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225U -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225U
KR20120001225U KR2020100008414U KR20100008414U KR20120001225U KR 20120001225 U KR20120001225 U KR 20120001225U KR 2020100008414 U KR2020100008414 U KR 2020100008414U KR 20100008414 U KR20100008414 U KR 20100008414U KR 20120001225 U KR20120001225 U KR 201200012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ece
wire
cut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중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225U/ko
Publication of KR20120001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10)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후로 관통되어 터미널안착부(1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 및 상부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0)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터미널안착부(12)는 홀더(16)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홀더(16)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홀더몸체(17)에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갯수와 대응되는 누름레버(18)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레버(18)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안착된 터미널(20)에 와이어(20)가 안착되면서 터미널(20)의 절단슬롯(34) 쌍에 의해 피복층(42)이 벗겨지면서 심선(42)이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노출된 심선(42)은 터미널(20)의 몸체부(22)에 형성된 접촉편(24)에 접촉된다. 상기 누름레버(18)는 상기 터미널(20)의 접촉편(24)에 와이어(40)의 심선(42)이 접촉되도록 눌러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20)에 와이어(40)를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터미널(20)과 와이어(4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면서도 물리적 결합이 견고하게 되는 점이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삽입에 의해 피복층이 자동적으로 벗겨져 전기적 연결이 되는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넥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에 설치되어 커넥터를 구성하는 터미널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에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미리 와이어 단부의 피복층을 일부 제거하고 심선이 노출되게 하여 터미널의 와이어바렐부가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부가 피복층을 둘러깜싸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터미널의 종류에는 터미널에 와이어를 결합함과 동시에 터미널과 와이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된 터미널이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서는 터미널의 일측에 형성된 절단부가 와이어의 피복층을 뚫고 들어가 피복층의 내부에 있는 심선과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은 와이어의 중간부분에서 터미널이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터미널에서는 와이어와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날카로운 절단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접촉면적이 좁아 터미널과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가 터미널에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터미널에서 터미널과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선단으로 개구된 절단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절단편이 선단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의 절단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슬롯에 삽입되어 피복층이 제거된 심선이 접촉되는 접촉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편에 형성된 절단슬롯은 입구측에 비해 내측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편은 상기 몸체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외팔보형상으로 되고, 상기 접촉편의 선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지지편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절단편의 선단에는 선단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절단편의 선단가이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어 피복층이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와이어의 피복층을 소정 거리만큼 제거하여 심선이 노출되게 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상기의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터미널의 절단편에 형성된 절단슬롯에 와이어를 삽입시키는 누름편이 구비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는 상기 홀더의 양단에 구비되는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의 홀더몸체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터미널안착부의 일측을 차폐하도록 된다.
상기 홀더의 누름편에는 상기 홀더몸체 및 누름편에 모두 직교하게 구비되는 확인편이 형성되며, 상기 확인편은 상기 터미널의 절단편을 일시적으로 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접속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절단편에 형성된 각각의 절단슬롯이 그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되어 있어 와이어의 삽입에 의해 자동으로 와이어의 피복층이 벌어져 심선이 드러나게 되고, 드러나 심선이 접촉편과 접촉되므로 와이어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접촉면적이 크게 늘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커넥터에서는 홀더가 터미널의 접촉편에 와이어의 심선이 밀착되어 있도록 하므로 터미널과 와이어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홀더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고안의 터미널에 와이어가 삽입되고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터미널안착부(1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터미널안착부(12)는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구획벽(14)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벽에는 각각 걸이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공(15)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16)의 걸이턱(17')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터미널안착부(12)가 3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터미널안착부(12)가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터미널안착부(12)가 상부로 개구되게 하우징(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에서 개방된 상부는 홀더(16)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16)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홀더몸체(17)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몸체(17)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몸체(17)의 양단에는 걸이턱(17')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17')은 상기 하우징(10)의 걸이공(15)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16)의 홀더몸체(17) 내면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누름편(1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편(18)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절단슬롯(34) 내부로 와이어(40)를 눌러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몸체(17)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편(18) 및 홀더몸체(17)의 내면과 각각 직교하게 형성된 확인편(19)이 형성된다. 상기 확인편(19)은 상기 누름편(18)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으로, 홀더(16)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시점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절단편(32) 사이의 간격을 일시적으로 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 내부에는 터미널(2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20)은 그 몸체부(22)가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부(22)는 상기 터미널을 구성하는 하나의 판재를 다수회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22)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부에 고정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구성을 생략했다.
상기 몸체부(22)의 상부에는 접촉편(24)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편(24)은 상기 몸체부(2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22)의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편(24)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22)의 상부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접촉편(24)의 선단은 상기 몸체부(22)에서 돌출된 지지편(2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편(26)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상기 접촉편(24)의 과도한 탄성변형으로 인한 소성변형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22)의 일측에는 연결부(2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8)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22)의 하부 일측에서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28)는 본 고안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연결부(28)의 구성이 달리되어 다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2)에는 접속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30)는 상기 몸체부(22)에서 상기 접촉편(24)이 구비된 쪽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30)는 한쌍의 절단편(32)이 각각 상기 몸체부(22)의 상단 양측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단 쪽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편(32)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상기 절단편(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슬롯(34)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슬롯(34)은 양측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와이어(40)의 피복층(43)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슬롯(34)의 폭은 상기 절단슬롯(34)의 입구에서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이 좋다. 물론, 절단슬롯(34)의 폭이 가장 좁은 곳이 상기 와이어(40)의 심선(42)의 직경과 같거나 커야 한다. 상기 절단슬롯(34)의 폭은 그 입구와 내측의 폭이 동일하게 되면서, 상기 와이어(40)의 심선(42)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절단슬롯(34)의 입구는 상기 와이어(40)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절단슬롯(34) 내부로 와이어(40)의 삽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절단편(32)의 쌍이 선단으로 가면서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절단슬롯(34)의 폭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되면서, 와이어(40)가 절단슬롯(34)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40)의 피복층(43)이 잘라지고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절단편(32)의 최선단에는 각각 선단가이드(36)가 형성되는데, 상기 선단가이드(36)는 서로 마주보는 절단편(32)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선단가이드(3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함에 의해 상기 선단가이드(36) 사이가 벌어져 있어, 상기 홀더(16)의 누름편(18)이 절단편(32)의 사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터미널(20)의 접속부(30)에 접속되는 와이어(40)는 내부에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 심선(42)이 구비되고, 상기 심선(42)을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피복층(43)이 둘러싸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에 각각 터미널(20)을 설치한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상부로 상기 접속부(30)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상기 터미널(20)이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30)의 절단편(32) 사이로 상기 와이어(40)를 삽입한다. 상기 와이어(40)의 삽입은 각각의 터미널(20)에 각각의 와이어(40)를 하나씩 삽입할 수도 있고, 상기 홀더(16)를 사용하여 동시에 와이어(40)들을 터미널(20)의 접속부(30)에 삽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홀더(16)를 사용하여 전체 터미널(20)에 동시에 와이어(40)가 삽입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터미널(20)의 절단편(32)에 구비된 절단슬롯(34)입구에는 각각 와이어(40)가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40)가 각각의 터미널(20)의 절단슬롯(34)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16)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홀더(16)의 각각의 누름편(18) 상기 절단슬롯(34)의 내부로 상기 와이어(40)를 밀어넣게 된다. 즉, 상기 누름편(18)이 각각의 와이어(40)를 눌러서 절단슬롯(34)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상기 누름편(18)이 상기 와이어(40)를 상기 절단슬롯(34)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선단가이드(36)를 지난 부분의 절단슬롯(34) 내에서 상기 와이어(40)의 피복층(43)이 절단된다. 이때, 상기 피복층(43)은 상기 절단슬롯(34)이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인접한 위치에서 절단된다. 물론, 상기 절단슬롯(34)이 절단편(32)의 선단에서 인접해 있으므로 동일한 위치에서 피복층(43)이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복층(43)이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40)가 상기 절단슬롯(34)의 내부로 계속하여 삽입되면, 이미 절단된 피복층(43)이 상기 절단슬롯(34)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로 이동되면서 양측의 피복층(4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홀더(16)의 누름편(18)이 상기 절단편(32)의 절단슬롯(34)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와이어(40)를 눌러주면 상기 와이어(40)의 피복층(42)은 상기 절단슬롯(34)의 양단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편(32)의 경사 때문에 잘라진 부분이 서로 멀어지도록 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40)의 피복층(42)의 잘라진 부분은 상기 절단슬롯(34)의 가장자리에 걸어진 상태로 서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홀더(16)의 누름편(18)이 상기 와이어(40)를 계속하여 눌러주고, 마지막으로 상기 확인편(19)이 상기 절단편(32)의 선단가이드(36)의 사이로 들어가면서 상기 절단편(32) 사이를 벌려주면 상기 피복층(42)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된다. 이때, 상기 누름편(18)은 상기 와이어(40)를 상기 접촉편(24)의 표면에 대고 눌러주어 접촉편(24)이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편(18)이 상기 와이어(40)를 상기 접촉편(24)에 대고 눌러줄 때 상기 홀더(16)의 걸이턱(17')이 상기 걸이공(15)에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16)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접촉편(24)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확인편(19)은 상기 절단편(32)의 사이에서 빠져나와 선단가이드(36)의 사이에 있게 된다.
상기 접촉편(24)이 탄성변형되는 정도는 상기 지지편(26)에 의해 규제가 된다. 상기 접촉편(24)이 탄성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의해 상기 피복층(42)의 잘라진 부분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되었다가 약간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상기 피복층(42)의 잘라진 부분 사이로 노출된 심선(42)은 상기 접촉편(24)에 접촉될 정도의 길이가 된다. 상기 심선(42)과 상기 접촉편(24) 사이의 접촉은 상기 홀더(16)의 누름편(18)에 의해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터미널(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상기 터미널(20)은 하우징(10)에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하나의 터미널(20)이 하나의 누름편(18)을 가진 홀더(16)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2: 터미널안착부
14: 구획벽 15: 걸이공
16: 홀더 17: 홀더몸체
18: 누름편 19: 확인편
20: 터미널 22: 몸체부
24: 접촉편 26: 지지편
28: 연결부 30: 접속부
32: 절단편 34: 절단슬롯
36: 선단가이드 40: 와이어
42: 심선 43: 피복층

Claims (8)

  1.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선단으로 개구된 절단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절단편이 선단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의 절단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슬롯에 삽입되어 피복층이 제거된 심선이 접촉되는 접촉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편에 형성된 절단슬롯은 입구측에 비해 내측의 폭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몸체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외팔보형상으로 되고, 상기 접촉편의 선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지지편이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편의 선단에는 선단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절단편의 선단가이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5.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어 피복층이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와이어의 피복층을 소정 거리만큼 제거하여 심선이 노출되게 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청구항 1항에서 청구항 4항중 어느 한 항의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터미널의 절단편에 형성된 절단슬롯에 와이어를 삽입시키는 누름편이 구비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는 상기 홀더의 양단에 구비되는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홀더몸체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터미널안착부의 일측을 차폐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누름편에는 상기 홀더몸체 및 누름편에 모두 직교하게 구비되는 확인편이 형성되며, 상기 확인편은 상기 터미널의 절단편을 일시적으로 벌려주는 역할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100008414U 2010-08-13 2010-08-13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KR201200012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14U KR20120001225U (ko) 2010-08-13 2010-08-13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14U KR20120001225U (ko) 2010-08-13 2010-08-13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25U true KR20120001225U (ko) 2012-02-22

Family

ID=4593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414U KR20120001225U (ko) 2010-08-13 2010-08-13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2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029B1 (ko) * 2018-12-07 2019-11-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029B1 (ko) * 2018-12-07 2019-11-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258B1 (ko) 접속 단자 및 접속 단자용 스프링 장착식 단자 접점
KR970000122B1 (ko) 다중 전도체 전기 접속기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탬프 형성 접촉부
JP6312028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プラグ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779426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DC wire termination
JP6074711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電気的接続装置、コネクタ装置
KR101899891B1 (ko) 피메일 단자 및 전기 커넥터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TW201513469A (zh) 線狀導體連接用端子
CN102044767B (zh) 电连接器
JPS6056380A (ja) 組立てコネクタ
US2015004489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dditional exterior shell
EP13852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5866529B2 (ja)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120001225U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4611849B2 (ja) 端子台
CN209487763U (zh) 电连接器的强化结构
JP201420716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080096430A1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KR101168545B1 (ko) 헤더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EP3561959B1 (en) Connector
JP4792205B2 (ja) コネクタ
KR101978926B1 (ko) 포크인 커넥터
KR20100070892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JP2005209540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および電線付きコネクタ、ならびに電線付き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