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264B1 -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 Google Patents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264B1
KR102325264B1 KR1020200021272A KR20200021272A KR102325264B1 KR 102325264 B1 KR102325264 B1 KR 102325264B1 KR 1020200021272 A KR1020200021272 A KR 1020200021272A KR 20200021272 A KR20200021272 A KR 20200021272A KR 102325264 B1 KR102325264 B1 KR 10232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paration
joint
inner diamet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286A (ko
Inventor
김성래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2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0Sleeveless joints between two pipes, one being introduced into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선관용 조인트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선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단부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 1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조인트몸체;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맞닿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은 삽입되는 전선관의 외면과 맞닿으며,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신장가능하여 전선관을 삽입 시 상기 결합부에서 쐐기결합되어 전선관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를 축선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방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에 의하면, 전선관을 연결 시 파지부가 반경방향으로 수축 내지 신장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전선관 사이에서 쐐기 결합되어 전선관을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가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하여 경화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파손위험성이 낮아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이 높고, 전선관 연결부위로 먼지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수밀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JOINT FOR ELECTRIC CONDUIT AND SET THEREOF}
본 발명은 전선관용 조인트와 그 세트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전선관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거나, 강제전선관과 가요성전선관, 배전반 박스 등을 기밀하게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전선관용 조인트와 그 세트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배선되는 전선은 대부분 전선관 내에 삽입되어 보호되고, 이러한 전선관을 전기배선박스 또는 인접한 타측의 전선관에 연결할 경우에는 전선관용 조인트가 이용된다.
종래의 전선관용 조인트는 적어도 한 단부의 내경면에는 암나사부가 가공되고, 이러한 전선관용 조인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관의 적어도 한 단부의 외경면에는 수나사부가 가공되어, 전선관의 수나사부가 전선관용 조인트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전선관의 일단이 전선관용 조인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나사 체결방식의 전선관용 조인트는 전선관의 단부 외경면에 수나사부를 가공하여야 함에 따라 인건비가 상승하고, 그 시공시간이 상승하며, 또한 나사가공설비 및 조인트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여 그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전선관용 조인트는, 전선관의 적어도 한 단부를 전선관용 조인트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전선관용 조인트의 외면에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전선관을 연결하는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볼트조임방식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경우에도,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공구가 필요하고, 더불어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체결력이 매우 저하되며, 볼트의 조임정도에 따라 특성이 변화할 뿐만 아니라 고공 작업 시의 체결공구 추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여전히 높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별도의 나사 체결없이 전선관을 연결할 수 있는 전선관용 조인트가 개발된 바 있으며,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용 클램프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841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전선관용 조인트는, 수밀을 위한 방수부재가 조인트의 외측에 구비됨으로서 전선관용 조인트를 사용 시 방수부재가 지속적으로 외부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방수부재는, 자외선 등과 같은 환경요소에 의하여 경시적 물성변형이 발생하여 경화될 수 있으며, 경화된 방수부재는 갈라지거나 틈이 발생하여 수분이 틈을 통해 접속 파이프 측으로 흡수되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경화가 발생된 방수부재를 장시간 사용 시 조인트로부터 이탈되어 수밀효과 및 사용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나사체결없이 간편하게 전선관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방수부재의 경화를 방지하여 수밀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선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단부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 1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조인트몸체;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맞닿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은 삽입되는 전선관의 외면과 맞닿으며,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신장가능하여 전선관을 삽입 시 상기 결합부에서 쐐기결합되어 전선관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를 축선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방수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몸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중심관과, 상기 중심관의 적어도 한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관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심관의 양단부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양단부에 전선관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제 2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맞닿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구비되며 톱니형상의 가압치형이 상기 파지부의 내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치형은, 상기 조인트몸체의 단부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환형형상의 일부구간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신장 내지 수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관용 조인트는 결합부에 걸림 설치되며 상기 방수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인트몸체는 그 일단에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에 전기배선박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면에 접지선의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전기배선박스의 외면에 상기 접지선의 타단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조인트몸체는 상기 접지선에 의해 상기 전기배선박스에 대해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몸체는 그 일단에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에 가요성 전선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은, 상기 전선관용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의 일단을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지부에 의하여 파지된 전선관을 분리시키는 전선관 분리공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전선관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분리지지부와, 상기 분리지지부의 외주면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ㄱ'자 형상의 상면에 힘을 인가받는 한 쌍의 분리가압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분리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분리체는, 상기 분리지지부의 내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선관(P)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분리가압부는, 상기 분리지지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점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에 의하면, 전선관을 연결 시 파지부가 반경방향으로 수축 내지 신장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전선관 사이에서 쐐기 결합되어 전선관을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가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하여 경화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파손위험성이 낮아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이 높고, 전선관 연결부위로 먼지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수밀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방수부재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전선관이 전선관용 조인트에 접속되어 파지부가 쐐기결합 할 때, 파지부의 유동공간을 길게 확보하여 전선관을 조인트 몸체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압추력이 더욱 커질 수 있어, 파지부가 전선관을 누르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져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더불어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의 전선관 분리공구를 이용하여 전선관을 파지부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의 분리사시도,
도 2은 도 1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파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B-B부분에 대한 파지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조인트몸체에 전기배선박스를 장착시킨 단면도,
도 7은 도 6은 도 1의 전선관용 조인트의 조인트몸체에 가요성 전선관을 연결시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의 전선관 분리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의 전선관 분리공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10)는 후강 전선관이나, 나사없는 전선관과 같은 강제전선관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강제전선관과 전기배선박스 또는 가요성전선관 등을 기밀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선관용 조인트(10)는, 조인트몸체(100), 파지부(200), 탄성체(300), 방수부재(400), 지지와셔(500) 및 전선관 분리공구(7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몸체(100)는 내부에 삽입공간(101)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전선관(P)이 삽입된다. 즉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외경은 전선관(P)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선관(P)이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삽입공간(101)으로 삽입가능하다. 상기 조인트몸체(100)는 아연도금으로 형성되어 전기저항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몸체(100)는 중심관(120)과 결합부(110)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중심관(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관(120)의 내주면은 전선관(P)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관(120)은,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2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121)는 삽입되는 전선관(P)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121)에 삽입되는 전선관(P)의 일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전선관(P)이 삽입되는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21)는 상기 중심관(1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돌출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적어도 한 단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중심관(120)의 적어도 한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0)를 통하여 전선관(P)이 상기 삽입공간(10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중심관(120)의 양단부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양단부에 전선관(P)이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10)를 통하여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양단으로 전선관(P)이 삽입됨으로써, 서로 다른 전선관(P)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중심관(120)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110)의 내경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 1테이퍼면(111)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10)와 상기 중심관(120)이 연결되는 구간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200)는 상기 삽입공간(101)으로 삽입되는 전선관(P)을 파지함으로써 전선관(P)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110)의 내경면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파지부(200)의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1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테이퍼면(111)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200)의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111)에 대응하는 제 2테이퍼면(201)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0)의 내경면에 맞닿아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200)의 내주면은, 삽입되는 전선관(P)의 외면과 맞닿으며,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신장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200)의 내측으로 전선관(P)을 삽입시킬 시, 상기 파지부(200)가 수축 및 신장함으로써 상기 결합부(110)와 상기 전선관(P) 사이에서 쐐기결합되어 전선관(P)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지부(200)는, 복수개의 가압부(210) 및 절취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210)는 일면이 상기 전선관(P)과 맞닿아 상기 전선관(P)을 가압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지부(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210)는 아연도금으로 전기저항성이 우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210)의 일면은 톱니형상의 가압치형(211)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치형(211)은 상기 파지부(200)의 내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전선관(P)의 외측면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치형(211)의 톱니형상은,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단부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전선관(P)과 가압치형(211)이 맞닿은 접촉부의 마찰력이 상기 제 2테이퍼면(201)과 상기 제 1테이퍼면(111)이 맞닿은 접촉부의 마찰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선관(P)은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210)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하다.
상기 절취부(220)는, 상기 파지부(200)의 환형형상의 일부구간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파지부(200)의 환형형상의 양단이 서로 이격배치됨으로써 상기 절취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00)는 상기 절취부(220)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신장 내지 수축가능하다.
상기 탄성체(300)는 상기 파지부(200)를 축선방향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지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110)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300)는 상기 파지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지부(200)의 일측에서 상기 파지부(200)를 축선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파지부(200)를 외측방향으로 편향(elastic bias)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300)는 물결형의 환형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체(300)는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파지부(2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전선관(P)이 상기 삽입공간(101)으로 삽입될 시, 상기 탄성체(300)는 전선관(P)이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중심부측으로 삽입되는 힘에 의하여 탄성변형되고, 상기 파지부(200)는 상기 절취부(220)에 의하여 신장함으로써 전선관(P)의 외측면과 맞닿아 함께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관(P)을 삽입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체(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200)는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중심부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절취부(220)에 의하여 수축하고, 상기 결합부(110)와 전선관(P) 사이에서 쐐기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00)가 쐐기 결합됨으로써 삽입된 전선관(P)은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가능하다.
상기 방수부재(400)는 삽입되는 전선관(P)이 연결되는 부위를 기밀방식으로 밀폐시켜 먼지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200)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된다. 상기 방수부재(40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무소재의 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체(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400)가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00)의 내경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하여 경화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손위험성이 낮아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이 높고 전선관 연결부위로 먼지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수밀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외관상 심미적인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400)가 탄성 변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전선관(P)이 삽입될 때 상기 파지부(200)의 유동공간을 길게 확보함으로써, 전선관(P)을 조인트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압추력(
Figure 112020018422519-pat00001
)이 더욱커질 수 있어, 상기 파지부(200)가 전선관(P)을 누르는 힘(
Figure 112020018422519-pat00002
)이 상대적으로 커져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와셔(500)는 상기 결합부(110)에 걸림 설치되어 상기 방수부재(400) 및 상기 탄성체(30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와셔(500)는 상기 방수부재(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10)의 단턱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방수부재(400) 및 상기 탄성체(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와셔(500)에 의하여 상기 방수부재(400) 및 상기 탄성체(300)가 안정적인 지지될 수 있으며, 전선관(P)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수부재(400)가 가압되어 힘을 받더라도 끼임을 방지함으로써 사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인트몸체(100)에는 장착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인트몸체(100)는 그 일단에 상기 결합부(110)가 구비되고, 그 타단에 상기 장착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6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전기배선박스(2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장착부(600)에는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기배선박스(20)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외면에 접지선(21)의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전기배선박스(20)의 외면에 상기 접지선(21)의 타단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접지선(21)에 의해 상기 조인트몸체(100)는 상기 전기배선박스(20)에 대해 접지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일단에는 상기 전선관(P)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기배선박스(20)가 장착되어 서로 연결가능하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인트몸체(100)에 구비되는 장착부(600)는 가요성 전선관(31)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인트몸체(100)는 그 일단에 상기 결합부(110)가 구비되고, 그 타단에 가요성 전선관(P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600)가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장착부(6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N)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너트(N)의 일측으로 가요성 전선관(P2)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일단에는 상기 전선관(P)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요선 전선관(P2)가 장착되어 서로 연결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11)을 설명한다. 상기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11)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전선관용 조인트(10)와 상기 전선관용 조인트(10)에 파지된 전선관(P)을 분리시키는 전선관 분리공구(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관용 조인트(10)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700)는 상기 조인트몸체(100)에 고정 파지된 전선관(P)을 상기 파지부(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지부(200)의 일단을 가압함으로써 전선관(P)을 분리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700)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200)를 상기 조인트몸체(10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지부(200)를 신장시킴으로써 전선관(P)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700)는, 한 쌍의 분리체(701)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분리체(701)는 분리지지부(710), 제1분리가압부(720) 및 제2분리가압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지지부(710)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전선관(P)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일단은 상기 파지부(200)의 일단에 맞닿아 상기 파지부(20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100)와 전선관(P)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부(200)의 일단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분리체(701)의 분리지지부(710)의 반원통형상의 내주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분리체(730)의 분리지지부(710)는 함께 원통형상을 형성하여 전선관(P)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1분리가압부(720) 및 상기 제2분리가압부(720’)는,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외주면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분리가압부(720)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분리가압부(720’)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각각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리가압부(720) 및 상기 제2분리가압부(720’)는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점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분리가압부(720)는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길이방향 중단 부위의 일측에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기 제2분리가압부(720’)는 상기 분리지지부(710)의 길이방향 중단 부위의 타측에‘ㄴ’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서로 점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가압부(720) 및 상기 제2분리가압부(720’)는 상기 분리지지부(71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ㄱ’자 형상의 상면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리지지부(710)가 상기 파지부(200)의 일단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200)는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700)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신장되어 파지하고 있던 전선관(P)이 분리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한 쌍의 분리체(701)의 분리지지부(710)의 내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ㄱ’자로 배치된 제1분리가압부(720)와‘ㄴ’자로 배치된 제2분리가압부(7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분리체(701)중 어느 하나의 분리체(701)의 제1분리가압부(720)가 다른 하나의 분리체(701)의 제2분리가압부(720’)를 가압하고, 한 쌍의 분리체(701)중 다른 하나의 분리체(701)의 제1분리가압부(720)가 어느 하나의 분리체(701)의 제2분리가압부(7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파지부(200)를 가압하는 힘이 균형있게 형성되어 빠르고 간편하게 전선관(P)을 분리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분리가압부(720) 및 상기 제2분리가압부(720’)중 어느 하나에는 고리홈(701h)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홈(701h)에 결합되는 고리링(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링(730)은 한 쌍의 분리체(70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분리체(701) 중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ㄱ’자로 배치된 제1분리가압부(720)와‘ㄴ’자로 배치된 제2분리가압부(720’)를 상기 고리링(730)으로 연결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고리링(730)에 의하여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700)를 사용 시 한 쌍의 분리체(701)를 간편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관용 조인트(10)에 의하면, 전선관(P)을 연결 시 파지부(200)가 반경방향으로 수축 내지 신장함으로써 상기 결합부(110)와 전선관(P) 사이에서 쐐기 결합되어 전선관(P)을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400)가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0)의 내경면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하여 경화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파손위험성이 낮아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이 높고, 전선관(P) 연결부위로 먼지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수밀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방수부재(400)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전선관(P)이 전선관용 조인트(10)에 접속되어 파지부(200)가 쐐기결합 할 때, 파지부(200)의 유동공간을 길게 확보하여 전선관(P)을 조인트 몸체(10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압추력이 더욱 커질 수 있어, 파지부(200)가 전선관(P)을 누르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져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더불어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11)의 전선관 분리공구(700)를 이용하여 전선관(P)을 파지부(2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선관용 조인트 11 : 전선관용 조인트 세트품
100 : 조인트몸체 101 : 삽입공간
110 : 결합부 111 : 제 1테이퍼면
120 : 중심관 121 : 걸림돌기
200 : 파지부 201 : 제 2테이퍼면
210 : 가압부 211 : 가압치형
220 : 절취부 300 : 탄성체
400 : 방수부재 500 : 지지와셔
600 : 장착부 700 : 전선관 분리공구
701 : 한 쌍의 분리체 710 : 분리지지부
720 : 제1분리가압부 720’제2분리가압부
20 : 전기배선박스 21 : 접지선
P : 전선관 P2 : 가요성 전선관

Claims (14)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선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단부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 1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조인트몸체;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맞닿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은 삽입되는 전선관의 외면과 맞닿으며,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신장가능하여 전선관을 삽입 시 상기 결합부에서 쐐기결합되어 전선관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를 축선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내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방수부재;
    상기 결합부에 걸림 설치되며 상기 방수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와셔; 및
    상기 파지부의 일단을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지부에 의하여 파지된 전선관을 분리시키는 전선관 분리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관 분리공구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전선관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 일단 또는 타단이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분리지지부와,
    상기 분리지지부의 길이방향 중단 부위 일측에서 ‘ㄱ’자 단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분리가압부와, 상기 분리지지부의 길이방향 중단 부위 타측에서 ‘ㄴ’자 단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분리가압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분리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분리체는, 상기 분리지지부의 내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선관(P)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리지지부의 내주면이 분리시키고자 하는 전선관의 외주면 일부와 맞닿으면,
    상기 한 쌍의 분리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리체에 형성된 제1분리가압부는 나머지 하나의 분리체에 형성된 제2분리가압부와 접촉되고,
    상기 한 쌍의 분리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리체에 형성된 제2분리가압부는 나머지 하나의 분리체에 형성된 제1분리가압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분리가압부의 하단은 상기 제2분리가압부의 절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분리가압부의 상단은 상기 제1분리가압부의 절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몸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중심관과,
    상기 중심관의 적어도 한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관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심관의 양단부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양단부에 전선관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는 전선관용 조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제 2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맞닿아 이동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구비되며 톱니형상의 가압치형이 상기 파지부의 내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치형은,
    상기 조인트몸체의 단부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선관용 조인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환형형상의 일부구간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신장 내지 수축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몸체는 그 일단에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에 전기배선박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면에 접지선의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전기배선박스의 외면에 상기 접지선의 타단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조인트몸체는 상기 접지선에 의해 상기 전기배선박스에 대해 접지되는 전선관용 조인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몸체는 그 일단에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에 가요성 전선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전선관용 조인트.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21272A 2020-02-20 2020-02-20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KR10232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72A KR102325264B1 (ko) 2020-02-20 2020-02-20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72A KR102325264B1 (ko) 2020-02-20 2020-02-20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86A KR20210106286A (ko) 2021-08-30
KR102325264B1 true KR102325264B1 (ko) 2021-11-10

Family

ID=7750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72A KR102325264B1 (ko) 2020-02-20 2020-02-20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71B1 (ko) * 2010-06-07 2012-09-10 한일튜브 주식회사 유체 라인용 커넥터
KR101593841B1 (ko) * 2014-12-12 2016-02-12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선관용 조인트
JP5974617B2 (ja) * 2012-05-08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線管コネクタ(conduit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71B1 (ko) * 2010-06-07 2012-09-10 한일튜브 주식회사 유체 라인용 커넥터
JP5974617B2 (ja) * 2012-05-08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線管コネクタ(conduitconnector)
KR101593841B1 (ko) * 2014-12-12 2016-02-12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선관용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86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317B1 (en) Cable strain relief adapter with gel sealing grommet
RU2305886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аксиальный ка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US8129633B1 (en) Connector assembly suited for wet locations
US8766109B2 (en) Cable connector with bushing element
US4842548A (en) Plastic conduit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CN105518366B (zh) 快速锁定管固定系统
US4983784A (e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9893507B2 (en) Ball grip compression fitting
CN110521075B (zh) 用于保持屏蔽电缆的保持设备
JPH04229011A (ja) 電気コネクタ
KR101989555B1 (ko) 밀폐링 기밀구조를 갖는 전선관용 연결구
US8772637B2 (en) Cable protection device and cable having the same
EP3198616B1 (en) Flange attachment
US20130081848A1 (en) Cable protection device, cable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050067832A1 (en) Sleeve of a gland assembly
US20230327414A1 (en) Bushing and cable gland including bushing
KR102325264B1 (ko) 전선관용 조인트 및 그 세트품
KR101156449B1 (ko)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KR101593841B1 (ko) 전선관용 조인트
KR10072735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200339624Y1 (ko) 케이블 그랜드
WO2019221439A1 (ko) 관 연결 조립체
CN214314307U (zh) 一种线缆锁紧结构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557750B1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