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767A -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767A
KR20110135767A KR1020100055686A KR20100055686A KR20110135767A KR 20110135767 A KR20110135767 A KR 20110135767A KR 1020100055686 A KR1020100055686 A KR 1020100055686A KR 20100055686 A KR20100055686 A KR 20100055686A KR 20110135767 A KR20110135767 A KR 2011013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film
ultraviolet
layer
inorganic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네트웍스
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네트웍스, 박관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0005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5767A/ko
Publication of KR2011013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이며, 가시광선의 희생 없이 자외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또는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필름층( 1) 과; 자외선과 적외선이 둘 다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필름층(1)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된 자외선 경질 보호층(2) 과; 필름층(1)의 타면에 형성된 적외선 흡수층(3) 과;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점착제를 적외선 흡수층(3)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점착제층 (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Ultraviolet rays and infrared rays shielding film using inorganic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이며, 가시광선의 희생 없이 자외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과 적외선을 흡수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번호 2003-029314에는 흑색계의 염료를 사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흑색계의 염료가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필름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과, 가시광선도 흡수되어 필름의 투명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적외선을 흡수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번호 평 9-107815에는 금속증착막을 이용하는 하프-미러(half-mirror)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금속증착막에 의해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외부경관에 문제가 되고 투과도가 떨어진다는 단점 및 적외선(열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일본공개특허번호 평 8-012378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적외선(열선) 차단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또, 한정된 파장의 적외선만 흡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들은, 점착제, UV하드코팅제, 필름의 전반에 대해 UV(자외선)를 차단할 수 있는 필요·충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외선을 차단하는 효율이 저하된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파장 360㎚ 미만의 자외선은 유리판 또는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에 의해 많은 양이 차단되거나 흡수되지만, 파장 360㎚∼380㎚의 자외선은 점착제를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열화의 원인이 된다.
태양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UVA, 파장 320㎚∼390㎚), 자외선B(UVB, 280㎚∼320㎚), 자외선C(UVC, 200㎚∼280㎚)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중, UVC는 대부분, 지구 표면에 도달하기 전, 공기층에 존재하는 오존 등에 의해 흡수된다.
피부에 해로운 UVB는, 태양 빛이 강한 경우에, 상당량이 지구 표면에 도달하며, 건물 유리판도 일부분이 투과할 수 있다.
UVA는, 파장이 길어 투과도가 높기 때문에,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양이 많으며, UVB, UVC에 비해 물질에 대한 파괴강도는 약하나, 워낙 양이 많아, 장기적으로는 물질의 물성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UVA는 파장이 길어, 점착제 등의 고분자에 완전히 흡수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점착제 자체를 열화시킨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적외선 차단필름이 갖고 있는 문제점인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필름의 수명을 연장하고, 적외선(열선) 차단 효율을 향상시키며, 염료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혼합 염료뿐 아니라 무기물과 유기염료의 무기혼합염료도 사용 가능하고, 적외선의 차단이 광범위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한,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투과시에 적외선(열선)이 필름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더욱 분명해지겠지만, 태양광 중의 적외선과 자외선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복층 구조의 염료(dye)형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또는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필름층(1) 과; 자외선과 적외선이 둘 다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필름층(1)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된 자외선 경질 보호층(2) 과; 필름층(1)의 타면에 형성된 적외선 흡수층(3) 과;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점착제를 적외선 흡수층(3)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점착제층(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가진 수 나노미터∼200나노미터 크기의 산화티타늄 입자가 인산칼슘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 흡수층(3)은, 적외선 흡수제로 구성된다. 적외선 흡수제로는, 예컨대, 파장 800㎚∼1500㎚의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유기염료, 또는 상기 유기염료가 흡수하는 파장과는 다른 파장의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유기염료를 상기 유기염료와 혼합하여 만든 혼합염료, 또는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ATO: Antimony tin oxide), 또는 상기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와 유기염료를 혼합하여 만든 무기혼합염료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제층(4)에는 또 다른 필름층(1')이 더 부착되며, 이에 의해, 복층 구조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단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무기산화물에 의한 자외선의 흡수 기능과, 염료 및/또는 무기산화물에 의한 적외선의 흡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광범위한 파장대의 적외선(열선)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서로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염료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제조방법은,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유기염료, 또는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 또는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와 유기염료를 혼합하여 된 무기혼합염료 중에서 선택한 적외선 흡수제를 필름(F)의 한쪽 면에 코팅한 후 건조함으로써, 필름(F)의 한쪽 면에 적외선 흡수층(3)을 형성하는 단계 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점착제를 적외선 흡수층(3) 상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적외선 흡수층(3) 상에 점착제층(4)을 형성하는 단계 와;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필름(F)의 다른쪽 면에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필름(F)의 다른쪽 면에 자외선 경질 보호층(2)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외선 흡수 능력이 우수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함으로써, 파장 280㎚∼390㎚의 자외선이 고효율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산화티타늄은 파장 300㎚∼400㎚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강력한 화학작용(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아무런 대비책 없이, 점착제나 고분자물질에 이산화티타늄을 분산시킬 경우에,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반응에 의해 점착제나 고분자물질이 파괴되어 버린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나노 크기의 이산화티타늄의 표면에 다공성 아파타이트(인산칼슘)나 실리콘과 같은 무기산화물을 코팅함으로써, 이산화티타늄의 강력한 화학작용이 점착제 및 자외선 차단 코팅제의 주요 구성성분인 고분자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이산화티타늄의 표면에 대한 무기산화물의 코팅 기술은, 예컨대, 일본공개특허번호 평 10-244166 등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무기산화물의 코팅은 원하는 기능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기능은, 점착제층의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만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광촉매와는 달리, 무기산화물이 다공성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촉매 기능을 이용하는 특수한 합성조건보다는 매우 완화된 조건에서 물질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일면에 도포되는 자외선 차단 코팅제도, 점착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흡수가 가능한 무기산화물이 코팅된 이산화티타늄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시광선의 희생 없이 400㎚ 이하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은, 유리판이나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한 판(板)에 부착(전사)되어 사용되므로, 유리창 등을 통해서 들어오는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과 열선(熱線)인 적외선을 둘 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온도의 변화를 억제하는 단열효과가 향상되어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의 변색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은, 자외선 차단 효율이 높으므로 벌레가 야간에 창문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은, 파장 280㎚∼390㎚의 자외선을 고효율로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므로, 자외선 차단 효율뿐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도 함께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은, 자외선 차단 효율이 높으므로, 자외선에 의해 쉽게 열화하는 염료라도 적외선 흡수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하는 염료에 따라 또는 둘 이상의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좁은 파장대의 적외선만 차단하거나 넓은 파장대의 적외선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일 실시예로서, 단층 구조의 차단필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층 구조의 차단필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제조공정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各) 실시예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층 구조의 차단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의 한쪽 면에는 자외선 경질 보호층(2)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면에는 적외선 흡수층(3)과 점착제층(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자외선 경질 보호층(2)은, 인산칼슘으로 코팅한 이산화티타늄이 분산된 자외선 차단 코팅제에 의해 형성되었다. 또, 적외선 흡수층(3)은,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와 유기염료를 혼합하여 된 무기혼합염료에 의해 형성되었다. 또한, 건물 창호에 끼워진 유리판(G) 등에 본 실시예의 차단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적외선 흡수층(3)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4)은, 인산칼슘으로 코팅한 이산화티타늄이 분산된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었다.
인산칼슘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타늄의 입자 크기는, 가시광선의 손실 없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수 나노미터∼200나노미터로 제어되어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단층 구조의 차단필름은, 인산칼슘으로 코팅한 이산화티타늄이 점착제층(4)과 자외선 경질 보호층(2) 내에 각각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리판(G)이나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한 판(板)에 부착하게 되면,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과 열선인 적외선의 통과를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실내 온도의 변화가 억제되어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벽지와 같은 실내 인테리어의 변색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의 차단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단층 구조의 차단필름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복층 구조의 차단필름은, 한쪽 면에 점착제층(4)이 형성된 다른 필름층(1')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필름층(1')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4)은 이형지(5)에 의해 보호된다.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제조공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제조공정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형태로 제공된 필름(F)이 정해진 속도로 풀려나가게 하는 필름송출장치(10)와, 필름송출장치(10)에서 필름이 풀려나오는 속도와 똑같은 속도로 상기 필름(F)을 되감는 필름회수장치(40)와, 필름(F)이 지나가도록 필름송출장치(10)와 필름회수장치(40) 사이에 배치한 건조 오븐(30)과, 작업조건에 따라 다른 것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필름송출장치(10)와 건조 오븐(30) 사이에 배치한 코팅처리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교체 가능한 코팅처리장치(20)는, 모두 4종류로서, 필름(F)의 일면에 적외선 흡수층(3)을 형성하는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인쇄기와, 적외선 흡수층(3)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기와, 필름(F)의 타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도포하는 UV코팅기와, 점착제층(4)에 이형지(5)를 부착하는 이형지 부착기가 그것이다. 이들 4종류의 코팅처리장치는, 상술한 순서에 따라 교체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각(各) 코팅처리장치(20)의 라인(공정)속도는 25m/분이었지만, 작업여건에 따라, 라인속도는 달라져도 무방하다.
1,1'...필름층
2...자외선 경질 보호층
3...적외선 흡수층
4...점착제층
5...이형지
10...필름송출장치
20...코팅처리장치
30...건조 오븐
40...필름회수장치
F...필름
G...유리판

Claims (5)

  1.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으로서,
    투명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또는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필름층(1)과;
    자외선과 적외선이 둘 다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상기 필름층(1)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된 자외선 경질 보호층(2)과;
    상기 필름층(1)의 타면에 형성된 적외선 흡수층(3)과;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점착제를 상기 적외선 흡수층(3)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점착제층(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가진 수 나노미터∼200나노미터 크기의 산화티타늄 입자가 인산칼슘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층(3)은, 적외선 흡수제로 구성되며,
    상기 적외선 흡수제는,
    파장 800㎚∼1500㎚의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유기염료, 또는 상기 유기염료가 흡수하는 파장과는 다른 파장의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유기염료를 상기 유기염료와 혼합하여 된 혼합염료, 또는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ATO: Antimony tin oxide), 또는 상기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와 유기염료를 혼합하여 된 무기혼합염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4)에, 다른 필름층(1)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
  5.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유기염료, 또는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 또는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와 유기염료를 혼합하여 된 무기혼합염료 중에서 선택한 적외선 흡수제를 필름(F)의 한쪽 면에 코팅한 후 건조함으로써, 상기 필름(F)의 한쪽 면에 적외선 흡수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점착제를 상기 적외선 흡수층(3) 상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흡수층(3) 상에 점착제층(4)을 형성하는 단계와;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무기산화물이 분산된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상기 필름(F)의 다른쪽 면에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필름(F)의 다른쪽 면에 자외선 경질 보호층(2)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00055686A 2010-06-11 2010-06-11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KR20110135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686A KR20110135767A (ko) 2010-06-11 2010-06-11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686A KR20110135767A (ko) 2010-06-11 2010-06-11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767A true KR20110135767A (ko) 2011-12-19

Family

ID=4550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686A KR20110135767A (ko) 2010-06-11 2010-06-11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57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28B1 (ko) * 2012-10-23 2013-11-08 주식회사 넥스필 자외선 및 적외선을 흡수차단할 수 있는 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0283553A (zh) * 2019-07-29 2019-09-27 苏州洛瑞卡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阻隔包装薄膜
KR102143882B1 (ko) * 2019-04-16 2020-08-12 김정민 파우치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28B1 (ko) * 2012-10-23 2013-11-08 주식회사 넥스필 자외선 및 적외선을 흡수차단할 수 있는 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43882B1 (ko) * 2019-04-16 2020-08-12 김정민 파우치팩
CN110283553A (zh) * 2019-07-29 2019-09-27 苏州洛瑞卡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阻隔包装薄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511998B1 (de) Vogelschutzgla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Anwendung
JP4623093B2 (ja) 農園芸用覆土フィルム
US7410685B2 (en) Infrared-reflective material comprising interference pigments having higher transmission in the visible region than in the NIR region
Zhao et al. A facile in situ method to fabricate transparent, flexible polyvinyl alcohol/ZnO film for UV-shielding
JP2003025478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04077453A3 (en) Encapsulated nanoparticles for the absorption of electromagnetic energy
CN105111483B (zh) 一种防晒隔热汽车贴膜及其制备方法
JP4858269B2 (ja) 熱線遮断ガラス
WO2021120706A1 (zh) 一种被动式冷热双效材料
KR20110135767A (ko) 무기산화물을 이용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CN109073803A (zh) 光学体、窗材料及卷帘
EP2202064B1 (en) Light-resistant film
JP5997918B2 (ja) 紫外線遮蔽材および紫外線遮蔽材の製造方法
CN106585015A (zh) 一种抗紫外线的保护膜
Hwang et al. Multi‐stimuli‐responsive and Multi‐functional Smart Windows
JP2015177781A (ja) 温室
KR102191162B1 (ko) 광변색 유리
KR20110032677A (ko) 열 및 자외선 차단 필름
JP2018059002A (ja) 可視光を透過し紫外線、赤外線を遮蔽する光触媒複合塗膜及びその製造方法
EP3004981B1 (en) Solar control device
JP6218367B2 (ja) 光吸収材
KR20180132634A (ko) 적외선 흡수 재료, 적외선 흡수 재료 분산액, 적외선 흡수 재료 분산체, 적외선 흡수 재료 분산체를 구비한 투명 기재 및 적외선 흡수 투명 기재
TW201924741A (zh) 口罩
KR20040072862A (ko) 윈도우 필름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6366525A (zh) 一种紫外线屏蔽复合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