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075B1 -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 Google Patents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075B1
KR101707075B1 KR1020160046039A KR20160046039A KR101707075B1 KR 101707075 B1 KR101707075 B1 KR 101707075B1 KR 1020160046039 A KR1020160046039 A KR 1020160046039A KR 20160046039 A KR20160046039 A KR 20160046039A KR 101707075 B1 KR101707075 B1 KR 10170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hole
drill
coupl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박상규
이우식
Original Assignee
박성훈
박상규
이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훈, 박상규, 이우식 filed Critical 박성훈
Priority to KR102016004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1Jigs for drilling cylindric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7Jigs for drilling plate-like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57Devices for securing hand tools to the work
    • B25H1/0064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7/00Details of drilling jigs
    • B23B2247/12Drilling jigs with means to affix the jig to the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효과적으로 고정구멍을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고정구멍가공용 드릴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는 상기 판재(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하는 고정키(20)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는 부싱가이드(30)와, 상기 부싱가이드(30)에 결합되는 부싱(40)과, 상기 부싱(4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이 결합되는 드릴홀더(50)로 구성되어, 상기 판재(1)에 설치한 후, 상기 드릴홀더(50)에 결합되는 드릴(5)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고가의 대형 CNC가공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정확히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멍가공용 드릴지그{drill jig}
본 발명은 판재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효과적으로 고정구멍을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고정구멍가공용 드릴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나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는 하부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탑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탑부분이 결합되는 원형의 개구부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의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로 구성된 판재(1)에 원형의 개구부(2)를 형성한 후, 상기 판재(1)를 조립하여 본체를 제작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개구부(2)의 둘레부와 내주면에는 슬립링을 비롯한 여러 가지의 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상하관통공(3)과, 고정구멍(4)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관통공(3)과 고정구멍(4)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상하관통공(3)은 일반적인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구멍(4)의 경우 개구부(2)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야 함으로, 가공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할 때는, 고가의 대형 CNC가공기를 이용하여 가공을 하고 있음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러한 가공을 할 수 있는 장소가 매우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05730호, 등록특허 10-05696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재(1)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2)의 내주면에 효과적으로 고정구멍(4)을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구멍가공용 드릴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재(1)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2)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상하관통공(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판재(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하는 고정키(20)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는 부싱가이드(30)와, 상기 부싱가이드(30)에 결합되는 부싱(40)과, 상기 부싱(4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이 결합되는 드릴홀더(5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는 상기 개구부(2)의 내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구멍(4)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11a)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재(1)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상하관통공(3)에 대응되는 연통공(12a)이 형성된 수평부(1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키(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통공(12a)과 상하관통공(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싱가이드(30)는 상기 부싱(40)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33)이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지지대(10)의 제1 결합공(11a)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싱(40)은 상기 드릴(5)의 드릴축(6)이 관통하는 가이드공(43)이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드릴홀더(5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부싱(4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와 부싱가이드(30)와 부싱(40) 및 드릴홀더(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상기 드릴홀더(50)에 드릴(5)을 결합하면, 상기 드릴(5)에 결합된 드릴축(6)이 상기 부싱(40)의 가이드공(43)을 통해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가공용 드릴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싱(40)의 둘레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편(41a)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가이드(30)의 후단부에는 폭이 상기 고정편(41a)의 폭에 비해 넓고 상기 고정편(41a)의 길이에 비해 좁은 오목부(32b)가 형성되며, 오목부(32b)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편(41a)이 삽입되는 고정홈(32c)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1a)이 상기 오목부(32b)에 삽입되도록 상기 부싱(40)의 전단부를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편(41a)이 오목부(32b)에 삽입되도록 한 후, 부싱(4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편(41a)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32c)에 삽입되어 부싱(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가공용 드릴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드릴홀더(50)의 양측면에는 관찰창(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가공용 드릴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는 상기 판재(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하는 고정키(20)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는 부싱가이드(30)와, 상기 부싱가이드(30)에 결합되는 부싱(40)과, 상기 부싱(4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이 결합되는 드릴홀더(50)로 구성되어, 상기 판재(1)에 설치한 후, 상기 드릴홀더(50)에 결합되는 드릴(5)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고가의 대형 CNC가공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정확히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판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판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의 분하생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멍가공용 드릴지그를 도시한 것으로, 판재(1)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2)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상하관통공(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4)은 상기 상하관통공(3)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멍가공용 드릴지그는 상기 판재(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하는 고정키(20)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는 부싱가이드(30)와, 상기 부싱가이드(30)에 결합되는 부싱(40)과, 상기 부싱(4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이 결합되는 드릴홀더(5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10)는 상기 개구부(2)의 내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구멍(4)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11a)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재(1)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상하관통공(3)에 대응되는 연통공(12a)이 형성된 수평부(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공(11a)은 상기 고정구멍(4)의 지름에 비해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키(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통공(12a)과 상하관통공(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키(20)의 하단에는 너트부재(21)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의 상면과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대(10)를 배치한 후, 상기 고정키(20)와 너트부재(21)를 결합함으로써,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부싱가이드(3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의 후단부에 형성된 헤드부(3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부싱(40)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33)이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1)가 상기 지지대(10)의 제1 결합공(11a)에 끼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32)의 둘레부에는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공(32a)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32a)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싱(4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의 후단부에 형성된 헤드부(4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드릴(5)의 드릴축(6)이 관통하는 가이드공(43)이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1)가 상기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부싱(4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43)의 지름은 상기 드릴(5)에 결합된 드릴축(6)의 지름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41)의 둘레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편(41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싱가이드(30)의 후단부, 즉, 상기 헤드부(32)의 후측면에는 오목부(32b)가 형성되며, 오목부(32b)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편(41a)이 삽입되는 고정홈(3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32b)는 폭이 상기 고정편(41a)의 폭에 비해 넓고 상기 고정편(41a)의 길이에 비해 좁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32b)는 상기 헤드부(32)의 후측면에 양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32c)은 오목부(32b)의 상하측에 상기 고정편(41a)의 길이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41a)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부싱(4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부싱(40)의 결합부(41)를 상기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끼우면, 상기 고정편(41a)이 상기 오목부(32b)의 내부에 삽입되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싱(40)을 90°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편(41a)이 상기 고정홈(32c)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싱(40)이 부싱가이드(30)에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드릴홀더(5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부에는 상기 푸싱의 헤드부(42)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관체(51)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드릴홀더(50)의 양측면에는 관찰창(52)이 형성된다.
상기 관찰창(52)은 상기 드릴홀더(50)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키(20)를 이용하여 지지대(10)를 판재(1)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10)에 부싱가이드(30)와 부싱(40) 및 드릴홀더(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릴홀더(50)에 드릴(5)을 결합하면, 상기 드릴(5)에 결합된 드릴축(6)이 상기 부싱(40)의 가이드공(43)을 통해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릴(5)을 작동시키면, 상기 드릴축(6)이 상기 가이드공(43)을 통해 전진되면서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멍(4)에 탭을 형성하거나 기타 다른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부싱가이드(30)는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된 상태로 두고, 상기 부싱(40)과 드릴홀더(50) 및 드릴(5)만은 목적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멍가공용 드릴지그는 상기 판재(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하는 고정키(20)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는 부싱가이드(30)와, 상기 부싱가이드(30)에 결합되는 부싱(40)과, 상기 부싱(4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이 결합되는 드릴홀더(50)로 구성되어, 상기 판재(1)에 설치한 후, 상기 드릴홀더(50)에 결합되는 드릴(5)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고가의 대형 CNC가공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정확히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싱(40)의 둘레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편(41a)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가이드(30)의 후단부에는 폭이 상기 고정편(41a)의 폭에 비해 넓고 상기 고정편(41a)의 길이에 비해 좁은 오목부(32b)가 형성되며, 오목부(32b)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편(41a)이 삽입되는 고정홈(32c)이 형성되어, 부싱(40)을 상기 부싱가이드(30)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릴홀더(50)의 양측면에는 관찰창(52)이 형성됨으로, 상기 드릴(5)을 이용하여 고정구멍(4)을 형성할 때의 작업상황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대 20. 고정키
30. 부싱가이드 40. 부싱
50. 드릴홀더

Claims (3)

  1. 판재(1)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2)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상하관통공(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판재(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상기 판재(1)에 고정하는 고정키(20)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는 부싱가이드(30)와,
    상기 부싱가이드(30)에 결합되는 부싱(40)과,
    상기 부싱(4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멍(4)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이 결합되는 드릴홀더(5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는
    상기 개구부(2)의 내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구멍(4)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11a)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재(1)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상하관통공(3)에 대응되는 연통공(12a)이 형성된 수평부(1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키(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통공(12a)과 상하관통공(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싱가이드(30)는 상기 부싱(40)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33)이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지지대(10)의 제1 결합공(11a)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싱(40)은 상기 드릴(5)의 드릴축(6)이 관통하는 가이드공(43)이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드릴홀더(5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부싱(4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와 부싱가이드(30)와 부싱(40) 및 드릴홀더(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상기 드릴홀더(50)에 드릴(5)을 결합하면, 상기 드릴(5)에 결합된 드릴축(6)이 상기 부싱(40)의 가이드공(43)을 통해 상기 개구부(2)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개구부(2)의 내주면에 고정구멍(4)을 형성할 수 있는 구멍가공용 드릴지그에 있어서,
    상기 부싱(40)의 둘레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편(41a)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가이드(30)의 후단부에는 폭이 상기 고정편(41a)의 폭에 비해 넓고 상기 고정편(41a)의 길이에 비해 좁은 오목부(32b)가 형성되며,
    오목부(32b)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편(41a)이 삽입되는 고정홈(32c)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1a)이 상기 오목부(32b)에 삽입되도록 상기 부싱(40)의 전단부를 부싱가이드(30)의 제2 결합공(33)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편(41a)이 오목부(32b)에 삽입되도록 한 후, 부싱(4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편(41a)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32c)에 삽입되어 부싱(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홀더(50)의 양측면에는 관찰창(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KR1020160046039A 2016-04-15 2016-04-15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KR10170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039A KR101707075B1 (ko) 2016-04-15 2016-04-15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039A KR101707075B1 (ko) 2016-04-15 2016-04-15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075B1 true KR101707075B1 (ko) 2017-02-15

Family

ID=5811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39A KR101707075B1 (ko) 2016-04-15 2016-04-15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7928A (zh) * 2018-09-29 2019-01-29 山西江淮重工有限责任公司 圆锥曲面上七星孔的定位加工工装及定位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394A (en) * 1992-07-30 1994-06-07 The Boeing Company Templat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drill on a contoured workpiece
KR100569626B1 (ko) 2003-05-28 2006-04-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구멍 가공용 드릴 지그
JP2007276017A (ja) * 2006-03-17 2007-10-25 Ryo Fukuda ドリル用案内治具
KR101005730B1 (ko) 2003-10-27 2011-01-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홀 가공용 드릴지그
KR20120102309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정원금속 구멍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394A (en) * 1992-07-30 1994-06-07 The Boeing Company Templat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drill on a contoured workpiece
KR100569626B1 (ko) 2003-05-28 2006-04-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구멍 가공용 드릴 지그
KR101005730B1 (ko) 2003-10-27 2011-01-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홀 가공용 드릴지그
JP2007276017A (ja) * 2006-03-17 2007-10-25 Ryo Fukuda ドリル用案内治具
KR20120102309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정원금속 구멍가공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7928A (zh) * 2018-09-29 2019-01-29 山西江淮重工有限责任公司 圆锥曲面上七星孔的定位加工工装及定位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952B1 (ko) 형강 가공 드릴용 고정 지그
KR101359506B1 (ko) 배관의 플랜지홀 정렬 장치
JP2015196220A (ja) クランプ装置
JP5994120B1 (ja) 穿孔具
JP2011167703A (ja) 仕口用溶接支持台
KR101532246B1 (ko) 리벳 너트 유닛
KR101522275B1 (ko) 유니버셜 클램핑 지그
KR101707075B1 (ko)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JP2017164830A (ja) チェーン分解機
KR101604457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KR20170111016A (ko) 중실 장봉의 탭가공장치
KR101750864B1 (ko) 철재빔 홀 가공 드릴용 고정장치
KR101306869B1 (ko) 자동 가스 용접 및 절단기용 가이드 레일
EP3167986A1 (en) Drill bit guiding tool for a drilling machine for repairing holes
KR20120102309A (ko) 구멍가공용 지그
JP7026395B2 (ja) ワーク保持具
CN102975085A (zh) 一种管子翻边加工装备
KR20170141464A (ko) 보조 절단칼이 구비된 파이프 절단기
JP2009278853A (ja) ステップボルト支持装置
TWM519032U (zh) 鎖螺絲治具
CN205520574U (zh) 一种圆管开孔定位装置
KR20150001426A (ko) 절단토치용 가이드장치
JP2016039722A (ja) アーム取付け間接工法及びアーム取付け工具
US200802036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workpiece in a working orientation
JP3183541U (ja) 穿孔機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