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63U - 절첩보행기 - Google Patents

절첩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63U
KR20120006063U KR2020110001435U KR20110001435U KR20120006063U KR 20120006063 U KR20120006063 U KR 20120006063U KR 2020110001435 U KR2020110001435 U KR 2020110001435U KR 20110001435 U KR20110001435 U KR 20110001435U KR 20120006063 U KR20120006063 U KR 20120006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ster
link
stoppe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815Y1 (ko
Inventor
이인노
Original Assignee
미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미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10001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1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90)는,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기를 지지하면서 굴러가는 캐스터(2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팔받침(300)과, 상기 팔받침(300) 및 상기 캐스터(200)에 장착되어 캐스터(300)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는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측방프레임(111, 121)과, 상기 측방프레임(111, 1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프레임(111, 121)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절첩부(130)로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300)은 상기 측방프레임(110, 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바(311)와, 상기 지지바(311)에 수평으로 부착되어 전방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바(313)와, 상기 절곡바(313)와 전방종단부(314)를 연결하여 회동하는 조인트(330)와, 상기 절곡바(313)의 상부에 부착된 쿠션(341, 343)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절첩되어 용이하게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감속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절첩보행기{A foldaway walker}
본 고안은 절첩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수납 및 이송이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게 구성한 절첩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보행기(1)란 환자나 노약자인 사용자가 몸을 지탱하고서 걸을 수 있도록 구성한 의료기구로서 도 1과 함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행기(1)의 구성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기(1)를 지지하면서 굴러가는 캐스터(2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팔받침(30)과, 상기 캐스터(20)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좌우측에 배치되는 측방프레임(13, 15)과, 상기 양쪽 측방프레임(13, 15)의 전방을 연결하는 연결바(17)로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20)는 상기 각 측방프레임(13, 15)의 하단 전후방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팔받침(30)은 각 측방프레임(13, 15)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바(31)와, 상기 각 지지바(31)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전방이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바(미도시)와, 상기 절곡바(미도시)의 상부에 올려져서 부착된 쿠션(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동부(미도시)는 상기 캐스터(20)에 탈착되는 브레이크패드(미도시)와, 상기 바디(10)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미도시)와, 상기 레버(미도시)와 브레이크패드(미도시)에 연결된 제동와이어(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기술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제동부(미도시)를 해제한 후, 상기 양쪽에 구성된 측방프레임(13, 15) 사이로 들어간다. 그리고, 팔을 상기 팔받침(30)에 올려서 상체를 전방으로 기댄다. 그리고, 보행기(1)를 전방으로 밀면서 걸음을 걷는다.
사용하고 나서는 상기 레버(미도시)를 회동시켜서 상기 제동와이어(미도시)를 인장시킴으로써 브레이크패드(미도시)가 캐스터(20)를 압박하여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보행기를 접어서 축소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관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수용이 불편하였고, 특히, 차량에 적재할 수 있도록 절첩되지 않음으로써, 이송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캐스터의 회전을 억지하는 주차브레이크의 기능만 할 뿐, 감속의 기능은 배제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리막을 걸을 때에는 가속에 의해서 전복되어 중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즉,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보행기는 평지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는,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기를 지지하면서 굴러가는 캐스터와, 상기 바디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팔받침과, 상기 팔받침 및 상기 캐스터에 장착되어 캐스터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로 구성되고,상기 바디는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측방프레임과, 상기 측방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프레임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절첩부로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은 상기 측방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수평으로 부착되어 전방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바와, 상기 절곡바와 전방종단부를 연결하여 회동하는 조인트와, 상기 절곡바의 상부에 부착된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방프레임에는 하방에 수평으로 장착된 하부수평바와, 상기 하부수평바 상부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된 상부수평바와, 상기 상부수평바의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바가 구성되고, 상기 절첩부는 상기 양측 하부수평바에 힌지연결된 후, 상호 X 형상으로 축이음된 회동바와, 상기 수직바에 핀이음된 후, 맞은편 하부수평바에 힌지연결된 회동바에 핀이음된 링크와, 상기 회동바의 벌어짐을 유지 및 해제하도록 상기 절첩부에 장착된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속부는 일측 링크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L형의 판형상인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에 걸리도록 상기 링크에 연결된 회동바에 고정된 걸림축과, 상기 스톱퍼의 하부 및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스톱퍼가 걸림축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인장스프링과, 상기 스톱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톱퍼를 걸림축에서 해제되도록 역회동시키는 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는 일측 절곡바의 전방종단부에 연결된 블록과, 상대측 절곡바의 전방종단부에 연결된 블록과, 상기 블록을 관통하여 블록을 밀착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양측 블록 내부에 수용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일측 블록을 관통하여 상대측 블록에 끼워지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양측 종단은 각각 상기 블록에 고정된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캐스터에 장착되어 캐스터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와, 상기 팔받침부에 고정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동 지점의 전방부에 상기 브레이크와이어가 연결된 제동레버와, 상기 제동레버의 일측방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종속링크와, 상기 종속링크에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방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측방에 고정되어 구동링크를 회동시키는 주차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는 접어서 크기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이송 시에는 차량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내리막을 내려갈 때처럼, 가속이 붙는 경우, 제동레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감속이 가능하므로 전복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해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레버를 작동시킬 때에는 제동레버가 자연히 회동하면서 주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보행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팔받침부의 쿠션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서 상부를 생략하여 절첩부가 부각되도록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끈을 상부로 당겨서 스톱퍼가 회동함으로써 바디가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 구성되는 양쪽의 절곡바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와 상기 조인트에 제동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K방향에서 조인트를 본 것을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상부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 구성되는 제동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동레버를 당겨서 제동와이어가 인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 구성되는 제동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차레버를 당겨서 제동와이어가 인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첩보행기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팔받침부의 쿠션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서 상부를 생략하여 절첩부가 부각되도록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끈을 상부로 당겨서 스톱퍼가 회동함으로써 바디가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 구성되는 양쪽의 절곡바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와 상기 조인트에 제동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K방향에서 조인트를 본 것을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상부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 구성되는 제동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동레버를 당겨서 제동와이어가 인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보행기에 구성되는 제동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차레버를 당겨서 제동와이어가 인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첩보행기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진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보행기(90)란 환자나 노약자인 사용자가 몸을 지탱하고서 걸을 수 있도록 구성한 의료기구로서, 본 고안에서는 접어서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감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바디(10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기를 지지하면서 굴러가는 캐스터(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팔받침(300)이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300) 및 상기 캐스터(200)에 장착되어 캐스터(200)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400)가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는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측방프레임(110, 120)이 구성되고, 상기 측방프레임(110, 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프레임(110, 120)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절첩부(130)가 구성된다.
상기 팔받침(300)은 상기 양쪽 측방프레임(110, 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세워진 지지바(311, 321)가 구성되고, 상기 양쪽 지지바(311, 321)에 수평으로 부착되어 전방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바(313, 3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바(313, 323)와 전방종단부를 연결하여 회동하는 조인트(330)가 구성되며, 상기 절곡바(313, 323)의 상부에 부착된 쿠션(341, 3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각 측방프레임(110, 120)은 바를 절곡하여 형성된 테두리(111, 121)가 구성되고, 상기 각 테두리(111, 121)의 하부를에 수평으로 고정된 하부수평바(112, 122)와, 상기 하부수평바(112, 1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테두리(111, 121)에 고정된 상부수평바(113, 1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바(113, 123)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링크(135, 137)가 연결되는 수직바(115, 125)가 구성된다.
상기 절첩부(130)는 상기 양측 하부수평바(112, 122)에 힌지연결된 후, 상호 X 형상으로 축이음된 회동바(131, 13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15, 125)에 핀이음된 후, 맞은편 하부수평바(112, 122)에 힌지연결된 회동바(131, 133)에 핀이음된 링크(135, 137)가 구성된다. 즉, 링크 137은 회동바 131에 연결되고, 링크 135는 회동바 13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131, 133)는 축이음됨으로써 가위처럼 벌어졌다가 오무러지는데, 벌어짐을 유지 및 해제하도록 상기 절첩부(130)에 단속부(14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속부(140)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단속부(140)는 일측 링크(135, 137)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L형의 판형상인 스톱퍼(14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141)에 걸리도록 상기 링크(135, 137)에 연결된 회동바(131, 131)에 걸림축(143)이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141)의 하부 및 상기 링크(135, 137)에 연결되어 스톱퍼(141)가 걸림축(143)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인장스프링(14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141)에 연결되어 상기 스톱퍼(141)를 걸림축(143)에서 해제되도록 역회동시키는 끈(1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141)의 보다 상세한 형상을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살펴보면, 상기 스톱퍼(141)는 판 형상의 바디(148)와, 상기 바디(148)의 일측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149)가 형성되어 전반적으로 L형의 판 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141)가 회전할 때, 상기 돌기(149)가 걸림축(143)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즉, 돌기(149)와 바디(148)의 연결부에 상기 걸림축(143)이 위치하게 된다. 일례로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면, 스톱퍼(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돌기(149)가 걸림축(143)에 걸려있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145)은 스톱퍼(141)의 하부에 연결되어 돌기(149)가 걸림축(143)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당기게 되는데, 일례로 도 5에서 보면, 스톱퍼(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인장스프링(145)이 당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바(131, 133)의 회동이 저지되어 대향하는 측방프레임(110, 120)이 밀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끈(147)은 돌기(149)와 상대되는 위치의 바디(148)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끈(147)을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도 6에서처럼, 스톱퍼(14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돌기(149)는 걸림축(143)에서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바(131, 133)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대향하는 측방프레임(110, 120)의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330)는 양측 절곡바(313)의 전방종단부(314)에 연결된 블록(331, 332)이 구성되고, 상기 각 블록(331, 332)을 관통하여 블록(331, 332)을 밀착시키는 샤프트(333)가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333)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측에 헤드(H)가 형성되고 상대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거나 스냅링(S)이 체결되어 양측 블록(331, 33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블록(331, 332)에는 샤프트(333)가 관통하는 관통구(P, L)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333)에 끼워져서, 상기 관통구(P, L) 내부에 수용되는 토션스프링(335)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P, L)가 상기 토션스프링(335)이 개재될 만큼의 크기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토션스프링(335)은 양측 종단부(336)가 각각 블록(331, 332)에 고정되는데 일례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종단부(336)가 삽입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토션스프링(335)은 양측 절곡바(313)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즉, 자유상태에서 절곡바(313)를 벌렸다가 놓게되면 다시 오므라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측 블록(332)을 관통하여 상대측 블록(331)에 끼워지는 핀(337)이 구성된다. 즉, 일측 블록(332)에 핀(337)이 관통하는 관통구(338)가 형성되고, 상대측 블록(331)에는 상기 핀(337)의 종단부가 삽입되는 핀홀(33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홀(339)에 핀(337)이 삽입되면 상기 절곡바(313)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핀(337)은 헤드(T)가 형성되어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핀(337)의 용이한 이탈이 가능하도록 레버(33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334)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샤프트(333)의 헤드(H)가 관통되는 홀(V)이 형성되고, 상기 핀(337)이 관통되고 핀(337)의 헤드(T)에 걸리는 홀(U)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34)를 밀거나 당기에 되면, 지렛대처럼 경사지면서 핀(337)이 당겨지면서 상기 핀홀(339)에서 빠지게 된다. 물론 상기 핀(337)이 빠져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블록(332)의 관통구(338)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핀(337)에는 상기 단턱에 걸리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핀(337)이 핀홀(339)에서 빠진 상태에서 다시 복원되어 핀홀(339)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337)에 끼워져서 상기 관통구(338)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이 걸리는 플랜지가 상기 핀(337)에 형성되고, 상기 핀홀(339)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이 걸리는 단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단턱과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핀(337)을 당겼다가 놓게 되면 압축스프링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 제동부(400)는 상기 캐스터(200)에 장착되어 캐스터(200)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패드(미도시)가 구성되는데, 이 부분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410)가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300)에 고정된 브래킷(420)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42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회동 지점의 전방부에 상기 브레이크와이어(410)가 연결된 제동레버(430)가 구성된다. 상기 제동레버(430)가 브래킷(42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브래킷(420)의 상면에 돌출부(42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23)와 상기 제동레버(430)를 핀이 관통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와이어(4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제동레버(430)의 일측방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종속링크(4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속링크(440)에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420)의 측방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링크(4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450)의 측방에 고정되어 구동링크(450)를 회동시키는 주차레버(460)가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420)은 조인트(33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일측 절곡바(313)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420)에 브레이크와이어(410)가 관통되는 홀이 천공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양쪽 절곡바(313)가 펼쳐지고, 상기 스톱퍼(141)가 걸림축(143)에 걸려짐으로써, 양측의 측방프레임(110, 120)이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동레버(430)와 주차레버(460)는 전방으로 밀어서 제동이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바디(110) 내부로 들어간 후, 팔받침(300)의 쿠션(341, 343)을 손으로 잡고서 상체를 전방으로 의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전방으로 밀면서 앞으로 걸어간다.
만약, 내리막을 만나게 된다면, 상기 제동레버(430)를 후방으로 당기면서 브레이크와이어(410)를 상방으로 올리면서 캐스터(200)에 부하를 줘서 감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동레버(430)를 많이 당길수록 제동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을 세워두기 위해서는 상기 주차레버(460)을 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도 12에서처럼, 구동링크(450)가 회동하면서 종속링크(440)가 후방으로 돌아가면서 제동레버(430)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구동링크(450)와 종속링크(440)가 핀이음된 부분이 후방으로 꺾으지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 다시 주차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차레버(460)를 전방으로 밀어서 제동레버(430)가 전방으로 돌아가도록 하여 브레이크와이어(410)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제동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본 고안을 절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핀(337)을 당겨서 양측의 블록(331, 332)이 토션스프링(335)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사기 절곡바(313)는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끈을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스톱퍼(141)가 걸림축(143)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동바(131, 133)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프레임(110, 120)의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이므로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고, 차량에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90: 절첩보행기 100: 바디
110, 120: 측방프레임 112, 122: 하부수평바
113, 123: 상부수평바 115, 125: 수직바
130: 절첩부 131, 133: 회동바
135, 137: 링크 140: 단속부
141: 스톱퍼 143: 걸림축
145: 인장스프링 147: 끈
300: 팔받침 311: 지지바
313: 절곡바 330: 조인트
331, 332: 블록 333: 샤프트
335: 토션스프링 337: 핀
400: 제동부 410: 브레이크와이어
420: 브래킷 430: 제동레버
440: 종속링크 450: 구동링크
460: 주차레버

Claims (5)

  1.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기를 지지하면서 굴러가는 캐스터와,
    상기 바디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팔받침과,
    상기 팔받침 및 상기 캐스터에 장착되어 캐스터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는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측방프레임과,
    상기 측방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프레임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절첩부로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은 상기 측방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수평으로 부착되어 전방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바와,
    상기 절곡바와 전방종단부를 연결하여 회동하는 조인트와,
    상기 절곡바의 상부에 부착된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프레임에는 하방에 수평으로 장착된 하부수평바와,
    상기 하부수평바 상부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된 상부수평바와,
    상기 상부수평바의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바가 구성되고,
    상기 절첩부는 상기 양측 하부수평바에 힌지연결된 후, 상호 X 형상으로 축이음된 회동바와,
    상기 수직바에 핀이음된 후, 맞은편 하부수평바에 힌지연결된 회동바에 핀이음된 링크와,
    상기 회동바의 벌어짐을 유지 및 해제하도록 상기 절첩부에 장착된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일측 링크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L형의 판형상인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에 걸리도록 상기 링크에 연결된 회동바에 고정된 걸림축과,
    상기 스톱퍼의 하부 및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스톱퍼가 걸림축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인장스프링과,
    상기 스톱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톱퍼를 걸림축에서 해제되도록 역회동시키는 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행기
  4.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일측 절곡바의 전방종단부에 연결된 블록과,
    상대측 절곡바의 전방종단부에 연결된 블록과,
    상기 블록을 관통하여 블록을 밀착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양측 블록 내부에 수용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일측 블록을 관통하여 상대측 블록에 끼워지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양측 종단은 각각 상기 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행기.
  5.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캐스터에 장착되어 캐스터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와,
    상기 팔받침부에 고정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동 지점의 전방부에 상기 브레이크와이어가 연결된 제동레버와,
    상기 제동레버의 일측방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종속링크와,
    상기 종속링크에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방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측방에 고정되어 구동링크를 회동시키는 주차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행기.
KR2020110001435U 2011-02-21 2011-02-21 절첩보행기 KR200464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35U KR200464815Y1 (ko) 2011-02-21 2011-02-21 절첩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35U KR200464815Y1 (ko) 2011-02-21 2011-02-21 절첩보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63U true KR20120006063U (ko) 2012-08-29
KR200464815Y1 KR200464815Y1 (ko) 2013-01-21

Family

ID=5136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435U KR200464815Y1 (ko) 2011-02-21 2011-02-21 절첩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8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427B1 (ko) * 2018-06-28 2019-11-1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155312B1 (ko)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KR20230040561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테스크 접이형 보행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414B1 (ko) * 2017-09-26 2018-02-05 박재민 보행 보조 장치
KR101966342B1 (ko) 2017-11-10 2019-04-0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075321B1 (ko) 2019-12-18 2020-02-07 정현우 접이식 보행보조기
KR102541389B1 (ko) 2021-02-22 2023-06-07 김진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20230011647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동행기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20230106879A (ko) 2022-01-07 2023-07-14 남현기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20230106878A (ko) 2022-01-07 2023-07-14 남현기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20240063290A (ko) 2022-10-31 2024-05-10 진경환 사용자 맞춤형 가감속 안전 보행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312B2 (ja) * 1991-01-23 1996-06-05 象印ベビー株式会社 歩行補助器
US6877519B2 (en) 2002-05-29 2005-04-12 Daniel J. Fink Collapsible side wheeled walker
KR200441797Y1 (ko) * 2007-12-03 2008-09-05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보행보조기
KR100922398B1 (ko) * 2009-06-15 2009-10-19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3륜 보행보조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427B1 (ko) * 2018-06-28 2019-11-1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155312B1 (ko)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KR20230040561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테스크 접이형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15Y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815Y1 (ko) 절첩보행기
KR101420175B1 (ko) 간이 침대용 레그 해제 조립체
CN108202810A (zh) 折叠式个人移动式车辆
CA2887609C (en) Security arrangement in a multi-function passenger carrier
US8308212B2 (en) Cot fastening system
JP3187235U (ja) 台車
JP3080953B1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的な形態を有する老人車
JP5325743B2 (ja) 歩行補助車
JP3802635B2 (ja) 中折式構造体
KR101409349B1 (ko)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US9956980B2 (en) Juvenile stroller with removable seat cover
JP2010143302A (ja) ブリッジ
JP2014177219A (ja) 手押し車
EP3601012B1 (en) Folding frame for strollers, baby carriages or the like
CN213354262U (zh) 折叠坡板装置
JP3233204U (ja) ペットキャリーバスケットの装着位置決め構造
CN213862392U (zh) 一种可折叠的支撑组件及具备该支撑组件的童车
JP2574100B2 (ja) 車両搬送装置
KR100586359B1 (ko) 보조바퀴 및 제동부가 구비된 골프백카트
CN214492981U (zh) 一种改进的多功能越障手推车
JP4139370B2 (ja) 車両用荷積みプラットフォーム
JPH0727237Y2 (ja) 幼児拘束装置付自動車用シート
KR101136963B1 (ko) 자전거 탈?부착식 카트 장치
CN211714675U (zh) 一种交通事故救援方舱
CN107697141A (zh) 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