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430A - 홀가공용 지그 - Google Patents

홀가공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430A
KR20120000430A KR1020100060788A KR20100060788A KR20120000430A KR 20120000430 A KR20120000430 A KR 20120000430A KR 1020100060788 A KR1020100060788 A KR 1020100060788A KR 20100060788 A KR20100060788 A KR 20100060788A KR 20120000430 A KR20120000430 A KR 2012000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ing
guide
body memb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810B1 (ko
Inventor
김권중
Original Assignee
김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중 filed Critical 김권중
Priority to KR102010006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Drilling And Bo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각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 홀가공용 지그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홀가공용 지그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몸체부와, 드릴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와, 가공대상물에 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공대상물의 조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몸체부재의 양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으로부터 몸체부재의 안내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제1거리조절유닛와, 몸체부재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과 인접한 제2측면으로부터 몸체부재의 안내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제2거리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조각이 배출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드릴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드릴을 가동시켜서 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홀 형성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홀가공용 지그{Jig for drilling of hole}
본 발명은 홀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가공 시 드릴로 홀을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게 한 홀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가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거나, 홀 가공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홀 가공 과정은 가공대상물인 나무 판에 홀이 형성되어야 할 곳의 위치를 마킹하고, 작업자가 마킹된 위치에 드릴로 홀을 형성한다. 이러한 홀 형성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드릴의 위치를 제한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지그를 가공대상물에 배치하고, 지그의 홀에 드릴이 수용된 상태에서 홀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그를 이용한 홀 형성방법은, 홀 형성시 발생되는 나무조각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릴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홀 내부의 나무조각을 제거한 뒤 재차 드릴을 가동시켜서 홀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각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 홀가공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가공용 지그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몸체부와, 드릴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와, 가공대상물에 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공대상물의 조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몸체부재의 양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으로부터 몸체부재의 안내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제1거리조절유닛와, 몸체부재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과 인접한 제2측면으로부터 몸체부재의 안내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제2거리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가공용 지그는,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각이 배출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릴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드릴을 가동시켜서 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홀 형성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가공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가공용 지그가 가공대상물 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홀가공용 지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가공용 지그의 평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가공용 지그(100)는, 가공대상물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홀가공용 지그(100)는 몸체부재(110)와, 제1거리조절유닛(120)과, 제2거리조절유닛(130)을 포함한다.
몸체부재(110)는 드릴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재(110)의 소재의 일예로 강철일 수 있다. 몸체부재(110)는 드릴과 접촉되게 되는데, 몸체부재(110)가 강철로 이루어짐으로써, 몸체부재(110)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110)는 몸체부(111)와,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116)와,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117)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몸체부(111)의 형상의 일예로, 한 변이 길이가 긴 직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안내부(116)는 드릴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116)는 몸체부(11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부(116)에 의해 드릴이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드릴로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배출부(117)는 안내부(116)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배출부(117)는 가공대상물에 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공대상물의 조각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즉, 배출부(117)는 몸체부(11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내부(116)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제1거리조절유닛(120)은 몸체부재(110)의 양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거리조절유닛(120)은 상기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재(110)의 안내부(116)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한다.
제2거리조절유닛(130)은 몸체부재(110)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거리조절유닛(130)은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과 인접한 제2측면으로부터 몸체부재(110)의 안내부(116)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한다.
가공대상물에 형성되는 홀은 가공대상물마다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가공대상물에서도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거리조절유닛(120)과 제2거리조절유닛(130)은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으로부터 안내부(116)까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조사가 설계에 따라 가공대상물 상의 다양한 위치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거리조절유닛(120) 및 제2거리조절유닛(13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홀가공용 지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각이 배출부(117, 도 1참조)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릴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드릴을 가동시켜서 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홀 형성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1거리조절유닛(120)의 상세한 구조의 일예로, 제1지지부재(121)와, 제1체결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21)는 제1결합부(122)와, 제1이격부(124)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122)에는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제1이격부(124)는 제1결합부(1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형성된 부분의 일면으로부터 몸체부(11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1)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114)은 하나일 수 도 있고, 복수개일 수 도 있다. 제1결합홈(114)이 복수개인 경우, 제1결합홈(114)은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재(110)에 복수개의 안내부(116)들이 형성되고, 제1결합홈(114)도 복수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홈(114)이 안내부(116)를 관통하지 않도록, 제1결합홈(114)은 안내부(116)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안내부(116)와, 몸체부(111)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거나 일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 제1결합홈(114)은 서로 교번하도록 형성된다.
제1체결부재(125)는 제1지지부재(121)의 제1결합부(122)의 관통홀(123)을 지나 몸체부(111)의 제1결합홈(114)에 결합되게 형성된다. 제1체결부재(125)의 일예로 볼트일 수 있다. 전술한 제1결합홈(114)에는 이러한 볼트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1체결부재(125)에 의해 제1지지부재(121)가 몸체부(11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부재(125)와 제1지지부재(121) 사이에는 와셔(126)를 배치할 수 있다. 와셔(126)는 제1체결부재(125)가 제1지지부재(1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거리조절유닛(120)에서 제1이격부(124)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몸체부(111)의 제1측면으로부터 안내부(116)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와 반대로, 제1이격부(124)의 두께를 감소시키면, 몸체부(111)의 제1측면으로부터 안내부(116)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제1이격부(124)의 두께가 상이한 제1지지부재(121)들을 마련하여 놓고, 제1이격부(124)의 두께가 상이한 제1지지부재(121)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대상물 상에 홀을 형성하여야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재(125)로 복수개의 제1결합홈(114)들 중 어느 하나에 제1지지부재(121)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대상물의 형상에 맞게 제1지지부재(121)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홀 형성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거리조절유닛(130)의 상세한 구조의 일예로, 제2지지부재(131)와, 제2체결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31)는 제2결합부(132)와, 제2이격부(134)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재(131)는 제2결합부(132)와, 제2이격부(134)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132)에는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제2이격부(134)는 제2결합부(1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형성된 부분의 일면으로부터 몸체부(11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1)의 양단에는 제2결합홈(11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115)은 몸체부(111)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재(135)는 제2지지부재(131)의 제2결합부(132)의 관통홀(123)을 지나 몸체부(111)의 제2결합홈(115)에 결합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재(135)의 일예로 볼트일 수 있다. 전술한 제2결합홈(115)에는 이러한 볼트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2체결부재(135)에 의해 제2지지부재(131)가 몸체부(11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2거리조절유닛(130)에서, 제2이격부(134)의 두께가 상이한 제2지지부재(131)들을 마련하여 놓고, 제2이격부(134)의 두께가 상이한 제2지지부재(131)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 상에 홀을 형성하여야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몸체부재(110)의 몸체부(111)의 변형예로, 베이스부(112)와, 슬라이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2)는 몸체부(111)의 하측을 형성한다. 슬라이딩부(113)는 베이스부(112)의 상측에 베이스부(1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베이스부(112) 및 슬라이딩부(113) 각각에는 전술한 안내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12)와 슬라이딩부(113)가 상하로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부(112)에 형성된 안내부(116)는 슬라이딩부(113)에 형성된 안내부(116)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몸체부(111)의 전체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11)의 길이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안내부(116)를 위치시키고, 가공대상물 상에 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재(110)는 마찰부재(11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19a)는 몸체부재(110)가 가공대상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재(110)의 몸체부(111)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18)들이 형성되고, 마찰부재(119a)는 고정홈(118)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된다. 마찰부재(119a)에서 가공대상물이 접촉되는 하단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19b)들이 형성된다. 고정돌기(119b)들은 삼각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19b)들은 가공대상물과 몸체부재(110)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서 고정돌기(119b)가 없는 경우보다 가공대상물 상에 단위 면적당 더욱 많은 힘이 가해지게 하여 몸체부재(110)가 가공대상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홀가공용 지그(100)를 사용하여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드릴의 진동이 홀가공용 지그(100)에 전달되더라도, 마찰부재(119a)에 의해 몸체부재(110)가 이동되지 않으므로, 홀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홀가공용 지그(100)는 직경제한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경제한부재(140)는 다양한 직경의 드릴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직경제한부재(140)는 안내부(116)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직경제한부재(140)는 안내부(116)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의 중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내부(116)의 직경은 12㎜로 형성하고, 중공은 6㎜이고 외부 둘레의 크기가 12㎜인 직경제한부재(140)를 안내부(116)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직경이 12㎜인 드릴 뿐만 아니라, 직경이 6㎜인 드릴을 사용하여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8㎜, 10㎜ 등 다양한 크기의 중공을 갖는 직경제한부재(140)들을 마련하고, 드릴의 직경에 맞는 직경제한부재(14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홀가공용 지그
110: 몸체부재
111: 몸체부 112: 베이스부
113: 슬라이딩부 114: 제1결합홈
115: 제2결합홈 116: 안내부
117: 배출부 118: 고정홈
119a: 마찰부재 119b: 고정돌기
120: 제1거리조절유닛
121: 제1지지부재 122: 제1결합부
123: 관통홀 124: 제1이격부
125: 제1체결부재 126: 와셔
130: 제2거리조절유닛
131: 제2지지부재 132: 제2결합부
133: 관통홀 134: 제2이격부
135: 제2체결부재 136: 와셔
140: 직경제한부재

Claims (6)

  1. 가공대상물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의 이동을 안내하는 홀가공용 지그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드릴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상기 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와, 상기 가공대상물에 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가공대상물의 조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안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양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재의 안내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제1거리조절유닛; 및
    상기 몸체부재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의 제1측면과 인접한 제2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재의 안내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제2거리조절유닛;
    을 포함하는 홀가공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거리조절유닛은:
    관통홀이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형성된 부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제1이격부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결합부의 관통홀을 지나 상기 몸체부의 제1결합홈에 결합되게 형성된 제1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가공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는 제2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거리조절유닛은:
    관통홀이 형성된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형성된 부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제2이격부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결합부의 관통홀을 지나 상기 몸체부의 제2결합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게 형성된 제2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가공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몸체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가공용 지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몸체부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이 접촉되는 하단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가공용 지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경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가공용 지그.



KR1020100060788A 2010-06-25 2010-06-25 홀가공용 지그 KR10121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88A KR101217810B1 (ko) 2010-06-25 2010-06-25 홀가공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88A KR101217810B1 (ko) 2010-06-25 2010-06-25 홀가공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30A true KR20120000430A (ko) 2012-01-02
KR101217810B1 KR101217810B1 (ko) 2013-01-03

Family

ID=4560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88A KR101217810B1 (ko) 2010-06-25 2010-06-25 홀가공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1092A (zh) * 2013-05-03 2013-08-07 苏州金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扁刚型材定位钻孔治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9579Y2 (ko) * 1974-12-06 1978-07-24
US4257166A (en) * 1979-08-30 1981-03-24 Barker Gary L Adjustable drill template
JP2000176718A (ja) * 1998-12-09 2000-06-27 Ikeda:Kk 穴あけ治具
KR20100004495U (ko) * 2008-10-23 2010-05-03 김지영 분진 제거용 드릴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1092A (zh) * 2013-05-03 2013-08-07 苏州金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扁刚型材定位钻孔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810B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6438A1 (ja) 工作機械のラム案内装置
CN105364515A (zh) 可调节夹具机构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CN104400055A (zh) 龙门式制孔机床
KR101814863B1 (ko) 노칭 금형
KR101217810B1 (ko) 홀가공용 지그
KR101029878B1 (ko) 터렛형 건 드릴 장치
KR200455732Y1 (ko) 공작기계
KR101965072B1 (ko) Cnc 선반장치
KR20140137798A (ko) 공작물 고정장치
KR20120102309A (ko) 구멍가공용 지그
KR101362229B1 (ko) 탭 또는 드릴 지그
KR100937885B1 (ko) 라우터
KR102165252B1 (ko) 클램핑 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KR101218142B1 (ko) 목재 가공용 가이드 장치
KR20040071901A (ko) 수직홀 가공용 드릴링 머신
KR101075119B1 (ko) 핸드 드릴 가이드장치
KR20120004313A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KR101940367B1 (ko) 공구 홀더
KR102315168B1 (ko) Cnc 장치용 클램핑 시스템
TWI597116B (zh) Drilling tapping center machine
KR101707075B1 (ko)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KR101547271B1 (ko) 공작기계용 다목적 드릴시스템
KR200481884Y1 (ko) 회전부재를 이용한 리벳 헤드 제거장치
KR102280658B1 (ko) 레이저 가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