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635A -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 Google Patents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635A
KR20160054635A KR1020140139051A KR20140139051A KR20160054635A KR 20160054635 A KR20160054635 A KR 20160054635A KR 1020140139051 A KR1020140139051 A KR 1020140139051A KR 20140139051 A KR20140139051 A KR 20140139051A KR 20160054635 A KR20160054635 A KR 2016005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vehicle
seat
safety belt
pregnant wo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772B1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14013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772B1/ko
Priority to PCT/KR2015/010780 priority patent/WO2016060442A1/ko
Priority to CN201580037617.3A priority patent/CN106794819A/zh
Publication of KR2016005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자의 좌석부의 전, 후 방향을 따라 상기 좌석부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밸트부와; 상기 좌석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판상으로 형성된 평탄부와,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가 설치시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밸트의 중앙이 삽입되어 상기 가로밸트가 차량에 탑승한 임부의 허벅지 내측을 권취하도록 상기 평탄부의 일측에 고정된 연장부와, 일측이 상기 차량의자의 좌석부의 전면과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평탄부에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밸트부의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밸트부가 상기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밸트부의 타단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 신속하게 편리하게 안전밸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체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이 충돌시에도 임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CAR SEAT BELT'S GUIDE FOR PREGNANT WOMEN}
본 발명은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시에 임산부의 신체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체결이 가능한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장착된 안전밸트로서 운전자 및 탑승자의 가슴과 복부를 좌석의 시트밸트에 밀착고정하는 3점식 안전밸트가 널리 사용된다.
상기 3점식 안전밸트를 임산부가 착용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거나 조수석에 앉은 상태에서 급제동, 충동 및 추돌사고 등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복부를 밀착고정하는 밸트부분이 임산부의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태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는 차량의자에 설치되는 고정밸트(20), 고정밸트(20)를 체결하여 차량의자에 연결하는 연결부재(50), 고정밸트(20)에 설치되어 복부밸트를 연결하는 고정고리(30), 상기 고정고리(30)를 걸 수 있는 고정고리 걸이부(30'), 고정고리(30)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부(40), 덮개부(40)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부(42)로 구성된다.
고정밸트(20)는 사람이 의자에 앉을 경우 인체의 무릎 사이에 위치하도록 차량의자의 좌석부 중앙 전후방향으로 감싸게 설치되면서 양 끝단에 형성된 연결부재(50)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라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밸트(2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밸트(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재(50), 길이조절부(80)는 좌석부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좌석부의 전, 후를 감싸서 체결되는 연결부재(50)는 좌석부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고정고리(30)는 좌석부 표면의 전면에 위치되는 운전자의 무릎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50)는 버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밸트(20)는 길이조절부(80)가 형성되어 차량의자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고정밸트(20)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차량의자에 설치시에 설치가 용이한 것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고리(30)는 임산부의 복부를 가로지르는 복부밸트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복부밸트를 개방부(32)에 끼워 연결하여 다리쪽으로 당겨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을 회피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고리(30)는 고정고리 걸이부(30')에 걸릴 수 있게 형성됨과 함께 고정고리 걸이부(30')는 고정밸트(20)에 형성된 길이조절부(80)와 길이조절부(80)에 비해 먼거리에 위치되는 연결부재(50) 사이에 구성된다.
또한, 고정고리(30)는 고정밸트(20) 상에 복수 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사람의 체격에 따라 안전밸트(60)가 착용되는 형태가 다른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에 있어서는, 고정고리(30)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개구된 고정고리(30)의 입구를 통하여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를 삽입해야 하므로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 안전밸트를 체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는 차량의자의 좌석부를 전, 후방으로 감싸는 형태로 체결된 후에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를 고정고리(30)에 체결하는 구조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의 장력이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에 지속적으로 작용할 경우에 임부용 안전밸트가 좌석부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임산부 측으로 당겨져서 임산부의 배를 압박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 신속하게 편리하게 안전밸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체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임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는, 차량의자의 좌석부의 전, 후 방향을 따라 상기 좌석부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밸트부와; 상기 좌석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판상으로 형성된 평탄부와,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가 설치시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밸트의 중앙이 삽입되어 상기 가로밸트가 차량에 탑승한 임부의 허벅지 내측을 권취하도록 상기 평탄부의 일측에 고정된 연장부와, 일측이 상기 차량의자의 좌석부의 전면과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평탄부에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밸트부의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밸트부가 상기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밸트부의 타단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전방이 개구됨으로써 내측으로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밸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일측에 상기 밸트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밸트부가 상기 체결부의 일부를 권취한 후에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밸트부의 임의 일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밸트부가 상기 체결부의 일부를 권취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의 상기 상기 절곡부 내측에는 상기 절곡부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별도의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는,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 신속하게 편리하게 안전밸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체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임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체결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측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가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체결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측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가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는,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의 전, 후 방향을 따라 좌석부(1a)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밸트부(100)와, 좌석부(1a)의 상면에 안착되며 판상으로 형성된 평탄부(210)와,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2)가 설치시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밸트(2a)의 중앙이 삽입되어 가로밸트(2a)가 차량에 탑승한 임부의 허벅지 내측을 권취하도록 상기 평탄부(210)의 일측에 고정된 연장부(220)와, 일측이 상기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의 전면과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평탄부(210)에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23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와, 연결부재(2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밸트부(100)의 일단이 체결되고, 밸트부(100)가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밸트부(100)의 타단이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트부(100)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를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밸트부(100)의 길이는 좌석부(1a)의 전, 후 방향을 따라 좌석부(1a)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며, 그 폭은 임산부가 좌석부(1a)에 착석시에 임산부의 허벅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트부(100)의 일단은 체결부(30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체결되고, 타단은 체결부(300)에 삽입되어 체결부(300)의 일부분에 권취된 후에 체결부(300)를 관통하여 체결부(300)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밸트부(100)의 중간 영역은 연결부재(2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을 경유한 후에 체결부(300)에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연결부재(200)가 좌석부(1a)에 안착되도록 한다.
연결부재(200)는 평탄부(210)와, 평탄부(2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 연장부(220)와, 평탄부(210)의 일측 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좌석부(1a)의 전면 일부와 면접촉되는 절곡부(230)로 구성된다.
평탄부(210)는 좌석부(1a)에 임산부가 착석시에 임산부의 허벅지와 허벅지 사이의 좌석부(1a) 상면에 안착되는 부재로서, 그 길이는 임산부가 좌석부(1a)에 착석시에 허벅지와 허벅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임산부의 엉덩이까지 연장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임산부가 좌석부(1a)에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부(210)의 폭은 밸트부(100)와 마찬가지로 임산부가 좌석부(1a)에 착석시에 임산부의 허벅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평탄부(210)와 절곡부(220) 사이의 절곡부(220) 내측에는 절곡부(220)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별도의 보강리브(2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20)는 평탄부(21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평탄부(210)의 전방을 향하여 연결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전방이 개구됨으로써 내측으로 체결홈(221)이 함몰 형성되어 가로밸트(2a)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홈(221)의 일측이 연결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개구형성됨은 차량의 충돌시에 신속하게 가로밸트(2a)를 체결홈(221)에서 이탈시킨 후에 임산부가 차량에서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연장부(220)는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장부(220)의 개구된 영역이 내측의 체결홈(22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서 임의로 가로밸트(2a)가 체결홈(2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절곡부(230)는 평탄부(210)의 전단에 좌석부(1a)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좌석부(1a)의 전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로서, 절곡부(230)로 인하여 가로밸트(2a)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좌석부(1a)에 안착된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임산부가 편안하게 좌석부(1a)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절곡부(230)는 좌석부(1a) 전방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좌석부(1a)의 전방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체결부(300)는 굴곡부(230)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밸트부(100)가 삽입됨으로써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가 좌석부(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300)에는 일측에 밸트부(1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삽입공(310)에 삽입된 밸트부(100)가 체결부(300)의 일부를 권취한 후에 체결부(300)를 관통하여 체결부(3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제2삽입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공(310)은 밸트부(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수평 방향이나 혹은 그 전단이 약간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삽입공(320)은 밸트부(100)의 임의 일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트부(100)가 체결부(300)의 일부를 권취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제1삽입공(310)과 제2삽입공(320)의 폭은 밸트부(10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삽입공(310)과 제2삽입공(320)을 경유하도록 삽입되는 밸트부(100)의 유동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를 차량의자에 설치하여 임산부가 안전밸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의 상면과 전방면에 각각 연결부재(200)의 평탄부(210)와 절곡부(230)가 밀착이 되도록 연결부재(200)를 좌석부(1a)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밸트부(100)의 일단을 좌석부(1a)의 후방으로 전개시키고, 단부가 좌석부(1a)와 등받이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한 후에 밸트부(100)가 좌석부(1a)의 후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한다.
그 후, 밸트부(100)의 단부가 체결부(300)의 제1삽입공(310)을 통과하도록 하고 제1삽입공(310)을 통과한 밸트부(100)의 단부는 다시 제2삽입공(320)을 통과하면서 체결부(300)의 일부에 권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설치는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의 설치가 완료되면 임산부는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에 착석한 후에 차량의 일측에 설치된 안전밸트(2)를 당겨서 체결한 후에 안전밸트(2)의 가로밸트(2a)의 중앙 영역이 체결홈(221)에 삽입함으로써 가로밸트(2a)가 임산부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여 임산부가 편안하게 차량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는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 신속하게 편리하게 안전밸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자의 좌석부에 체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임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차량의자 1a : 좌석부
2 : 안전밸트 2a : 가로밸트
100 : 밸트부 200 : 연결부재
210 : 평탄부 220 : 연장부
221 : 체결홈 222 : 보강리브
230 : 절곡부 300 : 체결부
310 : 제1삽입공 320 : 제2삽입공

Claims (6)

  1.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의 전, 후 방향을 따라 상기 좌석부(1a)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밸트부(100)와;
    상기 좌석부(1a)의 상면에 안착되며 판상으로 형성된 평탄부(210)와, 차량에 설치된 안전밸트(2)가 설치시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밸트(2a)의 중앙이 삽입되어 상기 가로밸트(2a)가 차량에 탑승한 임부의 허벅지 내측을 권취하도록 상기 평탄부(210)의 일측에 고정된 연장부(220)와, 일측이 상기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의 전면과 밀착되어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평탄부(210)에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23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밸트부(100)의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밸트부(100)가 상기 차량의자(1)의 좌석부(1a)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밸트부(100)의 타단이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연장부(22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전방이 개구됨으로써 내측으로 체결홈(22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밸트(2a)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20)는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0)에는 일측에 상기 밸트부(1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삽입공(310)에 삽입된 상기 밸트부(100)가 상기 체결부(300)의 일부를 권취한 후에 상기 체결부(30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3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제2삽입공(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공(320)은 상기 밸트부(100)의 임의 일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밸트부(100)가 상기 체결부(300)의 일부를 권취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210)와 상기 절곡부(220) 사이의 상기 절곡부(220) 내측에는 상기 절곡부(220)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별도의 보강리브(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KR1020140139051A 2014-10-15 2014-10-15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KR10176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051A KR101766772B1 (ko) 2014-10-15 2014-10-15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PCT/KR2015/010780 WO2016060442A1 (ko) 2014-10-15 2015-10-13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CN201580037617.3A CN106794819A (zh) 2014-10-15 2015-10-13 车用孕妇安全带导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051A KR101766772B1 (ko) 2014-10-15 2014-10-15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635A true KR20160054635A (ko) 2016-05-17
KR101766772B1 KR101766772B1 (ko) 2017-08-09

Family

ID=5574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051A KR101766772B1 (ko) 2014-10-15 2014-10-15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66772B1 (ko)
CN (1) CN106794819A (ko)
WO (1) WO2016060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012B (zh) * 2017-03-21 2023-07-25 姚凌 孕妇用汽车座椅安全带附加安全垫板
CN210793092U (zh) * 2019-05-15 2020-06-19 李立清 座椅安全带辅助装置、座椅设备与交通工具
WO2021022856A1 (zh) * 2019-08-07 2021-02-11 李立清 一种孕妇安全带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938B2 (ja) * 1994-11-01 2000-10-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3992987B2 (ja) * 2002-01-31 2007-10-17 株式会社モディー シートベルト補助具
JP4135677B2 (ja) * 2004-05-17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補助具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01541598A (zh) * 2006-09-22 2009-09-23 汤米防护控股集团有限公司 安全带保持装置和系统
CN201249730Y (zh) * 2008-08-21 2009-06-03 杨阔 用于单座的新型四点式汽车安全带
KR200461831Y1 (ko) * 2010-12-13 2012-08-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벨트 연결구
CN202200939U (zh) * 2011-07-28 2012-04-25 长沙立中汽车设计开发有限公司 多功能组合式孕妇安全带
CN202345612U (zh) * 2011-11-03 2012-07-25 延锋伟世通汽车电子有限公司 用于孕妇的安全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442A1 (ko) 2016-04-21
CN106794819A (zh) 2017-05-31
KR101766772B1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354A (en) Vehicle safety restraint
US5005865A (en) Seatbelt positioning assembly for a pregnant person
US4303041A (en) Supportive body harness
KR101645164B1 (ko) 임산부용 카시트
US5156436A (en) Vehicle safety restraint
US20020145279A1 (en) Add-on safety harness for school bus
KR101716568B1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KR101766772B1 (ko) 차량의 임산부용 안전밸트 가이드
KR20090129679A (ko) 어린이용 안전시트
EP2895358B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US20130221649A1 (en) Positioner of safety belt for vehicles
KR101382542B1 (ko) 어린이용 시트벨트
US20120274056A1 (en) Safety seatbelt system for pregnant women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US10081273B2 (en) Belt-mount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KR101548925B1 (ko) 아이소픽스를 활용한 안전밸트 가이드
KR101402186B1 (ko) 차량의 어린이 승객용 4점 지지 보조안전벨트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KR101438201B1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GB1572630A (en) Threepoint safety belt with double shoulder strap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100736375B1 (ko) 임산부용 안전벨트
EP2332786A1 (en) Harness
KR101135341B1 (ko)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US10099651B2 (en) Ergonomic restraint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7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12

Effective date: 201706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