06-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dhesiv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4113A1 (en) 2012-04-19
US8778500B2 (en) 2014-07-15
EP2422977A1 (en) 2012-02-29
CN102395469A (zh) 2012-03-28
EP2422977B1 (en) 2015-01-21
CN102395469B (zh) 2014-05-07
EP2422977A4 (en) 2012-10-10
WO2010122949A1 (ja)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509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073232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506962B2 (ja) 偏光膜保護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575798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1686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1687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30085943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0253720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253715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8686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254771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53231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5577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183725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8973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95918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5808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5808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753456B2 (ja) 偏光膜保護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08005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25373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86868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7038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19465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6386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