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94U -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594U
KR20120000594U KR2020100007467U KR20100007467U KR20120000594U KR 20120000594 U KR20120000594 U KR 20120000594U KR 2020100007467 U KR2020100007467 U KR 2020100007467U KR 20100007467 U KR20100007467 U KR 20100007467U KR 20120000594 U KR20120000594 U KR 201200005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drum
sidewall
crack
c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교석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594U/ko
Publication of KR20120000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6Tread wear monito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사이드월 (Tire Sidewall)에 크랙(Crack)을 유발시키는 장치로서, 기존의 드럼에 의한 타이어 피로시험에서는, 타이어 사이드월에 발생하는 크랙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없었다. 이 고안은 타이어 주행시험기 부품인 드럼의 형상 개발을 통하여, 원하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원하는 위치에 크랙을 유발시켜, 타이어의 내구 신뢰성 확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타이어 사이드월을 시험하는 드럼의 형상은 일반적인 원통형 드럼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 원통을 붙여서 만든 드럼이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 시험법 개발자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원하는 부분에 크랙을 유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Sidewall Crack tester of tire with controlling load position}
본 고안은 타이어 사이드월(Tire sidewall)에 발생하는 크랙(Crack)을 평가시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실내 주행시험 장치 중 부품인 드럼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타이어 접지장 형태를 변화시키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 시험계획자가 타이어 사이드월 크랙을 원하는 부위에 유발시키어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시험평가 장치 중 타이어 사이드월의 피로 평가장치( Fatigue test equipment of tire sidewall )는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구속시키고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강제적인 피로 변형을 통하여,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타이어의 사이드월의 크랙 발생장치는 실내에서 타이어 사이드월 크랙을 유발시킬 수는 있으나, 실제로 특정 부위에서의 변위 조정을 통하여, 크랙위치를 변경시킬 수는 없는 장치이다.
그러나 실제 시장의 실 사용조건에서는 다양한 차량과 도로조건 때문에 같은 타이어라도, 다른 형태의 사이드월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실내에서 재현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타이어 사이드월 크랙을 원하는 위치에 발생시켜, 실제 시장조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치에서의 다양한 크랙을 동일하게 실내에서 재현할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험할 타이어가 접촉하는 드럼이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타이어의 트레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을 평가시험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두 개의 지름(Diameter)이 다른 드럼을 서로 맞대어 실제 타이어가 접촉하는 접지면적을 콘트롤 할 수 있는데, 이는 타이어 실내 주행시험기에서 타이어가 슬립 앵글(Slip Angle) 및 캠버 앵글(Camber Angle)을 가지고서 타이어의 접지면적 조절 및 변형 형상 조정을 통하여, 타이어 사이드월의 변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는 실내에서 타이어가 실제 시장에서 가지는 다양한 조건을 경험하고 피로에 의해, 타이어 사이드월의 원하는 부위에 크랙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시험원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사이드월(Tire Sidewall)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에서 드럼(Drum) 형상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타이어 사이드월 크랙 평가 시험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시험을 하는 드럼형상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시험하는 타이어(1) 트레드에 피로하중을 가하여 이에 의한 사이드월의 과도한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사이드월 크랙을 실내에서 평가시험 하는 장치로서, 시험할 타이어(1)가 접촉하는 드럼(2)이 구동부(3)의 회전축(4)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이 타이어(1)의 트레드를 통해 타이어 사이드월에 가해지는 피로하중에 의해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을 평가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2)은 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드럼이 서로 맞대어 있으며, 이러한 2개의 드럼으로 이루어진 드럼(2)을 통하여, 타이어의 접지형상이 결정된다. 그리고 시험할 상기 타이어(1)는 제어부(5)에 설치된 다른 회전축(8)에 연결되어 이 제어부(5)에 의해 특정 시험속도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시험시 하중, 속도, 온도 및, 드럼(2)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두 개의 경이 서로 다른 드럼이 맞대어 타이어(1)는 2개의 드럼으로 이루어진 드럼(2)에 걸쳐 있게 된다. 이때 타이어(1)의 접지형상 조정을 하며, 이 구동되는 드럼(2)과 타이어(1)가 서로 맞대어 회전운동을 하며, 피로시험이 가능해진다.
이때, 서로 경이 다른 2개의 드럼이 맞대어 있을 때, 타이어(1)의 접지면적 변화를 서로 두 개의 다른 경을 가진 드럼(2)의 폭방향 위치와 캠버 앵글을 통하여 접지형상을 변화시키며, 이를 통하여 타이어 사이드월의 변형부하를 타이어 비드(Bead)에서 숄더(Shoulder)까지 다양하게 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1)의 트레드(1a)가 드럼(2)과 이격되면 사이드월은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같은 작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면 타이어 사이드월이 시험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변형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이 타이어(1)의 사이드월에 피로하중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시험이 진행되어 이를 평가시험 할 수가 있다.
1 : 타이어, 2 : 드럼,
3 : 구동부, 4 : 회전축,
5 : 제어부.

Claims (2)

  1. 시험할 타이어(1)가 접촉하는 드럼(2)이 구동부(3)의 회전축(4)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이 타이어(1)의 사이드월에 가해지는 피로하중에 의해 사이드월의 크랙을 평가시험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2)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경을 가진 드럼으로 이루어지며, 제어부(5)에서 타이어(1)의 드럼(2)에서의 위치와 타이어의 캠버앵글 효과를 통하여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위치를 조절하여 시험할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1)는 제어부(5)에 의해 하중, 속도, 드럼(2)의 회전수가 제어되어 평가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KR2020100007467U 2010-07-15 2010-07-15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KR201200005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67U KR20120000594U (ko) 2010-07-15 2010-07-15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67U KR20120000594U (ko) 2010-07-15 2010-07-15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94U true KR20120000594U (ko) 2012-01-25

Family

ID=4584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467U KR20120000594U (ko) 2010-07-15 2010-07-15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59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3463B (zh) 用于轮胎胎面磨损测试机的横向位置控制
KR101298777B1 (ko) 타이어 시험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타이어 시험기
EP1615012A2 (en) Method of testing tires for durability
KR200444513Y1 (ko) 필드환경을 제공한 타이어 내구 주행 시험기
EP3267174A1 (en) Vehicle testing device, vehicle testing method, and program for vehicle testing device
JP5534587B2 (ja) ゴム試験機
JP5889605B2 (ja) ゴム摩耗試験方法
RU26678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тавки шиповых шпиле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пованной шины
JP2015175715A (ja) タイヤ特性の試験装置
JP6045390B2 (ja) ゴム摩耗試験方法
JP2014190945A (ja) ゴム摩耗試験方法及びゴム摩耗試験装置
KR20120000594U (ko) 타이어 사이드월의 크랙 평가 시험장치
WO2020121575A1 (ja) 車両動作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車両動作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1153865A (ja) ゴム試験機及びこれを用いたゴム試験方法
KR20100064025A (ko) 타이어 그루브의 크랙 평가시험장치
JP6042844B2 (ja) タイヤの接地特性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200444571Y1 (ko) 타이어 주행시험기
KR100570144B1 (ko) 타이어의 표면온도 제어용 내구성 시험장치
WO2020115940A1 (ja) タイヤ接地特性計測方法、タイヤ接地特性計測装置およびタイヤ接地特性計測システム
JP6571499B2 (ja) ゴム摩擦摩耗試験方法
KR200399682Y1 (ko) 타이어 주행시험기 드럼
KR20040009189A (ko) 도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실내 마모/내구력 시험기
KR200399683Y1 (ko) 타이어 주행시험기 드럼
JP5534586B2 (ja) ゴム試験機およびゴム試験方法
KR101311260B1 (ko) 타이어의 접촉노면 충격시험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