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918A - 정발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정발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918A
KR20110134918A KR1020117025063A KR20117025063A KR20110134918A KR 20110134918 A KR20110134918 A KR 20110134918A KR 1020117025063 A KR1020117025063 A KR 1020117025063A KR 20117025063 A KR20117025063 A KR 20117025063A KR 20110134918 A KR20110134918 A KR 2011013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dressing
hair
component
mas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829B1 (ko
Inventor
히데키 시미즈
다쿠미 구라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1013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하기 쉽고,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으며 도포후에 바로 증점되므로, 높은 정발력을 가지면서 정발 종료시에는 전 용매가 휘산하여 정발성분이 석출됨으로써 적절한 세팅력과 재정발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끈적거림도 없는 정발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는 (a) 상온(25 ℃)에서 고체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 알콜에 투명하게 용해 가능한 특정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b) 물 및 저급알콜을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하고, (a) 성분이 (b) 성분에 용해되는 것이며, 도포후 저급 알콜의 우선적인 휘산에 따라 (a) 성분이 조성이 변화된 용매중에서 혼합 상태를 거쳐 실질적으로 전 용매가 휘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발용 화장료{HAIR STYLING COSMETIC}
본 발명은 정발용 화장료, 특히 도포하기 쉽고 도포후 곧 증점되므로, 높은 정발 효과를 가지면서 모발에 대한 친화력(compatibility)이 좋고, 정발 종료시에는 끈적거림이 없으며 재정발성(再整髮性)이 우수한 정발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정발용 화장료는 헤어스타일을 정리하거나 세팅한 헤어스타일을 지속시키며 또한 모발에 촉촉함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다. 이들 정발용 화장료는 소비자의 여러 사용 형태 및 기호성에 맞추어 헤어폼, 헤어 스프레이, 젤, 헤어 왁스, 포마드, 헤어크림 등의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가 알콜에 폴리알킬렌글리콜이 부가된 화합물을 배합한 리퀴드 타입의 정발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또한, 비닐, 아크릴, 우레탄 등의 수지를 배합한 젤 타입, 스프레이 타입, 폼 타입의 정발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4). 또한, 고형의 왁스를 유화하여 배합한 왁스 타입의 정발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5, 특허 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1268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6-834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358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712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55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88041호
그러나, 종래의 왁스 등의 정발용 화장료는 점도가 높으므로 정발력 및 재정발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나쁘고 균일하게 도포하기 곤란하며 또한 정발 후에도 끈적거리는 느낌이 있어 모발에 먼지가 묻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리퀴드 타입, 젤 타입, 스프레이 타입 등의 정발용 화장료는 수계로 점도도 높지 않으므로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 가능하지만, 도포 후 물이나 알콜 등의 휘발 성분이 휘산하여 건조될 때까지 정발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리퀴드 타입, 젤 타입, 스프레이 타입과 같은 균일하게 도포 가능한 수계 기제에서도 도포 직후부터 정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정발 종료시에는 끈적거림이 없고 적절한 세팅력과 재정발성이 우수한 정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정발 성분으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 알콜에 투명하게 용해 가능한 특정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도포시에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도포후에 휘발성이 물보다 높은 저급 알콜이 먼저 휘산하여 정발 성분이 조성이 변화된(저급 알콜이 감소된) 용매 중에 혼합되므로 증점하여, 높은 정발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정발 종료시에는 본 정발제가 지나치게 굳지 않는 성질이므로, 어레인지력이나 재정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끈적거림도 없는 정발용 화장료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는 (a) 상온(25 ℃)에서 고체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저급 알콜에 투명 용해 가능한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하기 (Ⅰ), (Ⅱ) 및 (Ⅲ)식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와,
(b) 물 및 저급 알콜을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하고,
(a) 성분이 (b) 성분에 용해되는 것이며,
도포후 저급 알콜의 우선적인 휘산에 수반하여 (a) 성분이 조성이 변화된 용매 중에서 혼합 상태를 거쳐, 실질적으로 전 용매가 휘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AO는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p, q, r 및 s는 평균부가몰수이고 1≤p+r≤90, 1≤q+s≤90이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 질량% 내지 80 질량%이고, R1 및 R2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며, R3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기임.)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서 (a) 성분의 배합량이 1 질량% 내지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서 (b) 성분의 물의 배합량이 60 질량% 이하, 저급 알콜의 배합량이 4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발 성분으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 알콜에 투명 용해 가능한 특정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모발에 대한 친화력도 좋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포 직후보다 정발력이 있고 정발후에는 끈적거림이 없고 모발에 적절한 세팅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재정발성도 우수한 정발용 화장료가 수득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에 포함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하기 (Ⅰ), (Ⅱ), (Ⅲ)식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이고, 상온 (25 ℃)에서 고체이며,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 알콜에 투명 용해 가능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상기 (Ⅰ), (Ⅱ), (Ⅲ)식에서, AO는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구체적으로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옥시이소부틸렌기, 옥시트리메틸렌기, 옥시테트라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또한, EO는 옥시에틸렌기이다.
p, q, r, s는 평균부가몰수이고 1≤p+r≤90이다. 또한, 1≤q+s≤90이다.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 또는 옥시에틸렌기가 0이면 매끄러움이 떨어지고, 90을 초과하면 사용시의 끈적거림이 과잉이 되어 어레인지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 질량% 내지 80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내지 70 질량%이다.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이 20 질량% 미만이면 매끄러움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80 질량%를 초과하면 끈적거림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R1 및 R2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이다. 탄소수 5 이상의 탄화수소기에서는 친수성이 저하되어 촉촉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R1 및 R2는 각각 동종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탄화수소기와 수소원자가 혼재해도 좋으며, 이종의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탄화수소기가 혼재해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및 R2가 동일 또는 다른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R3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POE(14)POP(7)디메틸에테르, POE(10)POP(10)디메틸에테르, POE(6)POP(14)디메틸에테르, POE(15)POP(5)디메틸에테르, POE(25)POP(25)디메틸에테르, POE(7)POP(12)디메틸에테르, POE(22)POP(40)디메틸에테르,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POE(50)POP(40)디메틸에테르, POE(55)POP(30)디메틸에테르, POE(30)POP(34)디메틸에테르, POE(25)POP(30)디메틸에테르, POE(27)POP(14)디메틸에테르, POE(55)POP(28)디메틸에테르, POE(36)POP(41)디메틸에테르, POE(7)POP(12)디메틸에테르, POE(14)POB(7)디메틸에테르, POE(10)POP(10)디에틸에테르, POE(10)POP(10)디프로필에테르, POE(10)POP(10)디부틸에테르, POE(52)POB(32)디메틸에테르, POE(64)POB(32)디메틸에테르, POE(34)POB(14)디메틸에테르, POE(35)POB(32)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POE, POP, POB는 각각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부틸렌의 약칭이고, 이하 이와 같이 약칭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에서의 배합량은 1 질량% 내지 5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내지 20 질량%이다. 배합량이 1 질량% 미만에서는 배합에 의한 효과의 발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한 50 질량%를 초과하면 끈적거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에 에틸렌옥시드 및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 중합한 후, 할로겐화알킬렌을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에 에테르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다.
(b) 물 및 저급 알콜을 포함하는 용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의 용매는 물 및 저급 알콜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이온교환수, 정제수, 수돗물 등을 들 수 있다.
물의 배합량은 정발용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질량% 이상에서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분리되는 경우가 있고, 정발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저급 알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급 알콜로서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1 가 지방족 알콜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콜, t-부틸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콜의 배합량은 정발용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4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40 질량% 미만에서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분리되는 경우가 있고, 정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또한 끈적거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는 (a) 성분인 특정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b) 성분인 물 및 저급 알콜을 포함하는 용매에 완전하게 용해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를 모발에 도포했을 때에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포후 우선적인 저급 알콜의 휘산에 수반하여 (a) 성분이 조성이 변화된 용매 중에서 혼합 상태가 되어, 도포 직후보다 우수한 정발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는 정발후에는 실질적으로 전 용매가 휘산되고, 정발 성분인 (a)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모발상에 석출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정발력이나 재정발성을 발휘하고, 헤어스타일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에서 통상의 사용시에서는 전 용매가 휘산되는 시간이 20 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내가 되도록 (b) 성분인 물 및 저급 알콜의 배합량이나 배합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 용매가 휘산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길면, 정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지만, 드라이어 등으로 강제적으로 건조시키면서 정발하는 방법도 가능한 점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에는 상기한 필수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보습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향료, 산화방지제, 방부방미제(防腐防黴劑), 체질 안료, 착색 안료, 알콜 등, 통상 정발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발 성분으로서 특정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종래의 정발 성분인 왁스, 피막 형성성 폴리머 등을 사용하는 정발용 화장료보다도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도포시의 정발력이 있으면서도 정발 종료시의 끈적거림이 없고, 적절한 세팅력과 재정발성을 갖는 정발용 화장료를 수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의 정발 성분인 왁스, 피막 형성성 폴리머 등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의 제형은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 분산계, 오일-물의 2층계, 오일-물-분말의 3층계 등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의 바람직한 사용 형태로서는 에어졸 형식 헤어스프레이, 펌프 방식 헤어스프레이, 폼형상 에어졸, 헤어미스트, 세팅로션, 헤어스타일링젤, 헤어리퀴드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채점 기준 및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평가 (1): 친화력 좋음
한 묶음의 흑색 버진 헤어(길이 20 ㎝, 질량 4 g)에 시료를 0.5 g 도포하고 손으로 골고루 묻게 했을 때의 친화력이 좋음에 대해서 10 명의 여성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 시험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채점 기준
5 점: 친화력이 좋음
4 점: 약간 침화력이 좋음
3 점: 보통
2 점: 약간 친화력이 나쁨
1 점: 친화력 나쁨
평가 (2): 도포시의 정발력(어레인지력)
1 묶음의 흑색 버진 헤어(길이 20 ㎝, 질량 2 g)에 시료를 0.5 g 도포하고 균일하게 편 직후의 모발 묶음에 대해서, 집어서 비틀어 움직였을 때의 어레인지의 용이성을 10 명의 여성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 시험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채점 기준
5 점: 상당히 어레인지하기 쉬움
4 점: 약간 어레인지하기 쉬움
3 점: 보통
2 점: 약간 어레인지하기 어려움
1 점: 어레인지할 수 없음
평가 (3): 정발 종료시의 모발의 고정력(세팅력)
흑색 버진 헤어(길이 10 ㎝, 질량 0.5 g)에 시료를 0.2 g 도포하고 빗을 사용하여 골고루 묻히고, 쭉 펴진 상태가 되도록 형태를 정돈하고 실온에서 20 분 건조시키고 1 시료 당 5 개의 스트랜드를 제작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5 ㎜ 꽉 눌렀을 때의 최대 응력을 레오미터[RTC-2002DD(레오테크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평가 방법
A: 최대응력값이 200 g중(重) 이상
B: 최대응력값이 150 내지 200 g중(重) 미만
C: 최대응력값이 100 내지 150 g중(重) 미만
D: 최대응력값이 50 내지 100 g중(重) 미만
E: 최대응력값이 50 g 중 미만
평가(4): 정발 종료시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
평가 (2)를 실시한 후, 실온에서 20 분 건조시킨 모발 묶음에 대해서 다시 집어 비틀어 움직였을 때의 어레인지의 용이성을 10 명의 여성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시험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채점기준
5 점: 매우 어레인지하기 쉬움
4 점: 약간 어레인지하기 쉬움
3 점: 보통
2 점: 약간 어레인지하기 어려움
1 점: 어레인지할 수 없음
평가 (5): 정발 종료시의 끈적거림이 없음
평가 (4)를 실시했을 때의 모발의 끈적거림을 10 명의 여성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 시험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채점 기준
5 점: 전혀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음
4 점: 거의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음
3 점: 어느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2 점: 상당히 끈적거림을 느낌
1 점: 약간 끈적거림을 느낀다
평가 (6): 도포 2 시간 후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
평가 (2)를 실시한 후 2 시간 방치시킨 모발 묶음에 있어서, 다시 집어 비틀어 움직였을 때의 어레인지의 용이함을 10 명의 여성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시험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채점기준
5 점: 상당히 어레인지하기 쉬움
4 점: 약간 어레인지하기 쉬움
3 점: 보통
2 점: 약간 어레인지하기 어려움
1 점: 어레인지할 수 없음
평가 (7): 용해성
시료를 조정한 후, 용해성을 눈으로 관찰했다.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평가방법
A: 투명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
B: 백탁이 있지만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
C: 백탁이 있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음
우선, 본 발명자들은 정발 성분으로서 여러 성분을 배합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을 포함하는 시료를 조제하고, 상법에 의해 정발용 화장료를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 항목 (3)에 대해서 상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했다. 또한, 전문 패널에게 각 시료를 평가 항목 (1), (2), (4)~(6)에 대해서 상기 채점 기준으로 평가하게 하여, 채점의 합계를 하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
A: 합계점이 40 점 이상
B: 합계점이 30 점 이상 40 점 미만
C: 합계점이 20 점 이상 30 점 미만
D: 합계점이 20 점 미만
Figure pct00003
표 1에 의하면 정발 성분으로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시험예 1-1은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도포시의 정발력이 우수한 정발용 화장료였다. 또한, 정발 종료시에는 정발용 화장료 중의 용매는 휘산되어 적절한 고정력(세팅력)을 가지면서 끈적거림도 없고 2 시간 후의 모발 묶음에서도 재정발이 가능했다.
한편, 정발 성분으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배합한 시험예 1-2에서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은 좋은 것이었지만, 도포시의 정발력이 약간 떨어지고, 끈적거림의 측면이나, 재정발성도 떨어지는 것이었다.
정발 성분으로서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을 배합한 시험예 1-3에서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 및 정발 종료시의 세팅력이 우수했지만, 도포시의 정발력이 약간 떨어지고, 한번 건조되면 수지가 굳어지므로 재정발할 수 없으며, 끈적거림도 있는 것이었다.
정발 성분으로서 양성 우레탄 수지를 배합한 시험예 1-4에서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 및 정발 종료시의 세팅력이 우수했지만, 도포시의 정발력 및 재정발성이 약간 떨어지고 끈적거림도 있는 것이었다.
정발 성분으로서 실릴화우레탄계 수지를 배합한 시험예 1-5에서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 및 정발 종료시의 세팅력이 우수했지만, 도포시의 정발력이 충분하지 않고, 한번 건조되면 수지가 굳어지므로 재정발할 수 없으며 끈적거림도 있는 것이었다.
정발 성분으로서 비즈왁스를 배합한 시험예 1-6에서는 도포시의 모발의 어레인지력 및 재정발성은 우수하지만, 모발에 대한 친화력의 점에서 약간 떨어지고 정발 종료시의 모발의 세팅력도 떨어지며, 매우 끈적거리는 것이었다.
정발 성분으로서 미결정질 왁스를 배합한 시험예 1-7에서는 도포시의 모발의 어레인지력 및 재정발성은 우수하지만, 정발 종료시의 끈적거림이 보이고, 모발에 대한 친화력 및 세팅력도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상의 점에서, 정발 성분으로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에 종래의 정발 성분을 배합한 정발용 화장료와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도포시의 정발력(어레인지력)이 있으면서 정발 종료시에도 적절한 세팅력 및 우수한 재정발력(어레인지력)을 갖고, 끈적거림이 적고 시간이 지나도 재정발이 가능한 정발용 화장료가 제조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정발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처음으로 하기 표 2에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12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대해서 상온 (25 ℃) 및 60 ℃에서의 상태, 물 및 에탄올에 대한 용해성을 확인하고, 완전히 용해되어 있는 것을 ○, 용해되지 않은 것이 약간 보인 것을 △, 전혀 용해되지 않은 것을 ×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각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사용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기재된 배합 조성을 포함하는 시료를 조제하고, 하기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정발용 화장료(투명 모발 화장료)를 제조했다.
모발화장료 제조방법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12를 가온 융해시킨 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계속해서 이온교환수를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액상 정발제를 수득했다.
전문 패널에게는 각 시료를 평가 항목 (1), (2), (4)에 대해서 상기 채점 기준으로 평가하게 하고, 채점의 합계를 하기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 표 4에 나타낸다.
·평가방법
A: 합계점이 40 점 이상
B: 합계점이 30 점 이상 40 점 미만
C: 합계점이 20 점 이상 30 점 미만
D: 합계점이 20 점 미만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상온에서 고체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알콜에 투명 용해 가능한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상기 (Ⅰ), (Ⅱ), (Ⅲ)식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를 배합한 시험예 2-1 내지 시험예 2-8의 정발용 화장료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도포시의 정발력 및 정발 종료시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 모두 우수했다.
그러나, 상기 (Ⅰ)식으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이지만, 상온에서 액체인 화합물 9를 배합한 시험예 2-9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은 좋지만 도포시의 정발력 및 정발 종료시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 모두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Ⅱ)식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서의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이 약 87 질량%이고, 물 및 저급알콜에 투명 용해 가능한 화합물 10을 배합한 시험예 2-10은 모발에 대한 친화력은 좋고 정발 종료시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이 우수했지만, 도포시의 정발력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상온에서 고체이지만 물에 용해되고 저급 알콜에 용해되지 않는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화합물 11)을 배합한 시험예 2-11은 정발 종료시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이 우수했지만,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약간 떨어지고 도포시의 정발력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상온에서 액체이고, 물에 대한 용해성도 약간 떨어지는 랜덤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합물 12)를 배합한 시험예 2-12는 모발에 대한 친화력은 좋지만, 도포시의 정발력 및 정발 종료시의 재정발력(어레인지력)도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상의 점에서 정발 성분으로서 (a) 상온(25 ℃)에서 고체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 알콜에 투명 용해 가능한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상기 (Ⅰ), (Ⅱ), (Ⅲ)식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용매에 (b) 물 및 저급알콜을 포함하는 정발용 화장료가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우수하고, 도포 직후부터 정발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는 정발 종료후에는 전 용매가 휘산하고 정발 성분이 모발상에서 석출되며, 적절한 세팅력과 재정발성을 가짐과 동시에 끈적거림도 없는 것이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정의 (a)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하여 (b) 물 및 저급 알콜의 배합량, 저급 알콜의 종류를 변화시킨 하기 표 5에 기재한 배합 조성을 포함하는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정발용 화장료를 제조했다. 그리고, 상기 표 1과 동일하게 평가 항목 (1) 내지 (6)에 대해서 평가하고, 평가항목 (7)에 대해서 상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5에 의하면 저급알콜로서 에탄올을 배합한 경우, 에탄올의 배합량이 적고 물의 배합량이 많은 시험예 3-1, 3-2에서는 모든 평가에서 떨어지고, 에탄올의 우선적인 휘산에 따른 정발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없었다. 또한 (a) 성분의 용해성이 부족하므로 (a) 성분이 백탁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았다.
한편, 시험예 3-3, 2-3과 같이 에탄올의 배합량을 많게 함에 따라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도포시의 정발력 뿐만 아니라, 에탄올의 우선적인 휘산에 따라 정발력이 향상되는 정발용 화장료가 수득되었다.
또한, 저급 알콜로서 프로판올을 배합한 경우에도 프로판올의 배합량이 적고 물의 배합량이 많은 시험예 3-4에서, 프로판올의 우선적인 휘산에 따른 정발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없었다. 또한, (a) 성분의 용해성이 부족하므로 (a) 성분이 백탁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았다.
한편, 시험예 3-5 내지 시험예 3-7과 같이 프로판올의 배합량을 많게 함에 따라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도포시의 정발력 뿐만 아니라, 프로판올의 우선적인 휘산에 따라 정발력이 향상되는 정발용 화장료가 수득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정발료 화장료에 있어서, 화장료 중에서 (a) 성분이 (b) 성분에 용해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발 성분으로서 특정의 (a)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에서, 화장료 전량 중에 저급 알콜을 40 질량% 이상, 물을 60 질량% 이하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성분의 용해성이나 친화력, 도포시의 정발력을 고려하면, 특히 저급 알콜을 50 질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정발용 화장료의 처방예를 들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득된 정발용 화장료는 모두 모발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포 직후보다 정발력이 있고 또한 정발 종료후에는 전 용매가 휘산되어 끈적거림이 없으며 재정발성도 갖는 것이었다.
처방예 1 미스트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50.0
(3) 시험예 1의 화합물 10.0
(4) 소르비톨 3.0
(5) POP(70)데카글리세릴에테르 3.0
(6)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공중합체디에틸황산염
[가프코트755N(ISP사제)] 3.0
(7) 가수분해 밀 단백액 0.5
[크로펩타이드W(구로다쟈판 가부시키가이샤제)]
(8) 트리메틸글리신 0.5
(9)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0.5
[FZ-2222(도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10) 향료 적량
<제법>
(1)에 (4), (7) 및 (8)을 용해시킨 수상 파트에, (2)에 용해시킨 (3), (5), (6), (9) 및 (10)을 차례로 넣고 투명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교반 용해시킴으로써, 투명한 외관의 미스트 타입 정발제(헤어미스트)를 수득했다.
처방예 2 미스트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40.0
(3) 시험예 2의 화합물 20.0
(4) 트레할로스 0.5
(5) POP(9)디글리세릴 3.0
(6)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
[유카포마 R205(미츠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3.0
(7) 히드록시에틸 요소 0.5
(8)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25 % 수용액) 0.5
(9)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0.5
[SS-2802(도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10) 향료 적량
<제법>
(1)에 (4), (7) 및 (8)을 용해시킨 수상 파트에 (2)에 용해시킨 (3), (5), (6), (9) 및 (10)을 차례로 넣고 투명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교반 용해시킴으로써, 투명한 외관의 미스트 타입 정발제(헤어미스트)를 수득했다.
처방예 3 미스트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이소프로판올 40.0
(3) 시험예 3의 화합물 5.0
(4) 락트산 0.02
(5) POP(9)디글리세릴 3.0
(6) 아크릴수지 알칸올아민 3.0
[플러스 사이즈L-9909B(고오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7)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500) 0.5
(8) POE(3)·POP(20)올리고숙신산에스테르 0.5
[에스테모르 50(닛신오이리오 가부시키가이샤제)]
(9) 디코코일에틸히드록시에틸모늄메토설페이트 0.1
[DEHYQUART L80(코그니스·쟈판사제]
(10) 향료 적량
<제법>
(1)에 용해시킨 (7), (4) 및 (9)를 용해시킨 수상 파트에, (2)에 용해시킨 (3), (5), (6), (8) 및 (10)을 차례로 넣고 투명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교반 용해시킴으로써, 투명한 외관의 미스트 타입 정발제(헤어미스트)를 수득했다.
처방예 4 젤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50.0
(3) 시험예 4의 화합물 20.0
(4) 디글리세린 5.0
(5) 크실리톨 0.5
(6)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1.0
[HPC-H(니폰소다 가부시키가이샤제]
(7)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산알킬·디아크릴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체
[코스카토GA467(오사카유키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0.5
(8) 락트산 0.3
(9)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25 %) 0.5
(10)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0.5
[SH3771(도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11) 폴리-γ-글루타민산 Na 0.1
(젤프로테인A-8001(이데미츠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제)
(12) 페퍼민트 오일 0.1
<제법>
(2)에 융해시킨 (3), (6), (7), (10) 및 (12)를 첨가하여 잘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을 알콜 파트로 한다. 한편, (1)에 (4), (5), (8), (9) 및 (11)을 차례로 넣고 투명 용해시킨 것에 알콜 파트를 넣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함으로써 투명 젤 타입의 정발제를 수득했다.
처방예 5 젤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50.0
(3) 시험예 5의 화합물 30.0
(4) POE(5)·POP(65)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2.0
(5)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6000) 2.0
(6)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하이비스와코 105(와코준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7)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C10-30)공중합체 0.2
[PEMULEN TR-2(B.F.Goodrich Chemical Company사제)]
(8)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0.3
(9) POE(24)·POP(13)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0.5
(10)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 리신 Na 0.3
(11) 로사 록스부르기 과실 엑기스 0.1
(12) 향료 0.1
<제법>
(1)에 (6) 및 (7)을 넣어 잘 분산시킨 후, 융해한 (5), (10) 및 (11)을 넣어 수상파트로 한다. 한편, (2)에 융해시킨 (3), (4), (9) 및 (12)를 첨가하여 투명 용해시킨 것을 수상 파트에 첨가하고, 또한 (8)을 넣고 교반시킴으로써 투명 젤 타입의 정발제를 수득했다.
처방예 6 젤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50.0
(3) 시험예 6의 화합물 10.0
(4) 이노시톨 0.4
(5) POE(10)메틸글루코시드 2.0
[글루카무 E-10(닛폰루브리조르 가부시키가이샤제)]
(6) 폴리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0.2
[PVP/VA S-630(ISP사제)]
(7) 디메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크로스폴리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132782호의 합성예 4) 1.0
(8) POE(50) 올레일에테르 0.5
(9)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 0.3
[FZ-2222(도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10) 진주 단백 엑기스 0.1
(11) 향료 0.1
<제법>
(2)에 용해시킨 (3) 및 (8), 계속해서 (9) 및 (11)을 첨가하고, 또한 (7)을 넣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것을 알콜 파트로 한다. 한편, (1)에 (4), (5), (6) 및 (10)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것에 알콜 파트를 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투명 젤 타입의 정발제를 수득했다.
처방예 7 에어졸 스프레이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50.0
(3) 시험예 1의 화합물 10.0
(4)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5.0
[플러스사이즈 L-9909B(고오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5) 디글리세린 0.5
(6) 향료 0.1
<제법>
(2)에 융해시킨 (3), 계속해서 (4)(6)을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것을 알콜 파트로 한다. 한편, (1)에 (5)를 가하고, 또한 알콜 파트를 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한 것을 원액으로 한다. 상기 원액 60 %와 디메틸에테르 40 %를 에어졸캔에 충전하여 혼합하고, 에어졸 스프레이를 수득했다.
처방예 8 미스트 타입 정발제
(질량%)
(1) 이온교환수 잔부
(2) 에탄올 50.0
(3) 시험예 7의 화합물 5.0
(4) 1,3-BG 5.0
(5) 향료 0.2
(6) 와인 엑기스 0.1
<제법>
(2)에 용해시킨 (3)과, (5)(6)을 첨가하여 잘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을 알콜 파트로 한다. 계속해서, (1)에 (4)를 넣어 투명 용해시킨 것에 알콜 파트를 넣고 투명 미스트 타입의 정발제를 수득했다.

Claims (3)

  1.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a) 상온 (25 ℃)에서 고체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저급 알콜에 투명하게 용해 가능한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하기 (Ⅰ), (Ⅱ) 및 (Ⅲ)식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와,
    (b) 물 및 저급 알콜을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하고,
    (a) 성분이 (b) 성분에 용해되는 것이며, 그리고
    도포후 저급 알콜의 우선적인 휘산에 따라, (a) 성분이 조성이 변화된 용매 중에서 혼합 상태를 거쳐 실질적으로 전 용매가 휘산되는, 정발용 화장료: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AO는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이며;
    EO는 옥시에틸렌기이고;
    p, q, r 및 s는 평균부가몰수이고 1≤p+r≤90, 1≤q+s≤90이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 질량% 내지 80 질량%이고;
    R1 및 R2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며; 그리고
    R3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기임.)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의 배합량이 1 질량% 내지 50 질량%인, 정발용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물의 배합량이 60 질량% 이하, 저급 알콜의 배합량이 40 질량% 이상인, 정발용 화장료.
KR1020117025063A 2009-04-16 2010-04-16 정발용 화장료 KR101168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9939 2009-04-16
JPJP-P-2009-099939 2009-04-16
PCT/JP2010/056821 WO2010119940A1 (ja) 2009-04-16 2010-04-16 整髪用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918A true KR20110134918A (ko) 2011-12-15
KR101168829B1 KR101168829B1 (ko) 2012-07-25

Family

ID=429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063A KR101168829B1 (ko) 2009-04-16 2010-04-16 정발용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27710A1 (ko)
EP (1) EP2420220A4 (ko)
JP (1) JP4728449B2 (ko)
KR (1) KR101168829B1 (ko)
CN (1) CN102395350B (ko)
HK (1) HK1165291A1 (ko)
TW (1) TWI386230B (ko)
WO (1) WO2010119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3942A1 (de) * 2012-03-14 2013-09-19 Beiersdorf Ag Neue Haarfestigungsmittel mit Sorbitol
RU2659209C2 (ru) * 2012-05-15 2018-06-28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волос
JP6381870B2 (ja) * 2013-04-30 2018-08-29 株式会社 資生堂 整髪用化粧料
JP6284777B2 (ja) * 2013-11-15 2018-02-28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6574541B2 (ja) * 2015-09-10 2019-09-11 株式会社ダリヤ 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845B2 (ko) 1974-03-29 1981-05-09
JPS6019888B2 (ja) 1979-12-13 1985-05-18 株式会社資生堂 頭髪化粧料
US4668430A (en) * 1982-06-01 1987-05-26 Basf Corporation Roll-on perfum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oxybutylene-polyoxyethylene copolymers
JP3818456B2 (ja) 1992-10-28 2006-09-06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化粧料
JPH1045546A (ja) 1996-04-26 1998-02-17 Shiseido Co Ltd 整髪料
JP4472099B2 (ja) 2000-03-31 2010-06-02 株式会社資生堂 整髪用毛髪化粧料
DE10101382C2 (de) * 2001-01-13 2003-09-18 Wella Ag Haarbehandlungsmittel mit Gehalt an Celluloseestern und Ethylenoxid/Propylenoxid Copolymeren
JP2003012467A (ja) * 2001-06-28 2003-01-15 Mandom Corp 頭髪用化粧料
GB0124967D0 (en) * 2001-10-17 2001-12-05 Unilever Plc Cosmetic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3701232B2 (ja) 2001-12-04 2005-09-28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化粧料
FR2833832B1 (fr) * 2001-12-21 2005-08-05 Oreal Composition pour la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cide ether carboxylique oxyalkylene, un tensioactif non-ionique et un polymere particulier
JP3884720B2 (ja) * 2003-03-26 2007-02-21 株式会社資生堂 整髪剤
JP2005343833A (ja) * 2004-06-03 2005-12-15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4942072B2 (ja) * 2005-12-09 2012-05-30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JP5245331B2 (ja) * 2006-09-05 2013-07-24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5359058B2 (ja) * 2007-08-02 2013-12-04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4889795B2 (ja) * 2009-04-28 2012-03-07 株式会社 資生堂 整髪用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9940A1 (ja) 2010-10-21
CN102395350A (zh) 2012-03-28
KR101168829B1 (ko) 2012-07-25
TW201043258A (en) 2010-12-16
CN102395350B (zh) 2013-05-22
US20120027710A1 (en) 2012-02-02
JPWO2010119940A1 (ja) 2012-10-22
EP2420220A1 (en) 2012-02-22
TWI386230B (zh) 2013-02-21
EP2420220A4 (en) 2012-04-25
JP4728449B2 (ja) 2011-07-20
HK1165291A1 (en)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795B2 (ja) 整髪用化粧料
KR101051897B1 (ko) 정발용 화장료
JP5051933B2 (ja) 整髪用化粧料
JP6192254B2 (ja) 整髪用化粧料
KR101168829B1 (ko) 정발용 화장료
JP5535832B2 (ja) 整髪用化粧料
CN102596167B (zh) 整发用化妆品
CN102325521A (zh) 包含阳离子聚合物和脱乙酰壳多糖的化妆品组合物
WO2017094692A1 (ja) 毛髪化粧料
JP4136962B2 (ja) 毛髪化粧料
WO2017110979A1 (ja) 毛髪化粧料
KR20120089870A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JP4444888B2 (ja) 毛髪化粧料
JP7409784B2 (ja) 整髪用泡状化粧料
JP3966825B2 (ja) 毛髪化粧料
KR101336871B1 (ko) 헤어 젤 왁스 조성물
JP3865031B2 (ja) 整髪剤
JP2011063579A (ja) 整髪用化粧料
KR20100071838A (ko) 모발 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