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234A - 검사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검사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234A
KR20110131234A KR1020117022499A KR20117022499A KR20110131234A KR 20110131234 A KR20110131234 A KR 20110131234A KR 1020117022499 A KR1020117022499 A KR 1020117022499A KR 20117022499 A KR20117022499 A KR 20117022499A KR 20110131234 A KR20110131234 A KR 2011013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portion
housing
coaxial connector
inspectio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809B1 (ko
Inventor
요시히로 오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3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에 끼워 맞출 수 있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한다.
외부도체를 가지는 피검사체인 상대방 리셉터클에 착탈 자유로운 검사용 동축 커넥터(1). 하우징(25)은 외부도체가 삽입되는 통상의 선단부(26a)를 가지고 있는, 선단부(26a)는 그 지름이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프로브(10)는 하우징(25)과 절연된 상태로 선단부(26a) 내를 연장되어 있다. 규제 부재(50)는 통상의 선단부(26a)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규제부(50b), 및 하우징(25)에 장착되는 통상의 고정부(50a)를 가진다. 고정부(50a)의 지름은 선단부(26a)의 지름보다도 크다. 상대방 리셉터클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 선단부(26a)가 규제부(50b)에 접촉함으로써 선단부(26a)의 지름이 넓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Description

검사용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FOR INSPECTION}
본 발명은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피검사체인 상대방 리셉터클(receptacle)에 착탈 자유로운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검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에 상기 검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a)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검사장치(101)의 선단 부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b)는 검사장치(101)가 장착되는 동축 커넥터(201)이다. 도 8에 있어서 프로브(probe)(110)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검사장치(101)는 도시하지 않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마련되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110), 부싱(bushing)(120) 및 하우징(125)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브(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125)은 원통형을 이루고, 도시하지 않는 동축 케이블의 쉴드 도체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로브(110)는 하우징(125) 내를 삽통하고 있다. 부싱(120)은 프로브(110)와 하우징(125)을 절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검사장치(101)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201)에 장착된다. 동축 커넥터(201)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의 안테나와 송수신 회로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이며, 케이스(203), 외부도체(205), 고정 단자(206) 및 가동 단자(207)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 단자(206)는 안테나에 접속되고, 가동 단자(207)는 송수신 회로에 접속된다. 그리고, 통상은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단자(206)와 가동 단자(207)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안테나와 송수신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세트 메이커가 휴대전화의 송수신 회로의 전기 특성을 체크할 경우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기가 접속된 프로브(110)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케이스(203)의 구멍(204)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단자(207)가 프로브(110)에 의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쓰러뜨려 진다. 그 결과, 고정 단자(206)와 가동 단자(207)가 떨어지는 동시에, 프로브(110)와 가동 단자(207)가 접속되고, 송수신 회로와 측정기가 접속되게 된다.
또한 검사장치(101)가 동축 커넥터(201)에 장착될 때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25) 내에 외부도체(205)가 삽입된다. 이때, 하우징(125)은 외부도체(205)가 그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지름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형시켜진다. 그 결과, 하우징(125)이 외부도체(205)를 조여, 검사장치(101)가 동축 커넥터(201)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검사장치(101)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25)을 외부도체(205)에 적절한 크기의 힘으로 끼워 맞추는 것이 곤란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의 수요에 수반하여, 동축 커넥터(201)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동축 커넥터(201)가 소형화하면, 도 8에 나타내는 외부도체(205)의 지름도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도체(205)가 삽입되는 하우징(125)의 지름도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25)의 지름이 작아지면, 하우징(125)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하우징(125)을 외부도체(205)에 충분한 크기의 힘으로 끼워 맞추기 위해, 하우징(125)의 지름을 작게 제작하면, 하우징(125)이 소성(塑性) 변형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하우징(125)이 소성 변형하지 않도록, 하우징(125)의 지름을 크게 제작하면, 하우징(125)이 외부도체(205)에 충분한 크기의 힘으로 끼워 맞춰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검사장치(101)는 하우징(125)을 정밀도 높게 가공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높아져 버리는 문제를 가진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319227호(도 11)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에 끼워 맞출 수 있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는, 외부도체를 가지는 피검사체인 상대방 리셉터클에 착탈 자유로운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가 삽입되는 통상(筒狀)의 선단 부분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절연된 상태로 상기 선단 부분 내를 연장되어 있는 프로브와, 상기 선단 부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규제부,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통상의 고정부를 가지는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의 지름은 상기 선단 부분의 지름보다도 크며, 상기 선단 부분은 상기 선단 부분의 지름이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규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단 부분의 지름이 넓어지는 것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규제 부재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프로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피검사체인 상대방 리셉터클에의 장착 전 및 장착 후에서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선단 부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규제 부재를 사시(斜視) 및 평면시(平面視)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8(a)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검사장치의 선단 부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b)는 검사장치가 장착되는 동축 커넥터이다.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구조)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규제 부재(50)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프로브(10)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10), 부싱(20), 하우징(25) 및 규제 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프로브(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11), 코일 스프링(12) 및 배럴(13)로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단부에 평탄 부분을 가지는 베릴륨구리제의 핀이다. 배럴(13)은 하측에 개구를 가지는 놋쇠제의 통상의 부재이다. 배럴(13)의 내부에는 플런저(11) 및 코일 스프링(12)이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11)는 하측으로부터 꽉 눌러진 경우, 코일 스프링(12)이 줄어들어 상측으로 퇴피할 수 있다.
또한 배럴(13)의 상측에는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1)가 솔더링되어 있다. 플런저(11)의 상측의 단부 근방의 외주면은 배럴(13)의 원통 부분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플런저(11)와 중심 도체(41)가 배럴(13)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25)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21), 상부(25a) 및 하부(2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25a)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베릴륨구리)로 이루어지는 통상체이다. 상부(25a)에는 개구부(29)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25b)는 상부(25a)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 상부(25a)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베릴륨구리)로 이루어지는 통상체이다. 상부(25a) 및 하부(25b)는 동축 케이블(40)의 쉴드 도체(42)에 어댑터(43)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25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6a) 및 돌출부(26b)를 포함하고 있다. 선단부(26a)는 하부(25b)의 하측에서의 선단 부분이며, 후술하는 상대방 리셉터클의 외부도체가 삽입된다. 선단부(26a)는 하부(25b)의 상기 선단부(26a) 이외의 부분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선단부(26a)의 지름이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6a)에는 선단부(26a)의 선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2)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26a)의 스프링성에 의해, 슬릿(S2)이 넓어짐으로써, 선단부(26a)는 수평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26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6a)의 내주면에 있어서 선단부(26a)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21)는 원반상의 부재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5)의 상부(25a)의 상측의 개구를 막도록 마련되어 있다.
부싱(20)은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통상체이다. 부싱(2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1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부싱(20)의 선단으로부터는 프로브(10)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프로브(10)가 삽입된 부싱(2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하우징(25)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부싱(20)은 절연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로브(10)와 하우징(25)은 절연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11)는 하우징(25)의 선단부(26a) 내를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선단부(26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규제 부재(5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50a) 및 규제부(50b)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50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우징(25)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50a)의 내경은 선단부(26a)의 외경보다도 크다. 그리고, 고정부(50a)는 선단부(26a)측(즉, 하측)으로부터, 하우징(25)의 하부(25b)에 대하여 압입(壓入)됨으로써 하우징(2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50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6a)의 상측에 있어서 하부(25b)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50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50a)의 하측에 접속되어 있고,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단, 규제부(50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1)이 마련됨으로써 C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50b)는 그 지름이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규제부(50b)의 스프링성에 의해, 슬릿(S1)이 넓어짐으로써 규제부(50b)는 수평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규제부(50b)의 내경은 선단부(26a)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그 때문에, 고정부(50a)가 하부(25b)에 장착되면, 규제부(50b)는 선단부(26a)의 주위를 둘러싸게 된다. 즉, 규제부(50b)의 내주면은 선단부(26a)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게 된다. 또한 규제부(50b)의 하단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6a)의 하단과 일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규제부(5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리셉터클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 선단부(26a)의 지름이 넓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조립 순서)
다음으로,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프로브(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부터 배럴(13)에 코일 스프링(12) 및 플런저(11)를 삽입하여, 프로브(1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상기 프로브(10)를 부싱(20)의 중심 구멍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측으로부터 부싱(20)을 하우징(25)의 중심 구멍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1)를 하우징(25)의 개구부(29)(도 1 참조)로부터 삽입하여 배럴(13)의 홈부(13a)에 솔더링한다. 이것에 의해, 중심 도체(41)는 배럴(13) 및 코일 스프링(12)을 통해 플런저(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40)의 쉴드 도체(42)와 접속되어 있는 어댑터(43)를 하우징(25)의 개구부(29)에 끼워 맞추고, 링(44)을 어댑터(43)의 외주부에 스웨이징(swaging)한다. 이것으로 쉴드 도체(42)가 어댑터(43)를 통해 하우징(25)과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40)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측정기에의 접속용 커넥터(45)(도 1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21)를 하우징(25)의 상면에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규제 부재(50)를 하측으로부터 하부(25b)에 대하여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완성된다.
(검사용 동축 커넥터의 동작)
다음으로,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피검사체인 상대방 리셉터클(301)에의 장착 전 및 장착 후에서의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선단 부분의 단면 구조도이다.
우선,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대방 리셉터클(301)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의 안테나와 송수신 회로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이며, 케이스(303), 외부도체(305), 고정 단자(306) 및 가동 단자(307)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 단자(306)는 안테나에 접속되고, 가동 단자(307)는 송수신 회로에 접속된다.
우선,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10)는 선단부(26a) 및 규제부(50b)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6a)의 외주면은 규제부(50b)에 약간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약간의 틈을 통해 떨어져 있다. 이때, 상대방 리셉터클(301)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단자(306)와 가동 단자(307)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안테나와 송수신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장착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트 메이커가 휴대전화의 송수신 회로의 전기 특성을 체크할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기가 접속된 프로브(10)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케이스(303)의 구멍(304)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단자(307)가 프로브(10)에 의해 하측으로 밀린다. 그 결과, 고정 단자(306)와 가동 단자(307)가 떨어지는 동시에, 프로브(10)와 가동 단자(307)가 접속되고, 송수신 회로와 측정기가 접속되게 된다. 이때, 가동 단자(307)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12)이 줄어들어 프로브(10)가 상측으로 퇴피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단자(307)의 파손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도 6(b)의 상태에 있어서 외부도체(305)가 선단부(26a) 내에 삽입된다. 선단부(26a)의 내경은 외부도체(305)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다. 그 때문에, 선단부(26a)는 외부도체(305)에 의해 약간 밀려 넓어진다. 단, 선단부(26a)의 외주면은, 도 6(a)의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50b)의 내주면과 접촉 또는 약간의 틈을 통해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선단부(26a)가 넓어지면, 선단부(26a)의 외주면은 규제부(50b)의 내주면에 압접하게 된다. 그 결과, 규제부(50b)는 선단부(26a)에 의해 약간 밀려 넓어진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50b)는 선단부(26a)가 지나치게 넓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26b)가 외부도체(305)의 외주에 형성된 홈(305a)에 걸어 맞춰지는 동시에, 선단부(26a) 및 규제부(50b)가 외부도체(305)의 상면(305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의 수요에 수반하여, 도 8에 나타내는 타입의 동축 커넥터(201)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동축 커넥터(201)가 소형화하면, 도 8에 나타내는 외부도체(205)의 지름도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도체(205)가 삽입되는 하우징(125)의 지름도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25)의 지름이 작아지면, 하우징(125)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하우징(125)을 외부도체(205)에 충분한 크기의 힘으로 끼워 맞추기 위해, 하우징(125)의 지름을 작게 제작하면, 하우징(125)이 소성 변형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하우징(125)이 소성 변형하지 않도록, 하우징(125)의 지름을 크게 제작하면, 하우징(125)이 외부도체(205)에 충분한 크기의 힘으로 끼워 맞춰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검사장치(101)는 하우징(125)을 정밀도 높게 가공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높아져 버린다는 문제를 가진다.
그리하여,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부(50b)가 마련되어 있다. 규제부(50b)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장착된 경우에는 선단부(26a)에 의해 약간 밀려 넓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검사장치(101)는, 하우징(125)이 외부도체(205)를 조이는 힘만으로 동축 커넥터(201)에 끼워 맞춰져 있던 것에 비해,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선단부(26a)가 외부도체(305)를 조이는 힘 및 규제부(50b)가 선단부(26a)를 조이는 힘에 의해,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끼워 맞춰져 있다.
이상과 같은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부(50b)는 선단부(26a)가 외부도체(305)를 조이는 것을 보조하고 있다. 따라서, 선단부(26a)가 조이는 힘은 하우징(125)이 조이는 힘보다도 작아도 된다. 그 결과, 선단부(26a)의 지름을 크게 제작하거나, 슬릿(S2)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선단부(26a)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부(50b)가 조이는 힘이 존재하므로, 선단부(26a)의 지름을 크게 제작하거나, 슬릿(S2)을 크게 형성해도,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또한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50)를 용이하게 하부(25b)에 장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 부재(50)는 고정부(50a) 및 규제부(5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50a) 및 규제부(50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6a)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선단부(26a)는 고정부(50a) 및 규제부(50b) 내를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 부재(50)를 하측으로부터 하부(25b)에 대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고정부(50a) 및 규제부(50b)를 변형시키지 않고, 하측으로부터 밀어 넣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부(25b)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장착되었을 때에, 선단부(26a) 및 규제부(50b)가 외부도체(305)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규제부(50b)는 외부도체(305)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따라서, 검사용 동축 커넥터(1)의 상대방 리셉터클(301)에의 장착시마다, 하부(25b)에 대한 고정부(50a)의 압입이 반복되게 된다. 그 결과, 하부(25b)로부터 규제 부재(50)가 떨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상대방 리셉터클(301)에 장착되었을 때에, 선단부(26a) 및 규제부(50b)가 외부도체(305)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부(50b)가 외부도체(30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검사용 동축 커넥터(1)가 외부도체(305)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수평 방향의 폭이 커진다. 그 때문에,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외부로부터의 힘 등에 의해 기울어지기 어려워져, 상대방 리셉터클(301)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검사용 동축 커넥터(1)에서는, 규제 부재(50)는 고정부(50a) 및 규제부(5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50a)는 하부(25b)에 규제 부재(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규제부(50b)는 선단부(26a)가 넓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규제 부재(50)의 2개의 구성이 각각 다른 역할을 함으로써, 하나의 구성이 2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고정부(50a)와 규제부(50b)의 각각에 적합한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이하에 변형예에 따른 규제 부재(5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규제 부재(50')를 사시 및 평면시한 도면이다.
규제 부재(50)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슬릿(S1)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규제 부재(50')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4개)의 슬릿(S1)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릿(S1)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된다.
또한 검사용 동축 커넥터(1)는 동축 케이블(40)을 통해 측정기에 접속되어 있다고 했지만,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4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측정기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유용하며, 특히 적절한 힘으로 상대방 리셉터클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점에 있어서 뛰어나다.
S1, S2: 슬릿 1: 검사용 동축 커넥터
10: 프로브 11: 플런저
12: 코일 스프링 13: 배럴
20: 부싱 21: 디스크
25: 하우징 25a: 상부
25b: 하부 26a: 선단부
26b: 돌출부 50, 50': 규제 부재
50a: 고정부 50b: 규제부

Claims (6)

  1. 외부도체를 가지는 피검사체인 상대방 리셉터클(receptacle)에 착탈 자유로운 검사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가 삽입되는 통상(筒狀)의 선단 부분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절연된 상태로 상기 선단 부분 내를 연장되어 있는 프로브(probe)와,
    상기 선단 부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규제부,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통상의 고정부를 가지는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의 지름은 상기 선단 부분의 지름보다도 크며,
    상기 선단 부분은 상기 선단 부분의 지름이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규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단 부분의 지름이 넓어지는 것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선단 부분측으로부터 압입(壓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선단 부분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통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에는 상기 프로브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1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분에는 상기 프로브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의 슬릿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20117022499A 2009-04-01 2010-01-28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1183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8647 2009-04-01
JP2009088647 2009-04-01
PCT/JP2010/051106 WO2010113536A1 (ja) 2009-04-01 2010-01-28 検査用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234A true KR20110131234A (ko) 2011-12-06
KR101183809B1 KR101183809B1 (ko) 2012-09-17

Family

ID=4282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499A KR101183809B1 (ko) 2009-04-01 2010-01-28 검사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1587B2 (ko)
KR (1) KR101183809B1 (ko)
CN (1) CN102365790B (ko)
WO (1) WO20101135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3895A1 (ja) * 2017-10-10 2019-04-18 株式会社ヨコオ 2極コネクタ組立体、及び2極コネクタ組立体におけるケーブル側コネクタ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5699B1 (en) 2012-01-11 2017-03-22 Spinner GmbH RF Connector
KR101504873B1 (ko) * 2014-08-13 2015-03-20 주식회사 기가레인 검사용 동축 커넥터
WO2016101169A1 (zh) * 2014-12-24 2016-06-30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同轴连接器及腔体滤波器
CN209570612U (zh) 2016-05-26 2019-11-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检查用l型同轴连接器
JP7298770B2 (ja) * 2020-03-06 2023-06-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検査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8116B (en) * 2000-03-31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eptacle for coaxial plug connector
JP4152242B2 (ja) * 2003-04-15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674210B2 (ja) * 2003-09-17 2011-04-20 フーバー ウント ズーナ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同軸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TWI291269B (en) * 2006-01-13 2007-12-11 Murata Manufacturing Co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probe for measur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3895A1 (ja) * 2017-10-10 2019-04-18 株式会社ヨコオ 2極コネクタ組立体、及び2極コネクタ組立体におけるケーブル側コネクタ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3536A1 (ja) 2010-10-07
CN102365790A (zh) 2012-02-29
JPWO2010113536A1 (ja) 2012-10-04
JP5071587B2 (ja) 2012-11-14
CN102365790B (zh) 2014-04-30
KR101183809B1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583B2 (en) Probe connector
JP6711469B2 (ja) プローブ
KR1011838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US1135588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106350B1 (ko) 동축 커넥터
KR1012393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
KR101894965B1 (ko) 프로브 핀 및 ic 소켓
CN112290294B (zh) 带浮动机构的同轴连接器
US10910778B2 (en) Conductive coaxial connector
JP2006066384A (ja)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JP2014123482A (ja) 検査用同軸コネクタ
JP2012099246A (ja) 検査用同軸コネクタ及びプローブ
US202100578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1357155B (zh) 插塞连接器
WO2003103095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77668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CA2904434C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US9106035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JP2011198627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9246244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JP2023517065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9921227B (zh) 通信连接器
WO2021065702A1 (ja) プローブ
JP2009231105A (ja) ジャック
KR20230152435A (ko) 안정적인 전기접촉을 위한 전기자동차용 포고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