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357B1 -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357B1
KR101679357B1 KR1020140152112A KR20140152112A KR101679357B1 KR 101679357 B1 KR101679357 B1 KR 101679357B1 KR 1020140152112 A KR1020140152112 A KR 1020140152112A KR 20140152112 A KR20140152112 A KR 20140152112A KR 101679357 B1 KR101679357 B1 KR 10167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ing
spring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181A (ko
Inventor
고태유
Original Assignee
(주)포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포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5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3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센터필러(B필러) 상부 측면과 프론트 시트 상단 사이에 위치되어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의 높이가 서로 다른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이 자신의 신장 높이에 맞추어 안전벨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전벨트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는, 안전벨트(1)가 인출되는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20)와, 상기 고정구(20)의 일측에 부착되는 부착구(30)로 구성된 부착부(10)와, 상기 부착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 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안전벨트(1)가 프런트시트(5)의 상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여 끼움결합되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AUXILIARY EQUIPMENT OF AUTOMOBILE SAFE BEL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센터필러(B필러) 상부 측면과 프론트 시트 상단 사이에 위치되어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의 높이가 서로 다른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이 자신의 신장 높이에 맞추어 안전벨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전벨트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안전벨트는 프론트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운전석 및 조수석에 승차한 탑승자의 신체를 시트에 구속시켜 주행 중 충돌시 또는 급정거 시 탑승자의 신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대쉬보드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안전벨트는, 통상 3점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3점식이란 안전벨트의 지지점의 수에 의한 것으로 차량 실내의 센터필러(B필러) 상부의 어깨부위와 시트 하단 양측의 부위 3군데를 의미한다.
종래 3점식 안전벨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슴을 경사지게 조이는 가슴벨트와 복부를 두르는 복부벨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안전벨트 장착시에는 가슴벨트를 잡아당겨 리트랙트로부터 인출하여 복부벨트와 함께 플레이트를 버클에 결합시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슴벨트는 그 지지점 즉 센터필러 상부에 설치된 슬립앵커에 지지되며, 슬립앵커는 센터필러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움직임이 자유로워 탑승자의 체형에 따른 가슴벨트의 슬립앵커에서의 인출각도를 자유롭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남성 성인의 신장높이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남성 또는 여성이나 청소년 등이 승차시에는 안전벨트의 높이가 착용자보다 높게 위치되어 착용자의 가슴을 두르는 가슴벨트가 목을 경유하는 경우가 있어 충돌하거나 급정거시에 가슴벨트가 목을 조여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 사용되는 안전벨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레일 위를 슬라이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의 중앙에는 버튼이 장착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해제레버의 일측이 회동하면서 타측은 스프링을 압축하며 고정돌기를 안쪽으로 잡아당겨 고정돌기와 레일의 고정홈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슬라이더가 레일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맞게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10-0123266호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센터필러에 고정됨과 아울러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패드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슬라이드 가이드에 그 하단부가 삽입 고정됨과 더불어 내측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압박패드와, 이 압박패드의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이동시 접촉대상을 상승시키게 되는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에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으로 내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 대향되게 설치된 로울러와, 이 각각의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공까지 연장되면서 상면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측면에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울러와 대응되어 로울러의 상승에 의해 스포터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된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차폐함과 더불어 상기 압박패드의 외부 이탈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안전벨트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구성요소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조립성의 저하는 물론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벨트의 높낮이가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역시 키가 적은 청소년이나 여성들 또는 남성의 경우에 안전벨트가 목부분에 걸쳐짐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을 자신의 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안전벨트를 전부 자동차로부터 때어낸 다음, 다시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교체비용의 부담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석에 탑승하는 운전자 중 작은 신장을 갖는 여성운전자의 경우 프론트 시트가 센터필러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센터필러에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용이하지 못하고, 허리가 불편하거나 복부 비만 등의 허리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한 운전자의 경우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하여 허리를 돌린 후 안전벨트를 파지한 뒤 체결해야 하는 착용 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 사고 시 안전을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프론트시트(B필러)의 차량 내부 측면에서 인출되어 차량 시트 상단 및 착용자의 어깨 상단에 항상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가 적은 여성이나 허리가 불편한 탑승가가 용이하게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행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자동차 프론트 시트(B필러)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안전벨트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기존의 안전벨트를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부담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는, 안전벨트(1)가 인출되는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20)와, 상기 고정구(20)의 일측에 부착되는 부착구(30)로 구성된 부착부(10)와, 상기 부착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 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안전벨트(1)가 프런트시트(5)의 상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여 끼움결합되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 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되기 위하여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안전벨트(1)가 수용되어 끼움결합되는 수용홈(44)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3)과, 상기 완충스프링(41)과 연결프레임(43)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프레임(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43)은, 상기 안전벨트(1)의 끼움 결합시 용이하도록 하부 일측에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고정스프링(45)과, 상기 고정스프링(45)의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4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구(30)는, 원판형상의 부착판(31)과, 상기 부착판(31)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부(40)의 완충스프링(41)이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구(32)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2)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완충스프링(41)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스프링 형상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고정돌기(34)와, 상기 부착판(31)과 연결구(32)가 결합되는 단부에는 상기 완충스프링(41)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20)는, 상기 센터필러(3) 하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인출되는 상기 안전벨트(1)와의 접촉츨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터필러(3)와 결합되는 일측으로 상기 안전벨트(1)가 삽입되도록 삽입홈(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는 안전벨트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안전벨트가 항상 프론트 시트 상단의 동일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어깨 상단 부분에 안전벨트가 위치고정되어 안전벨트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안전벨트의 위치가 항상 착용자의 어깨 상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목을 안전벨트가 감쌈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고,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교체하지 않고 설치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의 비용절감을 유도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구성 중 연결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구성 중 연결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바람직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0)와, 상기 부착부(10)에 연결되는 연결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부(10)는, 안전벨트(1)가 인출되는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에 고정수단(21)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40)에 안전벨트(1)를 연결하여 프런트시트(5)의 상부에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21)은, 접착재 또는 접착재가 도포된 테이프,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부(10)는, 상기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고정구(20)와, 상기 연결부(40)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20)에 고정되고, 상기 안전벨트(1)를 센터필러(3)의 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부착구(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 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되기 위해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여 끼움결합을 위한 수용홈(44)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3)과, 상기 완충스프링(41)과 연결프레임(43)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프레임(4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스프링(41)은, 상기 안전벨트(1)의 인출에 따른 유동에 대응되고, 급정거 및 사고로 인한 흔들림으로 탑승자의 머리 및 신체의 충격시 안전사고와 탑승자의 승, 하차시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안전벨트(1)의 위치고정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유동에 용이하게 대응한다.
또한, 상기 센터필러(3) 측면에 근접하게 인출되어 고정된 안전벨트(1)가 착용자가 탑승하는 프런트시트(5)의 상부 및 탑승자의 어깨높이로 위치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여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프레임(43)이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프레임(42)에 의해 상기 센터필러(3)의 내측에서 상기 안전벨트(1)를 이격하고, 상기 프런트시트(5)의 상부에 위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는 수용홈(44)와 상기 안전벨트(1) 간의 원활한 끼움결합 및 사용으로 인한 끼움결합되는 부분의 결속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44)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프레임(43)의 하부 일측에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고정스프링(4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스프링(45)의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46)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스프링(45)의 신축과 신장으로 인해 중앙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46)의 결속과 해체를 통하여 상기 수용홈(44)과 상기 안전벨트(1)간의 끼움결합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구(30)의 고정을 위해 전도체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착재 또는 접착재가 도포된 테이프, 볼트를 이용한 고정수단(21)이 구비되어 상기 안전벨트(1)가 인출되는 상기 센터필러(3) 내부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부착구(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부착판(31)과, 상기 부착판(31)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부(40)의 완충스프링(41)이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구(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착판(31)에는, 상기 부착구(30)가 상기 금속재로 이루어진 고정구(20)에 부착되기 위해 자력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부착수단(33)이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부착구(30)는 상기 부착판(31)에 구비된 부착수단(33)에 의해 상기 고정구(20) 외측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고정구(20)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구(30)의 연결구(32)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완충스프링(41)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스프링 형상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고정돌기(3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착판(31)과 연결구(32)가 결합되는 단부에는 상기 완충스프링(41)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35)을 형성한다.
즉, 상기 부착구(30)와 연결부(40)의 결합시 상기 연결구(32)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형성된 고정돌기(34)를 매개로 상기 연결부(40)의 완충스프링(41)이 회전되며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완충스프링(41)의 끝 단부가 상기 고정홈(35)에 끼워져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센터필러(3)에서 인출되는 안전벨트(1)가 외부로 노출되어 인출되는 경우 상기 안전벨트(1)로 인해 상기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에 부착부(10)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벨트(1)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10)의 구성 중 고정구(20)의 일측에 삽입홈(22)을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안전벨트(1)가 상기 삽입홈(22)에 삽입되어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구(20)의 일측으로 연결부(40)가 결합된 부착구(30)를 결합한다.
즉, 상기 센터필러(3)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인출되는 안전벨트(1)의 경우 착용자의 안전벨트의 인출로 인한 부착부(10)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부(10)를 구성하는 구성 중 고정구(20)의 형상을 일측에 상기 안전벨트(1)가 삽입되어 인출되도록 형성한 삽입홈(22)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벨트와의 접촉을 방지하고, 센터필러(3)와의 고정을 위한 홈을 상기 고정구(20)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볼트(B)결합에 의해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구(2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부착구(30)와 연결부(40)에 의해 프론트시트(5)의 상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필러(3)의 내부 외관 형상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진 경우 부착부(1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부착부(10)의 형상을 세 변이 내측으로 굴곡진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부착부는, 내측으로 굴곡진 삼각형으로 형성된 각 꼭지점의 중앙으로 센터필러(3)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을 형성하여 볼트(B)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보호커버(5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50)는 연질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안전벨트(1) 착용으로 인한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수축, 팽창 및 착용자의 탑승 및 하차로 인한 유동 및 접촉시 탑승자의 의류 및 모발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는, 차량 내부 측면의 센터필러(3)에서 인출된 상기 안전벨트(1)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프론트시트 상단에 위치고정시키는 연결부(40)와 상기 연결부를 상기 센터필러(3)에 고정시키는 부착부(10)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부(10)의 구성 중 고정구(20) 일측에 접착재 및 접착재가 도포된 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안전벨트(1)가 인출되는 센터필러(3)의 상부에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구(20)는, 후술되는 부착구(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전도체 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필러(3)에 부착된 상기 고정구(20)의 타측으로 자력을 갖는 자석이 내부에 구비된 부착구(30)를 부착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부착구(30)는, 원판형상의 부착판(31)과, 상기 부착판(31)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부(40)를 결합하는 연결구(32)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2)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4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돌기(3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40)와 상기 부착구(30)의 결합 후 상기 연결부(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판(31)과 연결구(32)가 결합된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40)가 고정되는 고정홈(35)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20)와 부착구(30)가 상호 결합된 부착부(10)의 일측으로 상기 안전벨트(1)의 위치고정을 위한 연결부(40)를 상기 부착구(30)의 연결구(32) 내측 또는 외측으로 끼움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는, 안전벨트(1)의 착용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스프링형태의 탄성력을 구비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여 프론트시트(5) 상단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연결프레임(43) 및 상기 완충스프링(41)과 연결프레임(43)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프레임(42)을 구성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43)은,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44)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안전벨트(1)를 끼움결합하고, 상기 연결프레임(43)을 상기 프론트시트(5) 상단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연장프레임(42)과, 상기 연장프레임(42)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43)과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3)이 상기 안전벨트를 위치고정되기 위하여 센터필러(3)에 부착된 부착부(10)의 구성 중 부착구(30)의 연결구(32)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안전벨트(1)의 인출에 따른 유동에 대응되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스프링(41)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43)의 하부 일측에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고정스프링(45)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프레임(43)의 하부 타측에 형성된 고정핀(46)이 상기 고정스프링(45)의 신장 및 신축에 따라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끼움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유동시 착용자의 모발 및 의류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보호커버(50)를 끼움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는 안전벨트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안전벨트가 항상 프론트 시트 상단의 동일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어깨 상단 부분에 안전벨트가 위치고정되어 안전벨트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안전벨트의 위치가 항상 착용자의 어깨 상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목을 안전벨트가 감쌈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고,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교체하지 않고 설치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의 비용절감을 유도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안전벨트 3 : 센터필러
5 : 프론트시트 10 : 부착부
20 : 고정구 21 : 고정수단
22 : 삽입홈 30 : 부착구
31 : 부착판 32 : 연결구
33 : 부착수단 34 : 고정돌기
35 : 고정홈 40 : 연결부
41 : 완충스프링 42 : 연장프레임
43 : 연결프레임 44 : 수용홈
45 : 고정스프링 46 : 고정핀
50 : 보호커버 B : 볼트

Claims (5)

  1. 안전벨트(1)가 인출되는 센터필러(3)의 차량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20)와, 상기 고정구(20)의 일측에 부착되는 부착구(30)로 구성된 부착부(10); 상기 부착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 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안전벨트(1)가 프런트시트(5)의 상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안전벨트(1)를 수용하여 끼움결합되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안전벨트(1)의 착용 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유동에 대응되기 위하여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안전벨트(1)가 수용되어 끼움결합되는 수용홈(44)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3)과, 상기 완충스프링(41)과 연결프레임(43)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프레임(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43)은, 상기 안전벨트(1)의 끼움 결합시 용이하도록 하부 일측에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고정스프링(45)과, 상기 고정스프링(45)의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4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30)는, 원판형상의 부착판(31)과, 상기 부착판(31)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부(40)의 완충스프링(41)이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구(32)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2)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완충스프링(41)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완충스프링(41)의 스프링 형상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고정돌기(34)와, 상기 부착판(31)과 연결구(32)가 결합되는 단부에는 상기 완충스프링(41)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는, 상기 센터필러(3) 하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인출되는 상기 안전벨트(1)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터필러(3)와 결합되는 일측으로 상기 안전벨트(1)가 삽입되도록 삽입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KR1020140152112A 2014-11-04 2014-11-04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KR10167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12A KR101679357B1 (ko) 2014-11-04 2014-11-04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12A KR101679357B1 (ko) 2014-11-04 2014-11-04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81A KR20160052181A (ko) 2016-05-12
KR101679357B1 true KR101679357B1 (ko) 2016-12-12

Family

ID=5602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112A KR101679357B1 (ko) 2014-11-04 2014-11-04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3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8116A (en) * 1992-11-30 1994-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ar seat shoulder belt guide
JPH07291093A (ja) * 1994-04-27 1995-11-07 Araco Corp 3点式シートベルトにおけるベルト位置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81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US8534756B2 (en) Child car seat
US5005865A (en) Seatbelt positioning assembly for a pregnant person
KR101645164B1 (ko) 임산부용 카시트
US7513532B1 (en) Device to adjust tension in a shoulder belt
US8702177B1 (en) Shoulder and waist harness for use with a wheelchair
US20020145279A1 (en) Add-on safety harness for school bus
US8696027B2 (en) Positioner of safety belt for vehicles
KR101382542B1 (ko) 어린이용 시트벨트
EP2895358B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KR101679357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
KR101548925B1 (ko) 아이소픽스를 활용한 안전밸트 가이드
KR101438201B1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AU2011101475A4 (en) An adjustable shoulder strap mechanism for baby stroller
KR20160054635A (ko)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KR102325244B1 (ko) 차량용 어린이 안전벨트 장치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20120000919U (ko) 복압 방지용 안전벨트 장치
CN110843619A (zh) 安全座椅
CN211567885U (zh) 一种用于防止安全带勒脖的儿童带
KR20100008498U (ko) 어린이용 가이드 패드
KR20120049463A (ko) 안전벨트 연결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유아시트
CN210652773U (zh) 一种汽车便携式儿童安全垫
CN214874696U (zh) 一种儿童出行安全背带
US20170021744A1 (en) Booster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