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806A -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06A
KR20110131806A KR1020100051441A KR20100051441A KR20110131806A KR 20110131806 A KR20110131806 A KR 20110131806A KR 1020100051441 A KR1020100051441 A KR 1020100051441A KR 20100051441 A KR20100051441 A KR 20100051441A KR 20110131806 A KR20110131806 A KR 2011013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ssembly
bent
coupling
coupling membe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011B1 (ko
Inventor
문종석
타츠야 하시모토
김용삼
오정원
변상원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011B1/ko
Priority to US12/929,124 priority patent/US8202134B2/en
Priority to EP11157136A priority patent/EP2390942B1/en
Publication of KR2011013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단자 구조 및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 및 상부는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나사 부재와 결합하고, 하부는 캡 조립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캡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Structure of electrode termin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단자 구조 및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우수한 전극 단자 구조 및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써, 최근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질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하나 또는 수 개의 이차 전지가 팩 상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전동 자전거와 같이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는 수십 개의 이차 전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전지 팩을 구성한다.
이차 전지에는 전극 단자가 구비되어, 전극 단자를 통해 단위 전지간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즉, 수 개 또는 수십 개의 이차 전지들을 연결하여 전지 팩을 조립할 수 있다. 전지에 외부 진동이 작용하거나 전지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전극 단자는 변형이 생기서나 단자간 풀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 및 조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 진동이나 내부 발생 열에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극 단자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 및 상부는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나사 부재와 결합하고 하부는 캡 조립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캡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 구조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 부재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를 포함하며, 이 경우 걸림턱의 직경은 기둥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일방향에서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가압부, 및 타방향에서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부의 형상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의 하부를 모두 감싸도록 절곡되어 나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나사 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의 하부에는 말단이 중공관 형상인 샤프트부가 배치되며, 샤프트부의 말단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샤프트부의 말단이 캡 조립체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에 배치되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전극 단자는, 하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 및 상부는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나사 부재와 결합하고 하부는 캡 조립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캡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의 하부는 캡 조립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결합 부재와 캡 조립체의 외측 상부면 사이에는 절연성 소재의 제1실링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부재의 하부는 캡 조립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결합 부재와 상기 캡 조립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절연성 소재의 제2실링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부와 캡 조립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 각도 절곡된 탭이 배치되어, 전극 단자와 전극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 부재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를 포함하고,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기둥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일방향에서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가압부 및 타방향에서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부의 형상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의 하부를 모두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나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나사 부재의 하부면에는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의 하부에는 말단이 중공관 형상인 샤프트부가 배치되며, 샤프트부의 말단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샤프트부의 말단이 상기 캡 조립체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사 부재와 결합 부재의 구조를 통해 전극 단자의 조립성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극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극 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전지 단자의 단계별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로서,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극 단자의 제1변형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극 단자의 제2변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극 단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제1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20), 전극 조립체(20)를 수납하는 케이스(10), 캡 조립체(30), 전극 단자(40) 등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20)를 수납한다. 케이스(10)의 일부는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한다. 개구부를 통해 전극 조립체(20)가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10)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의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케이스(10)가 x축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케이스(10)는 원통형 또는 파우치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캡 조립체(30)는 케이스(10)의 개방된 영역에 형합(形合)하는 형상이다. 캡 조립체(30)에는 전극 단자(40)가 배치된다. 전극 단자(40)는 적어도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의 전극 단자(40)는 각각 양의 전극 단자와 음의 전극 단자로 기능한다. 한 쌍의 전극 단자(40)들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전극 조립체(20)는 양극판(21)과 음극판(22) 사이에 세퍼레이터(23)를 개재하고, 횡권축(O)을 중심으로 말아서 젤리롤 형태로 제작한다. 이 때, 양극 무지부(21a)와 음극 무지부(22a)가 드러나도록 포갠 상태에서 권취할 수 있다. 양극 무지부(21a)와 음극 무지부(22a)는 각각 전극 조립체(20)의 양 단부에 드러난다.
양극판(21)은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양극 집전체에 양극용 슬러리가 도포되는 양극 활물질층(미도시)과 양극용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는 양극 무지부(21a)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용 슬러리에는 양극 활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음극판(22)은 니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 집전체에 음극용 슬러리가 도포되는 음극 활물질층(미도시)과 음극용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는 음극 무지부(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용 슬러리에는 음극 활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3)는 양극판(21)과 음극판(22) 사이에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전극 단자(4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전극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전지 단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 단자(40)는 나사 부재(310)와 나사 부재(3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320)를 포함한다. 나사 부재(3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311)와,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12)을 포함한다. 결합부재(320)는 나사 부재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322a, 322b)와, 캡 조립체(30)와 크림핑(crimping) 결합되는 샤프트부(325)를 포함한다.
나사 부재(310)의 상부에는 기둥부(31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걸림턱(312)이구비된다. 걸림턱(312)의 직경은 기둥부(311)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된다.
본실시예에서는 걸림턱(312)을 포함하는 나사 부재(310)의 하부가 납작한 사각 기둥의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걸림턱(312)의 직경이 기둥부(311)의 직경보다 크다면 구체적인 형상을 불문할 것이다. 예컨대, 기둥부(31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이거나, 육각 기둥형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결합 부재(320)의 상부에는 나사 부재(31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면(321)의 양쪽으로 제1,2가압부(322a, 322b)가 구비된다. 제1가압부(322a)와 제2가압부(322b)는 접촉면(3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후, 제1가압부(322a)와 제2가압부(322b)는 걸림턱(312)을 감싸도록 다시 절곡되면서, 걸림턱(312)을 가압한다.
제1가압부(322a)와 제2가압부(322b)에는 각각 오목홈(C)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오목홈(C)은 기둥부(311)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압부(322a)와 제2가압부(322b)가 기둥부(311)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홈(C)이 반원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둥부(311)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절곡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형상을 불문할 것이다.
결합 부재(320)의 하부에는 샤프트부(325)가 구비된다. 샤프트부(325)의 말단은 중공관 형상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절개되어 있다. 절개된 샤프트부(325)의 말단은 이 후 캡 조립체(30)의 내측면에 대하여 크림핑 결합된다. 즉, 샤프트부(325)의 말단이 캡 조립체(3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절곡된다.
도 5 및 도 6은 나사 부재(310)와 결합 부재(320)의 결합 과정 및 결합 부재(320)와 캡 조립체(30)의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결합 부재(320)의 상부는 나사 부재(310)와 폴딩(folding) 결합하고, 결합 부재(320)의 하부는 캡 조립체(30)와 크림핑 결합한다.
나사 부재(310)는 결합 부재(320)의 상측에 구비된다. 이 후, 제1가압부(322a)와 제2가압부(322b)가 걸림턱(312)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도 6과 같은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결합이 완료된 상태인 제1,2가압부(322a, 322b)는 걸림턱(312)을 감싼다. 결합 부재(320)의 샤프트부(325)는 캡 조립체(3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다. 이 후, 샤프트부(325)의 말단은 캡 조립체(3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된다. 샤프트부(325)의 말단의 길이가 길수록 결합 부재(320)와 캡 조립체(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가압부(322a)와 제2가압부(322b)가 걸림턱(312)을 감싸는 구조로 인하여, 나사 부재(310)와 결합 부재(320)간 결합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나사 부재(310)가 결합 부재(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력은 오목홈(C)을 갖는 제1,2가압부(322a, 322b)의 구조로 더욱 증대된다. 예컨대, 외부 진동에 의하여 나사 부재(310)가 좌우방향으로 더라도, 오목홈(C)이 장애물 역할을 하므로 나사 부재(310)가 결합 부재(320)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도 7은 도 1의 이차 전지를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스(10)와 전극 조립체(20)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캡 조립체(30)에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다. 캡 조립체(30)가 케이스(10)의 개구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이 주입되면, 별도로 제작된 마개(31)에 의해 폐쇄된다.
캡 조립체(30)에는 소정의 간격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 단자(40)가 구비된다. 전극 단자(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 부재(310)와 결합 부재(320)로 구성된다.
샤프트부(325)는 캡 조립체(3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다. 이 때, 제1실링 부재(71)가 캡 조립체(30)의 상부면과 결합 부재(3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실링 부재(71)는 결합 부재(320)와 캡 조립체(30)의 상부면간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제1실링 부재(71)는 전기적 절연기능을 수행한다. 제1실링 부재(71)로는, PVC, PCB, 수지 고무와 같은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부(325)가 캡 조립체(30)를 통과한 후, 샤프트부(325)의 말단은 캡 조립체(3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면서 크림핑 결합한다. 이 때, 샤프트부(325)의 말단과 캡 조립체(3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2실링 부재(72)와 탭(50)이 개재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2)는 샤프트부(325)가 통과한 캡 조립체(30)의 홀을 밀봉한다. 또한, 제2실링 부재(72)는 캡 조립체(30)의 내측면과 결합 부재(320)간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제2실링 부재(72)도 제1실링 부재(71)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절연기능을 수행한다. 제2실링 부재(72)도 PVC, PCB, 수지 고무와 같은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탭(50)은 전극 단자(40)와 전극 조립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탭(50)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서, 일단은 전극 단자(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극 조립체(20)와 연결된다. 예컨대, 탭(50)의 일단은 샤프트부(325)의 말단과 접한 상태이고, 탭(50)의 타단은 전극 조립체(20)의 양극 무지부(21a) 또는 음극 무지부(22a)와 접합된다.
미설명 부호 60은 너트 부재로서, 버스 바(미도시)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 전지들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을 직렬 연결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차 전지에 구비된 양의 전극 단자와 다른 이차 전지에 구비된 음의 전극 단자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버스 바를 배치하고, 너트 부재(60)를 나사 부재(310)와 결합시켜 버스 바를 고정시킨다.
(제2실시 형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극 조립체(20), 케이스(10), 캡 조립체(30) 등을 포함한다. 다만 전극 단자(40)의 구조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20), 케이스(10), 캡 조립체(30)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결합 부재(320)의 접촉면(321)에는 결합돌기(P)가 배치된다. 이 때 결합돌기(P)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결합돌기(P)와 대응되는 나사 부재(310)의 하부에는 결합홈(G)이 형성되어, 결합돌기(P)가 결합홈(G)에 끼워질 수 있다.
결합돌기(P)와 결합홈(G)을 통해 나사 부재(310)가 접촉면(321)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나사 부재(310)가 결합 부재(3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합돌기(P)를 통해서 나사 부재(310)와 결합 부재(320)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P)가 접촉면(321)의 모서리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접촉면(321)의 중앙에 결합돌기(P)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P)는 육면체의 형상뿐만 아니라, 반구형 또는 다면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극 조립체(20), 케이스(10), 캡 조립체(30) 등을 포함한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는 걸림턱(312)의 양쪽에서 제1,2가압부(322a, 322b)가 절곡되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922)가 걸림턱(312)이 형성된 나사 부재(910)의 하부를 모두 감싸도록 절곡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20), 케이스(10), 캡 조립체(30)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4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턱(912)이 형성된 나사 부재(910)의 하부는 납작한 원통형의 형상이다.
결합 부재(920)의 가압부(922)는 원통형의 나사 부재(910)의 하부를 전체를 감싸도록 절곡된다. 이 때, 컬링(curling) 가공 방식이 사용된다. 즉, 가압부(922)가 나사 부재(910)의 하부 전체를 감쌀 때, 원형 단면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돌기(P)와 결합홈(G)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P)와 결합홈(G)을 구비함으로써, 컬링 가공시 나사 부재(91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320)의 가압부가 나사 부재(310, 91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 진동이나 내부 발생 열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나사 부재(310, 910)가 풀릴 염려가 없다. 또한, 결합 부재(320, 920)가 캡 조립체(30)에 대하여 크림핑 결합함으로써 조립 강도와 밀봉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밀봉성은 실링 부재(71, 72)를 통해서 더욱 강화된다.
그리고, 크림핑 결합과, 폴딩 결합 또는 컬링 결합을 통해 전극 단자가 조립되므로, 전극 단자를 조립하는 과정 및 이차 전지간 전기적 연결 과정에서 별도의 용접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용접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케이스 20: 전극 조립체
30: 캡 조립체 40: 전극 단자
50: 탭 60: 너트 부재
71: 제1실링 부재 72: 제2실링 부재
310, 910: 나사 부재 311, 911: 기둥부
312, 912: 걸림턱 320, 920: 결합 부재
321: 접촉면 322a: 제1가압부
322b: 제2가압부 325, 925: 샤프트부
922: 가압부 C: 오목홈
G: 결합홈 P: 결합돌기

Claims (17)

  1. 하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 및
    상부는 상기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나사 부재와 결합하고, 하부는 캡 조립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캡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기둥부의 직경 보다 큰 전극 단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일방향에서 상기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가압부; 및
    타방향에서 상기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나사부의 형상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전극 단자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나사 부재의 하부를 모두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나사 부재와 결합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단자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구비되는 전극 단자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하부에는 말단이 중공관 형상인 샤프트부가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의 말단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절개된 샤프트부의 말단이 상기 캡 조립체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는 전극 단자 구조.
  8.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캡 조립체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는,
    하측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나사 부재; 및
    상부는 상기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나사 부재와 결합하고, 하부는 캡 조립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캡 조립체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하부는 상기 캡 조립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캡 조립체의 외측 상부면 사이에는 절연성 소재의 제1실링 부재가 더 포함되는 이차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하부는 상기 캡 조립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캡 조립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절연성 소재의 제2실링 부재가 더 포함되는 이차 전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와 상기 캡 조립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 각도 절곡된 탭이 배치되어,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차 전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기둥부의 직경 보다 큰 이차 전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일방향에서 상기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가압부; 및
    타방향에서 상기 걸림턱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나사부의 형상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이차 전지.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나사 부재의 하부를 모두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나사 부재와 결합하는 이차 전지.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구비되는 이차 전지.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하부에는 말단이 중공관 형상인 샤프트부가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의 말단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절개된 샤프트부의 말단이 상기 캡 조립체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는 이차 전지.
KR1020100051441A 2010-05-31 2010-05-31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21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41A KR101214011B1 (ko) 2010-05-31 2010-05-31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12/929,124 US8202134B2 (en) 2010-05-31 2011-01-03 Electrode terminal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11157136A EP2390942B1 (en) 2010-05-31 2011-03-07 Electrode terminal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41A KR101214011B1 (ko) 2010-05-31 2010-05-31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06A true KR20110131806A (ko) 2011-12-07
KR101214011B1 KR101214011B1 (ko) 2012-12-26

Family

ID=4390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41A KR101214011B1 (ko) 2010-05-31 2010-05-31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02134B2 (ko)
EP (1) EP2390942B1 (ko)
KR (1) KR101214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6649B2 (en) 2012-06-28 2018-08-14 Midtronics, Inc. Hybrid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maintenance device
DE112011101892T5 (de) 2010-06-03 2013-03-21 Midtronics, Inc. Akku-Satz-Wartung für elektrische Fahrzeuge
US11740294B2 (en) 2010-06-03 2023-08-29 Midtronics, Inc. High use battery pack maintenance
US8309246B2 (en) * 2010-10-25 2012-11-13 Sb Limotive Co., Ltd.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7723B1 (ko) * 2011-07-28 2018-10-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US10429449B2 (en) 2011-11-10 2019-10-01 Midtronics, Inc. Battery pack tester
JP6037204B2 (ja) * 2012-06-12 2016-12-0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導電性部材
US11325479B2 (en) 2012-06-28 2022-05-10 Midtronics, Inc. Hybrid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maintenance device
US20140079959A1 (en) * 2012-09-19 2014-03-20 Reginald Leonard Nicoson Battery for Motorized Vehicles
FI124657B (en) * 2012-12-31 2014-11-28 Suunto Oy Male connector for telemetric receiver
TWI543451B (zh) * 2013-07-30 2016-07-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組合
US10843574B2 (en) 2013-12-12 2020-11-24 Midtronics, Inc. Calibration and programming of in-vehicle battery sensors
US9581186B2 (en) * 2014-02-10 2017-02-28 Sungwoo Hitech Co., Ltd. Rivet stud bolt and panel joint structure of the same
US9680239B2 (en) 2014-04-23 2017-06-13 Ramco Specialties, Inc. Grounding stud and electrical connections
CN105304852A (zh) * 2014-06-03 2016-02-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极片结构及电池模组
US10473555B2 (en) 2014-07-14 2019-11-12 Midtronics, Inc. Automotive maintenance system
US10222397B2 (en) 2014-09-26 2019-03-05 Midtronics, Inc. Cable connector for electronic battery tester
US10673050B2 (en) * 2015-01-05 2020-06-02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US10317468B2 (en) 2015-01-26 2019-06-11 Midtronics, Inc. Alternator tester
US9966676B2 (en) * 2015-09-28 2018-05-08 Midtronics, Inc. Kelvin connector adapter for storage battery
US10243244B2 (en) * 2015-11-04 2019-03-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bonding metal parts to the polymer packaging of a battery module
US10608353B2 (en) 2016-06-28 2020-03-31 Midtronics, Inc. Battery clamp
US11054480B2 (en) 2016-10-25 2021-07-06 Midtronics, Inc. Electrical load for electronic battery tester and electronic battery tester including such electrical load
CN109964336B (zh) * 2017-01-06 2021-10-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顶盖结构、动力电池及电池模组
US11513160B2 (en) 2018-11-29 2022-11-29 Midtronics, Inc. Vehicle battery maintenance device
US11566972B2 (en) 2019-07-31 2023-01-31 Midtronics, Inc. Tire tread gauge using visual indicator
US11545839B2 (en) 2019-11-05 2023-01-03 Midtronics, Inc. System for charging a series of connected batteries
US11668779B2 (en) 2019-11-11 2023-06-06 Midtronics, Inc. Hybrid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maintenance device
US11474153B2 (en) 2019-11-12 2022-10-18 Midtronics, Inc. Battery pack maintenance system
US11973202B2 (en) 2019-12-31 2024-04-30 Midtronics, Inc. Intelligent module interface for battery maintenance device
US11486930B2 (en) 2020-01-23 2022-11-01 Midtronics, Inc. Electronic battery tester with battery clamp storage holsters
US11942741B2 (en) * 2022-05-05 2024-03-26 Milbank Manufacturing Co. Meter socket with meter jaw and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336B2 (ja) * 1996-12-26 2003-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密閉式蓄電池
US6126493A (en) * 1998-08-10 2000-10-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fastener
JP2000138055A (ja) 1998-11-02 2000-05-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WO2001003880A1 (de) 1999-07-09 2001-01-18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Funktionselement, verfahren zum einbringen des funktionselementes in ein blechteil, zusammenbauteil und stempelanordnung
WO2002053924A1 (de) 2000-12-29 2002-07-11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Bolzenelement mit einem schaftteil und einem kugelkopf, zusammen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olzenelements
JP2001327114A (ja) 2000-05-12 2001-11-22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機の端子台
EP1162692B1 (en) * 2000-06-05 2008-03-05 Yazaki Corporation Battery terminal and battery post adaptor
US7056161B2 (en) * 2001-02-20 2006-06-06 Newfrey Llc Grounding stud
US6491487B1 (en) * 2001-07-19 2002-12-10 Fabristeel Products, Inc. Double-ended self-attaching stud
US6858343B2 (en) * 2002-03-27 2005-02-22 Csb Battery Co., Ltd. Terminal having nut-positioning device
DE10226119A1 (de) * 2002-06-12 2003-12-24 Ejot Gmbh & Co Kg Aus federndem Blech bestehendes Klemmstück
KR100599795B1 (ko) * 2004-06-29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96666B1 (ko) 2005-07-29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202006012577U1 (de) * 2006-08-11 2007-12-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ggregateträger zum Einbau in einer Türstruktur eine Kraftfahrzeugtür
WO2008027582A2 (en) * 2006-09-01 2008-03-06 Milbank Manufacturing Co. Improved meter jaw assembly
JP4738323B2 (ja) * 2006-12-06 2011-08-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締結具
US8033875B1 (en) * 2010-10-28 2011-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terminal with an opening coaxial with openings in a U-shaped terminal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0942A1 (en) 2011-11-30
KR101214011B1 (ko) 2012-12-26
EP2390942B1 (en) 2012-09-12
US20110294367A1 (en) 2011-12-01
US8202134B2 (en)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011B1 (ko)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7862928B2 (en) Can for a battery and battery using the same
JP4611852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2376931B (zh) 可再充电电池、电池模块和可再充电电池的电极端子组件
US7968228B2 (en) Secondary battery
JP4642010B2 (ja) 導電性プレート及びパック電池
EP2385566A1 (en)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CN105609862B (zh) 可再充电电池
KR102029406B1 (ko) 이차 전지
US10396338B2 (en) Battery
US10396336B2 (en) Secondary battery
EP3046158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pack of the same
JP6669447B2 (ja) カバーを有する二次電池
US8945759B2 (en) Rechargeable battery
JP2020205269A (ja) 捲回型電池
KR20060111838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490029A (zh) 蓄电元件及导电性构件
US9023517B2 (en) Secondary battery
EP3726622A1 (en) Secondary battery
KR20150096113A (ko) 이차 전지
KR20170110821A (ko) 스크류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원통형 캔을 포함하는 전지셀
US9608240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60138782A (ko) 이차전지
US10230075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nsulating member
KR102612062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