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919U -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919U
KR20120000919U KR2020100007945U KR20100007945U KR20120000919U KR 20120000919 U KR20120000919 U KR 20120000919U KR 2020100007945 U KR2020100007945 U KR 2020100007945U KR 20100007945 U KR20100007945 U KR 20100007945U KR 20120000919 U KR20120000919 U KR 201200009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clip
retracto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규
Original Assignee
심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윤규 filed Critical 심윤규
Priority to KR2020100007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919U/ko
Publication of KR20120000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내부 일측 벽면의 하부에는 탄성으로 벨트(10)를 권선하는 리트랙터(2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리트랙터(20)의 상부로 풀려나온 벨트(10)가 홈부(30)를 지나 지지되도록 버클(40)이 형성되며, 상기 리트랙터(20)의 하부로 풀려나온 벨트(10)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포켓(50)과, 차량의 내부에 형성된 차량용 의자의 좌판부(60) 외측에 설치되는 시트(70)와, 상기 시트(7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소켓부(80)와, 상기 벨트(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소켓부(80)에 삽,탈 가능한 클립(90)으로 구성된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60)의 중앙 일측에 세로로 통공된 가이드홀(100)과, 상기 가이드홀(100)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개폐수단(200)과, 상기 가이드홀(10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소켓부(400)와, 상기 보조소켓부(400)에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10)의 타측에 체결되는 보조클립(50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 인한 충격으로 임신부의 태아 보호 및 일반인의 장기 파열을 방지하기 위함으로써, 복부와 흉부로 집중되는 압박을 흉부와 대퇴부로 분산 시키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Luck pressure prevention safety belt system}
본 고안은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인한 충격으로 임신부의 태아 보호 및 일반인의 장기 파열을 방지하기 위함으로써, 복부와 흉부로 집중되는 압박을 흉부와 대퇴부로 분산 시키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안전벨트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흉부와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3점식 안전벨트 또는 복부만 감싸도록 형성된 2점식 안전벨트가 널리 사용된다.
종래 일반적인 차량의 안전벨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의 일측 하부에 장착된 고정부(1)로부터 연장된 안전벨트(B)가 앵커 플레이트(3)를 통과하여 감겨 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트랙터(5)와,
그리고 상기 고정부(1)와 앵커 플레이트(3) 사이에 걸쳐지는 안전벨트(B)의 일단에 시트 벨트의 클립(2)이 장착되며, 상기 앵커 플레이트(3)와 리트랙터(4) 사이에 걸쳐지는 안전벨트(B)와 자동차의 측면에 장착된 안내홀더(4)에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또한, 상기 시트의 타측에는, 상기 클립(2)과 결합되는 버클(2')이 벨트(B')에 의해 하부에 장착된 고정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안전벨트(B)를 록킹시키기 위해 안전벨트의 클립(2)을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기면, 리트랙터(5)에 일정한 힘으로 감겨 있던 벨트가 풀리면서 안전벨트(B)의 전체 길이가 연장된다.
이때, 상기 클립(2)을 버클(2')에 결합시킨 다음, 탑승자가 잡아당기던 안전벨트(B)를 놓게 되면, 리트랙터(5)에 의해 안전벨트(B)가 일정한 힘으로 당김으로
써, 클립(2)과 고정부(1)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는 탑승자의 허리부분을 구속하며, 클립(2)과 앵커 플레이트(3)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는 탑승자의 가슴부분을 구속하게 되어 탑승자의 상체를 일정한 힘으로 구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자동차의 충돌시, 벨트의 풀림 속도가 일정이상이면 원심력으로 상기 리트렉터(20)에서 더 이상의 풀림을 로크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자동차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안전벨트는 임산부가 착용한 상태에서 급 정거 및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안전벨트의 락 기능(아날로그 또는 전자식 벨트 프리텐셔너)에 의해 복부를 감싸던 벨트가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임산부의 뱃속에 태아에게 치명적인 충격이 전달됨은 물론 복부에 상처가 있는 탑승자의 경우 벨트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일반인의 경우에도 장기가 충격을 고스란히 전달받게 됨으로 장기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급 정거 및 차량 충돌 시 복부를 제외한 흉부와 대퇴부로 충격을 분산하여 임산부의 태아의 안전을 보호함은 물론 복부에 상처가 있는 탑승자의 정상적인 안전벨트의 착용을 돕고, 일반인의 복부 압박으로 인한 장기 손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는 차량의 내부 일측 벽면의 하부에는 탄성으로 벨트(10)를 권선하는 리트랙터(2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리트랙터(20)의 상부로 풀려나온 벨트(10)가 홈부(30)를 지나 지지되도록 버클(40)이 형성되며, 상기 리트랙터(20)의 하부로 풀려나온 벨트(10)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포켓(50)과, 차량의 내부에 형성된 차량용 의자의 좌판부(60) 외측에 설치되는 시트(70)와, 상기 시트(7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소켓부(80)와, 상기 벨트(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소켓부(80)에 삽,탈 가능한 클립(90)으로 구성된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60)의 중앙 일측에 세로로 통공된 가이드홀(100)과, 상기 가이드홀(100)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개폐수단(200)과, 상기 가이드홀(10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소켓부(400)와, 상기 보조소켓부(400)에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10)의 타측에 체결되는 보조클립(50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는 급 정거 및 차량 충돌 시 흉부와 복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복부를 제외한 흉부와 대퇴부로 분산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임산부의 경우 뱃속 태아의 안전을 보호하고, 복부에 상처가 있는 탑승자의 경우 안전벨트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여 안전사고를 대비하며, 일반인에 경우 복부에 전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장기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벨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요부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소켓부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좌판부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요부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소켓부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좌판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는 차량의 내부 일측 벽면의 하부에 탄성으로 벨트(10)를 권선하는 리트랙터(2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리트랙터(20)의 상부로 풀려나온 벨트(10)가 홈부(30)를 지나 지지되도록 버클(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트랙터(20)의 하부로 풀려나온 벨트(10)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포켓(50)과, 차량의 내부에 형성된 차량용 의자의 좌판부(60) 외측에 설치되는 시트(70)와, 상기 시트(7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소켓부(80)와, 상기 벨트(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소켓부(80)에 삽,탈 가능한 클립(9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60)의 중앙 일측에 세로로 통공된 가이드홀(100)과, 상기 가이드홀(100)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개폐수단(200)과, 상기 가이드홀(10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소켓부(400)와, 상기 보조소켓부(400)에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10)의 타측에 체결되는 보조클립(50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버클(40)은 저면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고리부(42)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60)는 사각프레임(62)과, 상기 사각프레임(62)의 중앙에 가로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64)과, 상기 지지프레임(64)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사각프레임(62)의 전면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로드(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로드(66)는 중앙에 형성된 장홈(66a)과, 상기 장홈(66a)의 양측에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 끼움부(66b)와, 상기 장홈(66a)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66c)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80)는 상기 클립(90)과 보조클립(500)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82)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사용자에 따라 지퍼, 벨크로, 단추 중 하나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0)는 가이드로드(66)의 장홈(66a) 및 끼움부(66b)에 안착 및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되, 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도시생략)이 형성된 슬라이딩판(310)과,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 절곡되되, 일측에 핀홀(322)이 형성된 지지판(320)과, 상기 지지판(320)의 핀홀(도시생략)을 지나 슬라이딩판과 가이드로드(66)에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3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의 사용과정을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리트랙터(20)에 권선된 벨트(10)의 타측에 보조클립(500)을 체결한 후 좌판부(60)의 중앙에 일정길이로 가이드홀(1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60)를 감싸도록 시트(70)를 설치하되, 상기 좌판부(60)에 형성된 가이드홀(1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70)의 일측에 개폐수단(200)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벨크로, 단추, 지퍼 중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업자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좌판부(60)의 가이드홀(100)에 하측에 위치한 사각프레임(62)과 지지프레임(64) 사이에 통공(66c)을 갖는 장홈(66a) 및 끼움부(66b)가 형성된 가이드로드(66)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로드(66)의 상면에 관통공(도시생략)을 갖는 슬라이딩판(310)과 핀홀(도시생략)을 갖는 지지판(320) 및 고정핀(330)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300)를 안착한다.
여기서, 상기 좌판부(60)의 재질은 연질의 스폰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면에 보조소켓부(40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 되면 사용자가 좌판부(60)에 착석한 후 벨트(10)의 일측에 체결된 클립(90)을 소켓부(80)의 체결홈(82)에 삽입하고, 좌판부(60)의 가이드홀(100)을 개폐 가능한 개폐수단(200)을 개방하고 벨트(10)의 타측에 체결된 보조클립(500)을 좌판부(60)의 가이드홀(100)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면에 설치된 보조소켓부(400)에 삽입한다.
그리고, 지지판(320)의 핀홀(도시생략)과 슬라이딩판(310)의 관통공(도시생략)을 거쳐 가이드로드(66)의 통공(66c)에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된 고정핀(330)을 상기 통공(66c)에서 탈거한 후 슬라이딩부재(300)를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한 후 상기 고정핀(330)을 가이드로드(66)의 통공에 다시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좌판부(60)의 상면으로 상기 보조소켓부(400) 및 보조클립(500)이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상기 보조소켓부(400) 및 보조클립(500)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좌판부(60)의 가이드홀(100)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임산부의 경우 상기와 같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차량 충돌 또는 급 정거시 복부를 제외한 흉부 및 대퇴부에 압이 가해짐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조소켓부(400)의 미 사용시 버클(40)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연장 절곡하여 고리부(42)를 더 구비함에 따라 복부를 감싸는 벨트(10)의 일측을 상기 고리부(42)에 걸어 흉부를 두줄로 감싸는 형태로 벨트(10)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소켓부(400)를 사용하지 않게되면 보조클립(500)의 유동으로 소음 및 불편함이 발생함에 따라서, 소켓부(80)에 별도의 체결홈(82)을 하나 더 형성하여 클립(90)과 보조클립(500)을 소켓부(80)에 일체로 체결한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 고리부 62 : 사각프레임
64 : 지지프레임 66 : 가이드로드
66a : 장홈 66b : 끼움부
66c : 통공 82 : 체결홈
100 : 가이드홀 200 : 개폐수단
300 : 슬라이딩부재 310 : 슬라이딩판
320 : 지지판 330 : 고정핀

Claims (6)

  1. 차량의 내부 일측 벽면의 하부에는 탄성으로 벨트(10)를 권선하는 리트랙터(2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리트랙터(20)의 상부로 풀려나온 벨트(10)가 홈부(30)를 지나 지지되도록 버클(40)이 형성되며, 상기 리트랙터(20)의 하부로 풀려나온 벨트(10)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포켓(50)과, 차량의 내부에 형성된 차량용 의자의 좌판부(60) 외측에 설치되는 시트(70)와, 상기 시트(7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소켓부(80)와, 상기 벨트(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소켓부(80)에 삽,탈 가능한 클립(90)으로 구성된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60)의 중앙 일측에 세로로 통공된 가이드홀(100)과;
    상기 가이드홀(100)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개폐수단(200)과;
    상기 가이드홀(10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소켓부(400)와;
    상기 보조소켓부(400)에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10)의 타측에 체결되는 보조클립(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40)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고리부(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60)는,
    사각프레임(62)과;
    상기 사각프레임(62)의 중앙에 가로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64)과;
    상기 지지프레임(64)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사각프레임(62)의 전면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로드(66)로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로드(66)는,
    중앙에 형성된 장홈(66a)과;
    상기 장홈(66a)의 양측에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 끼움부(66b)와;
    상기 장홈(66a)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66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80)는,
    상기 클립(90)과 보조클립(500)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82)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지퍼, 벨크로, 단추 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0)는,
    가이드로드(66)의 장홈(66a) 및 끼움부(66b)에 안착 및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되, 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312)이 형성된 슬라이딩판(310)과;
    상기 슬라이딩판(310)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 절곡되되, 일측에 핀홀(322)이 형성된 지지판(320)과;
    상기 지지판(320)의 핀홀(322)을 지나 슬라이딩판(310)과 가이드로드(66)에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3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KR2020100007945U 2010-07-28 2010-07-28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KR201200009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45U KR20120000919U (ko) 2010-07-28 2010-07-28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45U KR20120000919U (ko) 2010-07-28 2010-07-28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19U true KR20120000919U (ko) 2012-02-08

Family

ID=4584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945U KR20120000919U (ko) 2010-07-28 2010-07-28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91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201B1 (ko) * 2013-01-02 2014-09-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KR101624724B1 (ko) * 2014-11-19 2016-06-07 주식회사 프로모텍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보조고정장치
CN117571284A (zh) * 2023-11-21 2024-02-20 泰州巨环起重防护装备有限公司 一种安全带锁扣性能试验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201B1 (ko) * 2013-01-02 2014-09-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KR101624724B1 (ko) * 2014-11-19 2016-06-07 주식회사 프로모텍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보조고정장치
CN117571284A (zh) * 2023-11-21 2024-02-20 泰州巨环起重防护装备有限公司 一种安全带锁扣性能试验设备
CN117571284B (zh) * 2023-11-21 2024-04-26 泰州巨环起重防护装备有限公司 一种安全带锁扣性能试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6811A1 (en) An improved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with six restraint points
US6557895B2 (en) Implant protective pad for use with seatbelts
KR20120000919U (ko)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US5624136A (en) Safety system attached to seat belt in a motor vehicle
EP2895358B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JP2004130920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382542B1 (ko) 어린이용 시트벨트
US7270347B1 (en) Seatbelt attachment for use by pregnant women
KR101438201B1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WO2016060442A1 (ko)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ES2360129T3 (es) Accesorio de cinturón de seguridad para vehículo.
KR20200065867A (ko)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ITTO20030139U1 (it) Sistema di cinture di sicurezza per un veicolo.
KR101353237B1 (ko) 임산부용 벨트 안전장치
KR101741813B1 (ko) 임산부를 위한 시트벨트의 보조체결장치
KR0171811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비상해제 장치
RU191932U1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ременных с защитой от бокового удара
JP4206927B2 (ja) シートベルトデバイス
KR20130073565A (ko) 시트벨트
JP4206913B2 (ja) シートベルト補助装置
JP200627316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6643463B2 (ja) シートベルト用補助具
KR101679357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KR20150060262A (ko) 차량용 시트 벨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1624724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보조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