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993A -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993A
KR20120003993A KR1020100064594A KR20100064594A KR20120003993A KR 20120003993 A KR20120003993 A KR 20120003993A KR 1020100064594 A KR1020100064594 A KR 1020100064594A KR 20100064594 A KR20100064594 A KR 20100064594A KR 20120003993 A KR20120003993 A KR 2012000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flavonoid
clathrate
beta
ci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716B1 (ko
Inventor
김무성
이상린
데바쉬시 할더
정경화
채영규
박지현
이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to KR102010006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7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자씨로부터 유래된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의 플라보노이드를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로 포접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FLAVONOIDS INCLUSION COMPLEX DERIVED FROM CITRON SEE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유자씨로부터 유래된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의 플라보노이드를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로 포접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는 분류학상 운향과, 감귤속, 후생감귤아속에 속하는 상록관목의 열매로서, 후생감귤아속 중에서도 오래된 과수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황색의 숙성된 유자의 평균 크기는 종경 6~8 cm, 횡경 7~9 cm, 중량 80~150 g 정도로서, 수확시기는 11월에서 12월로 한정되어 있다.
소비형태는 대부분 생과로 이용되고, 저장성이 좋지 않아 대부분 수확 즉시 당절임하여 유자차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유자의 쓴맛의 주성분은 나린진(naringin)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인데 다른 감귤류에 비하여 다량 함유되어 있고 과일이 익어도 타 감귤류와는 달리 이들 쓴맛성분을 분해하는 나린지아제(naringinase) 효소가 없기 때문에 쓴맛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자는 비타민 C 및 A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유자의 주요 향기 성분이며 혈압 강하 및 항산화 작용을 지닌 리모넨(limonene), 유자의 주요 쓴맛 성분이지만 발암 억제 작용을 가진 리모노이드(limonoid) 계통의 화합물(limonin, nomilin), 항동맥 경화, 뇌졸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 P의 활성물질인 헤스페리딘(hesperidin) 등 많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유자씨는 유자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를 차지하며,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리모노이드 등의 유효성분이 풍부하고, 항산화성을 가진 물질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그러나, 유자씨의 플라보노이드는 다량의 지질과 혼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보노이드가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여 특유한 쓴맛을 나타내어 식품에 사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어, 유자차 제조시 부산물로 대부분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실정이다.
한편, 비만은 전세계에 걸쳐서 빠르게 확산되어 사회경제적으로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질병으로 당뇨병, 심장질환, 뇌졸증 또는 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야기 시킨다.
유자 또는 유자씨 성분은 다양한 성인병 예방기능이 있으나, 유자씨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가지는 항비만 효과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국내특허등록 제 10-0854403호는 유자씨와 상엽 추출물을 함유한 비만억제 식품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있으나, 이는 복합물로서 특정 성분에 대한 기능이 불분명하며 단순 고형의 식품 첨가제로서의 용도만이 기재되어 있다.
KR10-0854403 B1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자씨로부터 추출된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자씨로부터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성분만을 추출한 후 고미(苦味)를 제거하고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플라보노이드 포접체의 비만 개선효과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을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로 포접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자씨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지질을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잔류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를 첨가하여 비당체 플라보노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얻어진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에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포접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얻어진 포접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포접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체중 및 복부지방층의 증가를 억제하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지방산 분해 경로의 핵심효소인 CPT-1 발현을 증가시키고, 지방산합성 효소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비만 예방 및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의약품 및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폐기되는 유자씨를 재활용하여 기능성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고, 고미를 제거하고 수용성을 높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포접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비당체 분석을 위한 HPLC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체중(A), 사료섭취양 (B), 대조군에 대한 체중비(C), 및 사료요구율(D)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복부 지방층(A) 및 간(B)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혈장 트리글리세리드(A), 혈장 글리세롤(B) 및 간 트리글리세리드(C)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A), 혈장 총 LDL(B), 간 총 콜레스테롤(C) 및 간 총 LDL(D)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지방산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RT-PCR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이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로 포접된 구조를 갖는다.
헤스페레틴(hesperetin)과 나린제닌(naringenin)은 유자씨 내에 당이 연결된 배당체인 헤스페리딘(hesperidin), 나린진(naringin) 형태로, 리모닌(limonin)은 비당체(aglycone)인 리모닌 또는 배당체인 리모닌 글루코시드(limonin glucoside) 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포접체는 비당체 형태의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이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 내에 포접되어 있다.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를 포접하기 위한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은 분자인식 기능이 있어, 환상형의 도넛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에 소수성 공동을, 분자 외부는 친수성을 갖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소수성 물질을 포접하여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화하거나 용해도의 변화에 의한 용도 확대 뿐만 아니라, 특정 물질만을 인식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은 내측 공동에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을 인식하여 포접체를 형성하여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의 고미를 제거하고, 수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유도체, 중합체, 등이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 사이클로덱스트린, 메틸카르복시메틸 사이클로덱스트린, 아미노 사이클로덱스트린, 포도당을 부가한 분지형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유자씨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지질을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잔류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를 첨가하여 비당체 플라보노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얻어진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에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포접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얻어진 포접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접체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유자씨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지질을 추출한다.
유자씨에는 건조중량당 약 30% 이상 지질 성분이 존재하며 유자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분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자씨를 건조, 마쇄한 후 3~5배 중량의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지질을 추출한다.
이때 유기용매는 지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석유 에테르, 클로로포름 등이 가능하다.
이어서, 얻어진 잔류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지질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에 5~10배 중량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한다.
상기 알코올은 알코올은 바람직하기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를 첨가하여 비당체 플라보노이드를 수득한다.
알코올로 추출된 추출물에는 배당체 형태의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 나린진, 리모닌 글루코시드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배당체를 비당체로 전환 하기 위해,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를 사용한다.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는 베타 결합의 포도당을 분리할 수 있는 활성을 갖는 효소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베타-글루코시다제, 셀룰라제(cellulase), 나린지나제(naringinase), 헤스페리디나제(hesperidinas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처리에 의해 비당체로 변환된 플라보노이드는 침전되므로 쉽게 회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얻어진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에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포접체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의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이 갖는 특성에 의해, 비당체 플라보노이드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의 소수성 공동 내에 포접되어 포접체를 형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의 함량은 비당체 플라보노이드(건조물 환산)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5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포접율이 현저히 떨어져 추출효율이 낮아지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 추출효율이 증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마지막으로 얻어진 포접체를 회수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고미가 제거되고, 수용성이 크게 증가하여, 의약, 식품 등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 활성이 있어,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약학적 조성물로 적용되는 경우,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외에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락토스, 프로필렌 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스,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및 부형제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항비만 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건강 상태, 배설율, 식이, 투여시간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1일 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진 않는다.
비만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로 적용되는 경우,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예로 육류, 음료수, 초콜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추출단계
유자씨 1000g을 열풍건조기에서 40℃로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지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4배 중량의 헥산(n-hexane)을 처리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적하고, 헥산층을 제거한 후 잔여물에 7 배 중량의 95% 에탄올(ethano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플라보노이드 혼합물을 획득하였다.
추출수율은 유자씨 총 건조중량에 대한 각 추출물의 중량 백분율로 산정하였다. 별도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AOAC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용한 유자씨는 수분 39.1%, 조지방 25.2%, 조단백 11.0%, 탄수화물 22.7%, 회분 2.0%의 일반 조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출수율은 9% 였으며, 폴리페놀의 함량은 46.2 mg/g 이었다.
2. 효소처리 단계
상기에서 추출된 플라보노이드 혼합물에 효소로서 베타-글루코시다제(IsolaseTM ) 0.1%(중량/부피)을 50℃를 유지하며 16시간 동안 처리하고, 이때 침전되는 부분만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하여 비당체로서 사용하였다.
비당체의 분석은 HPLC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HPLC : Water 520, column : Optimapak C18(4.6*250 5um), detector : UV(210nm), Flow rate & Mobile phase : Gradient 로 하였다.
각 성분의 분리 기준은 도 1과 같은 분리를 기준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사용 조건에서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거의 100% 비당체인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리모닌으로 전환되었다.
3.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제조단계
제조된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의 수용성을 높이고 이차적으로 고미를 제거시키는 포접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켜 포접체를 제조하였다.
이온수 40g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4g을 넣고 90℃로 가열한 후 별도로 메탄올에 5% 되도록 녹인 비당체 혼합물 용액 20g을 분당 1g의 속도로 적하하였다. 이어서, 적하 후 메탄올이 모두 증발되도록 100 ℃에서 3시간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완료 후 용해되어 있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플라보노이드/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체를 여과하고 남은 미반응 잔여물은 제거한 다음, 여과된 포접체는 동결건조하였다. 건조물은 4.8g 회수하였으며, 미반응 잔여물은 무시할 정도로 그 양이 적었다.
실험 방법 및 재료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
분화 10일된 3T3 L1 지방전구세포와 생쥐 간조직에서 TRIzol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cDNA는 PrimeScript TM 역전사효소(Takara BioInc, Japan)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 1 μg, 각 프라이머, 그리고 Taq 폴리머라제를 첨가하여 전체 반응액 20 μl로 RT-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RT-PCR에 사용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CTP1
정방향: 5'-CTCCGCCTGAGCCATGAAG-3'
역방향: 5'-CACCAGTGATGATGCCATTCT-3'
FAS
정방향: 5'-GGAGGTGGTGATAGCCGGTAT-3'
역방향: 5'-TGGGTAATCCATAGAGCCCAG-3'
Gapdh
정방향: 5'-AGGTCGGTGTGAACGGATTTG-3'
역방향: 5'-TGTAGACCATGTAGTTGAGGTCA-3'
PCR 산물을 2% 아가로오스 겔에 전기영동한 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로 염색하였다. 밴드의 강도는 image documentation system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생쥐와 생쥐의 먹이
ICR 암컷 생쥐 (3주령)는 ORIENT BIO Inc (Korea) 로부터 구입하였고, 24°C 에서 12시간 밤/낮 주기로 유지하였다. 구입 후 1주일 동안 환경에 적응을 시킨 후 50마리의 생쥐를 무작위로 5개 그룹으로 10마리씩 나누었다 (n=10). 생쥐에게 고지방 식이 (a high-fat diet, HFD)는 Research Diets사의 Rodent Diet with 60% kcal Fat을 사용하였다.
5개의 그룹은 각각 HFD, HFD+리모닌-CD, HFD+나린제닌-CD, HFD+헤스페레틴-CD, 그리고 HFD+리모닌-CD+ 나린제닌-CD+ 헤스페레틴-CD이었다.
리모닌-CD, 나린제닌 -CD, 헤스페레틴 -CD, 그리고 리모닌-CD+ 나린제닌-CD+ 헤스페레틴-CD은 100 mg/kg로 일주일에 2번씩 식도 내 삽관 방법으로 주입하였다. 생쥐는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고 먹이는 매일 신선하게 제공해 주며 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체중은 일주일에 두 번씩 측정하였다.
샘플 추출과 분석방법
실험 하루 전부터 먹이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경추탈골로 생쥐를 죽인 후 EDTA 처리된 채혈용 튜브에 혈액을 모았다. 얻어진 혈액은 4 ℃ 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사용 전까지 -80 ℃에서 보관하였다. 생쥐를 해부하여 간과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적출한 간을 1g씩 3부분으로 나눠서 액체질소에 넣어서 얼린 후 전체 RNA와 지방을 추출하였다.
혈장의 전체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 양은 Enzychrome HDL 과 LDL/VLDL assay kit (BioAssay System) 와 Triglyceride (GPO-Trinder) kit (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간 지방은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Folch 등 1957), 2-프로판올 에 녹여서 간의 전체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를 Enzychrome HDL 과 LDL/VLDL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1)
(고지방 식이 섭취 생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영향)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생쥐에게 리모닌-CD, 헤스페레틴-CD, 나린제닌-CD 및 이들의 혼합물 (리모닌-CD, 헤스페레틴-CD, 및 나린제닌-CD)을 14주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식도 내 삽관 방식으로 주입하였다. 각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체중에 비례하여 100 mg/kg씩 주입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고지방 식이와 함께 섭취한 생쥐의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지방 식이 섭취 그룹 (대조군), 고지방 먹이 섭취와 리모닌-CD 주입 그룹 (Lim), 고지방 먹이 섭취와 나린제닌-CD 주입 그룹 (Ng), 고지방 먹이 섭취와 헤스페레틴-CD 주입 그룹 (H) 그리고 고지방 먹이 섭취와 리모닌-CD, 나린제닌-CD, 헤스페레틴-CD 주입 그룹 (Comb)는 실험 초반에는 체중이 비슷하였으나, 98일 후, 특히 Comb의 생쥐들의 체중이 다른 그룹보다 감소하였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혼합물(Comb)을 주입한 생쥐들의 먹이 섭취는 다른 그룹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 요구율(feed gain ratio)는 감소하였다.
체중 측정 후 생쥐의 간과 복부 지방층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그룹의 간의 무게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주입한 생쥐의 경우 복부 지방층의 무게는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며, 특히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혼합물(Comb)을 주입한 그룹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체중 측정 후 혈액을 얻어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와 혈장 글리세롤 농도 그리고 간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을 참조하면, 대조군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처리한 그룹에서 전혈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혈장 글리세롤 및 간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가 감소하였다.
각각 대조군, Lim, Ng, H, Comb 그룹의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는 28.54±7.16, 16.61±2.49, 17.33±2.34, 17.50±3.38, 15.15±3.21 mg/dl로 Comb 그룹이 가장 낮았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 대조군, Lim, Ng, H, Comb 그룹의 혈장의 콜레스테롤농도는 280.735±0.099, 244.865±41.88, 276.97±63.172, 183.01±16.73, 197.45±31.29 mg/dl로 H, Comb 그룹의 생쥐에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각 대조군, Lim, Ng, H, Comb 그룹의 순서로 196.77±11.48, 165.46±2.19, 173.19±85.29, and 154.63±8.74와 146.13±5.47 mg/dl로 각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각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처리한 그룹의 간 및 혈장의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Lipoprotein, LDL) 농도가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는데 Ng와 H 그룹에서 간의 LDL 농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고지방 먹이를 섭취한 생쥐 간의 CPT1과 FAS 유전자 발현 분석)
CPT1 의 간 이성체(hepatic isoform)는 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LCFAs 긴사슬지방산(long chain fatty acid, LCFAs)의 β-oxidation을 조절하는 주효소라고 알려져 있다. LC-CoA (long-chain acyl-CoA)가 acylcarnitine으로 변환되는 것에 의해 CPT1은 세포질의 LC-CoA가 β-oxidation이 일어나는 미토콘드리아로 이동 할 때에 이동속도가 제한된 과정을 촉매한다. 즉, CPT-1은 지방산 산화 경로의 핵심효소이다.
고지방 먹이를 섭취한 생쥐에게 리모닌-CD, 헤스페레틴-CD, 나린제닌-CD 및 이들의 혼합물 (리모닌-CD, 헤스페레틴-CD, 나린제닌-CD)을 14주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식도 내 삽관 방식으로 주입 후 간을 적출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얻어진 RNA를 이용하여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아제-1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CPT1), 지방산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 gene, FAS)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함면, 리모닌-CD, 헤스페레틴-CD, 나린제닌-CD를 각각 처리한 그룹 모두에서 CPT-1 발현이 증가하였지만, 혼합물을 처리한 그룹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반면 지방산을 합성하는 FAS 유전자의 mRNA 발현양을 혼합물을 처리한 그룹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혼합물을 처리한 그룹에서 FAS유전자의 mRNA 발현양이 감소하여 지방산 합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함유한 조성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건강음료
멸균하여 준비한 1000 ml 정제수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포접체 0.1 g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구연산 1g과 유자과육농축액 1g, 올리고당 100g 을 첨가하여 약 60분간 85℃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보관하였다. 제조된 건강음료의 pH는 3.5, 당도는 9% 였다.
(제조예 2) 청량음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0.1g을 사이다와 같은 소프트 음료 시럽 1000 ml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스포츠 음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는 0.1g을 스포츠 드링크(상품명: 포카리스웨트) 1000 ml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laims (9)

  1.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을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로 포접한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리모닌은 유자씨로부터 추출된 것인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 사이클로덱스트린, 메틸카르복시메틸 사이클로덱스트린, 아미노 사이클로덱스트린, 포도당을 부가한 분지형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4. 유자씨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지질을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잔류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를 첨가하여 비당체 플라보노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얻어진 비당체 플라보노이드에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포접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얻어진 포접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포접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갖는 효소는 베타-글루코시다제, 셀룰라제, 나린지나제, 및 헤스페리디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석유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제조방법.
  8. 제1항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
KR1020100064594A 2010-07-06 2010-07-06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20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594A KR101200716B1 (ko) 2010-07-06 2010-07-06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594A KR101200716B1 (ko) 2010-07-06 2010-07-06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93A true KR20120003993A (ko) 2012-01-12
KR101200716B1 KR101200716B1 (ko) 2012-11-15

Family

ID=4561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594A KR101200716B1 (ko) 2010-07-06 2010-07-06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6181A (ja) * 2013-10-31 2015-05-07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ユズ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食品および医薬品
EP4014978A4 (en) * 2019-08-12 2022-09-07 Zhejiang Yangshengtang Institute Of Natural Medication Co., Ltd. COMBINATION PRODUCT WITH LIMONOID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58A (ko) 2015-04-11 2016-10-20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유자씨 유래 비당체 플라보노이드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6181A (ja) * 2013-10-31 2015-05-07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ユズ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食品および医薬品
EP4014978A4 (en) * 2019-08-12 2022-09-07 Zhejiang Yangshengtang Institute Of Natural Medication Co., Ltd. COMBINATION PRODUCT WITH LIMONOID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716B1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531B2 (ja) 筋萎縮抑制剤
KR20100122333A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8116B1 (ko)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046056B2 (ja) 脱ラムノシルアクテオシド含有オリーブ抽出物
KR101200716B1 (ko) 유자씨 유래 플라보노이드 포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567573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57934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0588A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95471A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706133B1 (ko)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46245A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8606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능이 있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함유하는 퉁퉁마디(Salicornia SPP.) 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KR20130135133A (ko) 유동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JP7239135B2 (ja) α-グルコシダ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血糖値上昇抑制剤
JP7014483B1 (ja) テストステロン分泌促進剤
KR20190048323A (ko)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0114B1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잇꽃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320B1 (ko) 잣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116834A1 (ja) アラビノシルビテキシン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