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349B1 -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Google Patents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349B1 KR101409349B1 KR1020120129516A KR20120129516A KR101409349B1 KR 101409349 B1 KR101409349 B1 KR 101409349B1 KR 1020120129516 A KR1020120129516 A KR 1020120129516A KR 20120129516 A KR20120129516 A KR 20120129516A KR 101409349 B1 KR101409349 B1 KR 1014093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chair
- plate
- floor panel
- bumper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stored under the loading floor when not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used for more than one height of loading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범퍼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어 회전수단에 의해 상하 회전되면서 상기 절개에 의해 만들어지는 절개부를 개폐하는 가동범퍼와;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후방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켜 경사진 끝단이 상기 절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바닥패널과, 상기 가동범퍼의 내부 상면에는 수평상태로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단 양측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의 상단 양측과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저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저면과 제1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상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상면과 제2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단은 하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패널과 접면되도록 구성된 탑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자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탑승 후 안전장치와 편의장치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자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탑승 후 안전장치와 편의장치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차량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후방을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탑승 후 안전장치와 편의장치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까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와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움직임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경우 장거리 이동시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가 함께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하기 어렵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로 자동차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박스카(Box-car) 형태의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박스카라 함은 자동차 외형이 네모 반듯한 상자를 쌓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 박스카라고 불리우며, 일반 승용차 대비 전고가 높고 탑승 공간과 트렁크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 실내 공간이 넓고 개방성이 좋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박스카 형태의 자동차 후방에 리프트를 장착하여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09545 "장애인용 차량" 을 통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프트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차량에 탑승하는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의 후방도어가 열리고, 내부에 위치하던 리프트가 자동차의 외부로 나온 상태에서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리프트에 올라타게 되며, 이후 휠체어와 함께 리프트가 자동차의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자동차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프트의 작동과정을 보면 리프트가 자동차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온 후 지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후 리프트에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올라타면 리프트는 다시 수직 상방으로 승강하게 됨에 따라 이용자로서는 추락의 불안함을 느끼게 되어 편안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트의 동작이 유압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차 내부에 별도의 유압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이러한 유압시스템에 의해 자동차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플로어패널의 후방에 하향 경사지게 함몰되며, 그 상면에는 다수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구비된 바닥패널을 형성하고, 후방범퍼에는 후방범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회전 가능한 가동범퍼를 구성하며, 그러한 가동범퍼에는 지면으로 연장되어 전개되는 탑승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탑승수단을 통해 자동차 내부에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는 것이며, 탑승 후 휠체어 고정수단을 통해 휠체어 이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후방범퍼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며, 그 절개된 하단은 후방범퍼의 하단과 회전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상기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후방범퍼의 절개부를 개폐해주는 가동범퍼와;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후방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켜 경사진 끝단이 상기 절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바닥패널과; 상기 가동범퍼의 내부 상면에는 수평상태로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단 양측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의 상단 양측과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저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저면과 제1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상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상면과 제2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단은 하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패널과 접면되도록 구성된 탑승수단;과 관련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회전수단으로 바닥패널의 끝단 저면 양측에 회전부를 가지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연결브라켓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단은 가동범퍼의 내부프레임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가동범퍼가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 중 지면과 닿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완충부재를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에 나사결합시켜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바깥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고, 가동범퍼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패널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을 바닥패널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에 의해 휠체어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이 당겨지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은 수회 감겨진 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인출 또는 되감겨지도록 내재된 하우징과, 상기 벨트의 끝단에 설치된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패널에 놓여지는 휠체어 바퀴와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바닥패널 상면 양측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패널의 전방 중앙에는 휠체어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휠체어의 하부에는 상기 휠체어 잠금장치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탑승수단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휠체어 바퀴와의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는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탑승수단의 제3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탑승수단의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단면에는 서로 대향되어 접면되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접혀지는 제2플레이트의 제3플레이트의 연결부위가 상측 방향으로 융기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패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시트의 저면중 전방 양측은 플로어패널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힌지결합시키고, 후방시트의 저면중 후방 양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하여, 바닥패널의 양측 단턱부 상면에 구비되는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수평한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저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끝단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는 스트라이커 형성하여 상기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스트라이커를 구속시켜 상기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 천정의 후방 한쪽에는 내부에 수회 감겨진 안전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되감겨지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 끝단에는 텅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시트용 버클에 상기 텅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는 고정장치로부터 급격히 인출될 때 안전벨트의 인출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후방도어의 내면중 상측과 하측에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휠체어에 착석해 있는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 뒷면을 보호해주는 머리쿠션 부재가 구비되고, 하측 프레임에는 휠체어 이용자의 등을 보호해주는 등쿠션 부재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방을 통해 내부로 휠체어가 탑승될 수 있도록 자동차에 플로어패널로부터 연장되는 하향 경사진 바닥패널과, 후방범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상하 회전되는 가동범퍼와, 그러한 가동범퍼에 접철 되면서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펼쳐지는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패널에는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휠체어 고정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승강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내부로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는 것이며, 탑승된 휠체어는 다수의 휠체어 고정수단을 통해 유동 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휠체어 이용자 또한 원하는 목적지 까지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를 예시한 요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다른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a, 3b, 3c 3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탑승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후방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휠체어 탑승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다른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a, 3b, 3c 3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탑승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후방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휠체어 탑승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휠체어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시킬 수 있는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후방범퍼(200)의 중앙 일부분으로부터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위를 회전식으로 개폐해 주는 가동범퍼(100)와, 플로어패널(400)의 후방 일부분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킨 바닥패널(300)과, 가동범퍼(100)로부터 지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탑승수단(500)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도 1 과 도 2 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동범퍼(100)는,
후방범퍼(200)의 중앙부위 일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후방범퍼(20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후방범퍼(200)의 하단과 가동범퍼(100)의 하단은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절개범위는 후방범퍼(200)의 중심선에서 양쪽으로 일정한 폭을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휠체어(600)가 여유를 가지고 진입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절개에 따라 후방범퍼(200)의 중앙부에는 "└┘" 형태의 절개부(21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방범퍼(200)로부터 가동범퍼(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수단(220)으로는 바닥패널(300) 중 후방범퍼(200)를 향하는 후방 끝단 하부 양측에 회전부(222)를 가지는 힌지브라켓(221)이 설치되고,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에는 연결브라켓(223)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연결브라켓(223)의 타단은 가동범퍼(100)의 전방에 고정되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연결브라켓(223)의 타단을 가동범퍼(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프레임(120)과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가동범퍼(100)를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시키면 후방범퍼(200)로부터 가동범퍼(100)가 분리되면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은 지면에 닿게 되고, 이때 절개부(210)는 개방되는 것이며,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가동범퍼(100)를 다시 상향 회전시키면 후방범퍼(200)의 절개부(210)는 가동범퍼(100)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동범퍼(100)를 절개부(210)에 개폐함에 있어서, 가동범퍼(100)의 전체적인 무게에 따라 가동범퍼(100)의 상하 회전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0) 축상에 코일스프링(도면중 미도시)을 설치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힌지브라켓(221)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연결브라켓(223)에 고정시킴에 따라 가동범퍼(100)를 절개부(210)로부터 개방시키면 가동범퍼(100)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은 비틀려 압축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보다 가동범퍼(100)의 하중이 더 무겁기 때문에 가동범퍼(100)가 자체적으로 상향 회전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범퍼(100)를 살짝 들어주어야만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범퍼(100)가 상향 회전되면서 절개부(210)가 폐쇄되는 것이다.
또한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를 폐쇄할 때 그 폐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절개부(210)의 양측면 상부에 안쪽을 향하는 스트라이커(211)를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가동범퍼(100)의 하부 양측면에는 잠금장치(110)를 설치함으로써, 가동범퍼(100)를 회전시켜 절개부(210)를 폐쇄시킬 때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에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가 결합되면서 절개부(210)를 폐쇄하고 있는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로부터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잠금장치(110)와 후술 되는 휠체어 잠금장치(330),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라 함은 도면을 통해 내부 구성을 자세히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의 트렁크나 도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잠금장치로서,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전되는 후크와 그러한 후크를 제어하는 걸쇠로 구성되어 있어 스트라이커가 잠금장치의 끼워지면 후크가 회전되어 잠금장치에 끼워진 스트라이커를 고정하게 되며, 와이어 등에 연결되는 후크를 동작시키면 후크가 역회전 되어 잠금장치로부터 스트라이커가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로부터 개방될 경우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이 지면과 닿게 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이 손상되고,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복수개의 완충부재(130)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로부터 개방되어 하향 회전될 때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가 지면에 먼저 닿게 되면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소음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완충부재(130)는 가동범퍼(100)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완충부재(130)와 함께 가동범퍼(100)가 지면에 닿아 있을 때 완충부재(1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지면으로부터의 가동범퍼(100)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데, 이는 완충부재(130)의 높이조절에 따라 가동범퍼(100)와 연결되는 탑승수단(500)의 경사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면의 상태에 따라 탑승수단(50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탑승수단(500)을 통해 자동차의 후방으로 진입하는 휠체어(600)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바닥패널(300)은,
탑승수단(500)을 통해 자동차의 후방으로부터 진입하는 휠체어(600)가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이러한 바닥패널(300)은 휠체어(600)의 전후방 및 좌우의 폭과 상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동차의 플로어패널(400) 중 후방 쪽 일부분을 함몰시키되 후방도어(90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바닥패널(300)은 플로어패널(400)과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플로어패널(400)의 후방부위를 제거한 후 경사진 바닥패널(300)을 직접 연결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바닥패널(300) 중 후방도어(900)를 향하는 하단은 절개부(210)의 내부 저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수단(500)을 거쳐 절개부(210)를 통해 이동되는 휠체어(600)가 바닥패널(300)로 부드럽게 진입하여 바닥패널(3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바닥패널(300)의 양측으로는 기존 플로어패널(4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턱부(410)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단턱부(410)는 바닥패널(300)에 위치하는 휠체어의 불필요한 좌우 이동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바닥패널(300)의 상면에는 바닥패널(300)에 놓여 지는 휠체어(600)가 불필요하게 전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휠체어 고정수단(31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바닥패널(300)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사방으로 각각 구비되어 바닥패널(300)에 놓여지는 휠체어(600)를 사방에서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양측의 휠체어 고정수단(310)의 간격보다 하부 양측의 휠체어 고정수단(310)의 간격을 좁게 구성한 것인데, 이는 휠체어(600)를 사방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지만 바닥패널(300)의 상부 양측에 위치하는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휠체어(600)와의 간섭이 없어 휠체어(6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지만 바닥패널(300)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단턱부로 인하여 휠체어(6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패널(300)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휠체어(600) 바퀴의 이동경로에 놓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휠체어(600) 바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휠체어(600) 바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휠체어(600)의 프레임 또는 바퀴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11)과, 그러한 하우징(311)의 내부에 수회로 감겨져 있으며, 하우징(311)으로부터 탄성력을 가지면서 인출 또는 되감겨지는 벨트(312)와, 그러한 벨트(312)의 끝단에 구비되어 휠체어(600)의 프레임 또는 바퀴에 고정되는 고리(313)로서 구성된 것이며, 이때 휠체어 고정수단(310)에는 필요에 따라 벨트(312)의 움직임 방지할 수 있는 방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바닥패널(300)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에 휠체어(600) 바퀴와의 마찰력을 높여 바닥패널(300)에 놓여진 휠체어(600) 바퀴가 불필요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패드(320)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바닥패널(300)에 놓여지는 휠체어(600)의 움직임을 더욱 구속하여 휠체어 이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패널(300)의 상부쪽 중앙에 휠체어 잠금장치(330)를 설치하고, 휠체어(600)에는 전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610)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재(610)의 전면으로 스트라이커(611)를 설치함으로써, 휠체어(600)를 바닥패널(3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방쪽으로 더욱 밀어주게 되면 휠체어(600)의 연장부재(610)에 구비된 스트라이커(611)가 자동적으로 휠체어 잠금장치(330)에 고정됨에 따라 바닥패널(300)의 사방에 설치된 휠체어 고정수단(310)과 함께 휠체어 잠금장치(330)로 인해 바닥패널(300)에 안착된 휠체어(60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탑승수단(500)은,
가동범퍼(100)로부터 지면까지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동범퍼(100)의 내부 상면에 가동범퍼(100)의 상면 크기와 상응한 크기를 가지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제1플레이트(510)와, 그러한 제1플레이트(510)의 하단에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520)와, 그러한 제2플레이트(520)의 하단에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530)와, 제1플레이트(510)의 상단과 바닥패널(300)을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5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제1플레이트(510)의 하단 양측에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힌지부재(511)가 형성되고, 그러한 힌지부재(511)에는 제2플레이트(520)의 상단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이며, 제2플레이트(520)의 하단과 제3플레이트(530)의 상단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저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1경첩부재(52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510)의 상단과 연결플레이트(540)의 하단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2경첩부재(53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며, 연결플레이트(540)의 상단은 일부분이 하측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바닥패널(300)의 상면에 접면되어 바닥패널(300)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장치(110)로부터 스트라이커(211)가 풀리고 가동범퍼(100)가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 연결플레이트(540)의 하단으로부터 제1플레이트(510)의 상단이 제2경첩부재(531)의 도움을 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510)와 가동범퍼(100)가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연결플레이트(540)의 상단은 바닥패널(300)의 상면으로부터 후방도어(900)쪽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가 지면에 닿게 되면 제1플레이트(510)는 하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고, 이후 제1플레이트(510)와 연결된 제2플레이트(520)가 힌지부재(511)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며, 제2플레이트(520)와 연결된 제3플레이트(530) 또한 제1경첩부재(521)의 회전에 따라 하향 회전되면서 연결플레이트(540)와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가 동일선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때 가동범퍼(100)의 회전범위가 절개부(210)를 폐쇄하고 있던 수직방향에서 90°이상 둔각의 범위로 회전되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게 됨에 따라 제1플레이트(51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 또한 제1플레이트(510)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게 되면서 제3플레이트(530)의 하단이 지면과 닿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탑승수단(500)의 경사도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므로서, 전체적인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경사도를 가지면서 펼쳐진 탑승수단(500)이 접힐 때에는 도 3a 와 3b 와 3c 와 3d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경첩부재(521)의 도움을 받아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가 상측으로 융기되도록 회전시켜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바깥면이 서로 접면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힌지부재(511)의 도움을 받아 접혀진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를 제1플레이트(510) 쪽으로 회전시켜 제2플레이트(520)의 내면이 제1플레이트(510)의 내면에 접면되도록 접은 다음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제3플레이트(530)와 제2플레이트(520) 및 제1플레이트(510)가 가동범퍼(100)와 함께 상향 회전되어 절개부(210)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수단(500)을 접을 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플레이트(530)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533)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손잡이부(533)를 파지한 상태에서 탑승수단(500)의 펼침과 접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미끄럼방지패드(550)를 설치하므로서, 탑승수단(500)을 따라 이동되는 휠체어(600)의 바퀴가 탑승수단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상면 양측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522)(532)를 구비함에 따라 탑승수단(500)을 통해 이동되는 휠체어(600)의 바퀴가 탑승수단(500)의 바깥쪽으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휠체어(600)가 탑승수단(500)의 상면을 타고 오르거나 내려감에 있어서, 휠체어(600) 및 휠체어 이용자의 무게에 의해 탑승수단(500)의 연결부위가 눌리면서 탑승수단(500)의 전체적인 경사도가 완만함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의 연결부위 및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플레이트(520) 후방과 제3플레이트(530)의 전방의 마주하는 단면에 서로 대향되어 접면되는 돌부(514)를 각각 형성함에 따라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에 수직 하방으로 중력이 작용할 경우 제2플레이트(520) 후방과 제3플레이트(530) 전방의 마주하는 단면에 구비된 돌부(514)가 서로 지탱을 하게 되어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가 함몰되는 형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를 힌지부재(511)로 연결함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510)의 하단 일부 상면에 제2플레이트(520)의 상단 일부 저면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의 연결부위 또한 함몰되는 형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자동차에 바닥패널(300)과 가동범퍼(100)와 탑승수단(500)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후방을 통해 내부로 휠체어(600)가 탑승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 후방 쪽 내부 공간이 충분한 형태의 차량인 경우 후방시트(700)의 조절 없이도 바닥패널(300)과 가동범퍼(100)와 탑승수단(500)을 구비하여 휠체어(600)가 자동차의 후방 내부에 탑승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작은 크기의 박스카 타입 자동차인 경우 자동차의 후방 쪽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후방시트(700)를 제거한 후 휠체어(600)가 탑승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그러나 후방시트(700)를 제거하는 경우 휠체어(600)의 탑승은 용이하나 휠체어(600)가 탑승되지 않을 때에는 승차정원의 수가 줄어들게 되면서 자동차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게 되고, 자동차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방시트(700)의 저면을 플로어패널(400)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플로어패널(400)에 힌지부(720)를 구성한 후 그러한 힌지부(720)에 후방시트(700)의 저면 중 전방 양측을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후방시트(700)의 저면중 후방 양측에는 스트라이커(730)를 설치하며, 바닥패널(300) 양측에 위치한 단턱부(410) 상면에는 각각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를 설치함에 따라 평상시에는 후방시트(700)의 스트라이커(730)를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고정시켜 후방시트(700)로 사용하다가 휠체어(600)를 탑승시킬 경우에는 후방시트(700)의 등받이(710)를 접은 상태에서 후방시트(700)의 스트라이커(730)를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로부터 분리시킨 후 힌지부(720)를 중심으로 등받이(710)와 후방시트(700)를 함께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바닥패널(300)의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휠체어(600)를 효과적으로 탑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후방시트(700)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대응하는 플로어패널(400)의 사방에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를 설치하고, 후방시트(700)의 저면 사방에는 상기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트라이커(730)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휠체어(600)의 크기에 따라 후방시트(700) 전체를 플로어패널(400)로부터 분리시켜 후방의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후방시트(700)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후방의 공간을 가변조절할 수 있어 자동차의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자동차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후방시트(700)와 등받이(710)를 함께 전방으로 회전시켜 바닥패널(300)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상태에서 단턱부(410)에 위치한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평상태의 사각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평판과, 그러한 평판의 저면 양측에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와, 그러한 다리의 끝단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받침판으로 테이블을 구성하고, 그러한 테이블의 받침판 저면에는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고정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휠체어(600)와 함께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가 간단한 업무나 식사 등을 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필요로 하는 경우 테이블의 받침판에 구비된 스트라이커를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각각 결합시켜 휠체어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내부 후방에 휠체어(600)와 함께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한 경우 휠체어 이용자의 후방에는 후방도어(900)가 바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충돌이나 추돌 등과 같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가 전방으로 급격히 이동되거나 후방도어(900)와 직접 부딪치는 경우 부상을 크게 입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 천정에 고정장치(810)를 설치하되, 그 고정장치(810)는 내부에 안전벨트(811)가 수회 감져진 상태에서 탄성력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되감겨지도록 구성하고, 그러한 안전벨트(811)의 끝단에는 텅플레이트(812)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실내 천정(800)에 설치되는 고정장치(810)의 위치는 바닥패널(300)에 안착된 후 휠체어 고정수단(310) 및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의해 고정된 휠체어(600)에 착석하게 되는 휠체어 이용자 머리의 수직 상방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그 후방에서도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부위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고정장치(810)의 안전벨트(811)를 잡아당겨 고정장치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기존 후방시트용 버클(813)에 안전벨트(811)의 텅플레이트(812)를 결합시키게 되면 안전벨트(811)가 휠체어 이용자의 가슴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속해주게 되므로 차량의 충격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급격히 이동되면서 전방의 물체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고정장치(810)의 내부에는 안전벨트(811)가 급격히 당겨질 때 안전벨트(811)의 움직임을 바로 멈출 수 있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후방도어(900)의 내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측과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다른 차량의 후방 추돌에 의해 후방도어(900)가 실내로 밀려 들어올 때 후방도어(900)의 내면에 설치된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이 후방도어(900)의 강성을 최대한 보강해줌에 따라 후방 추돌에 의한 후방도어(900)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후방 추돌에 의해 후방도어(900) 안쪽에 위치하는 휠체어 이용자가 크게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상측 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의 위치를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 후방 및 등 후방에 위치시켜 구성하고,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의 전면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머리쿠션 부재와 등쿠션 부재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자동차의 충격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와 등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도어(900)가 휠체어 이용자 쪽으로 밀려 들어올 때 상측 프레임의 머리쿠션 부재와 하측 프레임의 등쿠션 부재가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와 등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의해 휠체어가 탑승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자동차의 내부에 휠체어(600)와 함께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할 경우 휠체어 이용자를 도와주는 도우미가 후방도어(900)를 열고,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로부터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가동범퍼(100)를 하향 회전시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가 지면에 닿도록 하면 절개부(210)는 개방되는 것이다.
이후 가동범퍼(100)의 제1플레이트(510)쪽으로 접혀져 있던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를 순차적으로 펼쳐 탑승수단(500)이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한 다음 그러한 경사도를 가지는 탑승수단(500)을 거쳐 절개부(210)를 통해 휠체어(600)와 함께 휠체어 이용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휠체어(600) 및 휠체어 이용자를 자동차 내부의 바닥패널(300)에 안전하게 탑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우미는 휠체어(600)의 전방에 구비된 스트라이커(611)를 바닥패널(300) 전방 중앙에 위치한 휠체어 잠금장치(330)에 결합시킨 다음 휠체어 고정수단(310)에 구비된 벨트(312)를 연장시켜 그 끝단에 구비된 고리(313)를 휠체어(600)의 프레임 또는 바퀴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휠체어(600)가 바닥패널(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천정(800)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장치(810)의 안전벨트(811)를 잡아당겨 그 안전벨트(811)에 연결된 텅플레이트(812)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방시트용 버클(813)에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벨트(811)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의 급격한 전방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우미는 손잡이부(533)를 이용하여 제3플레이트(530)와 제2플레이트(520)를 접은 후 그 접혀진 제3플레이트(530)와 제2플레이트(520)를 제1플레이트(510)쪽으로 다시 접은 상태에서 가동범퍼(100)를 상향 회전시켜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를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에 결합시키므로서, 개방되어 있던 절개부(210)가 가동범퍼(10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려져 있던 후방도어(900)를 닫은 다음 자동차를 주행하여 휠체어 이용자와 함께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휠체어(600)와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차로부터 하차할 경우에는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를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로부터 분리시킨 후 가동범퍼(100)를 하향 회전시킨 다음 접혀져 있던 탑승수단(500)을 경사지게 펼치고, 휠체어(600)와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고 있는 휠체어 고정수단(310)과 휠체어 잠금장치(330)와 안전벨트(811)를 제거한 상태에서 탑승수단(500)을 이용해 휠체어(600)와 휠체어 이용자를 안전하게 하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가동범퍼 110 : 잠금장치
120 : 내부프레임 130 : 완충부재
200 : 후방범퍼 210 : 절개부
211 : 스트라이커 220 : 회전수단
221 : 힌지브라켓 222 : 회전부
223 : 연결브라켓 300 : 바닥패널
310 : 휠체어 고정수단 311 : 하우징
312 : 벨트 313 : 고리
320 : 미끄럼방지패드 330 : 휠체어 잠금장치
400 : 플로어패널 410 : 단턱부
420 : 후방시트 잠금장치 500 : 탑승수단
510 : 제1플레이트 511 : 힌지부재
514 : 돌부 520 : 제2플레이트
521 : 제1경첩부재 522 : 날개부
530 : 제3플레이트 531 : 제2경첩부재
532 : 날개부 533 : 손잡이부
540 : 연결플레이트 550 : 미끄럼방지패드
600 : 휠체어 610 : 연장부재
611 : 스트라이커 700 : 후방시트
710 : 등받이 720 : 힌지부
730 : 스트라이커 800 : 천정
810 : 고정장치 811 : 안전벨트
812 : 텅플레이트 813 : 후방시트용 버클
900 : 후방도어
120 : 내부프레임 130 : 완충부재
200 : 후방범퍼 210 : 절개부
211 : 스트라이커 220 : 회전수단
221 : 힌지브라켓 222 : 회전부
223 : 연결브라켓 300 : 바닥패널
310 : 휠체어 고정수단 311 : 하우징
312 : 벨트 313 : 고리
320 : 미끄럼방지패드 330 : 휠체어 잠금장치
400 : 플로어패널 410 : 단턱부
420 : 후방시트 잠금장치 500 : 탑승수단
510 : 제1플레이트 511 : 힌지부재
514 : 돌부 520 : 제2플레이트
521 : 제1경첩부재 522 : 날개부
530 : 제3플레이트 531 : 제2경첩부재
532 : 날개부 533 : 손잡이부
540 : 연결플레이트 550 : 미끄럼방지패드
600 : 휠체어 610 : 연장부재
611 : 스트라이커 700 : 후방시트
710 : 등받이 720 : 힌지부
730 : 스트라이커 800 : 천정
810 : 고정장치 811 : 안전벨트
812 : 텅플레이트 813 : 후방시트용 버클
900 : 후방도어
Claims (21)
- 자동차의 후방도어를 개방하고,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자동차 내부로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지 자동차에 있어서,
후방범퍼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며, 그 절개된 하단은 후방범퍼의 하단과 회전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상기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후방범퍼의 절개부를 개폐해주는 가동범퍼;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후방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켜 경사진 끝단이 상기 절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바닥패널;
상기 가동범퍼의 내부 상면에는 수평상태로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단 양측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의 상단 양측과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저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저면과 제1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상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상면과 제2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단은 하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패널과 접면되도록 구성된 탑승수단; 및
상기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 중 지면과 닿는 부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자동차의 후방도어를 개방하고,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자동차 내부로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지 자동차에 있어서,
후방범퍼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며, 그 절개된 하단은 후방범퍼의 하단과 회전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상기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후방범퍼의 절개부를 개폐해주는 가동범퍼;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후방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켜 경사진 끝단이 상기 절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바닥패널; 및
상기 가동범퍼의 내부 상면에는 수평상태로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단 양측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의 상단 양측과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저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저면과 제1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상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상면과 제2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단은 하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패널과 접면되도록 구성된 탑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수단은,
바닥패널의 끝단 저면 양측에 회전부를 가지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연결브라켓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단은 가동범퍼의 내부프레임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가동범퍼가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축상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힌지브라켓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연결브라켓에 고정시켜 회전부를 중심으로 가동범퍼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에 나사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바깥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고, 가동범퍼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은,
바닥패널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에 의해 휠체어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이 당겨지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은,
수회 감겨진 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인출 또는 되감겨지도록 내재된 하우징과, 상기 벨트의 끝단에 설치된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에 놓여지는 휠체어 바퀴와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바닥패널 상면 양측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전방 중앙에는 휠체어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휠체어의 하부에는 상기 휠체어 잠금장치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수단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휠체어 바퀴와의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는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수단의 제3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수단의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단면에는 서로 대향되어 접면되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접혀지는 제2플레이트의 제3플레이트의 연결부위가 상측 방향으로 융기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시트의 저면중 전방 양측은 플로어패널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힌지결합시키고, 후방시트의 저면중 후방 양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하여, 바닥패널의 양측 단턱부 상면에 구비되는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시트 저면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상기 후방시트 저면과 대응되는 플로어패널의 양측과 바닥패널의 양측 단턱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후방시트 잠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수평한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저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끝단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는 스트라이커 형성하여 상기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구속시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차 실내 천정의 후방 한쪽에는 내부에 수회 감겨진 안전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되감겨지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 끝단에는 텅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시트용 버클에 상기 텅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는 고정장치로부터 급격히 인출될 때 안전벨트의 인출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도어의 내면중 상측과 하측에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휠체어에 착석해 있는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 뒷면을 보호해주는 머리쿠션 부재가 구비되고, 하측 프레임에는 휠체어 이용자의 등을 보호해주는 등쿠션 부재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516A KR101409349B1 (ko) | 2012-11-15 | 2012-11-15 |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516A KR101409349B1 (ko) | 2012-11-15 | 2012-11-15 |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2752A KR20140062752A (ko) | 2014-05-26 |
KR101409349B1 true KR101409349B1 (ko) | 2014-06-20 |
Family
ID=5089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9516A KR101409349B1 (ko) | 2012-11-15 | 2012-11-15 |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3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9507B1 (ko) * | 2017-05-11 | 2018-05-21 | 주식회사이지무브 | 차량용 휠체어 램프 개폐 장치 |
KR20220093495A (ko) * | 2020-12-28 | 2022-07-05 |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 교통약자용 차량의 리어 센터 범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0550B1 (ko) * | 2019-12-11 | 2024-05-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
GB2598335B (en) * | 2020-08-26 | 2023-12-13 | S G Technical Systems Ltd | Vehicle ramp assembl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7321A (ja) | 2004-11-12 | 2006-06-01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スロープ構造 |
KR100794551B1 (ko) | 2007-04-09 | 2008-01-17 | 주식회사 오텍 |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KR100814684B1 (ko) | 2007-07-11 | 2008-03-18 | 주식회사 오텍 |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KR100968741B1 (ko) | 2009-11-19 | 2010-07-08 | 주식회사 오텍 | 슬라이딩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
2012
- 2012-11-15 KR KR1020120129516A patent/KR1014093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7321A (ja) | 2004-11-12 | 2006-06-01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スロープ構造 |
KR100794551B1 (ko) | 2007-04-09 | 2008-01-17 | 주식회사 오텍 |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KR100814684B1 (ko) | 2007-07-11 | 2008-03-18 | 주식회사 오텍 |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KR100968741B1 (ko) | 2009-11-19 | 2010-07-08 | 주식회사 오텍 | 슬라이딩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9507B1 (ko) * | 2017-05-11 | 2018-05-21 | 주식회사이지무브 | 차량용 휠체어 램프 개폐 장치 |
KR20220093495A (ko) * | 2020-12-28 | 2022-07-05 |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 교통약자용 차량의 리어 센터 범퍼 |
KR102459388B1 (ko) * | 2020-12-28 | 2022-10-27 |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 교통약자용 차량의 리어 센터 범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2752A (ko) | 2014-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274944B2 (en) | Emergency vehicle patient transport systems | |
KR101289000B1 (ko) | 운송수단에 배치되는 스트레쳐 및 스트레쳐 픽스츄어 | |
KR101409349B1 (ko) |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 |
US8845021B2 (en) | Adjustment mechanism for positioning a headrest in an infant car seat | |
US8469431B2 (en) | Reconfigurable seating arrangement | |
EP1578637B1 (en) | A vehicle fitting | |
KR102208169B1 (ko) | 차량용 시트 | |
KR101526393B1 (ko) |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 |
CN207345560U (zh) | 一种折叠式儿童安全座椅 | |
KR101847442B1 (ko) |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 |
KR19980055794U (ko) | 차량시트의 유아보호 장치 | |
ITBS20090183A1 (it) | Sistema di protezione per disabili in carrozzina o simile su veicoli per il loro trasport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