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267U - 예취기 칼날 - Google Patents

예취기 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267U
KR20120000267U KR2020110010615U KR20110010615U KR20120000267U KR 20120000267 U KR20120000267 U KR 20120000267U KR 2020110010615 U KR2020110010615 U KR 2020110010615U KR 20110010615 U KR20110010615 U KR 20110010615U KR 20120000267 U KR20120000267 U KR 201200002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protruding
blade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629Y1 (ko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김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태 filed Critical 김원태
Priority to KR202011001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2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14Knife-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30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40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을 발생하여 구동부 까지 전달되어지는 통상의 예취기의 구성에 있어 직접 절삭물과 접촉는 칼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취기의 하우징에 내에 설치되어 좌우 원호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하부로 겹쳐져 교차하면서 피절삭물을 절삭하게 구성되어 있는 칼날의 구조에 있어 피절삭물이 외부로 밀리어 나가지 않도록 상기 돌출절삭부(100)에 구성되는 절삭면(110)을 오목형 또는 파형으로 구성하고, 튐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양측의 칼날 중 일측의 칼날을 보다 길게 구성하며 상기 길게 구성된 칼날의 돌출절삭부(100)들의 절삭면 끝부를 얇게 구성하여 맞닿을 시 저항을 최소화 한 예취기 칼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취기 칼날{The brush cutter knife}
본 고안은 예취기의 칼날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칼날에 있어 상하 마주 설치되는 판 형태의 칼날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일측의 칼날을 회전시킴으로 날의 교차에 의해 풀이나, 잡초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예취기의 칼날 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상하 칼날을 이용하는 예초기 칼날의 형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부채꼴형의 타원 또는 원형으로 구성하여 상하에 겹쳐 상기 상하부 칼날(10,10‘)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호 엇갈리게 원호운동을 시키거나 일측의 칼날을 회전시켜 피절삭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절삭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돌출절삭부(100)가 돌출 구성된다. 상기 돌출절삭부(100)는 통상 끝이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사라리꼴 형상으로 돌출되어지는 것이 일반적 사항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칼날(10,10‘)의 돌출절삭부(100)의 구성은 피절삭물이 완전히 돌출부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돌출절삭부(100)의 입구에서 맞물릴 경우 튐현상이 발생하고, 절삭 시 피절삭물이 외부로 밀려나가는 현상이 다수 발생하여 절삭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돌출부의 절삭면이 조금만 무뎌져도 피 절삭물이 쉽게 칼날 밖으로 밀려가는 현상이 다수 발생하였다. 또한 절삭을 위해 칼날을 움직일 때 고정된 칼날에 저항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고안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에 칼날이 돌출절삭부(100)를 구성함에 있어 피절삭물이 외부로 밀리어 나가지 않도록 상기 돌출절삭부(100)에 구성되는 절삭면(110)을 오목형 또는 파형으로 구성하고, 튐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양측의 칼날 중 일측의 칼날을 보다 길게 구성하고, 상기 길게 구성된 칼날의 돌출절삭부(100)들을 회전방향 측의 절삭면 끝부를 얇게 구성하여 맞닿을 시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을 통하여 피절삭물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절삭력을 높이고, 단단한 물체에 부딪쳐 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절삭 시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 효율성,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그 효과가 큰 고안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종래의 칼날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절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절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절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부분절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부분절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히 설명하면,
앞서 살펴 바와 같은 부채꼴형상의 상하 칼날을 구성하여 고정된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여 피절삭물을 절삭하게 구성되는 칼날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10,10‘)의 외측으로는 돌출절삭부(100)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절삭부는 통상 사다리꼴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돌출구성되어 있으며 원호운동의 회전방향인 양측면과 끝부로 절삭면(110)이 구성되어 상하부 칼날이 엇갈리게 회전하면서 피절삭물을 절삭하게 되는 것이다. 절삭시 상하부 칼날을 동시에 엇갈리게 구동할 수 있고, 일측의 칼날은 고정되고 타측의 칼날만 구동시킴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운동하지 않는 일측의 칼날(10)을 운동하는 칼날(10’) 보다 길게 구성하여 단단한 재질의 방해물과 접촉을 미리 감지하여 회전되는 칼날이 방해물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서 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 하부칼날이 고정되고 상부 칼날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양측이 모두 구동하는 칼날에 있어서도 일측을 길게 하여 구성하면 단단한 재질의 방해물과 접촉하는 힘이 약해 상대적으로 튐 현상을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칼날(10,10‘)의 돌출절삭부(100)의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삭물(c)이 밀리어 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절삭면(110)이 조금만 무뎌지면 이러한 현상은 도드라지게 나타나며 따라서 절삭력이 대폭 감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4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절삭부을 구성함에 있어 상부 또는 하부칼날 중 하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종래와 같이 돌출되어 구성되더라도 타측의 칼날의 돌출절삭부(100)의 양측 절삭면(110)을 오목형태로 구성하여 피절삭물(c)이 외부로 밀리어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돌출절삭부(100) 중간지점의 지름은 짧게 구성하고 일정 길이만 큼은 양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하면 절삭면(110)이 오목형상으로 구성되어 피절삭물이 돌출절삭부(100)에 의해 단속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7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삭물의 단속력을 좀더 높게 하기 위하여 양측 칼날(100)의 돌출절삭부(110)를 공히 상기와 같이 중간지점의 지름이 짧고 양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절삭면(110) 양측이 오목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내지 1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단속력을 높이기 위한 다른 한 구조로서 상하부 칼날 중 일측 또는 양측 칼날 돌출절삭부(100)의 절삭면들을 물결모양과 같은 파형(p)으로 형성하여 피절삭물을 단속하면서도 곡선으로 미끄러지며 잘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칼날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내지 13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하면서도 절삭을 위해 칼날을 이동 시 따른 물체들과의 접촉 시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측의 칼날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성된 돌출절삭부(100)는 좌측면 끝부를 보다 얇게 날을 세워 날세움부(t)하고,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성된 돌출절삭부(100)는 우측면 끝부를 보다 얇게 날을 세운 날세움부(t)를 구성함으로서 칼날의 이동 시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있어 사용자에 따라서 상기의 언급된 칼날(10,10‘)의 돌출절삭부(100)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양측의 칼날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성된 돌출절삭부(100)는 좌측면 끝부를 얇게 날을 세워 날세움부(t)를 구성하고, 우측에 구성된 돌출절삭부(100)는 우측면 끝부를 얇게 날을 세운 날세움부(t)를 구성하여 절삭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출절삭부(100)는 상부 또는 하부칼날 중 하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타측의 칼날의 돌출절삭부(100)는 중간지점의 지름이 짧고 양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절삭면 양측이 오목형상으로 구성하여 절삭력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돌출절삭부(100)는 중간지점의 지름이 짧고 양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절삭면 양측이 오목형상으로 구성하여 피절삭물의 접지력을 높여 이탈이 않되게 절삭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칼날 중 일측의 돌출절삭부의 절삭면은 파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양측에 모두 파형을 이루며 구성할 수도 있다.
10, 10‘ : 칼날 100 : 돌출절삭부 110 : 절삭면
c : 피절삭물 P : 파형 절삭면 t : 날세움부

Claims (5)

  1. 상하부로 나뉘어져 한쌍으로 구성되고 원호운동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피절삭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날의 끝부분으로 돌출절삭부가 돌출 구성되어진 예취기의 칼날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칼날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성된 돌출절삭부는 좌측면 끝부를 얇게 날을 세워 날세움부를 구성하고, 우측에 구성된 돌출절삭부는 우측면 끝부를 얇게 날을 세운 날세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칼날
  2. 상하부로 나뉘어져 한쌍으로 구성되고 원호운동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피절삭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날의 끝부분으로 돌출절삭부가 돌출 구성되어진 예취기의 칼날에 있어서,
    상기 돌출절삭부는 상부 또는 하부칼날 중 하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타측의 칼날의 돌출절삭부는 중간지점의 지름이 짧고 양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절삭면 양측이 오목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칼날
  3. 상하부로 나뉘어져 한쌍으로 구성되고 원호운동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피절삭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날의 끝부분으로 돌출절삭부가 돌출 구성되어진 예취기의 칼날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칼날 돌출절삭부는 중간지점의 지름이 짧고 양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절삭면 양측이 오목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칼날
  4. 상하부로 나뉘어져 한쌍으로 구성되고 원호운동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피절삭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날의 끝부분으로 돌출절삭부가 돌출 구성되어진 예취기의 칼날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칼날 중 일측의 칼날 돌기부의 절삭면은 파형을 이루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칼날
  5. 상하부로 나뉘어져 한쌍으로 구성되고 원호운동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피절삭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날의 끝부분으로 돌출절삭부가 돌출 구성되어진 예취기의 칼날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칼날 돌출절삭부의 절삭면은 파형을 이루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칼날
KR2020110010615U 2011-11-29 2011-11-29 예취기 칼날 KR200465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15U KR200465629Y1 (ko) 2011-11-29 2011-11-29 예취기 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15U KR200465629Y1 (ko) 2011-11-29 2011-11-29 예취기 칼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325U Division KR200460362Y1 (ko) 2009-11-04 2009-11-04 예취기 칼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67U true KR20120000267U (ko) 2012-01-09
KR200465629Y1 KR200465629Y1 (ko) 2013-03-04

Family

ID=5135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15U KR200465629Y1 (ko) 2011-11-29 2011-11-29 예취기 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29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810B2 (ja) 1998-10-02 2001-09-10 伊東電機株式会社 刈払刃
KR20030083398A (ko) * 2002-04-22 2003-10-30 김종득 절삭 가공에 의해 절단부가 형성되게 한 콤바인용 예취날
KR100623191B1 (ko) 2003-10-11 2006-09-18 김정관 복합 제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629Y1 (ko)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444C (en) Hair clipper apparatus with blade assembly
US20110291368A1 (en) Adaptor for adapting a working element to an end of a power tool shaft
JP2015516227A5 (ko)
CN202085483U (zh) 割草机割刀装置
AU2017100173A4 (en) Cutting assembly and lawn mower
US20120208021A1 (en) Cutting lines for vegetation cutters
JP2009011223A (ja) 草刈り刃
KR200465629Y1 (ko) 예취기 칼날
KR200460362Y1 (ko) 예취기 칼날
KR101998830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예초기 칼날
KR101734411B1 (ko) 예초기용 커터날
KR20110046716A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JP2014090694A (ja) 刈払い機用回転刃
JP5204338B1 (ja) 回転刃および刈払機
JP6261470B2 (ja) 手持式芝刈機及びキワ刈りガイド
JP3227776U (ja) 草刈刃
JP3179767U (ja) 草刈機用の刈刃
KR20150035412A (ko) 톱날
JP6553659B2 (ja) 切断装置
JP2005074221A (ja) ナイフ
KR200355077Y1 (ko) 예초기 칼날
JP3187237U (ja) 除草用回転刃
KR101584197B1 (ko) 원호형 예초기 날
JP6076231B2 (ja) 草刈刃及び草刈機
TWM551809U (zh) 割草機之刀片改良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