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350B1 -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350B1
KR101630350B1 KR1020150172188A KR20150172188A KR101630350B1 KR 101630350 B1 KR101630350 B1 KR 101630350B1 KR 1020150172188 A KR1020150172188 A KR 1020150172188A KR 20150172188 A KR20150172188 A KR 20150172188A KR 101630350 B1 KR101630350 B1 KR 10163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massage
opening
closing
conveyanc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엽
서석현
황민식
Original Assignee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정의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정의엽 filed Critical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B28C7/0486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the plant being mob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6Supplying the solid ingredients, e.g. by means of endless conveyors or jigging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GS 공법, 방재신기술 제77호(통합품질관리 장치를 활용한 지반보강용 동시주입 컴팩션 그라우팅 시스템 공법) 등에 이용되는 저유동성 모르타르 배합시 마사 및 석분을 정량으로 계측하여 투입할 수 있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마사토출구가 형성되고, 마사토출구의 단부에 마사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가 구비되며, 하부 내측에는 벽면 부근의 마사를 건조시켜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열선이 내장되는 마사호퍼; 석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석분토출구가 형성되고, 석분토출구의 단부에 석분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가 구비된 석분호퍼; 상기 마사호퍼 및 석분호퍼에 각각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마사호퍼 및 석분호퍼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하는 제1이송벨트; 상기 제1이송벨트의 이송 방향 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이송벨트로부터 전달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하는 제2이송벨트; 상기 제2이송벨트로부터 이송된 마사 및 석분을 시멘트 및 물과 혼합하는 배처플랜트;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Quality Control Apparatus for Mixing of Mortar containing Granite soil and Stone powder}
본 발명은 CGS 공법, 방재신기술 제77호(통합품질관리 장치를 활용한 지반보강용 동시주입 컴팩션 그라우팅 시스템 공법) 등에 이용되는 저유동성 모르타르 배합시 마사 및 석분을 정량으로 계측하여 투입할 수 있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에 대한 것이다.
CGS(Compaction Grouting System) 공법은 슬럼프치가 5~7㎝ 이하의 저유동성 모르타르 주입재를 지중에 비배출형으로 압입하여, 지중에 원기둥 형태의 균질한 고결체를 형성하고 방사형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주변 지반을 압밀시키고 공극 속의 물과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여 토립자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켜 지반이 조밀화 되도록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다(특허 제10-0209247호).
특히, 방재신기술 제77호 "통합품질관리 장치를 활용한 지반보강용 동시주입 컴팩션 그라우팅 시스템 공법"은 기존 CGS공법보다 동시주입펌프 장비(SI-PUMP)로 동시에 다수의 천공홀에 모르타를 주입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고, 주입재의 균등량, 균등압 주입으로 지반의 균등한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통합품질 관리시스템(TCS)에 의해 주입량, 주입압 자동기록으로 일정한 시공품질을 확보하여 연약지반, 내진 및 액상화 보강에 시공성, 경제성을 향상시킨 공법이다.
CGS 공법에 이용되는 저유동성 모르타르는 소성 확보를 위한 마사와 내부마찰력 증대를 위한 석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마사와 석분에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연약지반, 암반의 절리나 파쇄대, 사석 및 자갈층을 보강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저유동성 모르타르와 같은 CGS 주입재는 소정의 점성과 강도로 지반 보강 효과를 충실히 발현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야 하므로, CGS 주입재를 구성하는 재료는 정량 계측되어 투입되어야 한다.
이 중 시멘트는 정량 포장으로 납품되므로 정확한 중량으로 투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사와 석분은 덤프트럭 등을 이용하여 미포장 상태로 현장 반입되므로 정확한 중량으로 투입하는 것이 어려웠다.
종래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페이로더(pay loader) 또는 셔블로더(shovel loader)의 버킷으로 마사 또는 석분을 퍼올려 투입하였다.
이러한 페이로더는 버킷 용량이 대개 0.5~1.0㎥으로, 버킷에 담기는 재료의 양이 매번 일정하지 않고, 재료의 양중 과정에서 마사 또는 석분이 탈락되는 등의 이유로 세밀한 계량이 곤란하였다.
아울러 마사는 습기를 머금으면 벽면에 들러붙는 성질이 있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버킷에서 떼어내어야 하므로 투입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마사를 호퍼에서 분리하여야 하므로 분리 작업 시의 작업 하중으로 인해 정확한 마사 토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GS 공법 등에 이용되는 저유동성 모르타르 배합시 마사 및 석분을 정량으로 계측하여 투입할 수 있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마사와 석분이 시멘트 및 물과 결합하여 충분한 점성과 강도를 발현하여 지반 보강 효과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마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마사토출구가 형성되고, 마사토출구의 단부에 마사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가 구비되며, 하부 내측에는 벽면 부근의 마사를 건조시켜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열선이 내장되는 마사호퍼; 석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석분토출구가 형성되고, 석분토출구의 단부에 석분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가 구비된 석분호퍼; 상기 마사호퍼 및 석분호퍼에 각각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마사호퍼 및 석분호퍼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하는 제1이송벨트; 상기 제1이송벨트의 이송 방향 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이송벨트로부터 전달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하는 제2이송벨트; 상기 제2이송벨트로부터 이송된 마사 및 석분을 시멘트 및 물과 혼합하는 배처플랜트;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제어부; 및 마사호퍼의 내측 벽면에 흡착된 마사를 분리시키기 위해 마사호퍼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통 형상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회전망인 마사교란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이송벨트와 제2이송벨트의 사이에는 제1이송벨트에서 이송된 석분 및 마사를 교반하여 제2이송벨트로 전달하는 마사석분교반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사호퍼 하부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망 하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사호퍼의 개폐구에는 개폐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개폐구 개방 시 마사교란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사호퍼에는 마사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수분함량측정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가 마사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마사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GS 공법 등에 이용되는 저유동성 모르타르 배합시 마사 및 석분을 정량으로 계측하여 투입함으로써, 마사와 석분이 시멘트 및 물과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 충분한 점성과 강도로 지반 보강 효과를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마사호퍼 내측에 열선이나 마사교란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높은 마사를 건조시키거나 교란시켜 마사를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별도로 호퍼 내 마사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계측 시 하중 간섭이 없으므로 정밀 계측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버킷에 의해 마사 또는 석분을 이송하는 페이로더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마사호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5는 마사호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회전망이 구비된 마사호퍼의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개폐감지센서가 구비된 마사호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수분함량측정기가 구비된 마사호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마사호퍼와 석분호퍼가 일체화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는 마사호퍼(1), 석분호퍼(2), 로드셀(3), 제1이송벨트(4), 제2이송벨트(5), 배처플랜트(6), 제어부(7) 및 마사교란기(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사호퍼(1)는 마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마사토출구(11)가 형성되고, 마사토출구(11)의 단부에 마사토출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12)가 구비되며, 하부 내측에는 열선(13)이 내장된다.
마사는 화강암이 오랜 세월 풍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모래 대신 4㎜ 이하 점성 성분을 가지는 점성토를 사용하여 모르타르가 저유동성 특성을 갖도록 소성을 확보한다.
상기 마사호퍼(1)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원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부에 마사가 토출되는 마사토출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석분호퍼(2)는 석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석분토출구(21)가 형성되고, 석분토출구(21)의 단부에 석분토출구(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22)가 구비된다.
석분은 10㎜ 이하의 쇄석골재로, 모르타르의 내부마찰력 및 강도 증대에 기여한다.
석분호퍼(2) 또한 마사호퍼(1)와 마찬가지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부에 석분이 토출되는 석분토출구(21)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3)은 마사호퍼(1) 및 석분호퍼(2)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호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다. 측정된 무게 변화로부터 마사호퍼(1) 또는 석분호퍼(2)를 통하여 토출되는 재료의 양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토출된 마사 또는 석분의 양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구(12, 22)를 개폐하거나 제어부(7)에서 자동으로 개폐구(12, 22)를 개폐하여 재료의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즉, 로드셀(3)을 통하여 재료의 무게 변화를 측정해서 마사 또는 석분의 토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3)에서 측정된 재료의 중량은 제어부(7)의 디스플레이부(71)에 표시된다.
상기 제1이송벨트(4)는 마사호퍼(1) 및 석분호퍼(2)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한다.
즉, 마사토출구(11)와 석분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마사와 석분은 각각 제1이송벨트(4) 상부로 낙하되어 제2이송벨트(5)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이송벨트(5)는 제1이송벨트(4)의 이송 방향 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이송벨트(4)로부터 전달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한다.
제2이송벨트(5)로 이송된 마사와 석분은 배처플랜트(6)로 공급된다.
상기 배처플랜트(6)는 제2이송벨트(5)로부터 이송된 마사 및 석분을 시멘트 및 물과 혼합한다.
상기 배처플랜트(6)는 정량 이송된 마사와 석분에 시멘트와 물을 정해진 비율에 따라 투입하여 혼합한다. 이로써 소정 비율로 배합되어 슬럼프치가 5~7㎝ 이하인 저유동성의 모르타르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생산된 모르타르는 펌프로 이송되며, CGS 공법에서 지중에 압입되어 주변 지반을 압밀하여 지반을 개량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7)는 로드셀(3)에서 측정된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 제어부(7)는 개폐감지센서(15)의 신호에 따라 마사교란기(9)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수분함량측정기(16)의 신호에 따라 개폐구(12)를 조절함으로써 마사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벨트(4)와 제2이송벨트(5)의 사이에는 제1이송벨트(4)에서 이송된 석분 및 마사를 교반하여 제2이송벨트(5)로 전달하는 마사석분교반기(8)가 구비될 수 있다.
마사석분교반기(8)는 점도가 높은 마사를 미리 석분과 혼합·교반하여 시멘트 및 물과의 혼합시 보다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마사석분교반기(8)는 상부와 하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교반날개(81)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사석분교반기(8)의 개방된 상부로 제1이송벨트(4)에서 전달된 마사 및 석분이 공급되면, 마사석분교반기(8)에서 마사와 석분을 교반한 후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2이송벨트(5)로 전달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마사석분교반기(8)는 상부와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교반스크류(82)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사석분교반기(8)의 개방된 상부로 제1이송벨트(4)에서 전달된 마사 및 석분이 공급되면, 마사석분교반기(8)에서 마사와 석분을 교반한 후 개방된 전방을 통해 제2이송벨트(5)로 전달한다.
도 2, 도 3, 도 6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마사호퍼(1)에는 마사호퍼(1)의 내측 벽면에 흡착된 마사를 분리시키는 마사교란기(9)가 구비된다.
마사교란기(9)는 마사호퍼(1) 내측 벽면에 흡착된 마사를 교란시켜 점성이 높은 상태의 마사가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마사교란기(9)는 회전날개 또는 진동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마사교란기(9)로 회전날개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마사호퍼(1) 내측에 위치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마사를 교란함으로써, 점성이 높은 마사를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마사호퍼(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기를 가동시켜 마사호퍼(1)에 진동을 가하면, 마사를 교란하여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후술할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마사교란기(9)로 회전망을 이용하고 있다.
도 4는 마사호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마사호퍼(1)의 하부 내측에는 열선(13)이 내장된다.
마사는 습윤 상태에서 점성이 강하기 때문에, 함수율이 높은 마사는 마사호퍼(1) 벽면에 들러붙어 외부로 토출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가 봉 등으로 호퍼 내 마사를 교란시켜 배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마사호퍼(1)의 하부 내측에 내장된 열선(13)에 열을 가하면, 마사호퍼(1) 하부 벽면에 붙은 마사를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사의 점성을 저하시켜 마사호퍼(1)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마사를 마사호퍼(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로드셀(3)에 의한 호퍼 무게 측정 시 하중 간섭이 없어 정량 계측이 가능하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열선(13)은 마사호퍼(1)의 하부 경사면 부분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열로 배치되었다.
도 5는 마사호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회전망이 구비된 마사호퍼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마사호퍼(1)의 내측 벽면에 흡착된 마사를 분리시키는 마사교란기(9)의 다른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마사교란기(9)는 마사호퍼(1)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통 형상으로 복수의 관통공(91)이 형성되는 회전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망을 360도 또는 일정 각도 반복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찰에 의하여 마사호퍼(1) 하부 내측면에 흡착된 마사를 분리하여낼 수 있다.
상기 회전망은 격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망 형태이거나, 상하 수평프레임 사이에 수직프레임을 복수 개 배치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마사호퍼(1) 하부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가이드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망 하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14)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손잡이(9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공(14)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92)를 좌우로 반복 이동하여 회전망을 회전시킴으로써, 마사호퍼(1) 내측 벽면에 흡착된 마사를 교란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92)는 수동으로 움직이거나 별도로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개폐감지센서가 구비된 마사호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마사호퍼(1)의 개폐구(12)에는 개폐구(12)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15)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7)가 개폐구(12) 개방 시 마사교란기(9)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사교란기(9)는 마사토출구(11)가 개방된 경우 마사 토출을 유도한다.
따라서 마사교란기(9)는 마사토출구(11)의 개방시에만 작동하면 충분하므로, 개폐감지센서(15)가 개폐구(12)의 개방을 감지하면 제어부(7)가 감지된 신호에 따라 마사교란기(9)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수분함량측정기가 구비된 마사호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마사호퍼(1)에는 마사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수분함량측정기(16)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가 마사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마사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사는 수분 함량 편차가 커 수분 함량에 따라 투입 중량을 변경하여야 정확한 비율로 모르타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사의 수분 함량 높으면 마사 투입 중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수분함량측정기(16)가 마사의 수분 함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제어부(7)에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7)가 마사의 수분 함유량과 로드셀(3)에서 측정된 재료의 중량값과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개폐구(12)를 조절함으로써 마사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마사호퍼와 석분호퍼가 일체화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사호퍼(1) 및 석분호퍼(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마사호퍼 11: 마사토출구
12: 개폐구 13: 열선
14: 가이드공 15: 개폐감지센서
16: 수분함량측정기 2: 석분호퍼
21: 석분토출구 22: 개폐구
3: 로드셀 4: 제1이송벨트
5: 제2이송벨트 6: 배처플랜트
7: 제어부 71: 디스플레이부
8: 마사석분교반기 81: 교반날개
82: 교반스크류 9: 마사교란기
91: 관통공 92: 회전손잡이

Claims (8)

  1. 마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마사토출구(11)가 형성되고, 마사토출구(11)의 단부에 마사토출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12)가 구비되며, 하부 내측에는 벽면 부근의 마사를 건조시켜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열선(13)이 내장되는 마사호퍼(1);
    석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석분토출구(21)가 형성되고, 석분토출구(21)의 단부에 석분토출구(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22)가 구비된 석분호퍼(2);
    상기 마사호퍼(1) 및 석분호퍼(2)에 각각 구비되는 로드셀(3);
    상기 마사호퍼(1) 및 석분호퍼(2)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하는 제1이송벨트(4);
    상기 제1이송벨트(4)의 이송 방향 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이송벨트(4)로부터 전달된 마사 및 석분을 이송하는 제2이송벨트(5);
    상기 제2이송벨트(5)로부터 이송된 마사 및 석분을 시멘트 및 물과 혼합하는 배처플랜트(6);
    상기 로드셀(3)에서 측정된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1)가 포함된 제어부(7); 및
    마사호퍼(1)의 내측 벽면에 흡착된 마사를 분리시키기 위해 마사호퍼(1)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통 형상으로 복수의 관통공(91)이 형성되는 회전망인 마사교란기(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이송벨트(4)와 제2이송벨트(5)의 사이에는 제1이송벨트(4)에서 이송된 석분 및 마사를 교반하여 제2이송벨트(5)로 전달하는 마사석분교반기(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마사호퍼(1) 하부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가이드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망 하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14)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손잡이(9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마사호퍼(1)의 개폐구(12)에는 개폐구(12)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15)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7)가 개폐구(12) 개방 시 마사교란기(9)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마사호퍼(1)에는 마사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수분함량측정기(16)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가 마사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마사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KR1020150172188A 2015-01-15 2015-12-04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KR101630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7385 2015-01-15
KR1020150007385 2015-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350B1 true KR101630350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188A KR101630350B1 (ko) 2015-01-15 2015-12-04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3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33B1 (ko) * 2016-09-22 2017-03-10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정밀 계량 공급장치,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 플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제조 방법
KR102036696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시공 시스템
KR102036698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병렬형 시공 시스템
KR20220095766A (ko) *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모래 건조 및 건조사 분사 방법
KR20220095768A (ko) *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사 제조 및 분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63Y1 (ko) * 2003-10-17 2004-01-16 주식회사 삼성산업 가열형 믹서기
KR100503861B1 (ko) * 2005-01-12 2005-07-29 김옥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 및 채움재를 이용한 재활용장치
KR20110085333A (ko) * 2010-01-20 2011-07-27 (유)대도 사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KR20120006262A (ko) * 2010-07-12 2012-01-18 중원산업(주) 배처플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63Y1 (ko) * 2003-10-17 2004-01-16 주식회사 삼성산업 가열형 믹서기
KR100503861B1 (ko) * 2005-01-12 2005-07-29 김옥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 및 채움재를 이용한 재활용장치
KR20110085333A (ko) * 2010-01-20 2011-07-27 (유)대도 사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KR20120006262A (ko) * 2010-07-12 2012-01-18 중원산업(주) 배처플랜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33B1 (ko) * 2016-09-22 2017-03-10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정밀 계량 공급장치,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 플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제조 방법
KR102036696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시공 시스템
KR102036698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병렬형 시공 시스템
KR20220095766A (ko) *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모래 건조 및 건조사 분사 방법
KR20220095768A (ko) *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사 제조 및 분사 방법
KR102598851B1 (ko) * 2020-12-30 2023-11-06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사 제조 및 분사 방법
KR102598850B1 (ko) * 2020-12-30 2023-11-06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모래 건조 및 건조사 분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350B1 (ko) 마사 및 석분이 포함된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장치
US7572048B2 (en) Apparatus for highly controlled color distribution in mass produced concrete products
US201501036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crete plant
TW2004131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actionating gypsum slurry and method for producing gypsum boards
CN206170320U (zh) 三级砂混凝土的搅拌装置
CN108356983B (zh) 一种建筑混凝土搅拌系统
CN104307397B (zh) 用于管中混合固化技术中的固化剂合成装置
KR101715233B1 (ko) 정밀 계량 공급장치,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 플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제조 방법
KR101665079B1 (ko) 모르타르 제조용 품질조절 계량 플랜트 장치
CN105926598B (zh) 一种双向水泥搅拌桩的施工方法
CN107860453A (zh) 称重及拌和一体化的全自动无机结合料稳定类材料拌合锅
JP6387572B2 (ja) 土砂の加水方法及び加水装置
KR101604453B1 (ko) 친환경 고화재를 이용한 내진보강 그라우팅용 모르타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밀그라우팅 공법
CN106363801A (zh) 一种制造防火板原料的搅拌装置
CN214819591U (zh) 一种混凝土搅拌站
CN112356268B (zh) 一种矿渣粉混凝土生产工艺及系统
CN213198184U (zh) 一种混凝土砂石配料装置
CN204261586U (zh) 用于管中混合固化技术中的固化剂合成装置
CN212999574U (zh) 一种水稳混合料生产用混合设备
CN203198069U (zh) 一种新型混凝土配料机
CN201221362Y (zh) 混凝土喷射机拨料装置
CN201738310U (zh) 搅拌喷射灰砂桩成桩机
CN213005903U (zh) 一种混凝土混凝剂自动计量投料装置
CN207451130U (zh) 一种用于稳定土拌和站骨料筛分检测的自动取料装置
CN112277162A (zh) 一种彩色透水混凝土制备生产线及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