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915A - 유체 라인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체 라인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915A
KR20110133915A KR1020100053580A KR20100053580A KR20110133915A KR 20110133915 A KR20110133915 A KR 20110133915A KR 1020100053580 A KR1020100053580 A KR 1020100053580A KR 20100053580 A KR20100053580 A KR 20100053580A KR 20110133915 A KR20110133915 A KR 2011013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or body
connector
release tool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871B1 (ko
Inventor
추성화
나병록
Original Assignee
한일튜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튜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튜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87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sealing or securing means using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16L33/2071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 F16L33/2078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rigid member via an intermediat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클립이 반경방향으로 벌려짐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호스나 파이프 또는 기타 다른 유체배관의 끝부분에 축방향으로 끼움과 동시에 잠금클립에 의해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체라인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릴리즈 툴을 잠금클립의 안쪽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견고하게 체결된 커넥터 본체가 유체배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유체라인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 라인용 커넥터{Connector for fluid line}
본 발명은 유체 라인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나 유체배관을 신속하게 연결가능하고, 분리시에는 지정된 공구에 의해서만 배관을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는 유체 라인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냅맞춤식 연결구들은 호스나 도관을 신속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여러 응용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연결구는 수도관이나 압축 공기 호스에 호스를 연결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고, 또 로봇에 의해 자동차를 조립하는 산업설비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형태의 연결구들은 동일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파이프 등을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봇을 이용하여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에서 경제적인 잇점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구들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저렴한 가격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즉 연결구들은 제조하기가 간단한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석유계 연료의 인화위험성과 이들 저장탱크, 제어기기에서의 연료취급에 사용되는 부품들의 작동안전도가 요구된다.
한편, 종래의 자동차에서 연료라인, 수소 연료도관과 같은 파이프를 신속하게 연결시켜 주는 연결구는 주로 금속제품으로서 나사식으로 연결시켜주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의 원주면에 대체로 작은 치수로 기계가공된 나사산이 필요하며, 또 연료라인, 수소 연료도관 및 냉각라인은 신속히 끼워 연결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신속한 연결작업이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스냅맞춤식 연결구들은 체결된 상태를 다시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잠금클립이 반경방향으로 벌려짐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호스나 파이프 또는 기타 다른 유체배관의 끝부분에 축방향으로 끼움과 동시에 잠금클립에 의해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체라인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릴리즈 툴을 사용하여야만 잠금클립의 안쪽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견고하게 체결된 커넥터 본체가 유체배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유체라인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호스나 파이프 또는 기타 다른 유체배관의 끝부분에 삽입 장착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직경부와, 래치부가 장착되는 제2직경부와, 유체배관의 소켓에 삽입되는 제3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는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슬릿홀과, 링부가 슬릿홀을 통해 삽입되고 소켓의 걸림돌기에 걸려져서 제3직경부를 소켓에 고정시켜주는 잠금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는 릴리즈 툴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릴리즈 툴은 동일 원주상에 링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릴리즈 툴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가 링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링부를 걸림돌기의 외경보다 크게 탄성변형시켜 잠금클립을 소켓의 걸림돌기로부터 해제시킴으로써, 커넥터 본체를 유체배관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유체라인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라인용 커넥터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반경방향으로 벌려짐 가능한 잠금클립이 소켓의 걸림돌기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유체배관의 소켓에 끼움과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와 유체배관 사이에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2. 릴리즈 툴을 이용하여 돌출부를 삽입후 회전시키기만 하면 잠금클립이 반경방향으로 벌려짐으로써 소켓으로부터 쉽게 해제되어 커넥터 본체를 유체배관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라인용 커넥터가 플렉시블 호스와 유체배관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1b는 도 1에서 유체라인용 커넥터가 소켓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c는 도 1b의 분해도
도 2는 도 1b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클립에 의해 커넥터 본체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리즈 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소켓에 릴리즈 툴이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즈 툴에 의해 커넥터 본체가 해제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 릴리즈 툴에 의해 커넥터 본체가 해제된 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본체의 제1직경부가 "ㄱ"형 또는 경사지게 구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라인용 커넥터가 플렉시블 호스와 유체배관(28)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b는 도 1에서 유체라인용 커넥터가 소켓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1c는 도 1b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b의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클립에 의해 커넥터 본체(10)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호스(20)와 유체배관(28) 사이를 연결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호스(20)가 삽입연결된 커넥터 본체(10)를 유체배관(28)의 소켓(17)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체결할 수 있고, 일단 삽입체결된 커넥터 본체(10)는 특별한 해제장치에 의하지 않고서는 소켓(17)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유체라인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라인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호스(20)가 삽입되고 플렉시블 호스(20)와 유체배관(28)의 소켓(17)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와 소켓(17)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릴리즈 툴(21)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본체(10)는 통상 원통형이고 계단식으로 형성된 직경부와, 직경부의 내부에 유체가 흐름가능하도록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중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경부는 플렉시블 호스(20)가 삽입결합되는 제1직경부(11)와, 래치부(14)가 삽입장착되는 제2직경부(12)와, 소켓(17)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제3직경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중공부는 제1직경부(11)에서 제3직경부(13)까지 직선으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제1직경부(11)는 커넥터 본체(10)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하고, 제2직경부(12)보다 외경이 작고, 제2직경부(12)는 제3직경부(13)보다 외경이 더 작다.
상기 제1직경부(11)의 입구부는 플렉시블 호스(20)가 잘 끼워지고 잘 빠지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제1직경부(11)의 입구부에 오링(16)이 장착되어 커넥터 본체(10)와 플렉시블 호스(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호스(20)가 제1직경부(11)에 잘 끼워지면서 제1직경부(11)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쐐기형 돌기가 제1직경부(11)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호스(20)는 제2직경부(12)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된 제1직경부(11)의 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직경부(12)는 커넥터 본체(10)의 중간에 위치하고, 제1직경부(11)의 단부에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외경의 크기도 제1 및 제3직경부(13) 사이의 중간 크기이다.
상기 제2직경부(12)의 외표면에는 쐐기형 고정돌기(12a)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돌기(12a)는 래치부(14)의 축방향 이동을 고정한다.
상기 제3직경부(13)는 커넥터 본체(10)에서 가장 뒤쪽에 위치하고, 제2직경부(12)의 단부에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외경의 크기도 제1 및 제2직경부(12)보다 가장 크며, 소켓(17)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3직경부(13)의 외표면에는 링홈이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링홈에 오링(16)이 삽입 장착되어, 이 오링(16)에 의해 소켓(17)과 커넥터 본체(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래치부(14)는 링 형태이고, 래치부(14)의 중심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제2직경부(12)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래치부(14)의 관통홀 주변이 고정돌기(12a)에 의해 제2직경부(12)의 단부 외표면에 체결된다.
상기 래치부(14)는 제1직경부(11)쪽으로 막혀 있고 제3직경부(13)쪽으로 개구되어 있고, 래치부(14)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슬릿홀(1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홀(14a)을 통해 잠금클립(15)이 래치부(14)에 삽입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의 제1직경부(11)가 제2직경부(12)의 축선을 기준으로 도 4에서 180도, 도 8에서 90도, 도 9에서 45도 각도를 이루는 형상)을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래치부(14)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분리제작하고, 커넥터본체(10)의 고정돌기(12a)에 의해 래치부(14)를 조립 및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14)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분리 제작함으로써 사출금형의 제작시 금형제작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동시에 부품공용화를 가능케 하며, 잠금클립(15)을 래치부(14)에 용이하게 자동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슬릿홀(14a)은 X-X 중심선(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클립(15)은 소켓(17)과 커넥터 본체(10)를 체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링부(15a)와, 링부(15a)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링부(15a)를 연결하는 이어(ear)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부(15a)가 래치부(14)에 장착되고 래치부(14)가 커넥터 본체(10)의 제2직경부(12)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링부(15a)는 제3직경부(13)와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커넥터 본체(10)의 제3직경부(13)가 소켓(17)의 내부에 삽입되어 잠금클립(15)에 의해 소켓(17)에 체결된 경우에 상기 링부(15a)는 소켓(17)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링부(15a)의 내경은 소켓(17)의 수용부(19)의 외경과 같다.
상기 이어부(15b)는 링부(15a)를 사이에 두고, 링부(15a)의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마치 사람의 귀(ear)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어부(15b) 중 하나의 중간부에는 절단부(15c)가 형성되어 잠금클립(15)을 래치부(14)에 장착할 경우 절단부(15c)를 벌려서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이어부(15b)와 링부(15a)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는 래치부(14)에 형성된 슬릿홀(14a)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거나 이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중간에 절단부(15c)가 형성된 이어부(15b)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손으로 잡고 벌리면 잠금클립(15)이 탄성변형되면서 절단부(15c)가 슬릿홀(14a)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벌려지면서 링부(15a)가 슬릿홀(14a) 내부에 삽입되고, 링부(15a)가 삽입된 후 절단부(15c)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이어부(15b)를 놓으면 절단부(15c)가 다시 원래 위치로 오므려지면서 잠금클립(15)을 래치부(14)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클립(15)이 래치부(14)에 장착될 때 상기 링부(15a)가 슬릿홀(14a)의 안쪽에 삽입되고, 이어부(15b)가 래치부(14)의 슬릿홀(14a) 사이의 외주면 바깥으로 노출됨으로써, 래치부(14)에 장착된 잠금클립(1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10)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20)와 연결되는 유체배관(28)에는 소켓(17)이 장착된다.
상기 소켓(17)의 앞쪽 내부에는 수용부(19)가 형성되어, 이 수용부(19)에 커넥터 본체(10)의 제3직경부(13)가 삽입되면, 수용부(19)는 제1중공부와 함께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상기 소켓(17)의 뒤쪽 부분은 유체배관(28)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소켓(17)의 뒤쪽 내부에는 수용부(19)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수용부(19)보다 내경이 작게 제2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가 연통되고, 제2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유체배관(28)의 내부로 이송된다.
상기 소켓(17)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쐐기형 걸림돌기(18)가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본체(10)의 제3직경부(13)가 소켓(17)의 수용부(19) 안쪽 끝까지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18)가 래치부(14)에 장착된 잠금클립(15)에 의해 커넥터 본체(10)의 제3직경부(13)가 소켓(17)의 수용부(19) 내부에 삽입 체결된다.
첨부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리즈 툴(21)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소켓(17)에 릴리즈 툴(21)이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릴리즈 툴(21)은 래치부(14)에 의해 체결된 커넥터 본체(10)를 소켓(17)으로부터 해제시키는 공구이고,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된 릴리즈몸체(22)와, 릴리즈몸체(22)에서 링형태로 돌출형성된 슬리브(23)와, 상기 슬리브(23)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리즈몸체(22), 슬리브(23) 및 돌출부(24)는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절반씩 분리형성되고, 릴리즈몸체(22)의 일측단부에 힌지부(25)가 형성되어, 힌지부(25)를 중심으로 릴리즈몸체(22)의 타측단부가 벌려져 열릴 수 있다.
상기 릴리즈몸체(22) 중 상부 릴리즈몸체(22)의 타측단부 하면에는 체결돌기(27)가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몸체(22) 중 하부 릴리즈몸체(22)의 타측단부 상면에는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릴리즈몸체(22)의 타측단부를 닫으면 체결홈(26) 및 체결돌기(27)에 의해 릴리즈 몸체(22)가 로킹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3)는 릴리즈몸체(22)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소켓(17)의 외주면을 감싼다.
상기 돌출부(24)는 래치부(14)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래치부(14) 안쪽으로 삽입되고, 잠금클립(15)의 링부(15a)의 양단부 사이, 즉 이어부(15b)의 안쪽에 삽입되어 돌출부(24)의 전단부가 소켓(17)의 걸림돌기(18)의 이면에 접촉되면서 링부(15a)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고, 릴리즈몸체(22)를 90도 회전시키면 돌출부(24)가 링부(15a)의 내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링부(15a)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킨다.
이와 같은 유체라인용 커넥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즈 툴(21)에 의해 커넥터 본체(10)가 해제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릴리즈 툴(21)에 의해 커넥터 본체(10)가 해제된 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1. 래치부(14) 조립
상기 래치부(14)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제2직경부(12)가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래치부(14)를 커넥터 본체(10)의 제2직경부(12)에 끼워 조립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2a)에 의해 래치부(14)가 커넥터 본체(10)의 제2직경부(12)에 고정되어, 래치부(14)가 회전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2. 릴리즈 툴(21) 조립
상부 및 하부 릴리즈 툴(2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 릴리즈 툴(21)의 타측단부를 벌린 다음,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된 릴리즈몸체(22), 슬리브(23) 및 돌출부(24)가 소켓(17)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부 및 하부 릴리즈몸체(22)를 닫아서 상부 릴리즈몸체(22)의 체결돌기(27)와 하부 릴리즈몸체(22)의 체결홈(26)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부 릴리즈몸체(22)와 하부 릴리즈몸체(22)를 체결한다.
3. 커넥터 본체(10)의 조립
커넥터 본체(10)의 제3직경부(13)를 소켓(17)의 수용부(19)에 축방향으로 삽입시키면, 소켓(17)의 전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8)가 잠금클립(15)의 링부(15a)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잠금클립(15)의 링부(15a)가 걸림돌기(18)의 경사면을 따라 변형되면서 반경방향으로 직경이 커지게 된다.
계속해서, 잠금클립(15)이 소켓(17)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18)의 경사면에서 외경이 가장 큰 뾰족한 지점을 지남에 따라 잠금클립(15)이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고 반경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짐으로써, 잠금클립(15)에 의해 커넥터 본체(10)가 소켓(17)에 체결된다.
4. 플렉시블 호스(20)의 조립
플렉시블 호스(20)의 내부에 커넥터 본체(10)의 제1직경부(11)가 삽입되도록 플렉시블 호스(20)를 커넥터 본체(10)에 연결함으로써, 커넥터 본체(10)를 통해 유체배관(28)과 플렉시블 호스(20) 사이에 유체라인을 형성한다.
5. 커넥터 본체(10)의 해제
릴리즈 툴(21)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릴리즈 툴(21)의 돌출부(24)를 래치부(14)의 안쪽에 삽입하되, 소켓(17)의 걸림돌기(18)의 이면에 상기 돌출부(24)의 전단부가 닿을 때까지 래치부(14)에 장착된 잠금클립(15)의 이어부(15b) 안쪽으로 상기 돌출부(24)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24)와 잠금클립(15)의 링부(15a)는 동일 원주상에 교대로 배치된다.
그 다음, 상기 릴리즈 툴(21)의 릴리즈몸체(22)를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릴리즈 툴(21)의 돌출부(24)가 잠금클립(15)의 링부(15a) 안쪽으로 회전하면서, 잠금클립(15)의 링부(15a)가 반경방향으로 벌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4)의 두께는 소켓(17)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18)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미세하게 두껍기 때문에, 돌출부(24)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벌려진 잠금클립(15)의 링부(15a)의 내경이 소켓(17)의 걸림돌기(18)의 최대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커넥터 본체(10)를 소켓(17)에서 잡아당기면 걸림돌기(18)에 걸리지 않고 쉽게 빠진다.
따라서, 소켓(17)의 걸림돌기(18)의 전단부가 래치부(14)의 내벽에 닿을 때까지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제3직경부(13)를 소켓(17)의 수용부(19)에 삽입하면, 잠금클립(15)에 의해 커넥터 본체(10)를 소켓(17)에 쉽게 조립 및 체결함으로써, 커넥터 본체(10)가 소켓(17)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17)에 장착된 릴리즈 툴(21)을 축방향으로 밀고 회전시키기만 하면, 잠금클립(15)의 링부(15a)가 반경방향으로 벌려짐으로써, 잠금클립(15)이 걸림돌기(18)로부터 해제되어 커넥터 본체(10)를 소켓(17)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본체(10)의 제1직경부(11)가 "ㄱ"형 또는 경사지게 구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본체(1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제1직경부(11)의 형태를 "ㄱ"자형 또는 경사지게 하여 차량의 레이아웃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10 : 커넥터 본체 11 : 제1직경부
12 : 제2직경부 12a : 고정돌기
13 : 제3직경부 14 : 래치부
14a : 슬릿홀 15 : 잠금클립
15a : 링부 15b : 이어부
15c : 절단부 16 : 오링
17 : 소켓 18 : 걸림돌기
19 : 수용부 20 : 플렉시블 호스
21 : 릴리즈 툴 22 : 릴리즈몸체
23 : 슬리브 24 : 돌출부
25 : 힌지부 26 : 체결홈
27 : 체결돌기 28 : 유체배관

Claims (7)

  1. 전단부가 플렉시블 호스(20)에 삽입되고, 후단부가 유체배관(28)의 소켓(17)의 수용부(19)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20)와 유체배관(28)을 연결하는 커넥터 본체(10);
    상기 커넥터 본체(10)에 장착되어 커넥터 본체(10)가 소켓(17)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수단;
    상기 소켓(17)의 외주면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10)가 소켓(17)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시켜주는 릴리즈 툴(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슬릿홀(14a)이 형성된 래치부(14);
    상기 래치부(14)의 슬릿홀(14a)을 통해 안쪽으로 삽입된 링부(15a)가 소켓(17)의 전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8)에 걸려짐에 따라 커넥터 본체(10)를 소켓(17)에 체결하는 잠금클립(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클립(15)은 링부(15a)가 반경방향으로 벌려짐 가능하게 일측에 형성된 절단부(1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툴(21)은 소켓(17)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슬리브(23)와, 상기 슬리브(23)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출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4)는 동일 원주상에 잠금클립(15)의 링부(15a)와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24)가 회전되면 잠금클립(15)의 링부(15a)를 반경방향으로 벌려줌으로써, 커넥터 본체(10)가 소켓(17)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툴(21)은 슬리브(23)의 끝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릴리즈몸체(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툴(21)은 반경방향으로 절반씩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릴리즈 툴(21)의 일단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릴리즈 툴(21)의 타단부가 체결돌기(27) 및 체결홈(2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14)는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분리제작되고, 고정돌기(12a)에 의해 커넥터 본체(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라인용 커넥터.

KR1020100053580A 2010-06-07 2010-06-07 유체 라인용 커넥터 KR101180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80A KR101180871B1 (ko) 2010-06-07 2010-06-07 유체 라인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80A KR101180871B1 (ko) 2010-06-07 2010-06-07 유체 라인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915A true KR20110133915A (ko) 2011-12-14
KR101180871B1 KR101180871B1 (ko) 2012-09-10

Family

ID=4550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80A KR101180871B1 (ko) 2010-06-07 2010-06-07 유체 라인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04073T3 (es) * 2014-05-30 2019-03-14 Oetiker Ny Inc Conector de fluido con tapa de seguridad de inserción completa con elementos de enclavamiento secundario
US11092269B2 (en) 2014-05-30 2021-08-17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KR102325264B1 (ko) * 2020-02-20 2021-11-10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896A (en) 1976-05-10 1977-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JP4542273B2 (ja) * 2000-04-19 2010-09-08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FR2855590B1 (fr) 2003-05-27 2006-10-20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JP4644063B2 (ja) 2005-07-26 2011-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管接続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871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454B2 (en) Anti-rotation gripper ring
GB2495061A (en) Fuel tank pipe structure
JP2006138472A (ja) スナップ装着式の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US20110088790A1 (en) Bias release cartridge
JP2004308895A (ja) 燃料系統要素用の射出成形カップリング
JP2008506904A (ja) 流量調整を有するクイックコネクトを備えた給水遮断弁
KR101180871B1 (ko) 유체 라인용 커넥터
JP6139126B2 (ja) パイプコネクタ
US20110089681A1 (en)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EP1596118B1 (en) Dustproof cap for quick connector and quick connector
US10132436B2 (en) Quick connect/disconnect adaptor system
ZA200306512B (en) Pipe coupling.
WO2018230401A1 (ja) ソケ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管継手
KR20140029719A (ko) 유로 연결구조
JP4965204B2 (ja) ガスメータ支持装置
KR20110133914A (ko) 유체 라인용 커넥터
KR102154693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결합시공방법
JP6270405B2 (ja) ガス栓付き自在アダプター
US20200386352A1 (en) Cap loosening prevention device
JP5967271B2 (ja) 継手及び継手取付構造
JPH11210970A (ja)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JP6185851B2 (ja) 管継手、管材接続装置及び接続体
JP2005539183A (ja) ねじ留めされた流体用部品のための流体用クイックコネクタ
JP6490910B2 (ja) 取外し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