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125U -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125U
KR20120001125U KR2020100008284U KR20100008284U KR20120001125U KR 20120001125 U KR20120001125 U KR 20120001125U KR 2020100008284 U KR2020100008284 U KR 2020100008284U KR 20100008284 U KR20100008284 U KR 20100008284U KR 20120001125 U KR20120001125 U KR 201200011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utters
cutting
boom
knuckl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
Original Assignee
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 filed Critical 이웅
Priority to KR2020100008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125U/ko
Publication of KR20120001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 B23D17/0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7/06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2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으로 굴절하며 회전하는 붐을 갖는 너클 크레인에 장착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붐의 선단에 고정핀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부가 상호 교차하여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와; 상기 한 쌍의 커터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상기 각 커터를 선회운동시키는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너클 크레인의 붐의 선단에 간편하게 착탈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고, 너클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증대시키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CUTTER FOR KNUCKLE CRANE}
본 고안은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너클 크레인의 붐에 착탈되어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클 크레인은 다단으로 굴절하며 회전하는 붐의 선단에 다수의 타인(tine)을 장착하여 적재되어 있는 고철이나 파지 등의 각종 폐기물을 유압을 이용하여 타인으로 집어 수거 운반하거나, 다른 운송수단으로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폐기물이 큰 경우 폐기물의 절단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너클 크레인은 폐기물을 집어 수거 운반하는 기능 이외에, 폐기물을 절단하는 기능이 없어, 너클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너클 크레인의 붐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피절단물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너클 크레인의 붐의 선단에 간편하게 착탈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고, 너클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증대시키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다단으로 굴절하며 회전하는 붐을 갖는 너클 크레인에 장착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의 선단에 고정핀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부가 상호 교차하여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와; 상기 한 쌍의 커터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상기 각 커터를 선회운동시키는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터의 블레이드부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커터의 블레이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절단물을 절삭하는 나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붐의 선단에 장착되는 연결구와; 상기 한 쌍의 커터와 상기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너클 크레인의 붐의 선단에 간편하게 착탈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고, 너클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증대시키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 1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10)는 헤드(11)와, 한 쌍의 커터(31a,31b)와,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4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한 쌍의 커터에 대해 도 1의 좌측에 위치하는 커터를 제1커터(31a)라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커터를 제2커터(31b)라고 한다.
헤드(11)는 다단으로 굴절하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붐(1, 도 2참조)의 선단에 장착되며, 헤드(11)는 고정핀(5)에 의해 붐(1)의 선단에 간편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헤드(11)는 베이스 플레이트(13)와,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일측에 돌출되어 붐(1)의 선단에 장착되는 연결구(17)와, 베이스 플레이트(13)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브래킷(2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에는 유체압실린더(41)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호스(미도시)가 관통하는 복수의 호스통과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17)에는 고정핀(5)이 관통 결합되는 핀 결합공(19)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21)은 한 쌍의 커터(31a,31b) 및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격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커터(31a,31b)는 상호 교차하도록 한 쌍의 브래킷(21) 사이에 배치되며, 각 커터(31a,31b)의 일단부는 커터용 힌지핀(35)에 의해 한 쌍의 브래킷(21)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커터(31a,31b)는 힌지핀(35)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하며 선회운동하게 되고, 이에 각 커터(31a,31b)의 타단부는 벌어지거나 교차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상호 대향하며 교차하는 커터(31a,31b)의 단부에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33a,33b)가 마련되어 있다. 각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 원호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에 피절단물의 파지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절단시간이 연장되어 피절단물의 절단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커터(31a,31b)의 각 블레이드부(33a,33b)가 상호 교차할 때 한 쌍의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 사이에 위치한 피절단물은 절단된다.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41)는 한 쌍의 커터(31a,31b)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되어, 즉 각 유체압 실린더(41)는 각 커터(31a,31b)의 외측에 위치하며 한 쌍의 브래킷(21)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커터(31a,31b)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각 커터(31a,31b)를 선회운동시킨다.
유체압실린더(41)는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 본체(43)와, 실린더 본체(43)에 수용되는 유체의 작동에 의해 길이 신장 및 축소하며 왕복운동하는 실린더 로드(47)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각 유체압실린더(41)의 실린더 본체(43)는 실린더 본체용 힌지핀(45)에 의해 각 커터(31a,31b)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실린더 로드(47)의 자유단부는 로드용 힌지핀(49)에 의해 한 쌍의 브래킷(21)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각 유체압실린더(41)의 실린더 본체(43)는 각 한 쌍의 브래킷(21)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47)의 자유단부는 한 쌍의 커터(31a,31b)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10)는 한 쌍의 커터(31a,31b)가 상호 교차할 때 피절단물을 절삭하기 위한 나이프(5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터(31a)의 블레이드부(33a)에 나이프(51)가 마련되어 있으며, 나이프(51)는 교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볼트(53)에 의해 제1커터(31a)의 블레이드부(33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나이프(5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10)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붐(1)의 선단에 고정핀(5)으로 헤드(11)를 현가시킨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터(31a,31b)가 상호 이격된 상태, 즉 한 쌍의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에서 한 쌍의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 사이에 피절단물을 위치시킨 후, 유체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7)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신장하도록 유체압실린더(41)를 작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터(31a,31b)가 커터용 힌지핀(35)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며, 한 쌍의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가 상호 접근한다.
계속하여, 각 유체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7)의 길이가 신장하도록 유체압실린더(41)를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가 상호 교차하면서 각 커터(31a,31b)의 블레이드부(33a,33b) 사이에 위치한 피절단물은 절단됨과 동시에, 제1커터(31a)의 블레이드부(33a)에 장착된 나이프(51)에 의해 절삭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어서, 피절단물의 절단 및 절삭이 완료되면, 각 유체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7)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유체압실린더(41)를 작동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터(31a,31b)의 블레이드가 상호 벌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너클 크레인으로 피절단물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나이프(51)를 장착하여 피절단물을 동시에 절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붐(1)의 선단에 고정핀(5)에 의해 결합된 본 고안에 따른 절단장치(10)는 붐(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가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된 헤드를 너클 크레인의 붐의 선단에 고정핀에 의해 간편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각 커터에 유체압실린더를 구비하여 한 쌍의 커터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한 쌍의 커터를 선회운동시킴으로써,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고, 너클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증대시키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붐 5: 고정핀
10: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11: 헤드
13: 베이스 플레이트 17: 연결구
21: 브래킷 31a,31b: 커터
33a,33b: 블레이드부 41: 유체압실린더
51: 나이프

Claims (4)

  1. 다단으로 굴절하며 회전하는 붐을 갖는 너클 크레인에 장착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의 선단에 고정핀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부가 상호 교차하여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와;
    상기 한 쌍의 커터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상기 각 커터를 선회운동시키는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블레이드부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커터의 블레이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절단물을 절삭하는 나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붐의 선단에 장착되는 연결구와;
    상기 한 쌍의 커터와 상기 한 쌍의 유체압실린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KR2020100008284U 2010-08-09 2010-08-09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KR201200011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84U KR20120001125U (ko) 2010-08-09 2010-08-09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84U KR20120001125U (ko) 2010-08-09 2010-08-09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25U true KR20120001125U (ko) 2012-02-17

Family

ID=4593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284U KR20120001125U (ko) 2010-08-09 2010-08-09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1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88B1 (ko) 2015-04-24 2016-08-22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워터젯 굴착기 및 이를 이용한 암반 굴착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88B1 (ko) 2015-04-24 2016-08-22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워터젯 굴착기 및 이를 이용한 암반 굴착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455A (en) Universal attachment device for tools
US7954742B2 (en) Dual purpose adapter for a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US8869437B2 (en) Quick coupler
EP2796215A1 (en) Scrapping machine
KR20090118866A (ko) 매달림식 그래플의 유압호스의 처리장치
EP2784224B1 (en) Severe duty grapple with tubular pivot
US20120301257A1 (en) Excavator Thumb
KR20120001125U (ko) 너클 크레인용 절단장치
US20120126559A1 (en) Attachment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418560B1 (ko) 접이식 집게장치
JP4028438B2 (ja) ピン抜差し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ピン抜差し治具
CN201889523U (zh) 解体作业机
JP4936784B2 (ja) ショベル系掘削機の開閉アタッチメント
JP5801738B2 (ja) 構造物の解体機
RU65832U1 (ru) Машина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ая
KR200369145Y1 (ko) 중장비용 작업장치의 어탯치먼트
CN217776891U (zh) 一种用于直径较大金属开口销安装工具
JPH09279862A (ja) ショベルマシン用各種アタッチメント挟着装置
JP3077202U (ja) 木材把持切断装置及び作業車両
JP2005213005A (ja) 建設機械のグラップル装置
CN111372445A (zh) 用于多工序机器的砍伐头
JP6936562B2 (ja) 解体装置
JP6470831B1 (ja) 樹木伐採機
KR200450253Y1 (ko) 크레인용 고철절단기
JP5723510B2 (ja) 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