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974A - 필통 - Google Patents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974A
KR20110133974A KR1020100053692A KR20100053692A KR20110133974A KR 20110133974 A KR20110133974 A KR 20110133974A KR 1020100053692 A KR1020100053692 A KR 1020100053692A KR 20100053692 A KR20100053692 A KR 20100053692A KR 20110133974 A KR20110133974 A KR 2011013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emale
pencil case
shaft coupl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553B1 (ko
Inventor
최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큐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큐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큐빅
Priority to KR102010005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553B1/ko
Priority to PCT/KR2011/003933 priority patent/WO2011155720A2/ko
Priority to US13/703,084 priority patent/US20130092583A1/en
Priority to CN201180028252XA priority patent/CN102970895A/zh
Publication of KR2011013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필, 볼펜, 지우개 등 문방구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필통은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동시에, 필기구 등의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필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필통 {Portable Case for pencil case}
본 발명은 연필, 볼펜, 지우개 등 문방구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필 등 문방구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필통은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지우개 등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방구로서, 천이나 합성 수지 직물류와 지퍼를 사용하는 것과, 형상이 고정되는 경질의 재료를 사용한 것 등이 있다.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필통은 힌지 등을 사용해 개폐되는 뚜껑부와 필통 내부에 수납된 필기구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혀있는 밀폐부 및 필기구가 수납되는 본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통은 주 사용자인 어린이나 학생 등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외면에 캐릭터 등이 인쇄되기도 하며, 천이나 합성 수지 직물류로 만들어지는 필통 역시 다양한 색상과 재질로 만들어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통상적인 필통의 경우 구조상 간결함이 있기는 하지만, 형태가 단편일률적이어서 어린이, 학생 등 주 사용자층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끌어들이지 못하며, 구조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만 한정되어 최근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는 볼펜 등의 문방구를 내부에 충분히 수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어린이, 학생, 성인 등 필통을 사용하는 사용자층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지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통의 길이와 형태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필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문방구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본체, 힌지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및 일단부가 막힌 밀폐부를 포함하는 필통에 있어서, 상하부 겉 덮개, 상기 겉 덮개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회동축부재 및 상기 겉 덮개를 좌우측 단부에서 지지하는 겉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가 관통된 수덮개 및 회동축결합공이 형성된 상하부 속 덮개 및 상기 속 덮개를 좌우측 단부에서 지지하는 속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가 관통되는 암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암 덮개는 관통된 상기 수 덮개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회동축결합공에 상기 회동축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형성되는 것인 필통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상기 수덮개는 상부 겉 덮개 및 하부 겉 덮개의 내측에 각각 2개의 상기 회동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암덮개는 상부 속 덮개 및 하부 속 덮개의 내측에 각각 2개의 상기 회동축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수덮개의 제 1 회동축부재는 제 1 암덮개의 제 2 회동축결합공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덮개의 제 3 회동축부재는 상기 제 1 암덮개의 제 4 회동축결합공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수덮개의 제 2 회동축부재는 제 2 암덮개의 제 1 회동축결합공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덮개의 제 4 회동축부재는 상기 제 2 암덮개의 제 3 회동축결합공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 필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겉 덮개는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속 덮개는 상기 겉 덮개의 관통된 내부에 슬라이딩 수용되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덮개와 상기 암덮개가 상기 회동축부재와 상기 회동축결합공을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를 회동하게 되는 것인 필통으로도 상술한 기술적 과제는 달성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덮개와 암덮개의 체결을 통해 필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필통의 본체를 회동시켜 일부 또는 본체 전부를 구부리거나 휘게 하여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는 문방구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통의 경우, 필통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수덮개와 암덮개 이외에 추가로 판매할 수 있어, 새로운 수익창출 아이템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덮개와 암덮개를 다양한 색상과 재질, 크기와 모양을 가지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필통 사용자층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복수개의 수덮개 및 암덮개가 슬라이딩 체결되고, 일단부에는 뚜껑부가, 타단부에는 밀폐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육각형으로 형성된 수덮개와 암덮개를 일방향으로 구부려 필통의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 형태로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수덮개와 암덮개를 구부리는 방향을 달리하여 필통의 전체적인 형상이 굽이치는 형태로 만들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d는 필통의 일단부에 힌지 등을 통해 체결된 뚜껑부가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수덮개와 암덮개의 체결 전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수덮개와 암덮개의 체결 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c는 수덮개와 암덮개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도 2b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에 있어, 일부 블록을 추가적으로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복수개의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가 슬라이딩 체결되고, 일단부에는 뚜껑부(150)가, 타단부에는 밀폐부(17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육각형으로 형성된 수덮개(110)와 암덮개(130)를 일방향으로 구부려 필통(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 형태로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c는 수덮개(110)와 암덮개(130)를 구부리는 방향을 달리하여 필통(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굽이치는 형태로 만들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며, 도 1d는 필통(100)의 일단부에 힌지 등을 통해 체결된 뚜껑부(150)가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은 수덮개(110), 암덮개(130), 뚜껑부(150) 및 밀폐부(170)를 포함하며,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가 필통(100)의 본체를 구성하게 된다.
수덮개(110)는 설정된 두께로 형성된 육각형의 겉 덮개(111) 및 설정된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겉 지지판(113)으로 구성(도 2 참조)되고 내부가 관통되는 블록이다. 수덮개(110)는 주물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2장의 겉 덮개(111)의 양단에 접착제 등을 통해 2장의 겉 지지판(113)을 부착하는 조립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수덮개(110)는 나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에는 다양한 색깔이 칠해지거나 캐릭터, 모양, 문양,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수덮개(110)의 설정된 두께(겉 덮개(111) 및 겉 지지판(113))는 1mm 내지 3mm 범위 내 일 수도 있으나, 소재에 따라 필요한 강도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암덮개(130)는 설정된 두께로 형성된 육각형의 속 덮개(131) 및 설정된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속 지지판(133)으로 구성(도 2 참조)되고, 내부가 관통되는 블록이다. 또한 암덮개(130)는 수덮개(110)의 관통된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속 덮개(131) 및 속 지지판(133)이 겉 덮개(111) 및 겉 지지판(113)에 비해 작게 형성(높이, 폭, 길이 중 어느 하나 이상)되어야 한다. 암덮개(13)도 수덮개(110)와 마찬가지로 주물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2장의 솥 덮개(131)의 양단에 접착제 등을 통해 2장의 속 지지판(133)을 부착하는 조립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암덮개(130)는 나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에는 다양한 색깔이 칠해지거나 캐릭터, 모양, 문양,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암덮개(130)의 설정된 두께(속 덮개(131) 및 속 지지판(133))는 1mm 내지 3mm 범위 내 일 수도 있으나, 소재에 따라 필요한 강도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뚜껑부(150)는 필통(100)의 일단부에 힌지(151)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블록이다. 뚜껑부(150)는 필통(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필, 볼펜 등 문방구가 임의로 외부로 쏟아져 나오지 않도록 통상의 상태에서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수덮개(110)와 밀착되어 있으며, 필통(100)에 문방구를 넣거나 뺄 경우, 손쉽게 열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뚜겅부(150)는 수덮개(110)의 내부 관통하는 공간을 막을 수 있는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수덮개(110)를 수직면을 기준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단면에 힌지를 체결해 절단된 수덮개(110)의 외측 블록을 뚜껑부(150)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를 통한 개폐 가능한 체결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뚜껑부(150)는 힌지 이외에도 자석, 접착밴드 등 다양한 체결수단을 사용해 최 외측 수덮개(110)와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밀폐부(170)는 필통(100)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블록으로, 수덮개(110)와 동일한 형태와 재질,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나, 필통(100) 내부에 수납된 연필 등 필기구나 지우개 등이 임의로 쏟아지지 않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측의 일단부는 밀폐되어야 한다. 즉, 밀폐부(170)는 필통(100)의 일단에 열려있는 뚜겅부(150)를 통해 필통(100) 내부로 수용되는 문방구 등이 내부가 관통된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를 통해 다시 필통(100)의 타단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밀폐부(170)는 수덮개(110) 또는 암덮개(130)의 외측 단부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의 판재 등을 활용해 밀폐시키는 방법을 통해 제작될 수도 있으며, 수덮개(110)나 암덮개(130)와는 별도로 주물 등을 이용해 외측 단부가 폐쇄된 형태로도 제작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을 구성하는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의 사시도로, 도 2a는 수덮개(110)와 암덮개(130)의 체결 전, 도 2b는 수덮개(110)와 암덮개(130)의 체결 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c는 수덮개(110)와 암덮개(130)가 체결된 상태(도 2b에서 A-A 방향으로 절단시)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덮개(110)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동축부재(115)를 포함하며, 암덮개(130)는 회동축부재(115)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동축결합공(135)를 포함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의 구성과 이들의 결합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수덮개(110)는 겉 덮개(111), 겉 지지판(113) 및 회동축부재(115)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하부 겉 덮개(111a 및 111b), 겉 덮개(111)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회동축부재(115) 및 겉 덮개(111)를 좌우측 단부에서 지지하는 겉 지지판(113)을 포함하는 내부가 관통된 블록을 지칭한다.
겉 덮개(111)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육각형 모양의 덮개부로, 필통(100) 상하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하 후술할 겉 지지판(113)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겉 덮개(111a)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겉 덮개(111b)로 나뉜다. 다만, 겉 덮개(111)는 육각형 이외에도 팔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덮개부로도 제공될 수 있다.
겉 지지판(113)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부로, 필통(100)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부 겉 덮개(111a)와 하부 겉 덮개(111b)의 단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 수덮개(110)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겉 덮개(111)와 겉 지지판(113)은 주물 등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직사각형 이외에도 지지 기능을 유지하는 한 삼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다.
회동축부재(115)는 수덮개(110)의 상하부의 겉 덮개(111a 및 111b) 내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의 돌기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의 수덮개(110)는 상부 겉 덮개(111a)의 내측에 2개, 하부 겉 덮개(111b) 내측에 2개의 회동축부재(115)를 포함한다. 회동축부재(115)는 이하 후술할 회동축결합공(135)에 체결된 상태로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다만, 회동축부재(115)는 수덮개(110)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또는 제작된 수덮개(110)에 추가적으로 접착제 등을 활용해 붙이는 공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부재(115)는 반드시 겉 덮개(111)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될 필요는 없고, 겉 지지판(113)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하 후술할 회동축결합공(135)은 회동축부재(115)와 체결될 수 있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회동축부재(115) 및 회동축결합공(135)은 체결된 상태로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수덮개(110)와 암덮개(130)가 체결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 및 숫자로 제공될 수 있다.
암덮개(130)는 속 덮개(131), 속 지지판(133) 및 회동축결합공(135)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동축결합공(135)이 형성된 상하부 속 덮개(131a 및 131b) 및 속 덮개(131)를 좌우측 단부에서 지지하는 속 지지판(133)을 포함하는 내부가 관통되는 블록을 지칭한다. 즉, 암 덮개(130)는 관통된 수 덮개(110)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회동축결합공(135)에 회동축부재(115)가 체결되어 필통(100)의 본체가 형성되게 되며, 일단부의 뚜껑부(150)와 타단부의 밀폐부(170)와 함께 필통(100)을 형성하게 된다.
속 덮개(131)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육각형 모양의 덮개부로, 겉 덮개(111)와 함께 필통(100)의 상하부를 구성하며, 이하 후술할 속 지지판(133)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속 덮개(131a)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속 덮개(131b)로 나뉜다. 다만, 속 덮개(131)는 겉 덮개(111)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이를 위해 속 덮개(131)는 겉 덮개(111)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거나, 길이나 높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되고, 회동축부재(115)가 체결될 수 있는 한 육각형 이외에도 팔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덮개부로도 제공될 수 있다.
속 지지판(133)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부로, 필통(100) 측면의 일부를 겉 지지판(113)과 함께 구성하며, 상부 속 덮개(131a)와 하부 속 덮개(131b)의 단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 암덮개(130)가 설정된 높이(다만, 암덮개(130)가 수덮개(110)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수덮개(110) 내부의 관통된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속 덮개(131)와 속 지지판(133)은 주물 등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직사각형 이외에도 지지 기능을 유지하는 한 삼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다.
회동축결합공(135)은 암덮개(130)의 상하부 속 덮개(131a 및 131b) 내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회동축부재(115)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결합공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의 암덮개(130)는 상부 속 덮개(131a) 및 하부 속 덮개(131b)에 각각 2개씩 형성된 회동축결합공(135)을 포함하고 있다.
암덮개(130)는 수덮개(110)에 비해 작게(높이, 폭, 길이 중 어느 하나 이상) 설계된 바, 수덮개(110)의 관통된 내부로 암덮개(130)는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수덮개(1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회동축부재(115)가 암덮개(130)의 속 덮개(131a 및 131b)에 형성된 회동축결합공(135)에 삽입 체결되게 된다. 즉, 수덮개(110)는 암덮개(130)의 회동축결합공(135)과 회동축부재(115)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는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덮개(110)와 2개의 암덮개(130)가 회동축부재(115)와 회동축결합공(135)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회동축부재(115)와 회동축결합공(135) 각각에 아래와 같이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수덮개(110)는 내측에 제 1 회동축부재(115a), 제 2 회동축부재(115b), 제 3 회동축부재(115c) 및 제 4 회동축부재(115d)를 포함한다.
암덮개(130)는 속 덮개(131)에 제 1 회동축결합공(135a), 제 2 회동축결합공(135b), 제 3 회동축결합공(135c) 및 제 4 회동축결합공(135d)을 포함하며, 수덮개(110)를 기준으로 우측하단에 위치한 암덮개(130)을 제 1 암덮개(130a), 좌측상단에 위치한 암덮개(130)를 제 2 암덮개(130b)라 한다.
수덮개(110)의 평면을 기준으로 우측부분에 형성된 돌기, 즉 제 1 회동축부재(115a) 및 제 3 회동축부재(115c)는 제 1 암덮개(130a)의 좌측부분에 형성된 결합공, 즉 제 2 회동축결합공(135b) 및 제 4 회동축결합공(135d)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통해, 수덮개(110)와 제 1 암덮개(130a)는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수덮개(110)의 좌축부분에 형성된 돌기, 즉 제 2 회동축부재(115b) 및 제 4 회동축부재(115d)는 제 2 암덮개(130b)의 우측부분에 형성된 결합공, 즉 제 1 회동축결합공(135a) 및 제 3 회동축결합공(135c)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통해 수덮개(110)와 제 2 암덮개(130b)는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필통(100)의 사용자는 제 1 암덮개(130a)의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다른 수덮개(1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제 2 암덮개(130b)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또 다른 수덮개(1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여, 필통(10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연장해 나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덮개(110)와 암덮개(130)가 순차적으로 체결된 필통(100)에서 일부 수덮개(110) 내지 암덮개(130)를 체결 해제하여 분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통(100)의 길이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수덮개(110)나 암덮개(130)의 폭이나 깊이, 길이, 형태 등의 조절을 통해 필통(100)의 전체적인 형상이나 모양, 크기, 길이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통(100)에 있어, 일부 블록을 추가적으로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체결 원리를 활용해 필통(100)의 사용자는 복수개의 수덮개(110)와 암덮개(130)가 순차적으로 체결된 필통(100)에서 특정한 수덮개(110)와 암덮개(130)의 체결을 해제(수덮개(110) 또는 암덮개(130)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된 경우, 수 덮개(110)의 양 측면을 내측으로 누르는 것만으로도 보다 손쉽게 체결 해제가 가능)하고 분리할 수 있다. 필통(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수덮개(110)와 암덮개(130)는 상호 호환 가능한 회동축부재(115)와 회동축결합공(135)을 포함하고 있는 바, 필통(100)을 구성하는 일부 수덮개(110)와 암덮개(130)를 체결 해제, 분리하더라도, 필통(100)의 남아있는 수덮개(110)와 암덮개(130)의 체결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필통(100)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단, 필통(100) 전체의 길이는 일부 블록을 분리하기 전보다는 짧아지게 된다)한 채 계속적으로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필통(100)의 사용자는 특정한 수덮개(110)와 암덮개(130)의 체결을 해제한 후, 새로운 수덮개(110) 및 암덮개(130) 블록을 기존 필통(100)에 삽입하여 다시 체결하는 것을 통해 종전에 비해 길이가 늘어난 필통(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통(100)을 구성하는 수덮개(110)나 암덮개(130)를 별도로 제작, 판매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필통(100)을 자신의 개성에 따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자나 판매자는 완제품인 필통(100)의 판매 이후에도 다양한 로고나 문양, 색깔 등이 형성된 새로운 수덮개(110)와 암덮개(130) 블록을 하나의 상품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부(150) 및 밀폐부(170)와 같이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막힌 블록도 형상, 모양, 색채 등을 달리하여 별도로 제작, 판매할 수 있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필통
110: 수덮개 111: 겉 덮개 113: 겉 지지판 115: 회동축부재
130: 암덮개 131: 속 덮개 133: 속 지지판 135: 회동축결합공
150: 뚜껑부 170: 밀폐부

Claims (3)

  1. 문방구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본체, 힌지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및 일단부가 막힌 밀폐부를 포함하는 필통에 있어서,
    상하부 겉 덮개, 상기 겉 덮개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회동축부재 및 상기 겉 덮개를 좌우측 단부에서 지지하는 겉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가 관통된 수덮개 및
    회동축결합공이 형성된 상하부 속 덮개 및 상기 속 덮개를 좌우측 단부에서 지지하는 속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가 관통되는 암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암 덮개는 관통된 상기 수 덮개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회동축결합공에 상기 회동축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형성되는 것인 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덮개는 상부 겉 덮개 및 하부 겉 덮개의 내측에 각각 2개의 상기 회동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암덮개는 상부 속 덮개 및 하부 속 덮개의 각각 2개의 상기 회동축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수덮개의 제 1 회동축부재는 제 1 암덮개의 제 2 회동축결합공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덮개의 제 3 회동축부재는 상기 제 1 암덮개의 제 4 회동축결합공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수덮개의 제 2 회동축부재는 제 2 암덮개의 제 1 회동축결합공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덮개의 제 4 회동축부재는 상기 제 2 암덮개의 제 3 회동축결합공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 필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겉 덮개는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속 덮개는 상기 겉 덮개의 관통된 내부에 슬라이딩 수용되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덮개와 상기 암덮개가 상기 회동축부재와 상기 회동축결합공을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를 회동하게 되는 것인 필통.
KR1020100053692A 2010-06-08 2010-06-08 필통 KR101108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92A KR101108553B1 (ko) 2010-06-08 2010-06-08 필통
PCT/KR2011/003933 WO2011155720A2 (ko) 2010-06-08 2011-05-27 필통
US13/703,084 US20130092583A1 (en) 2010-06-08 2011-05-27 Pencil case
CN201180028252XA CN102970895A (zh) 2010-06-08 2011-05-27 铅笔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92A KR101108553B1 (ko) 2010-06-08 2010-06-08 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974A true KR20110133974A (ko) 2011-12-14
KR101108553B1 KR101108553B1 (ko) 2012-01-30

Family

ID=4509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692A KR101108553B1 (ko) 2010-06-08 2010-06-08 필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92583A1 (ko)
KR (1) KR101108553B1 (ko)
CN (1) CN102970895A (ko)
WO (1) WO20111557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27B1 (ko) * 2017-08-11 2019-02-12 임경해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7972B2 (en) 2017-03-27 2021-01-26 Luis Javier Pagan Storage device combination for pencils, pens, and other stationer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9947A (en) * 1926-05-24 1926-09-14 Charles E Bishop Toy
DE3318365A1 (de) * 1983-05-20 1984-11-22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Energiefuehrungskette
KR860000558Y1 (ko) * 1984-04-21 1986-04-12 장병문 회전식 필기구 케이스
US4669671A (en) * 1986-03-06 1987-06-02 Hastings Edward E Pollutant suppression device
US4703892A (en) * 1986-05-29 1987-11-03 Nadel & Sons Toy Corp. Water shooting amusement device
DK205688D0 (da) * 1988-04-15 1988-04-15 Sven Karl Lennart Goof Hylster til opbevaring og beskyttelse af genstande
GB2314813A (en) * 1996-07-04 1998-01-14 Tsai Szu Hen Shape-changeable pen holder
JP3157491B2 (ja) * 1997-11-28 2001-04-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可撓体の案内支持チェーン
US5937483A (en) * 1997-12-22 1999-08-17 Cruey; Jim O. Enveloping hinge system and method
US20050040165A1 (en) * 2003-08-22 2005-02-24 Reynolds Paul A. Multi-segment container
US20060278636A1 (en) * 2005-06-08 2006-12-14 Chin-Fu Chiou Container
GB0614691D0 (en) * 2006-07-24 2006-08-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CN201048652Y (zh) * 2007-06-08 2008-04-23 宣兆海 推拉磁力折叠环保文具盒
JP2009066367A (ja) * 2007-09-11 2009-04-02 Toyo Kawaguchi タワー型に重ねたり、回したり、外したりできる文具等小物の収納器具
KR100910411B1 (ko) * 2007-12-20 2009-08-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화형 tv를 위한 마우스 기능을 갖는 리모컨과 그제어방법
US20090261006A1 (en) * 2008-04-17 2009-10-22 Sanford, L.P. Fold-out pencil c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27B1 (ko) * 2017-08-11 2019-02-12 임경해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553B1 (ko) 2012-01-30
CN102970895A (zh) 2013-03-13
WO2011155720A2 (ko) 2011-12-15
WO2011155720A3 (ko) 2012-03-08
US20130092583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1139B (en) Reclosable container lid
DE4121779C2 (de) Schablonenbehälter
CA116117S (en) Flip-top container closure
US5368333A (en) Loose leaf binder
KR101108553B1 (ko) 필통
US5056823A (en) Album design
JP6708873B2 (ja) 筆箱
US5462170A (en) Autograph button cover
JP2017523933A (ja) 多目的複合筆記具
US6666608B1 (en) Paper retaining structure of a loose-leaf file folder
KR101860556B1 (ko) 필통을 갖는 독서대
US20070201942A1 (en) Storage receptacle for school supplies
JP2021133453A (ja) 打抜具
JP3202073U (ja) 御朱印帳ケース
JP3102401U (ja) 水彩パレット
KR200263945Y1 (ko) 액자 전면 프레임 접철구조
KR200428726Y1 (ko) 회전축부재의 회전에 의해 덮개가 개방되는 필통
KR200292549Y1 (ko) 액자가 구비된 앨범 겸용 케이스
KR200342669Y1 (ko) 필통
JP3129813U (ja) 修正テープの構造
JP6656324B2 (ja) ペンケース
JP3184746U (ja) 毛筆用穂先揃え器
CN200997979Y (zh) 一种兼具信笺本的多功能收纳盒
US10625536B2 (en) Document case and template with decorative cover
KR200219260Y1 (ko) 퍼즐 게임용 블럭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