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62A - 배처플랜트 - Google Patents

배처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62A
KR20120006262A KR1020100066895A KR20100066895A KR20120006262A KR 20120006262 A KR20120006262 A KR 20120006262A KR 1020100066895 A KR1020100066895 A KR 1020100066895A KR 20100066895 A KR20100066895 A KR 20100066895A KR 20120006262 A KR20120006262 A KR 2012000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mixer
hopper
cement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090B1 (ko
Inventor
김효수
나인태
Original Assignee
중원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산업(주) filed Critical 중원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6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0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4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the plant being mobile, e.g. mounted on a carriage or a set of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84Storage containers or silos mounted on,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by, vehicles; Means for erecting containers or silo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배처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가 저장되는 다수의 골재저장호퍼와, 골재저장호퍼에 설치되어 골재저장호퍼를 운송하는 골재트레일러와, 내부에 시멘트가 저장되고, 시멘트를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마련된 사일로와, 골재저장호퍼 및 사일로로부터 공급된 골재 및 시멘트와 물을 믹싱하는 믹서와, 믹서에 설치되어 상기 믹서를 운송하는 믹서트레일러와,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구비하고, 골재트레일러는 상측에 골재저장호퍼들이 설치되며, 다수의 이송바퀴가 마련된 골재프레임과, 골재저장호퍼들의 하방에 대응되는 각 위치의 골재프레임에 설치되어 골재저장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계량하는 다수의 골재계량호퍼와, 골재계량호퍼들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골재프레임에 설치되어 골재계량호퍼를 통해 계량을 마친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처플랜트는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에 각각 설치된 트레일러에 의해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으며, 배처플랜트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처플랜트 {Batcher plant}
본 발명은 배처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를 용이하게 운송 및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배처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는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최적의 강도와 내구성 및 미려한 표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건축 또는 토목용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플랜트이다.
배처 플랜트는 골재공급파트와 본체파트로 구분할 수 있다. 모래 및 자갈 등의 골재는 골재공급호퍼에 투입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본체파트의 계량파트로 투입된다. 계량파트에서는 시멘트, 골재, 물과 혼화제가 첨가된 혼합수가 콘크리트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계량되고, 계량된 재료는 믹싱파트로 투입되어 혼합된다. 이렇게 혼합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공급호퍼를 통해 콘크리트 공급호퍼의 하부에 대기 중인 레미콘 트럭에 담겨져서 공사현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처 플랜트는 임의로 설치하거나 해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반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일단 한번 설치가 되고 나면 자재수급이 용이한 장소로 이동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자갈, 모래 등의 골재가 저장된 골재저장호퍼 및 골재와 시멘트를 믹싱하는 믹서를 용이하게 운송 및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배처플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처플랜트는 골재가 저장되는 다수의 골재저장호퍼와, 상기 골재저장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저장호퍼를 운송하는 골재트레일러와, 내부에 시멘트가 저장되고, 상기 시멘트를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마련된 사일로와, 상기 골재저장호퍼 및 사일로로부터 공급된 상기 골재 및 시멘트와 물을 믹싱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에 설치되어 상기 믹서를 운송하는 믹서트레일러와, 상기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골재트레일러는 상측에 상기 골재저장호퍼들이 설치되며, 다수의 이송바퀴가 마련된 골재프레임과, 상기 골재저장호퍼들의 하방에 대응되는 각 위치의 상기 골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저장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골재를 계량하는 다수의 골재계량호퍼와, 상기 골재계량호퍼들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골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호퍼를 통해 계량을 마친 상기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믹서트레일러는 상기 믹서가 설치되며, 다수의 이송바퀴가 마련된 믹서프레임과, 상기 골재 및 시멘트가 상기 믹서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믹서의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믹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저장호퍼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골재를 계량하여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제품계량호퍼와,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믹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시멘트를 계량하여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시멘트계량호퍼와, 상기 투입구의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믹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계량하여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물계량호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처플랜트는 우수를 수집하여 상기 믹서에 공급하는 우수수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우수수집부는 우수를 수집하는 수집공간이 마련된 수집수조와, 상기 수집수조에 수집된 상기 우수를 상기 믹서로 이송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파이프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처플랜트는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에 각각 설치된 트레일러에 의해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으며, 배처플랜트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골재저장호퍼 및 믹서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처플랜트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처플랜트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처플랜트의 골재트레일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처플랜트의 믹서트레일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처플랜트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처플랜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처플랜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처플랜트(100)는 골재가 저장되는 다수의 골재저장호퍼(200)와, 골재저장호퍼(200)에 설치되어 골재저장호퍼(200)를 운송하는 골재트레일러(300)와, 내부에 시멘트가 저장된 사일로(400)와, 골재저장호퍼(200) 및 사일로(400)로부터 공급된 골재 및 시멘트와 물을 믹싱하는 믹서(500)와, 믹서(500)에 설치되어 믹서(500)를 운송하는 믹서트레일러(600)와, 골재트레일러(300) 및 믹서(500) 사이에 설치되어 골재저장호퍼(200)로부터 배출된 골재를 믹서(500)로 운송하는 운송컨베이어(800)와, 믹서(500)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700)를 구비한다.
골재저장호퍼(200)는 모래, 자갈 등과 같은 골재를 저장하기 위해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후술되는 골재트레일러(300)의 골재계량호퍼(320)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저장호퍼(200)의 상면은 외부에서 골재를 골재저장호퍼(2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며, 골재저장호퍼(200)의 하면은 내부에 저장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골재저장호퍼(200)는 하단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210)가 마련되어 있다.
제1개폐부재(210)는 고정볼트에 의해 골재저장호퍼(200)에 고정되며, 작업자에 의해 골재저장호퍼(200)에서 분리되어 골재저장호퍼(200)의 배출구를 개방한다.
골재저장호퍼(200)는 콘크리트 생산에 소요되는 골재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가 후술되는 골재트레일러(300)의 골재프레임(3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골재트레일러(300)는 제1이송바퀴(314)가 마련된 골재프레임(310)과, 골재프레임(310)에 설치되어 골재저장호퍼(200)를 통해 배출되는 골재를 계량하는 골재계량호퍼(320)와, 골재계량호퍼(320)를 통해 계량을 마친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330)를 구비한다.
골재프레임(310)은 제1플레이트(311)와, 제1플레이트(311)의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제1수직바(312)와, 상기 제1수직바들(312)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수평바(313)를 구비한다.
제1플레이트(3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제1플레이트(311)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이송바퀴(314)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311)의 하면에 제1이송바퀴(314)가 8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이송바퀴(314)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1플레이트(311)는 용이하게 이동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제1이송바퀴(31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조향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수직바(312)는 사각단면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수직바들(312)은 제1플레이트(311)의 양측 상면 가장자리에 제1플레이트(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다.
제1수평바(313)는 사각단면을 갖고 제1수직바(31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다수의 제1수평바(313)는 제1수직바(312)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1수평바들(313)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골재저장호퍼(200)의 높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계량호퍼(320)는 골재저장호퍼들(200)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수평바(313)에 각각 설치된다. 골재계량호퍼(320)는 골재저장호퍼(200)로부터 배출된 골재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이송컨베이어(330)로 골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계량호퍼(320)의 상면은 골재저장호퍼(200)로부터 용이하게 골재가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골재계량호퍼(320)의 하면은 내부에 저장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골재계량호퍼(3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부재(3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개폐부재(321)는 골재계량호퍼(32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골재계량호퍼(32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덮개부재(322)와, 일단은 골재계량호퍼(320)의 측면에 설치되며, 타단은 제1덮개부재(322)의 하면에 고정되어 제1덮개부재(322)를 회동시키는 제1실린더(323)를 구비한다.
제1실린더(323)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골재계량호퍼(320)에는 내부에 투입된 골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힘이나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측정하는 제1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330)는 골재계량호퍼(320)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플레이트(311) 상면에 설치된다. 이송컨베이어(330)는 골재계량호퍼(320)를 통해 계량을 마친 골재를 제1플레이트(311)의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1플레이트(3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벨트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계량호퍼(320)로부터 배출된 골재는 이송컨베이어(330)를 통해 후술되는 운송컨베이어(800)로 이송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골재트레일러(300)는 제1이송바퀴(314)가 마련되어 용이하게 골재저장호퍼(200) 및 골재계량호퍼(3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일로(400)는 내부에 시멘트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사일로(400)의 하단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시멘트가 외부에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사일로(400)의 배출구로 용이하게 시멘트가 배출될 수 있도록 사일로(400)의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일로(400)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사일로(400)의 하단면에는 배출구를 개폐하여 시멘트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로터리밸브(4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사일로(400)는 제1로터리밸브(410)를 통해 배출되는 시멘트를 후술되는 믹서트레일러(600)의 시멘트계량호퍼(630)에 이송될 수 있도록 사일로(400)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440)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44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원통형 케이스 안의 회전축에 부착된 나사산 모양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시멘트를 이송한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44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시멘트계량호퍼(630)의 설치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시멘트를 이송할 수 있도록 제1로터리밸브(41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일로(400)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지지프레임(42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4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은 사일로(400)의 하면에 고정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420)은 사일로(400)가 후술되는 믹서트레일러(60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믹서트레일러(600)의 높이보다 길게 연장형성된다.
지지프레임(420)은 사일로(400) 내부에 시멘트가 수용되더라도 견고하게 사일로(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철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일로(400)의 상면에는 작업 중에 발생하는 시멘트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진기(430)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기(430) 내부에서 포집된 시멘트 분진은 믹서(500)로 재투입된다.
믹서(500)는 후술되는 믹서트레일러(600)의 제2플레이트(611)의 상면에 설치된다. 믹서(500)는 사일로(400), 골재트레일러(300) 및 물탱크(7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급되는 시멘트, 골재 및 물을 믹싱한다. 믹서(5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축과, 교반축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사모양의 블레이드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너를 구비한다.
또한, 믹서(500)의 외주면에는 골재 및 시멘트가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골재 및 시멘트가 투입되는 투입구(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입호퍼(510)가 설치되어 있다.
믹서트레일러(600)는 제2이송바퀴(614)가 마련된 골재프레임(310)과, 골재프레임(310)에 설치되어 골재트레일러(300)로부터 공급되는 골재를 계량하는 제품계량호퍼(620)와, 골재프레임(310)에 설치되어 사일로(400)로부터 공급되는 시멘트를 계량하는 시멘트계량호퍼(630)와, 골재프레임(310)에 설치되어 물탱크(7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계량하는 물계량호퍼(640)를 구비한다.
믹서프레임(610)은 제2플레이트(611)와, 제2플레이트(611)의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제2수직바(612)와, 상기 제2수직바들(612)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수평바(613)를 구비한다.
제2플레이트(6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믹서(500)가 설치되어 있다.
제2플레이트(611) 하면에는 제2플레이트(611)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이송바퀴(614)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제2플레이트(611)의 하면에 제2이송바퀴(614)가 8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2이송바퀴(614)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2플레이트(611)는 용이하게 이동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제2이송바퀴(61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조향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2수직바(612)는 사각단면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수직바들(612)은 제2플레이트(611)의 양측 상면 가장자리에 제2플레이트(6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다.
제2수평바(613)는 사각단면을 갖고 제2수직바(61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다수의 제2수평바(613)는 제2수직바(612)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2수평바들(613)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제품계량호퍼(620) 및 시멘트계량호퍼(630)의 높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계량호퍼(620)는 믹서(500)의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수직바(612)에 고정설치된다. 제품계량호퍼(620)는 골재트레일러(300)로부터 공급되는 골재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된 골재를 믹서(500)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계량호퍼(620)의 상면은 후술되는 운송컨베이어(800)에 의해 운송되는 골재가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제품계량호퍼(620)의 하면은 내부에 수용된 골재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품계량호퍼(620)는 제품계량호퍼(620)의 배출구가 투입호퍼(5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믹서(500)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계량호퍼(6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제3개폐부재(621)가 설치되어 있다.
제3개폐부재(621)는 골재계량호퍼(32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골재계량호퍼(32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덮개부재(622)와, 일단은 골재계량호퍼(320)의 측면에 설치되며, 타단은 제2덮개부재(622)의 하면에 고정되어 제2덮개부재(622)를 회동시키는 제2실린더(623)를 구비한다.
제2실린더(623)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품계량호퍼(620)에는 내부에 투입된 골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힘이나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측정하는 제2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다.
시멘트계량호퍼(630)는 제품계량호퍼(620)의 측면에, 믹서(500)의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수직바(612)에 고정설치된다. 시멘트계량호퍼(630)는 사일로(400)로부터 공급되는 시멘트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된 시멘트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계량호퍼(630)의 상면은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운송되는 시멘트가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시멘트계량호퍼(630)의 하면은 내부에 수용된 시멘트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에 대응되는 시멘트계량호퍼(630)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배출되는 시멘트의 양을 조절하는 제2로터리밸브(6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멘트계량호퍼(630)는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투입된 시멘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힘이나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측정하는 제3로드셀(63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계량호퍼(640)는 시멘트계량호퍼(630)의 측방에, 믹서(500)의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수직바(612)에 고정설치된다. 물계량호퍼(640)는 물탱크(7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계량호퍼(640)의 상면은 물탱크(7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물계량호퍼(640)의 하면은 내부에 수용된 물을 믹서(500)의 투입호퍼(510)에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급관(641)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641)는 단부가 투입호퍼(5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공급관(641)에는 공급관(641)의 내부를 개폐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3로터리밸브(6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계량호퍼(640)는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투입된 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힘이나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측정하는 제4로드셀(64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믹서트레일러(600)는 제2이송바퀴(614)가 마련되어 용이하게 믹서(500) 또는 계량호퍼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탱크(700)는 믹서(500)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믹서트레일러(600)의 설치위치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700)의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믹서트레일러(600)의 물계량호퍼(6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주입관(710)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관(710)에는 주입관(710)을 개폐하여 물계량호퍼(640)로 이송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있도록 조절밸브(7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탱크(70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펌핑하여 물계량호퍼(6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물펌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운송컨베이어(800)는 골재트레일러(300)와 믹서트레일러(600)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이송방향에 대해 후단부의 이송컨베이어(330) 하측에 설치되며, 타단은 믹서트레일러(600)의 제품계량호퍼(6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운송컨베이어(800)는 이송컨베이어(330)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를 제품계량호퍼(620)로 운반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벨트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처플랜트(100)는 골재저장호퍼(200) 및 믹서(500)에 각각 설치된 트레일러에 의해 골재저장호퍼(200) 및 믹서(500)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으며, 배처플랜트(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골재저장호퍼(200) 및 믹서(500)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처플랜트(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처플랜트(110)는 우수를 수집하여 믹서(500)에 공급하는 우수수집부(900)를 더 구비한다.
우수수집부(900)는 우수를 수집하는 수집공간이 마련된 수집수조(910)와, 수집수조(910)에 설치되어 수집수조(910)에 수집된 우수를 물계량호퍼(640)로 이송하는 이송파이프(920)와, 이송파이프(920)에 설치되어 이송파이프(92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930)를 구비한다.
수집수조(910)는 용이하게 우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수집수조(910)에 수집된 우수를 펌핑하여 물계량호퍼(640)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송파이프(920)에 펌프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처플랜트
200: 골재저장호퍼
300: 골재트레일러
400: 사일로
500: 믹서
600: 믹서트레일러
700: 물탱크
800: 운송컨베이어

Claims (3)

  1. 골재가 저장되는 다수의 골재저장호퍼와;
    상기 골재저장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저장호퍼를 운송하는 골재트레일러와;
    내부에 시멘트가 저장되고, 상기 시멘트를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마련된 사일로와;
    상기 골재저장호퍼 및 사일로로부터 공급된 상기 골재 및 시멘트와 물을 믹싱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에 설치되어 상기 믹서를 운송하는 믹서트레일러와;
    상기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골재트레일러는
    상측에 상기 골재저장호퍼들이 설치되며, 다수의 이송바퀴가 마련된 골재프레임과;
    상기 골재저장호퍼들의 하방에 대응되는 각 위치의 상기 골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저장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골재를 계량하는 다수의 골재계량호퍼와;
    상기 골재계량호퍼들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골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계량호퍼를 통해 계량을 마친 상기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처플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트레일러는
    상기 믹서가 설치되며, 다수의 이송바퀴가 마련된 믹서프레임과;
    상기 골재 및 시멘트가 상기 믹서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믹서의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믹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저장호퍼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골재를 계량하여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제품계량호퍼와;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믹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시멘트를 계량하여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시멘트계량호퍼와;
    상기 투입구의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믹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계량하여 상기 투입구로 투입시키는 물계량호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처플랜트.
  3. 제2항에 있어서,
    우수를 수집하여 상기 믹서에 공급하는 우수수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우수수집부는
    우수를 수집하는 수집공간이 마련된 수집수조와;
    상기 수집수조에 수집된 상기 우수를 상기 믹서로 이송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파이프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처플랜트.

KR1020100066895A 2010-07-12 2010-07-12 배처플랜트 KR10120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95A KR101200090B1 (ko) 2010-07-12 2010-07-12 배처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95A KR101200090B1 (ko) 2010-07-12 2010-07-12 배처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62A true KR20120006262A (ko) 2012-01-18
KR101200090B1 KR101200090B1 (ko) 2012-11-12

Family

ID=4561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895A KR101200090B1 (ko) 2010-07-12 2010-07-12 배처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09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49B1 (ko) * 2012-01-30 2012-05-18 호산엔지니어링(주)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CN103449201A (zh) * 2013-09-11 2013-12-18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一种散装系统及干混砂浆搅拌站
CN103847027A (zh) * 2014-04-01 2014-06-11 孔强光 一种混凝土配料搅拌设备
KR101630350B1 (ko) * 2015-01-15 2016-06-14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KR101665079B1 (ko) * 2016-02-24 2016-10-12 주식회사 비테크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 플랜트 장치
WO2017014768A1 (en) * 2015-07-22 2017-01-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CN108356988A (zh) * 2017-01-26 2018-08-03 北京鑫源诺美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下沉式砂石拌和站
CN109170075A (zh) * 2018-09-28 2019-01-11 湖北美雅食品有限公司 一种添加桂花的酥糖生产线
CN109318368A (zh) * 2018-11-21 2019-02-12 张凯渊 一种环保型全封闭式建筑物料生产设备
KR101990127B1 (ko) * 2019-05-12 2019-06-17 이관학 배합장치
CN110270521A (zh) * 2019-06-21 2019-09-24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下料装置及分拣集料设备
CN113414873A (zh) * 2021-06-28 2021-09-21 新兴栈(绵阳)建材有限公司 一种便于比例调和的混凝土制造设备
CN114425820A (zh) * 2021-12-29 2022-05-03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CN114425820B (zh) * 2021-12-29 2024-05-10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2578A (zh) * 2014-03-28 2014-06-18 山推建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快装式混凝土搅拌站
CN105773845B (zh) * 2016-05-04 2018-07-17 吉林省公路机械有限公司 间歇式水稳-混凝土一体站
KR101882768B1 (ko) * 2018-01-23 2018-08-27 오성윤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
KR20210127830A (ko) 2020-04-14 2021-10-25 유진기업 주식회사 밸브 댐퍼 마모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4685B2 (ja) * 1997-02-17 2007-11-28 小野田ケミコ株式会社 移動式コンクリート材料混練装置
AU2001253194A1 (en) 2000-04-05 2001-10-23 Advanced Concrete Innovations, Inc. Portable concrete plant
KR100907245B1 (ko) 2008-12-08 2009-07-10 주식회사에이원종합건설 이동식 배치 플랜트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49B1 (ko) * 2012-01-30 2012-05-18 호산엔지니어링(주)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CN103449201A (zh) * 2013-09-11 2013-12-18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一种散装系统及干混砂浆搅拌站
CN103449201B (zh) * 2013-09-11 2015-11-25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一种散装系统及干混砂浆搅拌站
CN103847027A (zh) * 2014-04-01 2014-06-11 孔强光 一种混凝土配料搅拌设备
KR101630350B1 (ko) * 2015-01-15 2016-06-14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WO2017014768A1 (en) * 2015-07-22 2017-01-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US11939152B2 (en) 2015-07-22 2024-03-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US10526136B2 (en) 2015-07-22 2020-01-0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US11814242B2 (en) 2015-07-22 2023-11-1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KR101665079B1 (ko) * 2016-02-24 2016-10-12 주식회사 비테크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 플랜트 장치
CN108356988A (zh) * 2017-01-26 2018-08-03 北京鑫源诺美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下沉式砂石拌和站
CN109170075A (zh) * 2018-09-28 2019-01-11 湖北美雅食品有限公司 一种添加桂花的酥糖生产线
CN109318368B (zh) * 2018-11-21 2023-08-18 张凯渊 一种环保型全封闭式建筑物料生产设备
CN109318368A (zh) * 2018-11-21 2019-02-12 张凯渊 一种环保型全封闭式建筑物料生产设备
KR101990127B1 (ko) * 2019-05-12 2019-06-17 이관학 배합장치
CN110270521A (zh) * 2019-06-21 2019-09-24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下料装置及分拣集料设备
CN113414873B (zh) * 2021-06-28 2022-08-26 新兴栈(绵阳)建材有限公司 一种便于比例调和的混凝土制造设备
CN113414873A (zh) * 2021-06-28 2021-09-21 新兴栈(绵阳)建材有限公司 一种便于比例调和的混凝土制造设备
CN114425820A (zh) * 2021-12-29 2022-05-03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CN114425820B (zh) * 2021-12-29 2024-05-10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090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090B1 (ko) 배처플랜트
ES2812234T3 (es) Una planta de dosificación de hormigón que tiene un tiempo de ciclo reducido y un tiempo de instalación y desmontaje reducido
US6186654B1 (en) Portable and modular batching and mixing plant for concrete and the like
US10286573B2 (en) Mixing plant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s
US11904501B2 (en) Mobile aggregate hopper with arcuate side walls
KR10112805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WO2012017444A1 (en) A highly compact concrete production & production transportation equipment with a novel weighing, conveying, mixing & discharging device
KR101208629B1 (ko) 이동식 배쳐플랜트
CN212554475U (zh) 一体化折叠式免基础搅拌站配料机
KR101224550B1 (ko)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0863338B1 (ko) 속도가변식 혼합믹서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장치
WO2009005378A2 (en) A mobile concrete batching plant
KR100922054B1 (ko) 차량 탑재형 모르타르 이송 및 혼합 장치
WO2010098552A2 (ko) 이동식 배처플랜트
KR200458276Y1 (ko) 도심형 배처플랜트
KR20140049706A (ko) 준설토 리사이클을 위한 이동식 믹싱 장치
KR101162239B1 (ko) 제작과 설치 및 운전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혼합장치
KR200201858Y1 (ko) 단독/누적계량장치가 부설된 배치 플랜트의 구조
KR20040059628A (ko)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시스템
AU2010100118A4 (en) A Compact Concrete Producing and Transporting Equipment
KR101098358B1 (ko) 이동식 배처플랜트
GB2530063A (en) Mobile continuous weighing mixing plant
JP7381074B2 (ja) 軌道工事向けの現場練り製造ユニット、およびこの現場練り製造ユニットを用いた軌道工事方法
RU26657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цементобетонных и прочих смесей
SU246364A1 (ru) Бетоносмес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партерн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