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27B1 -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 Google Patents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27B1
KR101947027B1 KR1020170102341A KR20170102341A KR101947027B1 KR 101947027 B1 KR101947027 B1 KR 101947027B1 KR 1020170102341 A KR1020170102341 A KR 1020170102341A KR 20170102341 A KR20170102341 A KR 20170102341A KR 101947027 B1 KR101947027 B1 KR 10194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members
central axis
shaf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해
Original Assignee
임경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해 filed Critical 임경해
Priority to KR102017010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몸체 안에 수납, 보관되는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축과 제2 축이 동심을 이루면서 그 전체 길이가 수축, 신장되도록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보스가 구비되고, 중공 형태의 몸체로서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보스의 내주면이 끼워지는 복수 개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보스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에 삽입이 가능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동 및 중심축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한 제1/제2 부재의 길이 신장과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에 의한 두께 증대를 통해 손으로 잡기에 편리한 사이즈의 스타일러스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Stylus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its thickness and length}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이나 패블릿,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기의 몸체 안에 수납, 보관되기에 적합하도록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패블릿, 태블릿 PC, 또는 개인용 컴퓨터, 디지타이저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프로그램이나 메뉴를 선택하거나 문자나 그림 등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터치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손이나 펜의 형태를 가진 스타일러스의 접촉과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바꾸는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터치 패널이 화면에 결합된 것을 터치 스크린이라 하는데, 근래에 나오는 스마트폰과 패블릿, 태블릿 PC는 거의 대부분 터치 스크린을 장비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은 보통 손가락을 이용하지만, 손가락으로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가 점차로 커져 패블릿이라고 불리는 대화면 스마트폰이 하나의 시장을 형성하고, 태블릿 PC가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는 기기에서 창작하는 기기로 이용되는 등 대화면 휴대 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직접 문자나 그림을 입력하려는 요구가 늘고 있지만, 손가락으로 이러한 입력 작업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스타일러스의 효용성이 새로이 평가되고 있다.
근래에 소개되는 스타일러스는 내부에 전자 회로와 배터리가 내장되어 단순한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압력과 각도를 감지하여 이것을 선의 굵기로 표현하거나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거나 드래그하는 것과 같은 마우스 기능까지 수행하는 등 스타일러스는 날로 진화하고 있다.
이처럼 스타일러스는 손가락 입력에 비해 편리한 장점이 많이 있지만 따로 휴대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크기가 작아 분실의 위험이 크다는 염려 때문에 아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못하다. 이 때문에 스타일러스의 장점을 제품의 특징이자 경쟁력으로 삼은 일부 제조사에서는 스마트폰과 패블릿, 태블릿 PC 본체 내부에 삽탈식으로 스타일러스를 내장한 제품을 소개하기도 한다.
휴대용 단말기기 안에 스타일러스를 꽂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휴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분실 위험을 낮출 수 있어 상당히 매력적이지만, 다른 점에서 개선할 부분이 있다. 스타일러스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와 굵기를 가져야 하지만,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내장형 스타일러스를 만들면 휴대용 단말기기의 전체 두께를 얇게 만들기 어려워진다. 스타일러스는 어디까지나 휴대용 단말기기의 액서사리이기 때문에 내장형 스타일러스는 결국 휴대용 단말기기의 두께와 길이에 맞춰져야 하지만, 갈수록 얇아지는 휴대용 단말기기의 두께에 스타일러스를 맞추게 되면 사용하기에 불편할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3615호 (2016.10.26 공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이나 패블릿,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기의 몸체 안에 수납, 보관되기에 적합하도록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축과 제2 축이 동심을 이루면서 그 전체 길이가 수축, 신장되도록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보스가 구비되고, 중공 형태의 몸체로서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보스의 내주면이 끼워지는 복수 개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보스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에 삽입이 가능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동 및 중심축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부재에 대해 상기 각각의 제2 부재가 하나씩 끼워지도록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교대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재는 그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이탈이 되지 않으면서 상대거리가 변동하는 한편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거리가 변동함에 따라 상기 각 제2 부재에 접촉하는 제1 부재도 함께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멀어졌을 때 상기 제2 부재가 어느 한 방향으로 90°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대면하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는 상기 스타일러스를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선단을 형성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2 부재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함께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는 맨 하단의 제2 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스타일러스의 길이와 굵기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기 안에 수납할 때에는 짧고 얇게,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기에서 빼내어 사용할 때에는 길고 굵게 변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를 보관하고 사용하는데 모두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의 작동상태에 따른 외관 변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타일러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 부재에 대해 제2 부재가 90° 회전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중심축에 대해 복수 개의 제2 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이동하고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커버가 씌워진 스타일러스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10)의 작동상태에 따른 외관 변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10)의 특징을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10)가 스마트폰이나 패블릿, 태블릿 PC 등(이하, "휴대용 단말기기"라 칭함)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상태와, 휴대용 단말기기에서 빼내어 사용할 때의 상태, 그리고 그 변형의 중간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맨 위의 가장 짧은 상태는 휴대용 단말기기에 끼워 넣기에 적합하도록 길이가 짧으면서 두께도 얇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런 작은 상태로 변형될 수 있음에 따라 점점 더 얇아지는 휴대용 단말기기 안에 내장하기 쉽게 되며, 이는 휴대용 단말기기의 디자인 설계에 큰 자유도를 부여한다.
중간 상태는 가장 짧은 상태에 있는 스타일러스(10)를 잡아당겨 길이를 신장시킨 상태이고, 아래의 상태는 길이가 늘어난 스타일러스(10)의 끝을 잡고 90° 회전시킴으로써 두께를 늘린 상태이다. 단순히 길이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두께까지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굵기로 키울 수 있다는 것에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10)의 독창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길이와 굵기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해 상세하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스타일러스(10)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10)는 크게 나누어 중심축(100), 복수 개의 제1 부재(200), 복수 개의 제2 부재(300)로 구성된다.
중심축(100)은 동심을 이루는 제1 축(110)과 제2 축(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 축(110)에 대해 제 2축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축(120)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중심축(100)의 전체 길이가 수축, 신장되는 길이변화가 이루어진다. 중심축(100)은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뼈대를 이루는 부재이며,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는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하여 제한된 이동 및 회전 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10)는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의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심축(100)이 길이가 이에 대응하여 함께 변화할 수 있도록 제1 축(110)과 제2 축(120)으로 구성된 것이며, 제1 축(110)과 제2 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30),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십자 형태로 네 개의 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축(110)과 제2 축(120) 모두에 동일한 돌기(130)가 구비되어야 하고, 제2 축(120)은 제1 축(110) 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기 때문에, 제1 축(110)에는 돌기(130) 형태가 있는 음형의 공동이, 그리고 제2 축(120)에는 제1 축(110)의 음형 공동에 대응하는 양형의 돌기(130)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음형의 공동을 형성하는 제1 축(110)의 두께 차이만큼 높이가 낮은 제2 축(120)의 돌기(130)가 내장된 탄성부재의 탄력을 통해 제1 축(110)에서 이탈함에 따라 그만큼 더 올라와 제1/제2 축(110, 120)의 각 돌기(130)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부재(200)에는 중심축(100)의 돌기(130)에 대응하는 홈(212)이 형성된 보스(210)가 구비되며, 길이방향 양면 중 한쪽 면(스타일러스의 촉 부분 반대편)은 개방되어 있으면서 안쪽은 비어 있다. 각 제1 부재(200)의 보스(210)를 관통하여 중심축(100)이 끼워지는데, 스타일러스(10)의 촉 부분(230)을 형성하는 맨 앞의 제1 부재(200)의 보스(210)에 중심축(100)의 제1 축(110)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중심축(100)에 대해 나머지 모든 제1 부재(200)가 끼워지며, 보스(210)에 형성된 홈(212)에 중심축(100)의 돌기(130)가 끼워지기 때문에 제1 부재(200)는 중심축(100)에 대해 회전하지는 못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운동만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300)는 제1 부재(200) 사이사이에 끼워지는데, 제1 부재(200)의 보스(210)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통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중심축(100)에 대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의 결합 관계를 보면, 중심축(100)에 대해 제1 부재(200) 보스(210)의 내주면이 끼워지고, 이 보스(210)의 외주면에 제2 부재(300)의 관통공(310) 내주면이 끼워지는 구조를 이룬다. 제2 부재(300)는 제1 부재(200)의 중공부에 삽입 가능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돌출된 부분이 없는 보스(210)의 외주면에 끼워지기 때문에, 제1 부재(200)와는 다르게, 중심축(100)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동은 물론 중심축(100)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중심축(100)에 끼워진 하나의 제1 부재(200)에 대해 하나의 제2 부재(300)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 즉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가 교대로 중심축(100)에 끼워진다. 다만,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스타일러스(10)의 촉 부분(230)을 형성하는 선단의 제1 부재(200)가 두 개의 제2 부재(300)가 삽입되는 길이와 크기를 가지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 선단의 제1 부재(200)에 대해서는 두 개의 제2 부재(300)가 끼워진다. 도시된 실시형태가 선단의 제1 부재(200)를 크게 만든 것은,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할 때 휴대용 단말기기에 직접 접촉하는, 즉 잦은 압력을 받는 선단부의 구조를 좀더 견고하게 만드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복수 개의 제2 부재(300)는 그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330)를 통해 서로 이탈이 되지 않도록 연결되는데, 여기서는 먼저 제1 부재(200) 안에 끼워진 제2 부재(300)의 회전 운동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부재(200)의 상하 양면에는 한 쌍의 대면하는 절개부(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중심축(100)을 공유하며 제1 부재(200) 안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2 부재(300)는 이 절개부(220)로 인해 만들어진 공간을 통해 90°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는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한 쌍씩의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90° 회전한 제2 부재(300)는 장변이 상하방향으로 위치함에 따라 제1 부재(200) 위로 돌출되며, 이렇게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가 십자 형태로 교차하게 됨으로써 스타일러스(10)의 두께가 굵어지게 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는 각 단변이 원호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손으로 잡았을 때의 접촉 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파지감(그립감)을 좋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를 직사각형 단면이 아니라 장축과 단축을 가진 타원 형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의 단면 형태는 제2 부재(300)를 90° 회전시켰을 때 전체적인 굵기가 커지는 형태라면 이밖의 다른 형상을 취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한 가지 언급할 것은, 제2 부재(3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인 절개부(220)를 제1 부재(200)에 형성한 것은, 제2 부재(300)가 제1 부재(200)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고 어느 정도 걸려 있는 상태를 항상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부재(300)가 제1 부재(200)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면 중심축(100)이 온전히 모든 힘을 받아내야 하고, 이는 스타일러스(10)의 구조적 강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이해를 돕고자 하나의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를 대상으로 하여 제2 부재(300)가 90° 회전하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는데, 도 4 및 도 5는 실제에 있어 제2 부재(300) 전체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부분 투시도로서 보여주고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 부재(200)를 은선으로 처리하여 제2 부재(300)의 작동 상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부재(300)는 그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330)를 통해 서로 이탈이 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즉, 제2 부재(300)의 선단에는 연결부재(330)가 구비되는 한편 반대편에는 연결부재(330)가 삽입되는 슬릿(3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30)의 선단에는 슬릿(34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332)가 구비되고, 슬릿(340)의 안쪽에 살짝 형성되어 있는 단턱(미도시)에 후크(332)가 걸려 제2 부재(300) 사이의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연결부재(330)의 길이는 적어도 각각의 제2 부재(300)가 90° 회전을 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부재(200)의 절개부(220)까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1 부재(200)에는 제2 부재(300)가 회전할 때 그 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재(330)가 통과하기 위한 절개 홈(222)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각 연결부재(330)는 한편으로는 제2 부재(300)의 길이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복수 개의 제2 부재(300) 전체가 한 몸처럼 함께 90° 회전을 하게 한다.
이처럼 제2 부재(300) 전체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의 맨 뒤쪽 제2 부재(300) 하나만 잡고 돌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타일러스(10)를 변형시키는 작업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스타일러스(10)의 맨 뒤쪽 제2 부재(300)를 다른 제2 부재(300)에 비해 좀 더 길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부재(200)는 보스(210)의 홈(212)에 중심축(100)의 돌기(130)가 끼워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은 할 수 있어도 회전할 수 없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제1 부재(200)의 길이방향 이동은 제2 부재(30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이동시키는 동작에 수반하여 종속적으로 일어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맨 아래의 제2 부재(300)를 잡아당기면 연결부재(330)의 후크(332)가 슬릿(340)의 단턱에 걸릴 때까지는 혼자 이동하지만 후크(332)가 걸리면, 즉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멀어지게 되면 이때부터는 위의 제2 부재(300)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위의 제2 부재(300)는 아래쪽의 제1 부재(200)를 밀면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런 일련의 동작이 전체의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에 연이어 일어남으로써 스타일러스(1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맨 아래의 제2 부재(300)를 밀어올리면 이와는 반대로 제2 부재(300)가 맨 아래부터 하나씩 연이어 올라감으로써 스타일러스(1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여기서, 중심축(100), 특히 제2 축(120)에 대한 맨 하단의 제2 부재(300)의 고정은 최하단 제2 부재(300)의 관통공(310) 안에 구비된 회전 슬리브(320)를 통해 이루어진다. 회전 슬리브(320)는 제2 부재(30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관통공(310)에 대해 회전 슬리브(320)가 환형의 홈과 턱의 구조로 끼워짐으로써 회전 슬리브(320)만 혼자서 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제2 부재(30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중심축(100)까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중심축(100)의 제1 축(110)이 스타일러스(10)의 촉 부분(230)을 형성하는 맨 앞의 제1 부재(200)의 보스(210)에 끼워져 회전이 안되더라도 제2 부재(300)는 자유롭게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버(400)가 씌워진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커버(400)를 추가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커버(400)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스타일러스(10)를 감싸는 커버(400)는 스타일러스(10)의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함께 변형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커버(400)는 스타일러스(10)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나아가 스타일러스(10)의 변형 상태를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위의 두 번째 기능을 위해, 커버(400)는 스타일러스(10)의 선단을 형성하는 제1 부재(200) 및 스타일러스(10)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2 부재(300), 즉 양단의 부재에 대해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은 스타일러스(10)의 길이가 변하더라도 커버(400)가 결합된 그 지점이 바꾸지 않고 계속 유지된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한 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유연하고 탄력이 있는 커버(400)가 스타일러스(10)의 양단을 잡고 있기 때문에, 스타일러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400)의 장력이 작용한다. 즉, 스타일러스(10)의 길이가 초기상태보다 길어지게 되면 스타일러스(10)의 길이를 줄일려고 하는 방향으로 커버(400)의 탄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400)의 탄력은 길이가 길어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바뀐 스타일러스(10)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10)는 제1 부재(200)의 한 쌍의 절개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절개부(220)에 제2 부재(300)가 90° 회전했을 때 안착하는 턱이 진 안착면(224)을 형성하고, 절개부(220)의 측면과 안착면(224)의 턱 사이에는 경사면(226)을 형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3을 보면, 90° 회전한 제2 부재(300)가 오목하게 파인 안착면(224)에 끼워진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이처럼 제2 부재(300)가 안착면(2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400)의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2 부재(300)는 어느 정도의 힘이 작용해도 90° 회전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경사면(226)은 제2 부재(300)를 안착면(224)으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10)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사용례는 대화면 스마트폰, 일명 패블릿 내부에 스타일러스(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도 7과 같이 패블릿에 스타일러스(10)를 수납할 때에는 그 길이와 굵기가 가장 짧고 얇은 상태로 변형시켜 놓는다. 따라서, 스타일러스(10)가 차지하는 수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패블릿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도 8은 패블릿에서 스타일러스(10)를 빼내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스타일러스(10)의 길이가 거의 1.5배 이상 길어지고 굵기도 손가락으로 잡기에 적당한 두께로 변형되어 있기에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타일러스 100: 중심축
110: 제1 축 120: 제2 축
130: 돌기 200: 제1 부재
210: 보스 212: 홈
220: 절개부 222: 절개 홈
224: 안착면 226: 경사면
230: 촉 부분 300: 제2 부재
310: 관통공 320: 회전 슬리브
330: 연결부재 332: 후크
340: 슬릿 400: 커버

Claims (8)

  1. 제1 축과 제2 축이 동심을 이루면서 그 전체 길이가 수축, 신장되도록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보스가 구비되고, 중공 형태의 몸체로서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보스의 내주면이 끼워지는 복수 개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보스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에 삽입이 가능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심축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동 및 중심축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부재에 대해 상기 각각의 제2 부재가 하나씩 끼워지도록 상기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교대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재는 그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이탈이 되지 않으면서 상대거리가 변동하는 한편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거리가 변동함에 따라 상기 각 제2 부재에 접촉하는 제1 부재도 함께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멀어졌을 때 상기 제2 부재가 어느 한 방향으로 90°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대면하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단면은 한 쌍씩의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이 원호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부재 중 상기 스타일러스의 촉 부분을 형성하는 선단의 제1 부재는 두 개의 상기 제2 부재가 삽입되는 길이와 크기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대면하는 절개부도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부재 중 상기 스타일러스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2 부재의 관통공에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회전 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을 이루는 어느 한 축이 상기 회전 슬리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슬릿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를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선단을 형성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2 부재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함께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한 쌍의 절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절개부에는 상기 제2 부재가 90° 회전했을 때 안착하는 턱이 진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측면과 상기 안착면의 턱 사이는 회전하는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안착면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KR1020170102341A 2017-08-11 2017-08-11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KR10194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41A KR101947027B1 (ko) 2017-08-11 2017-08-11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41A KR101947027B1 (ko) 2017-08-11 2017-08-11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027B1 true KR101947027B1 (ko) 2019-02-12

Family

ID=6536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341A KR101947027B1 (ko) 2017-08-11 2017-08-11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927B1 (ko) * 2020-12-31 2022-06-02 홍시연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터치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892A (en) * 1986-05-29 1987-11-03 Nadel & Sons Toy Corp. Water shooting amusement device
JPH11154051A (ja) * 1997-11-25 1999-06-08 Sharp Corp 入力ペン
KR20090076392A (ko) * 2008-01-08 2009-07-13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터치 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10133974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엠큐빅 필통
KR20140122940A (ko) * 2013-04-11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펜
KR101473113B1 (ko) * 2013-10-07 2014-12-1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터치 펜
KR101620008B1 (ko) * 2014-11-24 201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펜
KR20160123615A (ko) 2015-04-16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892A (en) * 1986-05-29 1987-11-03 Nadel & Sons Toy Corp. Water shooting amusement device
JPH11154051A (ja) * 1997-11-25 1999-06-08 Sharp Corp 入力ペン
KR20090076392A (ko) * 2008-01-08 2009-07-13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터치 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10133974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엠큐빅 필통
KR20140122940A (ko) * 2013-04-11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펜
KR101473113B1 (ko) * 2013-10-07 2014-12-1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터치 펜
KR101620008B1 (ko) * 2014-11-24 201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펜
KR20160123615A (ko) 2015-04-16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927B1 (ko) * 2020-12-31 2022-06-02 홍시연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0600B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NL1038411C2 (en) Multifunctional connector plug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S2767603T3 (es) Lápiz táctil y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tiene el mismo
CN203311319U (zh) 触控笔收纳机构及电子装置
TWI630509B (zh) 觸控筆
KR200462321Y1 (ko) 볼펜 겸용 터치펜
JP5999533B2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JP2021064313A (ja) 入力装置、ゲーム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装置
KR101947027B1 (ko)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1473113B1 (ko) 터치 펜
JP2014128458A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及び電子機器収納ケースセット
US20160070375A1 (en) String-Attached Inpu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2724536U (zh) 屏幕模组、电子设备及显示系统
KR101847828B1 (ko) 터치펜
JP6072165B1 (ja) 携帯情報端末用把持補助具
KR20110113801A (ko) 정전감압겸용의 터치펜
CN102169376B (zh) 触控笔
KR101947029B1 (ko)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US20150212604A1 (en) Touch pen having signal cable
KR20110016621A (ko) 손에 쥐기 편리한 터치 펜
TWM589826U (zh) 可伸縮之觸控筆
EP3674855B1 (en) Pen-shaped folding mouse
JP2014021519A (ja) 静電容量型入力ペン
JP7252481B2 (ja) タッチペン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