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633U - 풍선 유도 도관 - Google Patents

풍선 유도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633U
KR20120000633U KR2020100007523U KR20100007523U KR20120000633U KR 20120000633 U KR20120000633 U KR 20120000633U KR 2020100007523 U KR2020100007523 U KR 2020100007523U KR 20100007523 U KR20100007523 U KR 20100007523U KR 20120000633 U KR20120000633 U KR 201200006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shaft
channel portion
guide
out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영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이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영 filed Critical 이치영
Priority to KR2020100007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633U/ko
Publication of KR20120000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풍선 유도 도관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은 샤프트, 풍선, 및 허브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유동 채널부와 가이드 채널부를 포함하는데, 유동 채널부는 샤프트의 벽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는 가이드 채널부는 샤프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풍선은 샤프트의 유동 채널부와 관통되어 있는데,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도록 샤프트의 외측단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풍선이 팽창하면 샤프트의 외측단에 팁이 생기지 않도록 풍선은 샤프트의 외측단에 정렬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허브는 유동 채널부와 관통하는 유체 삽입부와 가이드 채널부와 관통하는 와이어 삽입부를 구비하는데, 샤프트의 내측단은 허브의 일 단부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풍선 유도 도관{Balloon guiding catheter}
본 고안은 의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혈관의 내부에 삽입하여 혈류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각종 혈관내 중재적 시술을 하기 위한 풍선 유도 도관(balloon guiding catheter)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테터는 배액용으로는 물론 약제(조영액)나 세정액 등을 인체 내로 주입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혈관 조영술 및 중재적 시술 등과 같은 혈관 내 시술을 위해서도 카테터가 활용되고 있다. 카테터의 모양이나 굵기 등은 사용되는 용도나 신체 부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관 내부가 폐색되기 시작하면 사람에게 소정의 증상이 생기게 되는데, 심할 경우에는 치명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지의 혈관이 폐색되면 걸을 때 통증이 유발될 수 있고, 신장의 혈관이 폐색되면 고혈압 등과 같은 질환이 유발될 수 있으며, 뇌혈관이 폐색되면 뇌졸중이나 중풍 등과 같은 뇌질환이 유발될 수가 있다.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혈관이 폐색된 원인을 찾아서 혈관을 재개통하기 위한 치료를 시술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혈관의 내벽에 침전된 찌꺼기를 제거하거 개통시키거나 또는 좁아진 혈관에 보조 기구를 삽입하여 혈관이 다시 폐색되지 않도록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처럼 혈관의 좁아진 부위를 찾아 넓혀주는 시술을 통칭하여 '혈관 성형술'이라 하는데, CT(Computeriz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및 혈관 조영술 등을 이용하여 혈관의 폐색 여부를 검사하고 필요시에 이를 치료하는 의료 행위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전문의가 체외에서 풍선 안내 도관(balloon guiding catheter)을 환자의 혈관으로 삽입한 다음, 조영제 등을 주사하여 혈관 조영 상에서 혈관의 좁아진 부위를 찾고 또한 이를 넓혀주는 의료 행위가 혈관 성형술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뇌는 좌, 우 총경동맥과 좌, 우 추골동맥을 통해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이들 동맥에 있어서 총경동맥과 추골동맥이 시작되는 지점과, 총경동맥이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으로 분지(分枝)되는 지점이나 그 주위에서 폐색되어 동맥 경화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내경동맥이나 외경동맥 등이 총경동맥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시발점에서 폐색되면, 카테터를 이용하여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이 분지되기 전의 총경동맥에서 혈류를 일시 차단한 상태에서, 내경동맥이나 외경동맥의 내벽에 붙어 있는 불순물(덩어리)을 부순 후에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또는, 총경동맥의 분지 지점으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져 있는 내경동맥이나 외경동맥의 내벽에 불순물(덩어리)이 붙어 있는 경우에는, 풍선 유도 도관을 이용하여 폐색된 동맥만을 차단한 상태에서 불순물을 부순 후에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풍선 유도 도관(balloon guiding catheter)은 이와 같이 특정 지점의 혈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 등의 물질 등을 혈관 벽에 붙이거나, 부수거나, 흡입하여 폐색된 혈관을 개통시키기 위한 시술 기기를 안내하기 위한 의료 기구의 하나이다. 혈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풍선 유도 도관은 샤프트의 단부의 외벽에 풍선이 설치되는데, 이 풍선은 시술 전에는 카테터의 단부에 부풀어 오르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카테터를 혈관내로 삽입시킨 다음에 식염수 등의 유체를 주입하면 부풀어 올라서 혈관을 막아서 혈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풍선 유도 도관은 풍선이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서, 풍선의 외측으로 팁(tip)이 존재하였다. 이 샤프트의 팁은 카테터를 삽입하거나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혈관 박리(血管 剝離, Dissection) 등과 같은 혈관 내벽에 손상을 주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풍선 유도 도관은 샤프트의 내부 빈 통공에 풍선 루멘과 가이드 루멘이 튜브 형태로 별도로 설치되어서, 각 루멘, 특히 가이드 루멘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아울러,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풍선의 크기가 일정하여 혈류를 차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하여 혈관 성형술을 시술할 때 떨어져 나온 찌꺼기가 다른 쪽의 동맥으로 흘러 들어가서 또 다른 혈관 폐색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혈관으로 카테터를 삽입하는 경우나 또는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혈관의 내벽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풍선 유도 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가이드 루멘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풍선의 수축(depression)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풍선 유도 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찌꺼기 등이 다른 동맥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풍선 유도 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토크 응답(torque response)이나 백업 서포트(backup support) 등과 같은 기본적인 성능이 우수한 풍선 유도 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은 샤프트, 풍선, 및 허브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유동 채널부와 가이드 채널부를 포함하는데, 유동 채널부는 샤프트의 벽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채널부는 샤프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풍선은 샤프트의 유동 채널부와 관통되어 있는데,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도록 샤프트의 외측단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풍선이 팽창하면 샤프트의 외측단에 팁에 생기지 않도록 풍선은 샤프트의 외측단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허브는 유동 채널부와 관통하는 유체 삽입부와 가이드 채널부와 관통하는 와이어 삽입부를 구비하는데, 샤프트의 내측단은 허브의 일 단부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샤프트는 내측단으로부터 외측단으로 갈수록 유연성이 증가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풍선의 크기는 여러 가지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9 ~ 1.1cm, 1.4 ~ 1.6cm, 또는 1.9 ~ 2.1cm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은 풍선이 샤프트의 외측단에 일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시술시에 혈관해리 등과 같이 혈관 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샤프트(110)는 고유의 카테터 전이(catheter transition)를 구비하는데, 이에 의하면 유도 도관으로서의 토크 응답, 백업 서포트와 같은 기본적이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시술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혈관 내벽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은 풍선의 크기를 여러 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가 있어서 시술 위치에 따라서 적합한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루멘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조영제 등의 주입 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풍선 유도 도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풍선이 팽창한 모습을 확대해서 보여 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의 일례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풍신 유도 도관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풍선 유도 도관이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에 혈관 재개통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은 모든 부위의 혈관에서 혈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혈관의 폐색 여부를 진단하고 또는 필요시에는 폐색된 혈관을 개통하는 혈관 성형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풍선 유도 도관(100)은 샤프트(shaft, 110), 샤프트(110)의 내측단이 삽입 또는 결합되도록 설치된 허브(120), 및 샤프트(110)의 외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풍선(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단과 외측단이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정되어 사용된 용어들로서, 혈관 성형술을 시행하는 시술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허브(120)를 기준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단부와 허브(1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단부를 각각 가리킨다.
그리고 샤프트(110)와 허브(120)에는 풍선 루멘(140)과 가이드 루멘(150)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110)에는 풍선 루멘(140)의 유동 가이드(144)와 가이드 루멘(150)의 와이어 가이드(154)가 설치되어 있고, 허브(120)에는 풍선 루멘(140)의 유체 삽입부(142)와 가이드 루멘(150)의 와이어 삽입부(152)가 설치되어 있다. 유동 가이드(144)와 유체 삽입부(142)는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와이어 가이드(154)와 와이어 삽입부(152)도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샤프트(110)는 전부 또는 일부가 피치료자의 혈관으로 삽입된다. 샤프트(110)는 외측단을 선단으로 하여 대퇴부 동맥으로 삽입된 후 내경 동맥으로까지 충분히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예컨대 90㎝ 또는 100c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10)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혈관에 상응한다. 다만, 샤프트(110)의 단면 형상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샤프트(1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같거나 또는 외측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총경동맥보다 통상 지름이 작은 내경동맥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동맥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외측단이 혈관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과 달리, 샤프트(110)의 내측단 부위는 혈관 내로 삽입이 되지 않는다. 샤프트(110)의 내측단은 후술할 허브(12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110)의 내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일 단부는 샤프트(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을 완화(strain relief)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허브(120)의 타 단부에는 후술할 유체 삽입부(142)와 와이어 삽입부(152)가 설치됨으로써, 시술자가 풍선으로 조영제 등의 유체를 주입하고 또한 좁아진 혈관을 찾아 넓혀주는 것과 같은 각종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샤프트(110)의 내측단 부위와 허브(120)는 시술자가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샤프트(110)의 내측단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혈관 내로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혈관이 굴곡지더라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샤프트(110)는 내측단으로부터 외측단으로 갈수록 보다 부드러운 또는 보다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를 복수(예컨대, 4개)의 단계로 구획하여 내측단에서부터 외측단으로 갈수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재질에서 변이(transition)가 생기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이를 갖는 샤프트(110) 구조는 안내 도관으로서의 토크 응답(torque response)이나 백업 서포트(backup response) 등과 같은 기본적인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풍선(130)은 샤프트(110)의 외측단에 위치하여, 샤프트(110)의 반경 방향, 즉 방사상으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풍선(130)은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 특성이 우수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풍선(130)은 수축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샤프트(110)를 혈관 내부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팽창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혈관 내의 혈류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풍선(130)은 샤프트(110)의 외측단에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서 카테터(100)의 선단에는 팁이 없는(tipless) 구조를 갖는다. 기존의 풍선 유도 도관에서는 풍선이 샤프트의 외측단으로부터 소정 크기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서, 샤프트(110)의 외측단이 풍선으로 덮여 있지 않았으며 풍선이 팽창하더라도 팁이 팽창된 풍선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었다. 그 결과, 기존의 카테터를 혈관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시술시에 카테터가 움직이게 되면, 혈관을 해리시키거나 혈관 벽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혈관에 손상이 생기게 하는 원인이 되곤 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풍선(130)이 샤프트(110)의 외측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혈관 해리나 혈관 벽에 스트레스를 가하는 문제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풍선(130)은 팽창한 상태에서 혈관의 혈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샤프트(110)의 외측단이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의 분지점이나 이와 가까운 거리의 외경동맥에 위치하는 경우에, 풍선(130)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 예컨대 약 2c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팽창한 풍선(130)은 외경동맥은 물론 총경동맥의 혈류를 차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샤프트(110)의 외측단이 외경동맥이나 내경동맥의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풍선(130)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예컨대 약 1c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그 용도에 따라서 풍선(130)의 크기를 다양화, 예컨대 약 0.9 ~ 1.1cm, 약 1.4 ~ 1.6cm, 약 1.9 ~ 2.1cm 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풍선(130)은 내부로 식염수나 공기 등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게 되면 팽창하고, 내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 수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풍선(130)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것은 허브(120)와 샤프트(110)에 설치되어 있는 풍선 루멘(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한 풍선 루멘(140)은 허브(120)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 삽입부(142) 및 샤프트(110)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 채널부(144)를 구비한다. 유체 삽입부(142)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110)의 내측단, 즉 유동 채널부(144)에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유체 삽입부(142)는 유체를 담은 주사기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도록 허브(1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삽입부(142)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 채널부(144)는 유체 삽입부(142)로부터 삽입된 유체가 풍선(13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110) 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동 채널부(14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 채널부(144)는 일단이 유체 삽입부(14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46)에 의해 풍선(130)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 채널부(144)는 풍선(130) 내의 유체가 유체 삽입부(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통로의 역할도 겸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풍선 루멘(140), 보다 구체적으로 풍선 루멘(140)의 유동 채널부(144)는 샤프트(110)에 일체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풍선 루멘(140)의 유동 채널부(144)가 샤프트(110)와 일체가 되면, 샤프트(110)의 내부에 유동 채널부(144)를 위한 공간을 추가로 할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일한 샤프트(110)의 직경에서 가이드 루멘(150)의 가이드 채널부(154)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가이드 채널부(154)를 통하여 조영액 등의 유체를 빠른 속도로 주입할 수가 있다.
이러한 풍선 루멘(140)과 함께 샤프트(110) 및 허브(120)에 설치된 가이드 루멘(150)은 와이어 삽입부(152) 및 가이드 채널부(154)를 구비한다. 와이어 삽입부(152)는 외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110)의 내측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프트(110)의 가이드 채널부(154)에 연통하도록 허브(120)에 설치된다. 와이어 삽입부(152)는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샤프트(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와이어 삽입부(152)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삽입부(152)를 통해서는 통상 굵은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므로, 삽입이 용이할 수 있게 샤프트(110)와 동축 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이어 삽입부(152)로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는, 샤프트(110)의 외측단에 풍선(130)이 팽창한 다음 혈류를 차단하고서, 동맥 경화의 원인을 제공한 덩어리를 부수며 부서진 후 생성된 부스러기를 흡입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삽입부(152)에는 전술한 유체 삽입부(14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시술함에 있어 편리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유체 삽입부(142)는 와이어 삽입부(152)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채널부(154)는 와이어 삽입부(152)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샤프트(110)의 외측단을 통해 혈관 내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110) 내에 형성된다. 상술하면, 가이드 채널부(15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채널부(154)는 한쪽 끝 부분이 와이어 삽입부(15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반대쪽 끝 부분이 샤프트(110)의 외측단으로부터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채널부(154)는 가이드 와이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유동 채널부(144)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이드 채널부(154) 및 유동 채널부(144)는 샤프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튜브와 같은 별개의 부재로 샤프트(110) 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허브(120)가 두 개의 삽입부, 즉 유체 삽입부(142)와 와이어 삽입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허브(120)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구조의 허브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가 세 개의 삽입부를 구비하는 형상이거나 또는 두 개의 삽입부를 구비한 허브가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허브의 구조는 풍선 유도 도관의 용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어느 하나의 허브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풍선(130)이 샤프트(110)의 외측단에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5는 풍선(130)이 팽창된 경우의 풍선 유도 도관(100)의 단부를 확대해서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즉, 풍선 루멘(140)을 통하여 조영제 등의 유체가 풍선(130)으로 유입되면 풍선(130)은 팽창을 하며, 샤프트(110)의 선단에는 팁이 없다(tipless). 이와 같이, 샤프트(110)의 단부가 풍선(130)으로 덮여 있는 것에 의하여, 시술시에 혈관 박리 등과 같이 혈관 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샤프트(110)가 고유의 카테터 전이(catheter transition)가 구비된다. 즉, 샤프트(110)는 내측단으로부터 외측단으로 갈수록 복수의 단계(예컨대, 4단계)로 유연성이 증가하는 구성 및 재질을 갖는다. 이와 같이, 외측단으로 갈수록 유연성이 증가하는 전이 구조는 유도 도관으로서의 토크 응답, 백업 서포트와 같은 기본적이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시술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혈관 내벽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풍선(130)의 크기를 여러 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풍선(130)의 크기는 약 0.9 ~ 1.1cm, 약 1.4 ~ 1.6cm, 약 1.9 ~ 2.1cm 정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풍선(130)의 크기는 혈류를 차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당한 풍선(13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총경 동맥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동맥은 물론, 외경동맥이나 내경동맥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동맥에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이중 루멘 구조를 갖는다. 즉, 풍선(130)으로 주입되는 식염수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유동 채널부(144)는 샤프트(110)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며, 와이어 등이 삽입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가이드 채널부(154)는 샤프트(110)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거나 별도의 튜브를 이용하여 샤프트(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유도 도관(100)은 조영제의 유속(flow rate)이 기존의 카테터에 비하여 크다. 아울러, 팽창된 풍선(130)으로부터 식염수 등을 제거하여 풍선(130)을 원상태로 복원시킬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 풍선 유도 도관
110 : 샤프트
120 : 허브
130 : 풍선
140 : 풍선 루멘
150 : 가이드 루멘

Claims (3)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유동 채널부와 가이드 채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채널부는 벽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채널부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샤프트;
    상기 유동 채널부와 관통되어 있으며,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단에 부착되어 있는 풍선; 및
    상기 유동 채널부와 관통하는 유체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 채널부와 관통하는 와이어 삽입부를 구비하고, 일 단부를 통해 상기 샤프트의 내측단이 결합되어 있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이 팽창하면 상기 샤프트의 외측단에 팁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풍선이 상기 샤프트의 외측단에 정렬되는 풍선 유도 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내측단으로부터 외측단으로 갈수록 유연성이 증가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유도 도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의 크기는 0.9 ~ 1.1cm, 1.4 ~ 1.6cm, 또는 1.9 ~ 2.1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유도 도관.
KR2020100007523U 2010-07-16 2010-07-16 풍선 유도 도관 KR201200006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23U KR20120000633U (ko) 2010-07-16 2010-07-16 풍선 유도 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23U KR20120000633U (ko) 2010-07-16 2010-07-16 풍선 유도 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33U true KR20120000633U (ko) 2012-01-30

Family

ID=4584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523U KR20120000633U (ko) 2010-07-16 2010-07-16 풍선 유도 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63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75A (ko) * 2019-01-14 2020-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
KR20200088059A (ko) * 2019-01-14 2020-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75A (ko) * 2019-01-14 2020-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
KR20200088059A (ko) * 2019-01-14 2020-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65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obstructions within body lumens
JP6185113B2 (ja) 補助的可変支持体を備える非円形内側ルーメン誘導カテーテル
US8057497B1 (en) Thrombectomy removal device kit
JP6054916B2 (ja) 体管腔内の閉塞部を治療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RE45760E1 (en) Coaxial guide catheter for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JP2022033972A (ja) 経頸動脈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7449010B1 (en) Material removal catheter and method
JP2020049277A (ja) 急性虚血性脳卒中の治療方法および治療システム
JP4709829B2 (ja) 導入シーススタビライザ
JP5602023B2 (ja) 組織穿孔を探知及び封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99040B2 (en) Occlusion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0258354B2 (en) Post-conditioning suction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s
JP2016503696A (ja) ガイドワイヤーバルブを備える注入カテーテル
JP2009520575A (ja) カッティングバルーンカテーテル組立体
US10485551B2 (en) Methods of use of a balloon-tip aspiration catheter for ischemic stroke interventions
CN116138841B (zh) 延长导管及去除细血管栓塞物质的导管系统
KR20120000633U (ko) 풍선 유도 도관
US9681888B2 (en) Wireguide set for changing access sites
US9089312B2 (en) Tamponade for biopsy surgery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207630B1 (ko) 막힌 혈관을 용이하게 통과하기 위한 지지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KR102213798B1 (ko)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KR102224259B1 (ko)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
CN115645708A (zh) 可扩张导管鞘及其使用方法
US20220047280A1 (en) Embolic protection via biologic effect
CN117323476A (zh) 延长抽吸导管及具有该导管的导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