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172U - 밤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밤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172U
KR20120001172U KR2020100008357U KR20100008357U KR20120001172U KR 20120001172 U KR20120001172 U KR 20120001172U KR 2020100008357 U KR2020100008357 U KR 2020100008357U KR 20100008357 U KR20100008357 U KR 20100008357U KR 20120001172 U KR20120001172 U KR 20120001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chemical treatment
night
stripp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189Y1 (ko
Inventor
허인성
Original Assignee
아이앤에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에스산업(주) filed Critical 아이앤에스산업(주)
Priority to KR2020100008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8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6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chest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의 외피 및 내피를 탈피하는 밤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찰수단에 의해 밤의 외피를 탈피하고, 화학처리를 가한 침전조에 침지시킨 후 중저압으로 탈피수를 분사하여 밤의 내피를 탈피함으로써 하나의 장치에서 일률적으로 외피와 내피를 탈피하도록 하는 밤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밤의 껍질을 탈피하는 밤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밤의 외피를 벽면 또는 회전부재에 의해 마찰되도록 하여 상기 탈피하는 마찰수단, 상기 외피가 제거된 상기 밤의 내피를 탈피하기 위하여 화학처리를 수행하는 화학처리수단 및 상기 화학처리로 상기 탈피되지 않은 잔량의 상기 껍질 및 약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피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처리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밤 탈피장치{Apparatus for strippers shell of chestnut}
본 고안은 밤의 외피 및 내피를 탈피하는 밤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찰수단에 의해 밤의 외피를 탈피하고, 화학처리를 가한 침전조에 침지시킨 후 중저압으로 탈피수를 분사하여 밤의 내피를 탈피함으로써 하나의 장치에서 일률적으로 외피와 내피를 탈피하도록 하는 밤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은 견과류 과실로 내피와 외피의 이중 껍질로 내부의 과육이 보호되고 있어 밤을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과육을 감싸고 있는 외피와 내피를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밤의 내피와 외피는 과실의 표면에 견고하게 붙어 있어 내피와 외피를 과실로부터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를 과실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이 발전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밤을 이용한 가공 식품용으로 껍질을 제거한 밤의 공급처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질긴 외피와 과실의 표면에 밀착된 밤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람이 일일이 칼과 가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고 있으나,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양의 밤을 가공하기에는 인건비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하여 밤의 껍질을 제거할 때는 밤의 외형이 불균일하기 때문에 껍질 제거시 내피와 함께 과실의 일부가 같이 깎여 과실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 수단을 이용한 껍질 제거 장치 및 화학처리를 위한 수단이 개발되고 있으나, 기계적 수단을 이용한 껍질 제거 장치는 밤 껍질의 대량 탈피가 어렵고 밤 공급부의 고속 회전에 의한 타격에 의해서 껍질이 제거된 밤의 상품 가치가 저하됨은 물론 과실로부터 내피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또한, 화학처리를 위한 수단을 이용한 껍질 제거 장치를 이용 시, 화학약품이 내용물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외피와 과실의 표면에 밀착된 밤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임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밤의 껍질을 제거하는 도중, 과실의 일부가 같이 깎이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여 과실의 크기를 유지하고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학처리를 위한 약품으로 인체에 무해하거나 휘발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고, 온수조를 이용하여 2차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화학처리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을 막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학처리를 위한 약품으로 인해 밤의 살균 및 침지를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밤의 껍질을 탈피하는 밤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밤의 외피를 벽면 또는 회전부재에 의해 마찰되도록 하여 상기 탈피하는 마찰수단, 상기 외피가 제거된 상기 밤의 내피를 탈피하기 위하여 화학처리를 수행하는 화학처리수단 및 상기 화학처리로 상기 탈피되지 않은 잔량의 상기 껍질 및 약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피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처리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외피와 과실의 표면에 밀착된 밤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임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밤의 껍질을 제거하는 도중, 과실의 일부가 같이 깎이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여 과실의 크기를 유지하고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학처리를 위한 약품으로 인체에 무해하거나 휘발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고, 온수조를 이용하여 2차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화학처리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을 막기 위한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학처리를 위한 약품으로 인해 밤의 살균 및 침지를 하기 위한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밤 탈피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수단의 상세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처리수단의 상세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수용액과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서 수용액과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서 수용액과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서 수용액과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서 수용액과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의 상세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밤 탈피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도3 및 도9는 마찰수단, 화학처리수단 및 세척수단 각각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1, 도2, 도3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의 외피를 벽면 또는 회전부재에 의해 마찰되도록 하여 탈피하는 마찰수단(100), 마찰수단(100)에 의해 외피가 제거되면 밤의 내피를 탈피하기 위하여 화학처리를 수행하는 화학처리수단(200) 및 화학처리로 탈피되지 않은 잔량의 껍질 및 약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피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밤의 외피를 탈피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sonication)시키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또는 진동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서 수용액과 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액은 20 내지 40℃ 이하의 온도범위 내에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비율이 30 내지 90 중량%인 것 또는 40 초과 내지 50℃의 온도범위 내에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비율이 10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찰수단(100), 화학처리수단(200) 또는 세척수단(300)은 각각 스크류(120, 230, 350) 또는 컨베이어로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화학처리수단(200)은 세척조 또는 침전조로 형성되며, 세척조 또는 침전조에서 기포를 발생하여 화학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세척수단(300)은 30 내지 50℃의 온수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온수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 히터(2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온수조에서는 탈피되지 않은 잔량의 껍질 및 약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피수 분사 노즐(360)을 통해 탈피수를 중저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여기에서, 중저압이란 1 내지 10기압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세척수단(300)은 압력 펌프(340), 압력 탈피수 호스(330) 및 탈피수 배관(3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되는 탈피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수단에서 분사된 탈피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마찰수단 110 : 투입 호퍼
120 : 마찰수단 밤 이송용 스크류 130 : 마찰수단 배출구
200 : 화학처리수단 210 : 화학처리수단 투입구
220 : 전기 히터 230 : 화학처리수단 스크류
240 : 화학처리수단 배출구 300 : 세척수단
310 : 세척수단 투입구 320 : 탈피수 배관
330 : 압력 탈피수 호스 340 : 압력 펌프
350 : 세척수단 스크류 360 : 탈피수 분사 노즐
370 : 내피 배출구 380 : 세척수단 배출구

Claims (11)

  1. 밤의 껍질을 탈피하는 밤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밤의 외피를 벽면 또는 회전부재에 의해 마찰되도록 하여 상기 탈피하는 마찰수단;
    상기 외피가 제거된 상기 밤의 내피를 탈피하기 위하여 화학처리를 수행하는 화학처리수단 및
    상기 화학처리로 상기 탈피되지 않은 잔량의 상기 껍질 또는 약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피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처리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20 내지 40℃ 이하의 온도범위 내에서 상기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비율이 30 내지 90 중량%인 것 또는 40℃ 초과 내지 60℃의 온도범위 내에서 상기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비율이 10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 상기 화학처리수단 및 상기 세척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로 구성 또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처리수단은 세척조 또는 침전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또는 침전조는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밤의 내피를 탈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30 내지 50℃의 온수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에서는 상기 탈피되지 않은 잔량의 상기 껍질 또는 약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탈피수를 중저압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압은 1 내지 10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탈피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분사되는 상기 탈피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밤 탈피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밤의 외피를 탈피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또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밤 탈피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에서 분사된 상기 탈피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밤 탈피장치.
KR2020100008357U 2010-08-11 2010-08-11 밤 탈피장치 KR200465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57U KR200465189Y1 (ko) 2010-08-11 2010-08-11 밤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57U KR200465189Y1 (ko) 2010-08-11 2010-08-11 밤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72U true KR20120001172U (ko) 2012-02-21
KR200465189Y1 KR200465189Y1 (ko) 2013-02-06

Family

ID=4593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357U KR200465189Y1 (ko) 2010-08-11 2010-08-11 밤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1137A (zh) * 2017-04-28 2017-12-01 安徽省正宇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和烘干花生的装置
KR101958317B1 (ko) * 2018-05-10 2019-03-18 주식회사 도성상사 생밤 탈피방법 및 이에 의해 탈피된 생밤
KR101977316B1 (ko) * 2017-11-13 2019-05-13 (주)에스아이에스홀딩스 은행 속피 탈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은행 속피 탈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826B2 (ja) 1980-06-30 1985-12-17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栗の剥皮方法
KR960005294Y1 (ko) * 1994-01-25 1996-06-26 이경인 밤송이 수거 및 탈피장치
KR100229734B1 (ko) 1997-07-04 1999-11-15 김길환 밤 박피장치
JP3504622B2 (ja) 2001-03-07 2004-03-08 小野食品興業株式会社 剥き栗の製造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1137A (zh) * 2017-04-28 2017-12-01 安徽省正宇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和烘干花生的装置
KR101977316B1 (ko) * 2017-11-13 2019-05-13 (주)에스아이에스홀딩스 은행 속피 탈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은행 속피 탈피 방법
KR101958317B1 (ko) * 2018-05-10 2019-03-18 주식회사 도성상사 생밤 탈피방법 및 이에 의해 탈피된 생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189Y1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g et al. Emerging and potential technologies for facilitating shrimp peeling: A review
KR200465189Y1 (ko) 밤 탈피장치
JP6444116B2 (ja) 包丁乾燥殺菌装置
CN104126846A (zh) 一种番茄果实热力去皮方法
CN101961130A (zh) 一种核桃仁超声脱皮的方法
CN104550094A (zh) 一种鸡笼清洗消毒系统
JP4925038B2 (ja) 良渋皮剥皮系ニホングリ品種の渋皮剥皮法
Dedebaş et al. Yağlı Tohumlarda Ultrasonik-Destekli Ekstraksiyon Yöntemi ve Avantajları
KR20140141010A (ko) 농수산물 세척 시스템
CN104938884B (zh) 一种食品物料去农残机
CN203801661U (zh) 一种蛋类剥皮装置
RU255042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кишок убойных животных
RU2020117847A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очищаемое плазменно-активированной водой
KR102005827B1 (ko) 절임배추 제조장치
CN102038074A (zh) 木耳胶原蛋白的提炼工艺
CN103798349B (zh) 一种甲鱼高效宰杀生产系统及其宰杀甲鱼的方法
KR101584858B1 (ko) 수압식 밤 내피 박피장치
CN209862122U (zh) 一种螺旋式猪蹄烫脱一体化装置
JP6755852B2 (ja) 根菜類の洗浄方法
CN205093518U (zh) 果蔬消毒机
CN105454981A (zh) 一种削减稻谷中毒死蜱和三唑磷残留的方法
CN109793038A (zh) 一种鹅体的脱毛方法
WO2013018010A2 (en) Plant for decontaminating cured food products
KR20130061210A (ko) 근채류의 표피 박피방법 및 근채류의 표피 박피장치
CN102894060A (zh) 淘汰鸡脱毛器械的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