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459A -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계기판 - Google Patents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계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459A
KR20110130459A KR1020117023656A KR20117023656A KR20110130459A KR 20110130459 A KR20110130459 A KR 20110130459A KR 1020117023656 A KR1020117023656 A KR 1020117023656A KR 20117023656 A KR20117023656 A KR 20117023656A KR 20110130459 A KR20110130459 A KR 20110130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operating
component
dashboard
electro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853B1 (ko
Inventor
조아힘 한-하인체
레오나르트 낫테러
닐스 포슈밧타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3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계기판, 특히 자동차용 계기판(100)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 공간 쪽을 향해 계기판(100)의 몸체(110)에 끼워지거나 씌워지는 동시에 계기판(100)의 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걸쳐 놓이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이 배치되도록 조치한다.

Description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계기판{INSTRUMENT PANEL HAVING A DISPLAY AND OPERATING COMPONEN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계기판, 특히 자동차용 계기판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들 또는 다른 자동차들의 계기판들은 다수의 표시 계기들(킬로미터 카운터를 갖는 타코미터, 회전 속도계, 냉각수 온도 및 연료 게이지, 시계, 주행 방향 지시용 컨트롤 램프들, 엔진 오일 레벨, 배터리 충전 상태, 상향등 등), 조작 요소들(차량 조명, 경고 점멸등 시스템, 또는 후방 유리창 가열용 토글 스위치들, 공조 시스템의 온도 및 공기 분포 조절용 제어 밸브 또는 제어 스위치들 등), 및 자동차의 앞 부분에 위치한 공조 시스템의 배출 노즐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그러한 계기판의 내부 공간 쪽을 향한 몸체는 다수의 앵글들과 코너들을 구비하는데, 그들은 계기판의 시각적 외관을 저해한다.
또한, 계기판의 몸체에 표시 및 조작 요소를 위해 마련되는 리세스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통상적으로 계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으로부터 보일 수 있는 이음매들과 경계를 이루고 있고, 그로 인해서 역시 일관된 시각적 외관의 저해가 발생하게 된다.
계기판의 형성에 대한 기술적 자유도 및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계기판으로부터 떼어진 개별 표시 계기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그들은 예컨대 DE 10 2006 047 020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은 계기 블록과 장착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정보 표시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다. 장착 유닛은 계기 블록을 차량의 내부 공간 쪽으로 계기판의 전방 지점에 지지한다. 이때, 계기 블록은 차량 운전자에 대한 최적의 조망 상태 및 가시성 상태를 얻기 위해 장착 유닛에 대해 정향될 수 있다.
그로부터 출발한 본 발명의 과제는 계기판 형성에 대해 전술한 원하는 자유도를 제공하면서 다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을 큰 비용의 소요 없이 가변적으로 배치 및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계기판을 개선하는 것이다.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이 배치되는 몸체를 구비한 계기판들, 특히 자동차용 계기판들이 공지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 또는 다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이 표시 및 조작 유닛을 이룬다.
이때,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은 (DE 198 07 309 A1에서와 같이) 계기판에 직접 끼워지거나, 아니면 (DE 10 2006 047 020 A1에서와 같이) 계기판의 전방에 얹혀지는 개별적인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이다.
그러한 선행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은 전혀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차량의 내부 공간 쪽을 향해 계기판의 몸체에 끼워지거나 그 몸체에 씌워지는 동시에 계기판의 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걸쳐 놓이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일종의 조작 패널)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계기판의 몸체의 형성을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형성과는 전혀 무관하게 의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한편으로 계기판의 구성에 있어서는 물론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구성에 있어서도, 그리고 그에 따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에서 이뤄지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의 배치에 있어서도, 설계상의 관점과 기술적 관점을 서로 무관하게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고객 요구와 관련하여서도, 계기판과 계기판의 몸체에 씌워지거나 끼워지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가 그 색상 및/또는 그 표면 속성에 있어 수월하게 서로 맞춰질 수 있도록 기술적 자유도 및 설계상의 자유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큰 이점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가 그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과 함께 계기판의 몸체에 간단하게 조립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계기판의 정면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배면 사이에 갭(gap) 형태의 개재 공간을 형성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베이스 서포트(base support)로서의 하부와 조작 표면으로서의 상부를 포함하는데, 베이스 서포트 및/또는 조작 표면의 형태는 계기판과는 무관하게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 서포트와 상부는 서로 연결된다. 가역적인 클립핑(clipping) 또는 로킹(locking)이 제안된다.
그러나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형성하면서 상부와 하부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가 전체적으로 계기판에 맞춰 구성될 수도 있는데, 계기판의 형태 그 자체도 자유롭게, 즉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와는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내부에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형태에 맞춰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조작 표면의 배후에 (표시 및 조작 유닛의 이음매 없이 마감된 표면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는 동시에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에서의 그 위치에 있어 (고객 요구에 따라 한 벌로 또는 개별적으로) 계기판의 몸체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없이 임의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 구성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이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free-programmable) 디스플레이의 타입의 콤비 계기판으로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자동차의 운전자에 대해 중앙에 배치됨)을 구비한다.
또한, 예시적 구성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인포테인먼트 및/또는 내비게이션 및/또는 공조 및 환기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이 배치된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자동차의 운전자의 우측에 배치됨)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을 구비한다.
끝으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 시스템 조작 유닛 및/또는 자동차의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및/또는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조작 유닛이 배치되는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자동차의 운전자의 좌측에 배치됨)을 구비한다.
계기판의 몸체의 전방 또는 그 몸체에 배치되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상부는 그 외면 및/또는 내면에 코팅을 갖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얇은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코팅은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의 영역 그리고 표시 및 조작 유닛을 형성하는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의 영역에서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수동 인쇄 또는 자동 인쇄, 코팅, 또는 절삭 공정들에 의해 제거되고/제거되거나 처음부터 부착되지 않는데, 그러한 공정들 중에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full surface)들 및/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심벌들이 생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상부는 그 상면 및/또는 내면에 포일을 구비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얇은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데, 포일은 특정 영역들에서는 부착되지 않거나 특정 영역들에서는 제거되고, 그럼으로써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의 영역에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들 및/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심벌들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들의 배후에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들, 예컨대 터치스크린이 배치되거나,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심벌들의 배후에 램프를 구비한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 내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상부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를 통해 빛을 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조작 표면에의 접근 및/또는 그 조작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정전식 터치스크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식 표시 및 조작 요소이다.
이를 전제로 하여,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은 바람직한 제1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전식 표시 및 조작 요소로 형성되거나(정전식 키 버튼으로서 형성됨), 다른 바람직한 제2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전식 스크롤 바(소위 슬라이더)로 형성되거나, 바람직한 제3 구성에서 정전식 키 버튼과 정전식 스크롤 바의 조합으로서 형성된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을 위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조작 표면에 정전식 키 버튼 및/또는 정전식 슬라이더용의 키 버튼 트레이 및/또는 슬라이더 트레이(즉,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조작 표면에 있는 트레이 형태의 리세스들)를 구비한다.
그와 관련하여,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베이스 서포트에 있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배면에도 역시 슬라이더 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하부 에지에 놓인 정전식 슬라이더에 대해 사용자에게 인체공학적 조작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들은 나머지 종속 청구항들에 언급되고 있는 특징들로부터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기판 형성에 대해 전술한 원하는 자유도를 제공하면서 다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을 큰 비용의 소요 없이 가변적으로 배치 및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계기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들에 의거하여 실시예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a는 자동차에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계기판을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계기판을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도면이며;
도 1c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조작 표면의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 2a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배치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베이스 서포트의 상세도이며;
도 2b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배치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의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에서의 베이스 서포트의 상세도이다.
도 1a는 자동차의 내부 공간에 있는 계기판(1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계기판(100)은 몸체(110)를 구비한다. 앞에서 선행 기술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몸체(110)에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수납된다. 그러한 선행 기술과는 달리, 도 1a는 차량의 내부 공간 쪽으로 향하고 계기판(100)의 몸체(110)에 끼워지거나 씌워지는 동시에 계기판(100)의 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걸쳐 놓이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략 차량 운전자의 영역에 배치된다. 거기에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가 계기판(100)에 고정되거나,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가 엔진 쪽으로 계기판(100)을 통해 맞물려 그 뒤에 있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된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의 전체 영역에 걸쳐 배치되거나 심지어 자동차의 다른 위치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후에 계속되는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에서, 계기판(100)의 몸체(110)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옆으로 하부 영역에 있는 센터 콘솔(300; center console)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센터 콘솔(300)은 도 1b에 더욱 잘 도시되어 있다.
이후에 계속되는 설명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계기판(100)의 몸체(110)에 속하는 모든 개념들 및 부품들을 1xx의 3자리 도면 부호들로 지시하기로 한다. 2xx의 3자리 도면 부호들로 지시되는 모든 개념들 및 부품들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속하는 것들이고, 3xx의 3자리 도면 부호들로 지시되는 모든 개념들 및 부품들은 센터 콘솔(300)에 속하는 것들이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210),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 및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을 구비한다.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210)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중앙에서 운전자의 바로 정면에 배치되는데, 그러한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210)에는 조작 및 표시 디스플레이(211)가 배치되고, 그 조작 및 표시 디스플레이(211)에는 예컨대 속도계, 회전 속도계 등과 같은 자동차의 콤비 계기가 표시된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배치되는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 상기 디스플레이(211) 상에서는, 종래에 계기판에 삽입되던 표시 및 조작 유닛들[예컨대 타코미터, 회전 속도계, 연료 탱크 게이지, 냉각수 온도 게이지, 경고등, 및 주행 방향 지시기(점멸등)와 같은 유닛들]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및 표시 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다. 조작 및 표시 디스플레이(211)를 위해, 도 2a에 도시된 낮은 깊이의 구조 공간(204)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마련된다.
도 1a로부터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콤비 계기(211)의 영역에서 오목하게 구성되어 리세스(202)를 구비한다. 다른 경우라면 계기판(100)의 몸체(110)에 수납되었을 통상의 다수의 지시 계기들이 이제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디스플레이(211)에 배치되므로, 계기판(100)의 몸체(110)가 그 어떤 표시 및 조작 요소들과도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전방 유리창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 사이의 구조에서의 계기판(100)의 시각적 외관은 그 높이에 있어 계기판(100)의 몸체의 높이에 간단하게 맞춰질 수 있는데, 서로 무관하게 별개로 배치됨으로 인해 계기판(100)은 물론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도 큰 조형적 설계 자유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도시된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 이외에 운전자의 좌측에 배치된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도 추가로 구성된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과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은 깊숙이 놓인 리세스(202)의 평면 위에 있는 하나의 평면에 놓인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리세스(202)의 평면으로부터 굴곡진 천이부에서 유연하게 연장되어 우측의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 및 좌측의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으로 넘어간다.
계기판(100)의 정면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배면 사이에는 갭 형태의 개재 공간(208)이 형성된다.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과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에도 역시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수용되는데, 도 1a, 도 1b, 및 도 1c를 개괄하여 그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을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b가 우선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베이스 서포트(201)로서의 하부와 조작 표면(207)으로서의 상부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 서포트(201)의 형태와 조작 표면(207)의 형태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에 맞춰 구성된다. 그러나 베이스 서포트(201) 및/또는 조작 표면(207)의 형태가 미리 정해지는 경우에도,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이 그 접촉 면들로써 베이스 서포트(201)와 조작 표면(207)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에는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을 하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221)가 배치된다. 그 디스플레이(221)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제어 및 조절 개입 동작들이 프로그래밍되어 컴포넌트들의 제어 및 조절을 위해 제공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221)의 여러 조작 레벨들에서 공조 및/또는 환기 시스템도 표시되어 제어 및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즉,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전체적으로 폐쇄된 조작 표면(207)을 구비하고, 그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는 바람직하게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접근 및 접촉에 의해 정전식 센서를 통해 조작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들(211, 221)이 배치된다.
조작 표면(207)에는 이음매, 홈줄 등이 전혀 존재하지 않으므로, 매끈하고 평탄한 외관이 주어진다.
상부(207)[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는 그 상면 및/또는 내면에 코팅을 구비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얇은 재료, 특히 플라스틱[예컨대 플렉시글라스(plexiglass)]으로 형성된다.
코팅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면들 및 심벌들을 형성하면서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수동 인쇄 및/또는 자동 인쇄, 코팅, 또는 절삭 공정들에 의해 제거된다. 부착된 재료 내에 이미 재료 없는(material-free) 면들 및/또는 재료 없는 심벌들이 마련되도록 표시 및 조작 표면(207)의 인쇄 또는 코팅 공정들에 의해 코팅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을 위한 심벌들 및 면들은 가능한 일 구성에서는 예컨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그 윤곽이 잡히고/잡히거나(면들)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절삭된다(심벌들).
도 1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11, 221)는 조작 표면(207)을 백라이팅(backlighting)한다. 이후로 다룰 또 다른 표시 및 조작 유닛들도 역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서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 배치된다. 그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코팅의 재료 없는 심벌들을 백라이팅한다.
도 1b 및 도 1c의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우측)에는 예컨대 공조 장치 표시 및 조작 유닛(222)이 배치된다. 공조 장치 조작 유닛(222)은 예컨대 전방 유리창 성에 제거 표시 및 조작 요소(222A), 후미 유리창 성에 제거 표시 및 조작 요소(222B), 및 실내 환기 표시 및 조작 요소(222C)를 포함한다. 정전식 표시 및 조작 요소들로서 형성되는 그러한 정전식 키 버튼들은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 놓여 해당 심벌들을 각각 백라이팅하고, 그에 따라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 형성된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의 제공된 정전식 키 버튼 조명과 관련하여 지시 계기들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들이 주어진다. 즉, 공조 장치 표시 및 조작 유닛(222)은 소위 "숏컷(shortcut)"(온/오프) 표시 및 조작 요소들(222A, 222B, 222C)을 형성한다. 여기서, "숏컷"이란 공조 장치 표시 및 조작 유닛(222)의 가장 빈번하게 필요로 하는 기능들에 대해 별개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222A, 222B, 222C)이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 및 조작 요소들(222A, 222B, 222C)의 "숏컷"의 범위를 벗어난 제어 및 조절들이 가능하도록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또 다른 기능들이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221)에 장착되어 있다.
공조 장치 표시 및 조작 유닛(222)의 옆에 배치되는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표시 및 조작 유닛(224)도 똑같은 관계에 있다. 여기서도 역시 개별적인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이 예컨대 "숏컷들"로서 표시 및 조작 유닛(224)에 합쳐져 있다. 즉, 오디오 표시 및 조작 요소(224A), 전화 표시 및 조작 요소(224B), 내비게이션 표시 및 조작 요소(224C), 및 홈 표시 및 조작 요소(224D)가 합쳐져 있다.
또한,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우측)은 본 실시예에서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용 볼륨 조절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221)(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의 온/오프 기능용 정전식 키 버튼으로 사용되는 표시 및 조작 유닛(225)이 "정전식 푸시/턴 버튼"으로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정전식 푸시/턴 버튼(225)은 볼륨 조절을 위해 외부 영역에서 조작 표면(207)으로의 접근, 손가락 접촉, 및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는 움직임에 의해 원형 정전식 슬라이더와 같이 조작될 수 있는데, 또 다른 도면들에서 더욱 정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정전식 푸시/턴 버튼(225)의 바깥쪽 에지에는 조절되는 볼륨을 시각적으로(컬러로 또는 상이한 광도를 통해) 나타내는 램프들이 배치된다. 정전식 푸시/턴 버튼(225)의 중심에는 디스플레이(221)의 온/오프 기능을 위한 정전식 키 버튼이 배치되는데, 그 키 버튼도 역시 해당 램프에 의해 백라이팅된다.
또한, 도 1c는 디스플레이(221)(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의 아래에 공조 조작 유닛(223)이 배치되는 것을 도 1a 및 도 1b보다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그 공조 조작 유닛(223)은 자동차의 내부 공간에 제공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의 공기량의 총량에 대한 표시 및 조작 요소(223A) 및 원하는 기온의 설정을 담당하는 표시 및 조작 요소(223B)를 포함한다. 공조 표시 및 조작 유닛(223)을 형성하는 그러한 표시 및 조작 요소들(223A, 223B)도 역시 상부(207)의 코팅 내에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심벌들에 의해 노출되거나 비워져 있다.
그와 같이 노출되거나 비워져 있는 심벌들은 램프에 의해 백라이팅되는데, 표시 및 조작 요소들(223A, 223B)은 접근 및 여기서는 수평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조작 표면(207)에 그를 위해 마련된 슬라이더 오목부(일종의 길게 파인 오목부)에서 조작 표면(207)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공기량 및/또는 온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정전식 슬라이더로서 구성된다. 그러한 슬라이더 오목부와 해당 표시 및 조작 요소(223A)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베이스 서포트(201)의 배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안쪽 손바닥으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아래에서 그 배후를 위쪽으로 파지하면 역시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는 손가락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인체공학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에는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을 위한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231)이 배치된다. 그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다른 경우의 통상적인 환기 요소들이 계기판(100)으로부터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로 옮겨져 있다.
그러한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231)은 환기 요소(231A) 그 자체 및 배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 요소(231B)와 같은 기계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배출 방향의 설정을 위해 마련되는 기계적 조작 요소(231B)는 예컨대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221)의 조작 표면을 통해 제어 작동될 수 있는 전자 제어식 조작 요소(231B)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역시 정전식 슬라이더로서의 표시 및 조작 요소가 좌측 운전자 측의 배출량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 요소(231C)로서 사용되는데, 그 조작 요소(231C)는 본 예시의 배치에서는 접근 또는 접촉과 수평방향 움직임에 의해 조작 표면(207)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기판(100)의 영역에는 환기 시스템용 환기 요소들(좌측 및 우측)을 갖는 또 다른 조작 유닛들(311, 321)이 센터 콘솔(300)에 배치된다. 그러한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들(311, 321)은 환기 요소들(311A, 321A) 그 자체, 배출 방향 설정용의 기계적 조작 요소들(311B, 321B), 및 환기 요소들(311A, 321A)의 배출량 설정용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로서의 정전식 슬라이더들(311C, 321C)을 구비한다.
즉, 자동차의 실내 공간의 공조 및 환기를 위해 도입되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은 센터 콘솔(300)에 있는 조작 유닛들(311, 321) 그리고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에 있는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으로서의 좌측 조작 유닛(231)을 포함한다.
배치된 환기 요소들(231, 311, 321)에 추가하여, 계기판(100)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 사이의 갭 형태의 개개 공간(208)을 통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배후에 간접적 환기 요소들을 배치하여 자동차의 실내 공간의 간접적 환기와 직접적 환기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1b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에는 램프 조작 유닛(232)도 추가도 배치된다. 그러한 램프 조작 유닛(232)은 선행 기술로부터 계기판(100)의 몸체에 배치되는 통상의 푸시/턴 키 버튼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 조작 유닛(232)은 계기판(100)의 몸체(110)의 전방에 떨어져 있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구성되는 4개의 정전식 키 버튼들을 포함한다. 즉, 그 램프 표시 및 조작 유닛(232)은 전방 안개등 표시 및 조작 요소(232A), 후미 안개등 표시 및 조작 요소(232B), 자동 기능(auto function) 표시 및 조작 요소(232C), 및 온/오프 표시 및 조작 요소(232D)의 4개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표시 및 조작 요소는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 배치된 정전식 키 버튼으로서, 그 정전식 키 버튼의 심벌이 조작 표면(207)에 비워져 있거나 생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정전식 키 버튼은 해당 램프에 의해 백라이팅되고, 그에 따라 차량등에 대해 조명되는 정전식 램프 표시 및 조작 유닛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 구성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베이스 서포트(201), 즉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하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210)에는 콤비 계기 디스플레이(211)를 위한 구조 공간(204)이 리세스(202)의 영역에 마련되고, 하부(201)는 계기판(100) 쪽으로 제1 개구부(203A)를 구비하는데, 그 제1 개구부(203A)는 예컨대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210) 및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 및 조작 유닛들과 상위 차내 전자 장치들과의 해당 케이블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예컨대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에 또 다른 개구부가 제2 개구부(203B)로서 마련되고, 그에 따라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221)와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에 배치되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222, 223, 224, 225)과 차내 전자 장치들과의 모든 케이블 연결 등이 부설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221)를 위한 구조 공간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 내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222, 223, 224, 225)에 필요한 구조 공간을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에서 볼 수 있다.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은 상부(207) 및/또는 베이스 서포트(201)의 내면에 접착되거나 로킹되거나 클립핑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는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과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에 있는 각각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222, 223, 224, 225, 231, 232)에 대해 해당 램프들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을 구현하기 위해, 해당 LED들이 배치되는 LED 기판들은 각각의 구조 공간에 배치된다. LED들의 배치는 정전식 키 버튼들(222A 내지 222C, 232A 내지 232D, 224A 내지 224D) 및 정전식 푸시/턴 버튼의 배치를 따르는데, 정전식 슬라이더로서 구성되는 표시 및 조작 요소들(231C, 223A, 223B) 및 정전식 푸시/턴 버튼(225)은 슬라이더의 조작 방향에 상응하도록 길게 또는 원형으로 된 LED 기판에 배치되는 다수의 LED들을 구비한다.
첨부 도면들에는 조작 동작의 수행 시에 조작 동작에 의존하여 발광하는 LED들이 정전식 키 버튼들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정전식 슬라이더들(223A, 223B, 231C)의 경우에는, 예시적으로 단지 하나의 LED만이 도시되어 있다.
LED 기판들의 위에는(내부 공간 쪽으로) 정전식 센서 면들을 갖는 도시 생략된 정전식 센서 기판들이 장착되는데, 그 정전식 센서 기판들은 정전식 키 버튼과 정전식 슬라이더에 대해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고, LED 기판에 달린 램프들을 집어 넣기 위한 개구부들을 구비한다.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제공된 또 다른 구조 공간에는, LED 기판들과 센서 기판들에 추가하여 각각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의 각각의 정전식 키 버튼들 및 슬라이더들의 스위칭을 위한 논리 기판들이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에 대응하여 수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매우 평탄한 구조 형태를 갖고 각각의 설계상의 요구에 따라 계기판(100)의 몸체(110)의 형태에 맞춰 구성될 수 있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를 제공한다. 다른 경우라면 계기판(100)에 있을 통상의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베이스 서포트(201)와 조작 표면(207) 사이의 공간으로 옮겨지는데, 램프들에 의해 백라이팅되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의 형태로 된 그 배치 및 사용에 있어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이 표시 및 조작 유닛들에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및/또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이 그 위치에 있어 자유롭게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배치될 수 있다.
100: 계기판 110: 몸체
200: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 201: 베이스 서포트
202: 리세스 203A: 제1 개구부
203B: 제2 개구부 204: 콤비 계기(211)용 구조 공간
205: 인포테이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221)용 구조 공간
206: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231)용 구조 공간
207: 조작 표면 208: 개재 공간
210: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 211: 콤비 계기 디스플레이
220: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
221: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222: 공조 장치 조작 유닛 222A: 전방 유리창 성에 제거용
222B: 후미 유리창 성에 제거용 223C: 내부 공간 환기용
223: 공조 조작 유닛
223A: 환기 시스템 총량 표시 및 조작 유닛
223B: 환기 시스템 온도 표시 및 조작 유닛
224: 인포테인먼트/내비게이션 표시 및 조작 유닛
224A: 오디오 표시 및 조작 유닛 224B: 전화 표시 및 조작 유닛
224C: 내비게이션 표시 및 조작 유닛 224D: 홈 표시 및 조작 유닛
225: 인포테인먼트 푸시/턴 키 버튼 표시 및 조작 유닛
230: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 231: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
231A: 환기 요소 231B: 배출 방향 조작 요소
231C: 배출량 표시 및 조작 요소 232: 램프 표시 및 조작 유닛
232a: 전방 안개등 표시 및 조작 유닛
232B: 후방 안개등 표시 및 조작 유닛
232C: 자동 기능 표시 및 조작 유닛 232D: 온/오프 표시 및 조작 유닛
300: 센터 콘솔
311: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좌측)
311A: 환기 요소 311B: 배출 방향 조작 요소
311C: 배출량 표시 및 조작 요소 321: 공기 배출구 표시 및 조작 요소
321A: 환기 요소 321B: 배출 방향 조작 요소
321C: 배출량 표시 및 조작 요소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계기판, 특히 자동차용 계기판(100)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 공간 쪽을 향해 계기판(100)의 몸체(110)에 끼워지거나 씌워지는 동시에 계기판(100)의 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걸쳐 놓이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계기판(100)의 몸체(110)의 정면과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배면 사이에 갭(gap) 형태의 개재 공간(20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계기판(100)의 몸체(110)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에 배치된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과는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베이스 서포트(201; base support)로서의 상부와 조작 표면(207)으로서의 하부를 포함하되, 베이스 서포트(201) 및/또는 조작 표면(207)의 형태는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에 맞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5. 제 3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베이스 서포트(201)의 형태는 계기판(100)의 몸체(110)와는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고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의 형태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207)의 형태에 맞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은 이음매 없는 폐쇄 표면을 형성하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207)의 배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는,
    Figure pct00001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11)인 콤비 계기 디스플레이가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free-programmable) 디스플레이로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표시 및 조작 영역(210) 및/또는
    Figure pct00002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21)인 인포테인먼트 및/또는 내비게이션용의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인포테인먼트 및/또는 내비게이션에 부속된 조작 유닛들(224, 225)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조 조작 유닛(223) 및/또는 공조에 부속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22)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표시 및 조작 영역(220) 및/또는
    Figure pct00003
    환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 시스템 표시 및 조작 유닛(23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조작 유닛(232)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표시 및 조작 영역(23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9.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유닛들은,
    Figure pct00004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211, 221)로서 또는
    Figure pct00005
    -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들(22A, 222B, 222C/223A, 223B/224A, 224B, 224C, 224D/232A, 232B, 232C, 232D) 또는
    -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231C)와 표시 기능 없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조작 요소(231A, 231B)의 조합으로 이뤄진 표시 및 조작 유닛(222, 223, 224, 225, 231, 232)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은 그 상면 및/또는 내면에 코팅을 갖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얇은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의 영역에서 코팅이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수동 인쇄 또는 자동 인쇄, 코팅, 또는 절삭 공정들에 의해 제거되고/제거되거나 코팅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들 및/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심벌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조작 표면(207)의 코팅은 조작 표면의 상면 및/또는 내면에 배치된 광 불투과성 포일이되, 포일은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의 영역에는 부착되지 않거나 특정 영역들에서는 제거되어 조작 표면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들 및/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심벌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6
    비워져 있거나 생성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들의 배후에 적어도 하나의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211, 221)가 터치스크린으로서 배치되고/배치되거나
    Figure pct00007
    비워져 있거나 생성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심벌들의 배후에 램프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222A, 222B, 222C/223C/224A, 224B, 224C, 224D/231C/232A, 232B, 232C, 232D)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22, 223, 224, 225, 231, 232)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유닛들(211, 221, 222, 223, 224, 225, 231, 232)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222A, 222B, 222C/223C/224A, 224B, 224C, 224D/231C, 232A, 232B, 232C, 232D)는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조작 표면(207)에의 접근 및/또는 그 조작 표면(207)의 접촉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정전식 표시 및 조작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8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22, 224, 232)은 정전식 키 버튼으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222A, 222B, 222C/224A, 224B, 224C, 224D/232A, 232B, 232C, 232D)를 구비하고/구비하거나
    Figure pct00009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23, 231)은 정전식 슬라이더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요소(223A, 223B/231C)를 구비하고/구비하거나
    Figure pct00010
    적어도 하나의 표시 및 조작 유닛(225)은 정전식 키 버튼과 정전식 슬라이더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조작 표면(207)의 정면에 정전식 키 버튼들(222A, 222B, 222C/224A, 224B, 224C, 224D/232A, 232B, 232C, 232D) 및 정전식 슬라이더들(223A, 223B/231C)을 위한 키 버튼 오목부들 및 슬라이더 오목부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17. 제 16 항에 있어서,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하부 에지에 놓인 정전식 슬라이더(223A, 223B/231C)에 대해 인체공학적 조작을 조작자에게 보장하기 위해 슬라이더 오목부들이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200)의 배면에서 베이스 서포트(20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KR1020117023656A 2009-03-09 2010-01-25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대시보드 KR101364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1709A DE102009011709A1 (de) 2009-03-09 2009-03-09 Instrumententafel mit einer Anzeige- und Bedienkomponente
DE102009011709.1 2009-03-09
PCT/EP2010/000414 WO2010102694A1 (de) 2009-03-09 2010-01-25 Instrumententafel mit einer anzeige- und bedien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459A true KR20110130459A (ko) 2011-12-05
KR101364853B1 KR101364853B1 (ko) 2014-02-19

Family

ID=4210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656A KR101364853B1 (ko) 2009-03-09 2010-01-25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대시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06097B1 (ko)
KR (1) KR101364853B1 (ko)
DE (1) DE102009011709A1 (ko)
ES (1) ES2671878T3 (ko)
WO (1) WO20101026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721A (ko) 2012-12-24 2014-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조작이 용이한 굴삭기의 조작 패널
US10394283B2 (en) 2015-12-01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ystem and related method
US10618406B2 (en) 2014-07-01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3472B2 (ja) 2010-06-17 2014-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651382B2 (ja) 2010-06-17 2015-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12016109A1 (de) 2012-08-15 2014-02-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hierzu
DE102012021519B4 (de) 2012-11-02 2023-05-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üf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KR102081227B1 (ko) * 2014-08-22 2020-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65759B1 (ko) 2016-10-18 2018-06-11 주식회사 서연이화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KR101978963B1 (ko) * 2017-05-11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1091009B2 (en) * 2018-11-13 2021-08-17 Rivian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nts of a vehicle
DE102020116903A1 (de) 2020-06-26 2021-12-30 Daimler Ag Bedien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36484U1 (de) * 1978-12-08 1979-05-10 Glasmacher, Peter, Dipl.-Ing., 8000 Muenchen Beruehrtaste
US6093977A (en) * 1997-06-17 2000-07-25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electronic equipment apparatus and its assembling method
DE19807309B4 (de) 1998-02-20 2011-01-27 Volkswagen Ag Instrumententafel
DE19820337C1 (de) * 1998-05-07 1999-09-09 Daimler Chrysler Ag Verkleidungsteil
JP2000219061A (ja) 1999-01-29 2000-08-08 Shigeru Co Ltd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4140137B2 (ja) 1999-08-03 2008-08-2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計器盤取付装置
WO2003020545A1 (en) 2001-08-31 2003-03-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formable vehicle display
US7440845B1 (en) * 2003-03-26 2008-10-21 Garmin Ltd. Navigational device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and a method for doing same
US7325852B1 (en) * 2006-01-26 2008-02-05 Yazaki North America, Inc. Cluster mounting bracket
DE102006046325A1 (de) * 2006-09-29 2008-04-10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ultifunktions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verschiebbaren Bedienelement
DE102006047020B4 (de) 2006-10-02 2014-02-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strumentenausstattung von Fahrzeugen
US7543871B2 (en) * 2006-12-22 2009-06-09 Chrysler Llc Center console
US7898531B2 (en) * 2006-12-27 2011-03-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output device in a vehicle
DE102007036422B4 (de) * 2007-08-02 2021-12-02 Volkswagen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721A (ko) 2012-12-24 2014-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조작이 용이한 굴삭기의 조작 패널
US10618406B2 (en) 2014-07-01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10394283B2 (en) 2015-12-01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ystem and rel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2694A1 (de) 2010-09-16
KR101364853B1 (ko) 2014-02-19
EP2406097B1 (de) 2018-05-02
ES2671878T3 (es) 2018-06-11
DE102009011709A1 (de) 2010-09-16
EP2406097A1 (de)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853B1 (ko) 표시 및 조작 컴포넌트를 구비한 대시보드
US9037990B2 (en) Automotive user interface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JP5859614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9007199B2 (en) Drive mode selector
US8308311B2 (en)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CN102189958A (zh) 用于车辆内部空间中的指示符号的光发射结构
KR102026494B1 (ko) 계기판 및 대시 보드 통합
US7121674B2 (en) Illuminable display
CN104870234B (zh) 用于车辆的带有三维显示屏的显示设备
CN107053996B (zh) 用于机动车辆的暖通空调系统的出气口
WO2001036870A1 (en) Vehicle instrument and interior lighting systems
AU4103200A (en) Control device
KR101561399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08215797B (zh) 用于车辆的输入装置
KR101162356B1 (ko) 자동차용 계기판의 프리즘눈금
US20080087490A1 (en) Control element for regulating a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unit of a motor vehicle
US20130293445A1 (en) Motor vehicle display device
US10235026B2 (en) Vehicle operation display device
CN206217812U (zh) 旋钮结构和具有其的车辆
EP3670234A1 (en) Arrangement of an operating unit in a motor vehicle
CN221188407U (zh) 一种汽车副驾驶前装饰板组件
JP4141735B2 (ja) 車載用表示装置
CN106114223B (zh) 汽车、汽车仪表以及用于控制汽车设备的用户界面
JP2003146113A (ja) 車両用空調スイッチ
JP3746959B2 (ja) 車載メータ及び車載メ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