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089U -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089U
KR20120002089U KR2020100009607U KR20100009607U KR20120002089U KR 20120002089 U KR20120002089 U KR 20120002089U KR 2020100009607 U KR2020100009607 U KR 2020100009607U KR 20100009607 U KR20100009607 U KR 20100009607U KR 20120002089 U KR20120002089 U KR 20120002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tent
plate portion
v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영
한유신
Original Assignee
최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영 filed Critical 최인영
Priority to KR2020100009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089U/ko
Publication of KR20120002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B60J7/06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for ut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characterised by the height regulating mechanism of the slid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에 설치되는 접이식 천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화물차 적재함의 전방패널에 고정되는 아치형 제1프레임, 적재함의 측면패널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구속되어 슬라이딩되며 적재함의 후방으로 더 인출되어 이동하고, 제1프레임과 링크 결합되는 복수의 아치형 제2프레임, 그리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프레임부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포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접이식 천막의 전개로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이 증대되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foldable tent for the truck}
본 고안은 화물차의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에 설치되는 접이식 천막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는 차체의 후방에 적재함을 구비하고 있거나, 밀폐된 박스 형상의 짐칸을 구비하거나, 컨테이너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함에는 운전석의 바로 뒤편에 형성된 전방패널과, 차체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측면패널과, 차체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패널을 통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짐칸은 이러한 적재함 위에 골조나, 판재를 더 결합하여 측면과 지붕을 형성하고, 골조 위에는 천막을 둘러 내부 공간을 외부환경과 분리되게 구성한다. 이로써 적재함을 구비한 화물차가 화물칸을 구비한 탑차로 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탑차들은 적재함의 상부에 골조나 판재를 구비함으로써 지붕이 구비된 화물칸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화물칸의 면적은 적재함의 바닥면과 거의 같도록 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화물차의 원활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적재함 상에 구성되는 적재공간의 최대면적은 적재함과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주행시뿐만 아니라 주차된 상태에서도 내부공간으로 활용되는 적재공간의 체적은 제한적이다. 일예로, 이동식 음식 가공을 위한 하드 탑차의 경우에 화물칸의 측면패널이나 지붕의 일부가 화물칸의 외부로 회전되어 펼쳐지면서 화물칸의 내부공간을 개방하고, 외부로 펼쳐진 측면패널 등의 구성이 가림막의 기능을 하여 햇살이나 비를 피할 수 있는 간이한 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때, 햇살이나 비를 피할 수 있는 간이한 공간을 포함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원래 적재함의 바닥면적보다 그리 크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화물차의 적재함을 개조하여 형성되는 화물칸의 체적은 한정적인 단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된 상태에서 화물차의 적재함보다 넓은 면적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주행시 화물차에 실려 이동 가능한 접이식 천막을 제시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지상에 펼쳐지는 천막이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게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천막의 펼침 작업과 접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구조물의 전개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며, 반복적인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펼쳐진 천막의 내부공간을 주변의 외부 환경과 차단하여 독립된 공간으로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접혀진 천막을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화물차의 이동 중에 천막의 하중을 분산지지하여 안정된 보관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전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화물차 적재함의 전방패널에 고정되는 아치형 제1프레임, 상기 적재함의 측면패널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구속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더 인출되어 이동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링크 결합되는 복수의 아치형 제2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포장을 포함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의 지면을 향하는 끝단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되어 지면에 대어지는 롤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지면을 향하는 끝단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며, 높낮이를 달리하여 제1,2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롤러,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끼움공 또는 제2끼움공에 걸리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후방의 제2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둘러진 상기 포장의 끝단부에는, 개방된 접이식 천막의 후방면을 막는 보조막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모인 상기 제2프레임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측과 이격되어 감싸는 내측판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을 이격되어 감싸는 외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판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부에 높낮이가 조절되게 구비되는 롤러부가 드러나도록 도어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내측판부에 접하는 상부롤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측면패널에는 상기 롤러부의 하단에 구비된 롤러를 받치는 거치수단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측면패널에 구비되어 상하로 신장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결합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롤러가 대어지는 바닥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상기 측면패널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림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물차의 적재함을 포함하여, 화물차 후방의 대지에도 천막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접이식 천막의 전개로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이 증대되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접이식 천막은 차량의 적재함에 용이하게 접어 넣은 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장소 이동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롤러부를 통하여 자상에 넓게 전개되는 접이식 천막이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지면에 접하는 롤러부에 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천막의 펼침 작업과 철거 작업시에 천막을 지면에서 들어 올릴 필요가 없어져 수고가 덜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2프레임을 당기거나 미는 것만으로도 전개가 이루어지므로, 접이식 천막의 설치나 철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이 구비됨으로써, 접혀 보관되는 천막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에 도어가 구비되는 경우, 롤러부의 상승이나 하강 작업이 한 장소에서 일괄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조막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주변의 외부 환경과 접이식 천막의 내부공간을 차단할 수 있어, 더욱 아늑한 실내공간이 창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의 내측판재부에 접하여 구르는 보조롤러가 더 구비됨에 따라 천막의 하중이 가이드레일과 내측판재부에 분산지지되고, 이로써 화물차의 주행 중에 안정된 접이식 천막의 보관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거치수단에 의하여 화물차의 주행 중에 롤러부의 고정이 해제되더라도 롤러부가 지면에 닿지 아니하게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실시예에 채용된 제1,2프레임과 화물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채용된 제2프레임의 링크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제1실시예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제2실시예에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제2실시예에 채용된 거치수단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다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10)에는 화물차(100) 적재함(110)에 고정되는 아치형 제1프레임(1)과, 상기 적재함(110)의 측면패널(112)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2)과, 상기 가이드레일(2)에 구속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적재함(110)의 후방으로 더 인출되어 이동하고, 상기 제1프레임(1)과 링크 결합되는 복수의 아치형 제2프레임(3)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1)과 상기 제2프레임(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포장(4)이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1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상자형상의 적재함(110)을 가지는 화물차(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컨테이너 운반차, 탑차 등 화물칸에 측면패널이나 기타 측면을 가지는 다양한 화물차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적재함을 가지는 화물차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화물차의 적재함(110)은 운전석의 바로 후방에 대어진 전방패널(111)과, 차체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패널(112) 및 차체의 후단에 구비되는 후방패널(113)에 의하여 사방이 막힌 상자 형상이다.
제1프레임(1)은 적재함(110)에 용접, 볼팅 등 다양한 고정수단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양 기둥부(11)와, 기둥부(11)의 상단을 잇는 지붕부(12)로 이루어진 대략 아치형상의 프레임이다. 제1프레임(1)은 통상 속이 빈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은 적재함의 전방패널(1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2)은 측면패널(112)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개방된 C 형강일 수 있다. 가이드레일(2)은 제2프레임(3)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제2프레임(3)의 움직임이 적재함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속하는 것이다. 제2프레임(3)에는가이드레일(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롤러(31)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프레임에는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대항하여 복수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2프레임(3)은 제1프레임(1)과 형상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양 기둥부와, 기둥부의 상단을 잇는 지붕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프레임(3)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기둥부에 롤러(31)가 구비되어 가이드레일(2)을 타고 측면패널(112)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2프레임(3)은 복수가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제2프레임(3)은 링크 결합에 의하여 제1프레임(1)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링크 결합은 제1,2프레임 사이와, 이웃하는 제2프레임(3) 사이에 한 쌍의 링크부재(L)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링크부재(L)의 일단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장공(H)에서 자유롭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제2프레임(3)이 전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링크부재(L)는 장공(H)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면서 이웃하는 프레임 간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링크부재(L)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제2프레임(3) 사이에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최전방의 제2프레임(3)과 제1프레임(1) 간에도 구비되어 있다. 즉, 복수로 구비되는 제2프레임(3)은 전방패널에 고정된 제1프레임(1)과 링크부재(L)를 통하여 링크 결합되어 있다. 최후방의 제2프레임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면, 차례로 모든 제2프레임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링크부재는 서로 엇갈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링크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포장(4)은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3)의 외주면에 둘러진 상태에서 제1프레임(1)과 각 제2프레임(3)에 고정되는 막이다. 포장(4)은 자유로운 접힘이 가능한 직물이나 합성수지 비닐의 재질일 수 있으며, 방수기능이 있는 방수포일 수도 있다.
포장(4)은 제2프레임(3)이 최대로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 즉, 제2프레임(3)이 최대로 전개된 상태에서, 접이식 천막의 골조가 형성하는 지붕과 양 측면을 감싸도록 둘러지고, 제1,2프레임과는 접착이나 리베팅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하여 각 프레임에 결합된다.
이러한 포장(4)은 제2프레임(3)이 서로 가깝게 오므려질 때에 자연스럽게 접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2프레임의 지붕부를 덮는 포장은 일부 절개되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절개된 부분은 밸크로 테이프 등의 분리가능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시에 지붕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천막의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다량의 수증기나 연소가스를 개방된 지붕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일부 제2프레임(3)이 가이드레일(2)의 구속에서 벗어나, 적재함(110)의 후방으로 더 인출되는 데에 있다.
즉, 가이드레일(2)의 후방 끝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형 단면을 가진 채로 그대로 개방되어 있다. 이로써, 제2프레임(3)은 가이드레일(2)을 타고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으로 이동되다가, 롤러(31)가 가이드레일(2)의 개방된 끝단을 벗어나 화물차(100)의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인출된 제2프레임(3)들에 의하여 설치되는 접이식 천막(10)은 차량의 적재함(110)이 제공하는 면적보다 크게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펼쳐진 접이식 천막(10)은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접이식 천막의 내부를 실내 공간과 같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3)의 지면을 향하는 끝단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되어 지면에 대어지는 롤러부(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롤러부(5)는 제2프레임(3)의 양 끝단부, 즉, 기둥부(11)의 끝단부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롤러부(5)는 제2프레임(3)에 대부분이 삽입되도록 상승되거나, 그 하단부가 지면에 닿는 높이까지 하강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롤러부(5)가 신장되면 그 하단부는 지면에 지지되며, 포장과 제2프레임(3)의 하중을 지면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롤러부(5)에는 상기 제2프레임(3)의 지면을 향하는 끝단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며, 높낮이를 달리하여 제1,2끼움공(511,512)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51)과, 상기 기둥(5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롤러(52)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3)에 형성된 관통공(3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끼움공(511) 또는 제2끼움공(512)에 걸리는 고정핀(53)이 포함된다.
기둥(51)은 속이 빈 형강으로 이루어진 제2프레임(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진 상하 길이부재이다. 이러한 기둥(51)은 제2프레임을 구성하는 형강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단면적은 제2프레임(3)의 형강 내부 단면보다 작아서 제2프레임(3)의 기둥부 안에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둥(51)의 하단에는 롤러(52)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롤러(52)는 롤러부(5)가 지면에 대어진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프레임(3)을 당기거나 밀어 넣을 때에,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롤러의 회전축에는 롤러의 회전을 방지하기 하기 위한 공지된 구성의 스톱퍼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기둥(51)에는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2끼움공(511,5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끼움공(511)은 기둥(5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2끼움공(512)은 제1끼움공(511)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2프레임(3)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끼움공(511)의 위치는 롤러부(5)가 제2프레임(3)의 기둥부에 최대로 삽입될 때에 상기 관통공(32)과 일치되는 높이의 기둥에 형성된다. 또한, 제2끼움공(512)의 위치는 롤러부(5)가 하강하여 지면에 롤러가 접하였을 때에 상기 관통공(32)과 일치되는 높이의 기둥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핀(53)은 관통공(32)과 제1끼움공(511)을 차례로 관통하거나, 관통공(32)과 제2끼움공(512)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2프레임(3)에 롤러부(5)를 고정시키는 걸림 막대이다.
따라서 접이식 천막(10)이 전개될 때에 롤러부(5)가 하강되어 지면에 접하게 되고, 고정핀(53)은 관통공(32)과 제2끼움공(512)에 끼워진다. 이로써 롤러부(5)는 신장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3)에 고정되고, 전개된 천막의 일부 하중이 롤러부(5)를 통하여 지면에 지지된다.
한편, 접이식 천막(10)이 접혀진 때에는, 롤러부(5)를 제2프레임(3)의 끝단부로 밀어 넣고, 고정핀(53)이 관통공(32)과 제1끼움공(511)에 끼워져, 롤러부(5)가 제2프레임(3)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로써, 롤러부가 지면과 떨어져 고정되므로, 화물차는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최후방의 제2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둘러진 상기 포장의 끝단부에는, 개방된 접이식 천막(10)의 후방면을 막는 보조막(6)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막(6)은 전개된 접이식 천막에서 개방된 후방면을 막는 가림부재이다. 이러한 보조막(6)은 직물이나 합성수지 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그 가장자리에는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막(6)은 최후방에 구비된 제2프레임에 결합되거나, 이 최후방에 구비된 제2프레임(3)을 감싸는 형상으로 둘러진 포장(4)의 끝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보조막(6)과 포장(4)의 결합은 지퍼, 벨트로 테이프, 똑따기 단추, 클립, 클램프 등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분리가능한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조막(6)의 가장자리에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최후방의 제2프레임과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자력부착방식, 끼움방식, 볼팅 등 다양한 분리가능한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막(6)에는 창문(61)과 도어(6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막이 더 구비됨으로써 설치된 접이식 천막의 내부는 보다 아늑한 실내공간이 될 수 있다. 즉, 겨울철의 추운 날씨나 비바람이 심한 날씨 등에서 실내 환경을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첨부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내용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10)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프레임, 제2프레임 그리고 포장이 구비된다. 또한, 제2프레임의 끝단부에는 전술된 롤러부나 보조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10)에는 적재함(110)의 전방에 모인 제2프레임이 수용되는 하우징(7)이 더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적재함(110)의 전방부에는 모인 상기 제2프레임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7)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7)은 접이식 천막(10)이 사용되지 아니할 때에 제2프레임(3)과 포장(4)을 그 내부에 보관함으로써, 포장이나 제2프레임의 태양에 의한 열화나 산성비 등의 외부 이물질에 의한 오염,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이식 천막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고속 주행 중 바람을 차단하므로, 주행 중 바람에 의한 제2프레임의 후방이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이식 천막의 보관 중 외관미를 좋게 하는 장점도 갖는다.
이때, 상기 하우징(7)은 상기 제2프레임(3)의 내측과 이격되어 감싸는 내측판부(71)와, 상기 제2프레임(3)의 외측을 이격되어 감싸는 외측판부(72)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측판부(71)는 적재함의 측면패널이나 전방패널 또는 적재함의 바닥에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외측판부(72)는 내측판부(71)와 이격된 상태에서 그 전방부가 전방패널에 용접 등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3)에는 상기 내측판부(71)에 접하는 상부롤러(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부롤러(33)는 제2프레임(3)의 지붕부의 중앙 아래를 향하여 구비되며, 상부롤러(33)에는 롤러 등의 구름수단이 하부를 향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롤러(33)가 내측판부(71)에 대어짐으로써,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된 접이식 천막의 하중이 가이드레일(2)과 상부롤러(33)에 의하여 분산지지된다.
이로써, 장기간 접이식 천막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 포장과 제2프레임 자체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 지지하게 하여, 가이드레일이 부담하는 하중 피로를 경감할 수 있어, 화물차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에 취약한 가이드레일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부(72)에는 상기 제2프레임(3)의 끝단부에 높낮이가 조절되게 구비되는 롤러부(5)가 드러나도록 도어(721)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721)는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상부로 들려지게 구성된다. 이때,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를 외측판부에 임시로 고정시키는 공지된 구성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적재함의 전방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며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어(721)가 개방되면, 제2프레임(3)의 끝단부에 수납되었던 롤러부(5)가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으로 밀집된 각 제2프레임(3)에서 고정핀(53)을 차례로 제거하고, 롤러부(5)를 하강시킨 후에 다시 고정핀(53)을 고정하여 롤러부(5)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에서 제2프레임을 차례로 인출하면서 매번 롤러부를 제2프레임의 끝단부에서 인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접이식 천막의 전개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개된 접이식 천막을 철수할 때에도, 롤러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최후방의 제2프레임을 밀어 하우징에 수납시킨 다음 도어를 개방하고 한 자리에서 모든 롤러부를 각 제2프레임의 내부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된다.
나아가, 적재함(110)의 측면패널(112)에는 롤러부(5)의 하단에 구비된 롤러(52)를 받치는 거치수단(8)이 구비된다. 거치수단(8)은 접이식 천막이 접혀진 상태에서 하우징(7)의 외측판부(72)와 측면패널(112) 사이에 위치되는 롤러부(5)가 임의로 신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중에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전술된 고정핀이 빠지는 경우에도 롤러부가 신장되어 지면에 접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롤러부의 파손이나 의도하지 아니한 접이식 천막의 전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수단(8)에는 상기 측면패널(112)에 구비되어 상하로 신장되는 슬라이더부(81), 상기 슬라이더부(81)에 결합되는 측판부(82), 상기 측판부(82)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롤러(52)가 대어지는 바닥판부(83), 그리고 상기 측판부(82)를 상기 측면패널(11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부(84)가 포함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81)는, 레일을 가지는 제1길이부재(811)와, 상기 레일에 구속되어 제1길이부재(8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길이부재(812)가 된 미끄럼부재로써, 길이부재는 복수가 구비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측판부(82)는 슬라이더부(81)에 결합되는 판재이고, 바닥판부(83)는 측판부(82)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측면패널(112)과 외측판부(72)(보다 정확히는 도어(721)) 사이의 공간을 막는 판재이다. 즉, 바닥판부(83)는 측면패널(112)과 외측판부(72) 사이에 위치하는 롤러부(5)를 아래에서 받치게 된다.
한편, 측판부(82)와 바닥판부(83)가 슬라이더부(81)의 신장에 의하여 하강한 때에 바닥판부(83)는 지면 상에 놓이게 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롤러부(5)를 제2프레임(3)의 끝단부에서 하강하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클램프부(84)는 상승된 측판부를 측면패널에 임시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패널(112)에 구비되는 돌기(841)와, 측판부(82)의 배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8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판부(82)가 상승된 상태에서 고리(8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841)에 걸리도록 하여, 측판부(82)가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한다. 한편, 고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성의 임시고정수단이 전용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측판부와 바닥판부의 상승 및 하강은 이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작동의 의한 실린더의 직선왕복운동을 이용하여 측판부와 바닥판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일괄적인 롤러부의 상승이나 하강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고정핀을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작동하여 롤러부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고, 그 후 다시 고정핀을 꽂아 하강되거나 상승된 위치로 롤러부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은 트레일러 상에 안착된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접이식 천막이다. 접이식 천막은 대략 상자형상의 컨테이너 외측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과 롤러 구조 등 이하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특징을 그대로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200)의 길이방향에 따라 한 쌍의 접이식 천막(10,10`)이 장착되어 있다. 각 접이식 천막의 제1프레임은 컨테이너의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화물차에서 분리된 컨테이터의 길이방향 전후로 길게 인출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컨테이터의 길이방향에 따라 신장된 천막이 세워진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이식 천막은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전방 방향(견인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 방향)으로 제2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구성되거나, 후방 방향으로만 제2프레임이 인출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 따르면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200)의 전면패널과 후방패널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폭 방향으로 길게 제2프레임이 길게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경우에 컨테이너의 측면패널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며 접이식 천막(10)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10 : 접이식 천막
1 : 제1프레임
11 : 기둥부 12 : 지붕부
2 : 가이드레일
3 : 제2프레임
31 : 롤러 32 : 관통공 33 : 상부롤러
4 : 포장
5 : 롤러부
51 : 기둥 511 : 제1끼움공 512 : 제2끼움공
52 : 롤러 53 : 고정핀
6 : 보조막
61 : 창문 62 : 도어
7 : 하우징
71 : 내측판부 72 : 외측판부 721 : 도어
8 : 거치수단
81 : 슬라이더부 811 : 제1길이부재 812 : 제2길이부재
82 : 측판부 83 : 바닥판부 84 : 클램프부
841 : 돌기 842 : 고리
L : 링크부재 H : 장공
100 : 화물차 110 : 적재함 111 : 전방패널
112 : 측면패널 113 : 후방패널
200 : 컨테이너

Claims (8)

  1. 화물차 적재함에 고정되는 아치형 제1프레임,
    상기 적재함의 측면패널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구속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더 인출되어 이동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링크 결합되는 복수의 아치형 제2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포장
    을 포함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2. 제1항에서,
    상기 제2프레임의 지면을 향하는 끝단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되어 지면에 대어지는 롤러부
    가 더 포함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3. 제2항에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지면을 향하는 끝단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며, 높낮이를 달리하여 제1,2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롤러,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끼움공 또는 제2끼움공에 걸리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4. 제1항에서,
    최후방의 제2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둘러진 상기 포장의 끝단부에는,
    개방된 접이식 천막의 후방면을 막는 보조막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5. 제1항에서,
    상기 적재함의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모인 상기 제2프레임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이 더 포함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6.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측과 이격되어 감싸는 내측판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을 이격되어 감싸는 외측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판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부에 높낮이가 조절되게 구비되는 롤러부가 드러나도록 도어가 장착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7. 제6항에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내측판부에 접하는 상부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8. 제6항에서,
    상기 적재함의 측면패널에는 상기 롤러부의 하단에 구비된 롤러를 받치는 거치수단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측면패널에 구비되어 상하로 신장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결합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롤러가 대어지는 바닥판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를 상기 측면패널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림프부
    를 포함하는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KR2020100009607U 2010-09-13 2010-09-13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KR201200020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07U KR20120002089U (ko) 2010-09-13 2010-09-13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07U KR20120002089U (ko) 2010-09-13 2010-09-13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89U true KR20120002089U (ko) 2012-03-22

Family

ID=4617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607U KR20120002089U (ko) 2010-09-13 2010-09-13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0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8815B2 (en) Fold-out trailer with retractable wheel assembly
EP2755857B1 (de) Dachbox, kraftfahrzeugdach mit dachbox sowie kraftfahrzeug mit dachbox
US7854465B2 (en) Tarp enclosure system
US9944233B2 (en) Roof rack assembly and a vehicle
US9457756B2 (en) Work vehicle
US8205924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WO2010053224A1 (en) Vehicle bed cover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me
CN105313655B (zh) 用于能打开的车顶的车篷
KR20120002089U (ko) 화물차의 접이식 천막
ES2558612T3 (es) Estructura de vehículo para el transporte de mercancías de transporte a granel o apilables
KR101050394B1 (ko) 차량용 적재함 덮개
CN211422044U (zh) 一种u型杆支撑车顶帐篷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KR20110010499U (ko)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장치
JP2005047435A (ja) トラック荷台の幌カバー開閉装置
US20140090591A1 (en) Low cost boat enclosure
JP3803803B2 (ja) 貨物自動車用荷台被覆装置
EP2360043B1 (en) Load carrying vehicle
KR200474049Y1 (ko) 화물차용 접이식 천막
WO2004067316A2 (en) Trailers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CN213472929U (zh) 顶棚及侧帘布半挂车
JP4263844B2 (ja) 幌付き貨物自動車
CN201989865U (zh) 汽车抽屉式车厢
JP4291237B2 (ja) コンテナ等の開閉屋根
CN101396984A (zh) 用于翻斗车体部和散装货物箱柜的自动轻便遮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