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398B1 - 3륜 보행보조차 - Google Patents

3륜 보행보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398B1
KR100922398B1 KR1020090052884A KR20090052884A KR100922398B1 KR 100922398 B1 KR100922398 B1 KR 100922398B1 KR 1020090052884 A KR1020090052884 A KR 1020090052884A KR 20090052884 A KR20090052884 A KR 20090052884A KR 100922398 B1 KR100922398 B1 KR 10092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wheeled
walking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덕
Original Assignee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398B1/ko
Priority to US12/791,835 priority patent/US201003139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3륜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된 제3프레임(130); 및 상기 제1힌지축(141)에 연장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130)을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140)를 포함하는 3륜 보행보조차에 대한 것이다.
3륜, 보행보조차

Description

3륜 보행보조차{rollator having three wheels}
본 발명은 3륜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된 제3프레임(130); 및 상기 제1힌지축(141)에 연장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130)을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140)를 포함하는 3륜 보행보조차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차는 환자나 노약자 그리고 다리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보행보조차를 전방에 두고 몸을 지탱하며 밀고 다니면 자력으로 보행을 하는 것보다 균형을 잡기가 쉽고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보행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보행보조차는 유모차형(도 1)과 롤레이터형(도 2)과 같은 4륜 보행보조차로서, 통상 손으로 파지하여 밀거나 당기면서 운행할 수 있는 조작핸들(10)과 상기 조작핸들의 하측에 연결되고 통상 스틸 파이프를 절곡하여 틀을 이룬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핸들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뒷바퀴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상기 레버와 연결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보조차의 상기와 같은 구조는 뒷바퀴의 간격이 양 발의 간격보다 넓어야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보행보조차 차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보관시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보행보조차는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환경을 가진 도심에서는 그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4륜 보행보조차는 도 3에서와 같이 보행자의 체중이 실리게 되는 손잡이 부분이 뒷바퀴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보행시 앞바퀴 부분이 올라가거나 중심이 흐트러져 커브길이나 내리막길 등을 주행시 운행이 불안정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적은 부피를 차지하여 도심에서의 사용에 무리가 없고 보관시에도 간단히 접히면서도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커브길이나 내리막길 등의 운행이 안전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 및 핸들링이 쉬운 보행보조차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피를 차지하여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환경을 가진 도심에서의 사용에 무리가 없고 보관시에도 간단히 접을 수 있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보행보조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커브길이나 내리막길 등의 운행이 안전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 및 핸들링이 쉬운 보행보조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된 제3프레임(130); 및 상기 제1힌지축(141)에 연장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130)을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140)를 포함하는 3륜 보행보조차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하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되어 제2힌지축(18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링크 부재(150)와 제2링크 부재(160); 일단이 상기 제3프레임(130)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타측 일단이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연결된 제3링크 부재(170); 및 상기 제2힌지축(181)에 연장되고 상기 제3링크 부재(170)의 일단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링크 부재(170)가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링크 부재(170)를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연결하는 제2연결 부재(18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상측 일단에 손잡이(111, 121)가 형성되고 하측 일단에 앞바퀴(112, 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130)의 하측 일단에 뒷바퀴(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25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제2프레임(210, 220)에 연결된 제3프레임(230);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 및 상기 제3프레임(230)과 연결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는 제4프레임(240); 상기 제1힌지축(251)에 연장되고 상기 제4프레임(24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4프레임(240)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4프레임(240)을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250); 상기 제4프레임(24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2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230)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230)을 상기 제4프레임(2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2연결 부재(260)를 포함하는 3륜 보행보조차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일단이 상기 제1, 2, 3프레임(210, 220, 230)의 하부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제4프레임(240)의 외경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270), 제2링크 부재(280) 및 제3링크 부재(290); 및 상기 제1, 2, 3링크 부재(270, 280, 29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4프레임(24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제4프레임(24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 부재(250) 및 상기 제2연결 부재(260)가 하나로 통합되어 통합 연결 부재(3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상측 일단에 손잡이(211, 221)가 형성되고 하측 일단에 앞바퀴(212, 222)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230)의 하측 일단에 뒷바퀴(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차는 구조상 적은 부피를 차지하여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환경을 가진 도심에서 보행자가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며, 보관시에도 노령자나 환자 등과 같은 사용자들이 적은 힘을 들여 간단히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고 공간도 적게 차지한다.
또한, 힘의 분산을 고려한 중심 안정형 설계로 인하여 커브길이나 내리막길 등의 운행이 안전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방향 전환 및 핸들링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3륜 보행보조차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3륜 보행보조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보행보조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보행보조차 상의 힘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보행보조차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보행보조차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 10은 각각 상기 보행보조차의 손잡이 부분과 앞바퀴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3륜 보행보조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보행보조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보행보조차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제2실시예의 보행보조차의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를 통합한 형태의 보행보조차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도 14의 보행보조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상기 도 14의 보행보조차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3륜 보행보조차의 앞바퀴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8은 3륜 보행보조차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앞바퀴 부분을 도시한 전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륜 보행보조차의 제1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 와 같이,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된 제3프레임(130); 및 상기 제1힌지축(141)에 연장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130)을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은 X자 프레임의 기본축을 이루게 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은 상기 X자 프레임의 기본축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축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후방에 상기 제3프레임(130)이 상기 제1연결 부재(1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안정한 무게 중심을 가지는 역삼륜 프레임 형태의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역삼륜 프레임 형태의 몸체에,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하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되어 제2힌지축(18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링크 부재(150)와 제2링크 부재(160); 일단이 상기 제3프레임(130)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타측 일단이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연결된 제3링크 부재(170); 및 상기 제2힌지축(181)에 연장되고 상기 제3링크 부재(170)의 일단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링크 부재(170)가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링크 부 재(170)를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연결하는 제2연결 부재(180)를 추가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상측 일단에는 손잡이(111, 121)가 형성되며 하측 일단에 앞바퀴(112, 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의 하측 일단에 뒷바퀴(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이에 연결된 상기 제3링크 부재(170)는 서로 연동하여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X자 프레임이 제1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하면서 내측으로 접힐 때, 제3프레임(130)을 전후 방향 회동시켜 제1, 2프레임(110, 120) 측으로 모아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X자 프레임을 일자 형태가 되도록 내측으로 접으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도 함께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회동하여 접히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상기 제2연결 부재(180)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3링크 부재(170)가 전후방향 회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3링크 부재(170)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3프레임(130)도 함께 전후방향 회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프레임(110, 120) 및 제3프레임(130)이 모두 모아지면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일자 지팡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행보조차가 보행시 형태인 펼쳐진 상태에서 보관시 상태인 접혀진 상 태로 모아지는 과정을 역학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11, 121) 부분, X자 형태의 교차점 부분인 제1연결 부재(140) 부분, 앞바퀴(112, 122) 부분이 각각 지레의 힘점, 받침점, 작용점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행보조차의 보행시 형태인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프레임(110, 120)의 X자 교차점 위치를 앞바퀴(112, 122) 부분보다 상기 손잡이(111, 121) 부분에 더 가깝도록 형성하고, 뒷바퀴 축인 제3프레임(130)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뒷바퀴(131) 중심(A)이 상기 손잡이(111, 121) 부분(B)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손잡이 부분(10)이 뒷바퀴 중심(A)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종래의 4륜 보행보조차와는 정반대의 위치로서, 보행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앞바퀴(112, 122)가 올라가는 현상을 막아 더 안정한 상태로 보조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에 따라 사람의 팔길이, 상체의 기울기 등에 약간의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오른쪽 손잡이(111)와 상기 제2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왼쪽 손잡이(121)의 높이에 1 내지 2㎝ 차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왼손잡이용의 경우 왼쪽 손잡이가 오른손 손잡이보다 1 내지 2㎝ 짧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행보조차가 보관상태인 지팡이 형태로 접히거나 보행상태인 역삼륜 프레임 상태로 펴질 때, 앞바퀴가 지면 마찰력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손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제2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앞바퀴(122)의 높이에 2 내지 5㎜ 차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형성되는 앞바퀴(112, 122)가 펼쳐진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들려지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하단에 벤딩(bending)부(400)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앞바퀴(112, 122)의 적절한 지면 접촉을 위하여 상기 벤딩은 약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상기 앞바퀴(112, 122)를 연결시키는 데 있어서, 앞바퀴(112, 122)의 적절한 지면 접촉을 위해 도 17과 같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이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부(510) 및 앞바퀴 축(53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홈(520)이 형성된 앞바퀴 연결 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앞바퀴(112, 122) 부분이 지면에 평평하게 접촉하기 위해서, 상기 앞바퀴 축(530)이 관통홈(520)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앞바퀴와 지면과의 밀착성을 위하여 상기 앞바퀴 연결 부재(500)의 상기 관통홈(520)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이 보행시 저절로 접히는 일을 막기 위하여, 도 4,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토퍼 부재(19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 부재(190)는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스토퍼 부재(191)와 제2스토퍼 부재(19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3륜 보행보조차의 제2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25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제2프레임(210, 220)에 연결된 제3프레임(230);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 및 상기 제3프레임(230)과 연결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는 제4프레임(240); 상기 제1힌지축(251)에 연장되고 상기 제4프레임(24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4프레임(240)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4프레임(240)을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250); 및 상기 제4프레임(24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2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230)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230)을 상기 제4프레임(2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2연결 부재(2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은 X자 프레임의 기본축을 이루게 되고, 상기 제3프레임(230)은 상기 X자 프레임의 기본축을 후방에서 지 지하는 지지축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 보행보조차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 2, 3프레임(210, 220, 230)이 이루는 역삼륜 프레임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제4프레임(240)을 추가로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14 내지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 부재(250) 및 상기 제2연결 부재(260)를 하나로 통합시켜 통합 연결 부재(320)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삼륜 프레임 형태의 몸체에, 상기 보일단이 상기 제1, 2, 3프레임(210, 220, 230)의 하부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제4프레임(240)의 외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270), 제2링크 부재(280) 및 제3링크 부재(290); 및 상기 제1, 2, 3링크 부재(270, 280, 29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4프레임(240)이 관통 형성되어 제4프레임(24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0)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상측 일단에 손잡이(211, 221)가 형성되고 하측 일단에 앞바퀴(212, 222)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230)의 하측 일단에 뒷바퀴(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3링크 부재(270, 280, 290)는 제1실시예의 제1, 2, 3링크 부재(150, 160, 170)들과 마찬가지로 서로 연동하여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X자 프레임이 제1힌지축(25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하면서 내측으로 접힐 때, 제3프레임(230)을 전후 방향 회동시켜 제1, 2프레임(210, 220) 측으로 모아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X자 프레임을 일자 형태가 되도록 내측으로 접으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제1, 2링크 부재(270, 280)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1, 2링크 부재(270, 28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00)가 제4프레임(240)을 따라 상측으로 미끄러져 올라가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300)에 역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3링크 부재(290)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300)와 함께 제4프레임(240)을 따라 일단이 올라가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중심축인 제4프레임(240)과 지지축인 제3프레임(230) 또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동하여 제1, 2프레임(210, 220) 측으로 모아지게 되어, 도 13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일자 지팡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행보조차도 보행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앞바퀴(212, 222)가 올라가는 현상을 막아 더 안정한 상태로 보조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제1,2프레임(210, 220)의 X자 교차점 위치를 앞바퀴(212, 222) 부분보다 상기 손잡이(211, 221) 부분에 더 가깝도록 형성하고, 뒷바퀴 축인 제3프레임(130)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뒷바퀴(231) 중심이 상기 손잡이(211, 221) 부분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오른쪽 손잡이(211)와 상기 제2프레임(220)에 형성되는 왼쪽 손잡이(221)의 높이에 1 내지 2㎝ 차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행보조차 가 보관상태인 지팡이 형태로 접히거나 보행상태인 역삼륜 프레임 상태로 펴질 때, 앞바퀴가 지면 마찰력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손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앞바퀴(212)와 상기 제2프레임(220)에 형성되는 앞바퀴(222)의 높이에 2 내지 5㎜ 차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에 형성되는 앞바퀴(212, 222)가 펼쳐진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들려지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하단에 벤딩(bending)부(400)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앞바퀴(212, 222)의 적절한 지면 접촉을 위하여 상기 벤딩은 약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앞바퀴(112, 122)의 적절한 지면 접촉을 위해 도 17과 같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이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부(510) 및 앞바퀴 축(53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홈(520)이 형성된 앞바퀴 연결 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앞바퀴와 지면과의 밀착성을 위하여 상기 앞바퀴 연결 부재(500)의 상기 관통홈(520)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이 보행시 저절로 접히는 일을 막기 위하여, 도 11 내지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토퍼 부재(31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토퍼 부재(310)은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 능한 제1스토퍼 부재(311)와 제2스토퍼 부재(3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보행보조차는 보행시나 보관시 기존의 보행보조차들에 비해 훨씬 적은 부피를 차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힘의 분산을 고려한 역삼륜 프레임 형태의 중심 안정형 설계로 인하여 커브길이나 내리막길 등의 운행이 안전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방향 전환 및 핸들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 기존의 유모자형 보행보조차의 전방 사시도
도 2 - 기존의 롤레이터형 보행보조차의 전방 사시도
도 3 - 기존의 4륜 보행보조차의 측면도
도 4 - 3륜 보행보조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 5 - 도 4의 3륜 보행보조차의 분해 사시도
도 6 - 도 4의 3륜 보행보조차 상의 힘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 도 4의 3륜 보행보조차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 - 도 4의 3륜 보행보조차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9 - 도 4의 3륜 보행보조차의 손잡이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 - 도 4의 3륜 보행보조차의 앞바퀴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 - 3륜 보행보조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 12 - 도 11의 3륜 보행보조차의 분해 사시도
도 13 - 도 11의 3륜 보행보조차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 - 도 11의 3륜 보행보조차의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를 통합한 형태의 보행보조차의 전방 사시도
도 15 - 도 14의 3륜 보행보조차의 분해 사시도
도 16 - 도 14의 3륜 보행보조차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 - 3륜 보행보조차의 앞바퀴 부분의 확대도
도 18 - 3륜 보행보조차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앞바퀴 부분을 도시한 전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210 : 제1프레임 120, 220 : 제2프레임
111, 121, 211, 221 : 손잡이 112, 122, 212, 222 : 앞바퀴
113, 213 : 뒷바퀴 130, 230 : 제3프레임
140, 250 : 제1연결 부재 141, 251 : 제1힌지축
150, 270 : 제1링크 부재 160, 280 : 제2링크 부재
170, 290 : 제3링크 부재 180, 260 : 제2연결 부재
181 : 제2힌지축 190, 310 : 스토퍼 부재
191, 311 : 제1스토퍼 부재 192, 312 : 제2스토퍼 부재
240 : 제4프레임 300 : 슬라이드 부재
320 : 통합 연결 부재 400 : 벤딩부
500 : 앞바퀴 연결 부재 510 : 프레임 연결부
520 : 관통 530 : 앞바퀴 축

Claims (25)

  1.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된 제3프레임(130); 및
    상기 제1힌지축(141)에 연장되고 상기 제3프레임(1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130)을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140);
    를 포함하는 3륜 보행보조차.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하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되어 제2힌지축(18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링크 부재(150)와 제2링크 부재(160);
    일단이 상기 제3프레임(130)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타측 일단이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연결된 제3링크 부재(170); 및
    상기 제2힌지축(181)에 연장되고 상기 제3링크 부재(170)의 일단과 힌지결합 하여, 상기 제3링크 부재(170)가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와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링크 부재(170)를 상기 제1, 2링크 부재(150, 160)에 연결하는 제2연결 부재(180);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상측 일단에 손잡이(111, 121)가 연결되고 하측 일단에 앞바퀴(112, 122)가 연결되며, 상기 제3프레임(130)의 하측 일단에 뒷바퀴(13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손잡이(111)와 상기 제2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손잡이(121)의 높이에 1 내지 2㎝ 차등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5.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제2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앞바퀴(122)의 높이에 2 내지 5㎜ 차등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6.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에 연결되는 앞바퀴(112, 122)가 바깥쪽으로 들려지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하단에 벤딩(bending)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400)의 벤딩 각도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8.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이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부(510) 및 앞바퀴 축(53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홈(520)이 형성된 앞바퀴 연결 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연결 부재(500)가 상기 관통홈(520) 내부에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0.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보행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앞바퀴(112, 122)가 올라가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의 하측 일단에 형성되는 뒷바퀴(131)의 중심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 상측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111, 121)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1.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이 보행시 접히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토퍼 부재(19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2.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190)가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110, 120)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스토퍼 부재(191)와 제2스토퍼 부재(19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3. X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축(25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제2프레임(210, 220)에 연결된 제3프레임(230);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 및 상기 제3프레임(230)과 연결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는 제4프레임(240);
    상기 제1힌지축(251)에 연장되고 상기 제4프레임(24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4프레임(240)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4프레임(240)을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1연결 부재(250); 및
    상기 제4프레임(24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230)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3프레임(230)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제3프레임(230)을 상기 제4프레임(2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제2연결 부재(260);
    를 포함하는 3륜 보행보조차.
  14.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2, 3프레임(210, 220, 230)의 하부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제4프레임(240)의 외경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270), 제2링크 부재(280) 및 제3링크 부재(290); 및
    상기 제1, 2, 3링크 부재(270, 280, 29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4프레 임(24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제4프레임(24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0);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5. 청구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250) 및 상기 제2연결 부재(260)가 하나로 통합되어 통합 연결 부재(3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6. 청구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상측 일단에 손잡이(211, 221)가 연결되고 하측 일단에 앞바퀴(212, 222)가 연결되며, 상기 제3프레임(230)의 하측 일단에 뒷바퀴(23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7. 청구항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210)에 연결되는 손잡이(211)와 상기 제2프레임(220)에 연결되는 손잡이(221)의 높이에 1 내지 2㎝ 차등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3륜 보행보조차.
  18. 청구항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210)에 연결되는 앞바퀴(212)와 상기 제2프레임(220)에 연결되는 앞바퀴(222)의 높이에 2 내지 5㎜ 차등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19. 청구항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에 연결되는 앞바퀴(212, 222)가 바깥쪽으로 들려지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하단에 벤딩(bending)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20. 청구항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400)의 벤딩 각도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21. 청구항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이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부(510) 및 앞바퀴 축(53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홈(520)이 형성된 앞바퀴 연결 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22. 청구항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연결 부재(500)가 상기 관통홈(520) 내부에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23. 청구항 제16항에 있어서, 보행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앞바퀴(212, 222)가 올라가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3프레임(230)의 하측 일단에 형성되는 뒷바퀴(231)의 중심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 상측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1, 221)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24. 청구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이 보행시 접히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토퍼 부재(31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25. 청구항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310)가 일단이 상기 제1, 2프레임(210, 220)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타측 일단이 V자 형태로 서로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스토퍼 부재(311)와 제2스토 퍼 부재(3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보행보조차.
KR1020090052884A 2009-06-15 2009-06-15 3륜 보행보조차 KR10092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84A KR100922398B1 (ko) 2009-06-15 2009-06-15 3륜 보행보조차
US12/791,835 US20100313924A1 (en) 2009-06-15 2010-06-01 Wal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84A KR100922398B1 (ko) 2009-06-15 2009-06-15 3륜 보행보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398B1 true KR100922398B1 (ko) 2009-10-19

Family

ID=4156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84A KR100922398B1 (ko) 2009-06-15 2009-06-15 3륜 보행보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35B1 (ko) 2010-10-13 2012-03-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200464815Y1 (ko) * 2011-02-21 2013-01-21 미키코리아(주) 절첩보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317A (en) * 1994-03-14 1998-09-01 Accetta; Roderick William Four wheel side support kneeling walker
KR200425581Y1 (ko) 2006-06-26 2006-09-05 박태규 휴대용 보행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317A (en) * 1994-03-14 1998-09-01 Accetta; Roderick William Four wheel side support kneeling walker
KR200425581Y1 (ko) 2006-06-26 2006-09-05 박태규 휴대용 보행보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35B1 (ko) 2010-10-13 2012-03-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200464815Y1 (ko) * 2011-02-21 2013-01-21 미키코리아(주) 절첩보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4208B1 (en) Sitting assembly
CN205339476U (zh) 折叠助行推车
CN208710425U (zh) 助行车的座面结构
JP3697638B2 (ja) 身体障害者の運搬用あるいは移動補助用の車椅子
US9481423B2 (en) Single-wheel structure transportation device with extendable walking handle
CN106672141B (zh) 折叠式滑板车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KR100922398B1 (ko) 3륜 보행보조차
RU165387U1 (ru) Складной самокат
KR20120131884A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JP3231959U (ja) 変形可能な松葉杖
KR101306146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CN215994537U (zh) 一种便于携带的折叠轮椅
JP3154114U (ja) 自転車スタンドの立て起こし手動操作装置
KR101038185B1 (ko) 보행 보조기
JP3874740B2 (ja) 車輪付き歩行杖
JP2003199801A (ja) 歩行補助器
CN219049201U (zh) 一种基于气动的自动抬升折叠轮椅
EP2895374B1 (en) Shopping trolley with platform for a child
CN220125053U (zh) 具有大前轮小后轮的四轮助行器
JP3174868U (ja) 歩行補助器具の構造
KR20180077481A (ko) 단턱 승강이 용이한 보행 보조 장치
JP3105110U (ja) 歩行補助車
CN203172684U (zh) 推椅
WO2014019218A1 (zh) 拐杖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