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412A - 개구를 갖는 유리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구를 갖는 유리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412A
KR20110130412A KR1020117020538A KR20117020538A KR20110130412A KR 20110130412 A KR20110130412 A KR 20110130412A KR 1020117020538 A KR1020117020538 A KR 1020117020538A KR 20117020538 A KR20117020538 A KR 20117020538A KR 20110130412 A KR20110130412 A KR 2011013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keleton
bending
periphery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015B1 (ko
Inventor
티에리 올리비에르
프레드릭 베르데
미카엘 라보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1013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8Gravit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with moulds having at least two upward pivotable mould s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 C03B27/04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flat or bent glass sheets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27/0442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flat or bent glass sheets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for bent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05Fabrics, felts or loose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을 수반하는 벤딩이 행해지는 개구를 갖는 만곡돤 유리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리판의 주변부와 개구의 주변부가 적어도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 스켈레톤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개구를 갖는 유리판 제조방법{SHAPING OF A GLAZING WITH OPENING}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하며 자동차 루프(roof)로 사용되는 글레이징(glazing)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가 끼워진 자동차용 캐노피(canopy)의 제조는 미적 외관, 비용, 투명도, 그리고 광전지 셀(photovoltaic cells) 이 구비된 루프를 장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런 형태의 캐노피에 자동차 내부로부터 접근 및 개방될 수 있는 윈도우를 제공하여 개방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다란 오리피스(orifice)가 장착된 글레이징(glazing)에서 오리피스를 과도하게 약화시키지 않거나, 그 전체 곡률을 상당히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글레이징을 만곡 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러한 변경은 제품의 미적 외관과 기능성을 손상시키고 시각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중요한 어려움 중 하나는 자동차 루프와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글레이징의 외부형상에 대한 내부 개구의 정밀한 공차를 보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런 글레이징은 운전시 루프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무거운 하중을 가하는 바람에 의한 힘(풍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어야한다. 또한 눈 일 미터와 같은 하중을 견뎌낼 수 있어야한다. 다른 형태의 하중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한 바퀴가 보도 위에 올라가 있을 때, 또는 보도 연석 위에 날카롭게 올라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영향력 이다. 글레이징이 어떤 기계적 힘을 받으면 루프에서 개구의 코너부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는 것이 발견되어 왔다.
US 5974834 는 작은 크기의 구멍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에 구멍을 만들기 위해 글레이징을 만곡 및 템퍼링(pemper)하는 것에 관하여 기술한다. 후방 윈도우에 있는 이런 구멍은 안테나(aerial) 또는 정지등(stop light)을 부착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여기서 그 면적은 최대 0.006㎡ 정도이다. 각각의 유리판들은 오리피스의 보더(border)를 위한 부가적 지지부를 갖는 프레임 상에서 중력하에 굽혀진다. 이 부가적 지지부는 유리의 에지가 어닐링 공기(annealing air)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 그 에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구멍이 안 뚫린 글레이징의 외부 보더에 대하여는 WO 93/02017 또는 US 5118335 에 기재되어 있다.) 한다. 글레이징의 에지는 US 5118335 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의 중앙에 직각으로 안치된다. US 5974834 에 따르면, 지지부는 벤딩 및 템퍼링 시에 오리피스의 에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 보다 큰 면적의 고체 금속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의 벤딩 프레임은 5㎝ 이상의 접촉 폭을 갖는다.
본 출원인에 의해 행해진 실험에 따르면, 개구의 에지를 지지하기 위한 이런 형태의 지지부는 특히 "선루프가 장착된 캐노피" 응용들에 있어서, 충분한 강성의 글레이징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노치가 형성된 지지부는 글레이징의 보더에 상당한 약화력과 많은 시각적 결함을 야기하는 연속적인 압축력과 인장력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배경에 있어서, 개구의 보더에 충분한 힘을 부여하기 위해 압축 링의 제공을 결정하였고, 이 압축 링에 의해 개구의 최외부 에지는 개구의 전체 주변부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 하에 있게 한다. 또한, 이 압력은 개구 주변부상의 모든 지점에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의 높은 압력값을 부여하도록 시도되어 왔다. 이런 값들은 자동차의 외부와 접촉하고 있는 유리판과 일차적으로 관계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글레이징내에 포함된 다른 유리판 또는 유리판들과 관계하고, 따라서 글레이징의 모든 유리판에 대한 응력 값의 산술 평균과 또한 관계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구의 보더에 대한 지지체는, 적어도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 유리하게 글레이징의 에지에 대해 연속하고,(또는 일정하게, US5974834 의 "노치가있는" 것과는 상반됨) 평행 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개구의 지지체 보더 상의 모든 지점에서, 지지체에 대한 접선이 종래기술의 "노치가 있는" 프레임과는 다르게 상기 지지체 안으로 절대 교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구의 지지체는, 비교적 가느다라야 하며, 지지체의 끝을 지지하는 글레이징의 개구의 에지에서 몇mm, 일반적으로 적어도 2mm, 심지어는 적어도 3mm 떨어져 위치해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지지체는 "스켈레톤(skeleton)" 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다. 스켈레톤은 유리판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를 향하는 하나의 에지 면을 갖는 얇은 금속 스트립이며, 상기 에지 면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5mm, 더욱 일반적으로는 2 내지 3.5mm 범위에 있다. 벤딩의 말기에 상기 스켈레톤은 에지 면 상에서 유리판과 연속하여 접촉하고 있다(특히 스켈레톤을 포함하는 벤딩 단계에 있어서). 상기 스켈레톤은 바람직하게는 펠트식(felt type) 섬유 물질, 또는 금속망, 및/또는 내화성 세라믹 리플렉터리 섬유(ceramic refractory fibers)로 양호하게 코팅되며, 이것은 이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런 펠트는 유리의 자국(marking)을 줄여 준다. 이 섬유재는 일반적으로 0.3 내지 1m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개구의 보더 처럼, 글레이징의 외부(또는 외측)보더는 바람직하게는 유리판의 주변부 상의 모든 지점에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의 압축 링을 갖는다. 이들 값을 얻기 위해서, 유리판의 주변부는 개구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적어도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스켈레톤에 의해 지지 된다. 이들 값들은 무엇보다도 자동차의 외부와 접촉하고 있는 유리판에 관계하며(따라서 유리판은 스켈레톤과 직접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내에 포함된 다른 유리판 또는 유리판들과 관계하며, 따라서 글레이징의 모든 유리판의 응력값의 산술평균과도 관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냉각을 수반하는 벤딩을 포함한다. 벤딩은 전부가 아니라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벤딩 스켈레톤 상에서, 개구의 보더와 글레이징의 외부 보더 모두에서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딩은 유리판의 주변부와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벤딩 스켈레톤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하에 행해진다.
냉각은 적어도 스켈레톤 상에서 시작해 개구의 보더와 글레이징의 외부 보더 모두에서 행해진다. 냉각이 시작할때 유리판을 지지하는 스켈레톤은 "마무리 스켈레톤(finishing skeleton)"이라 공지되고, 이 마무리 스켈레톤은 또한 벤딩 스켈레톤 일수 있으며 특히, 마무리 벤딩 스켈레톤은 다중 스켈레톤이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와 접촉하고 있음을 이해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체 벤딩 및 냉각 작업은 동일한 스켈레톤 상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냉각을 수반하는 벤딩이 행해지고, 개구가 제공된 만곡된 유리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유리판의 주변부와 개구의 주변부가 적어도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 스켈레톤("마무리" 스켈레톤 으로 알려짐)에 의해 지지된다.
유리하게는, 마무리 스켈레톤은 적어도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 유리판과 접촉하여 적어도 2mm, 더욱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3mm, 예를들어 적어도 5mm 유리판 개구의 에지로부터 떨어져서 즉, 유리판의 최종 형태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마무리 스켈레톤은 적어도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 에지 면을 따라 유리와 계속 접촉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은 모든 크기의 글레이징, 심지어는 자동차 루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큰 크기의 글레이징에 적합하다. 커다란 크기의 글레이징 이라 함은 한면이 0.8㎡이상, 또는 1㎡ 이상, 또는 심지어 2㎡ 이상 측정되는 글레이징을 뜻한다.(물론, 이것은 유리판의 표면적과 개구의 표면적을 합한 주 표면의 전체면적을 나타낸다). 커다란 크기의 글레이징은 특히 무거워서 지지체에 자국을 남기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적층된 글레이징의 경우 두개의 유리판이 벤딩 지지체 상에 놓여져 동시에 굽혀지기 때문에, 날카로운 펠트에 있어서는 더욱 우려가 된다. 따라서, 글레이징의 크기가 증가하면 매우 빨리 무게가 증가 되어 자국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글레이징 자체에 개구를 갖게 되면 벤딩시의 어려움, 그리고 마무리 글레이징의 기계적 강도의 감소 등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나, 벤딩시에 그리고 냉각시작 시점에서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도록 선택되었다면, 반대로 커다란 개구가 이점이 있을 수가 있다. 특히, a) 개구를 더욱 크게 하면 글레이징의 무게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어 자국의 감소를 이룰 수 있으며, b) 개구를 더 크게 하면 그 주변부가 더욱 길어져 그 주변부의 지지 표면을 더욱 길게 하여 글레이징이 커다란 지지 표면영역 상에 퍼져있게 되어 자국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양호하게는, 개구는 0.03㎡를 초과하는, 심지어는 0.05㎡를 초과하는, 그리고 0.08㎡를 초과하는, 그리고 심지어 0.1㎡을 초과하는, 그리고 심지어 0.2㎡를 초과하는, 그리고 일반적으로 0.3㎡를 초과하는 영역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개구는 1㎡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양호하게는, 개구는 그레이징의 전체면적의 5% 이상, 또는 심지어 10% 이상의 면적을 갖는다.(물론 단일의 주 표면의 전체 면적은 유리의 표면적과 개구의 면적을 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구는 글레이징의 전체 면적의 80% 이하 또는 심지어 50% 이하의 면적을 갖는다.
개구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0.03㎡ 이하일 때) 개구의 보더를 냉각시키는데 바람직하지 않음이 증명되었고, 이것은 바람직한 에지 응력을 얻지못하게 됨을 뜻한다. 특히, 개구가 너무 작으면 개구를 둘러싸는 유리판의 큰 무게 때문에 효과적인 냉각에 불리한 질량 효과를 생각할 수 있다. 개구를 크게 하면 유사한 방식으로글레이징의 외부 보더에 냉각이 더욱 발생하게 되어, 냉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개구 보더의 최종 지지가 에지 응력에 해로운 결과를 나타냄이 없이 스켈레톤 타입의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냉각은 중첩된 유리판 상에서 비교적 천천히 수행된다. 이 경우에, 유리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초당 3℃ 보다는 작고 일반적으로 초당 0.2℃ 보다는 크게, 제어된 속도로 중력 벤딩 온도 아래인 480℃ 까지 떨어진다. 480℃ 아래에서, 유리에 바람을 불어 냉각을 가속시킬 수 있다. 유리판의 중첩은 개별적으로 고려된 각각의 유리판 상의 에지 응력을 얻는데 방해되지 않는다. 냉각은 세미-템퍼링(semi-tempering)을 구성하는 지점까지 신속히 행해질 수 있고, 여기서 냉각은 중첩된 유리판 보다는 개별적으로 한장 한장 수행된다. 이 경우, 유리의 온도는 중력 벤딩 온도 아래로 일반적으로 초당 10℃를 초과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초당 150℃ 보다는 작은 속도로 480℃ 까지 떨어진다. 모든 경우에, 냉각은 유리가 마무리 스켈레톤과 여전히 접촉되어 시작되고, 이 냉각은 스켈레톤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유리판의 경우와, 그 위에 나란히 놓여 진 다른 유리(유리판)의 경우에, 원하는 압축 응력 값(적어도 4㎫)을 갖는 압축링을 얻도록 충분히 빨리 수행된다. 더욱 빨리 냉각이 행해지면 압축링의 압축 응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개구의 에지와 글레이징의 외부 에지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방법은 벤딩 및 냉각시에 중첩된 두 개의 유리판, 또는 심지어 두 개 이상의 유리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하나로 조립되고자 하는 유리판과 유리판이 적층된 글레이징에 있어서, 벤딩은 그 자체로 중첩된 유리판 상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이 벤딩은, 벤딩의 마무리 단계가 고체상태에 대항하여 압축하여 수행될 때 한 장씩(각 유리판이 적층 되지 않는다)행해진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조립하고자 하는 유리판이 중첩되면 적어도 냉각의 시작은 마무리 스켈레톤 상에서 수행되는 게 바람직하다.
양호하게는, 개구의 주변부는 15mm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지 않으며, 양호하게는 60mm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지않고, 예를 들어 80mm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개구의 주변부는 모든 지점에서 적어도 15mm의 곡률반경, 양호하게는 60mm, 예를들면 적어도 80mm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상기 개구는 에를들면 환형, 또는 코너 부에 상술한 곡률반경을 갖는 사변형 형태일 수 있다. 곡률반경에 대한 이러한 특징은 특히 코너 부에 비틀림이나 인장력이 가해질 때 글레이징의 일체화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하나에 여러개의 개구를 가질 가능성을 포함하며 글레이징에 있어서도 동일하다)를 갖는 유리판(중첩된 여러 장의 유리판, 주목하게는 두 장의 유리판을 가질 가능성을 포함한다)을 중력 벤딩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개구의 주변부는 벤딩시 벤딩 스켈레톤에 의해 지지 된다.
상기 벤딩 스켈레톤은 글레이징의 주변부(외부 또는 외측 주변부)를 지지하는 부분과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것은 마무리 스켈레톤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개구를 지지하는 스켈레톤의 부분은 고착식, 또는 관절식, 또는 다중식으로 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이 부품은 벤딩 중에 수정되어 (상부에서 보았을 때)그 오목부가 벤딩 과정 중에 증가 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수정은 유리의 무게가 오랫동안 커다란 지지 표면 영역 상에 퍼져있도록 벤딩 중에 곡률반경을 변형시킬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지국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역방향 벤딩(의도하는 굽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국부적 굽힘 형성)의 위험을 줄이게 한다. 스켈레톤의 오목부의 증가는 관절식 또는 다중 스켈레톤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관절식 스켈레톤은 여러개의 관절화된 부품이 서로 장착되고, 그 형태는 벤딩 중에 변경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관절은 벤딩 과정 중에 (갑자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다중 스켈레톤은 상이한 오목부를 갖는 각각의 단일 스켈레톤(일반적으로 두 개)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교대로(위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오목부는 더 크고 다른 것이 더 작다)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지라인을 지지한다.(또는 지지체의 라인은 서로 매우 밀착하고 있고 나란하다). 처음에 유리를 지지하는 벤딩 스켈레톤은 "초기 스켈레톤"(roughing skelton)이라 공지되었고, 마지막에 유리를 지지하는 벤딩 스켈레톤은 "마무리 스켈레톤"(finishing skelton)이라 공지되었다.
유리판의 외부 보더를 지지하는 벤딩 스켈레톤의 부품은 개구의 보더를 지지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단순하거나, 관절식 이거나, 다중식 일 수 있다. 스켈레톤의 형태는 유리판 형태의 복잡성과 크기상 허용 기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유리판의 구조를 얻기 어려우면(모든 방향으로의 현저한 굽힘 및/또는 정밀한 공차), 다중 형태인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스켈레톤이 외부 보더와 개구의 보더를 지지하는데 스켈레톤으로서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런 다중식 이중 스켈레톤 부품의 경우에 이들은 각각 교대로 글레이징을 지지하며, 상이한 만곡부를 갖는 두개의 단순한 스켈레톤을 포함하며(하나는 외부 에지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개구의 에지에 대한 것),더 작은 만곡부를 갖는 스켈레톤은 먼저 글레이징을 지지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벤딩 스켈레톤의 최종 형태는 개구의 주변부와 유리의 주변부 모두에서 유리에 완전하게 부합한다. 냉각 시작시에 유리와 접촉하고 있는 마무리 스켈레톤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개구의 에지부를 지지하는 마무리 스켈레톤은 접촉하고 있는 유리판의 개구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냉각의 시작시점에 즉, 유리판이 냉각에 의해 최종형태로 고착될 때(따라서 유리판이 이때 만곡되며 이것은 도 2a)에 도시하지 않음) 약 몇 미리의 초과거리(setback)(도 2a)의 "d"), 일반적으로 적어도 2mm, 심지어 적어도 3mm, 의 초과거리가 동시에 관찰된다. 따라서 개구의 에지부를 지지하는 스켈레톤은 일반적으로 그 전체 직경 주위에 초과거리 "d"의 크기만큼 커진 개구와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스켈레톤은 그 전체 직경 상에서 개구의 형태를 따르며, 개구의 에지부로 부터 동일한 거리의 후방에 유지된다.
유리의 개구는 글레이징의 외부 보더에 너무 밀착하지 않으며 이것은 특히 작업시에 이것을 너무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구는 글레이징의 외부 보더로부터 적어도 50mm, 양호하게는 적어도 100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150mm 떨어져 있다.
개구는 일반적으로 만곡 되기 전 편평한 상태일 때 각각의 유리판 상에 형성된다. 개구는 일반적으로 가압 워터 젯을 사용하여 절단된다. 절단된 에지부(개구의 에지부와 같은 외부 에지부)는 절단 단계와 벤딩 단계 사이에서 적당하게 형성된다.
적층된 글레이징으로 결합하기 전에, 적층된 글레이징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하나 이상의 유리판은 에나멜로 코팅될 수 있다. 폴리비닐, 부티랄(PVB)과 같은 중합체층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유리판을 결합한 자동차용 캐노피의 경우에, 에나멜이 특히 두 개의 유리판중 하나의 오목한 면(이것은 자동차의 내부를 향한다)에 적용될 수 있다. 에나멜은 만곡 되기 전에 유리에 적용한다.
벤딩은 독립적으로 또는 중첩된 상태에서 유리판 상에서 실시된다. 모든 경우에, 중력 벤딩은 60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650℃ 범위의 온도에서 유리와 함께 행해진다.
스켈레톤 상에서의 중력 벤딩은 오목하거나 볼록한 고체 형태에 대하여 가압하는 압축 벤딩 단계에 뒤이은 예비적인 벤딩 단계일 수 있다. 이 압축 벤딩은 일반적으로 600℃내지 620℃ 사이에서 행해진다. 이 경우, 압축 벤딩 후에 원하는 에지압축값(적어도 4㎫)을 얻기 위해, 유리의 보더(외부 에지와 개구의 에지)는 고온 상태(유리온도: 600℃ 내지 700℃, 양호하게는 550℃ 내지 650℃ 사이)에서 마무리 스켈레톤 상에 유지되고, 냉각은 유리가 마무리 스켈레톤상에 유지될 때 시작된다. 사실, 냉각 시작시에 유리의 보더와 마무리 스켈레톤 사이의 접촉은 에지에 우수한 압축력을 부여한다. 냉각은 유리에 세미 템퍼링을 행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중력 벤딩이 두 개의 적층된 유리판에 행해지면, 상부에 있는 유리판은 하부에 있는 것보다 약간 더 큰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이것은 상부에 있는 유리판의 보더가 하부에 있는 유리판의 보더에 대하여 약간 떨어지는 것을 뜻하며, 이 초과거리는(도 7의"X") 양호하게는 0 과 15mm 사이이고, 주목하게는 3 과 10mm 범위에 있다. 이런 두 개의 유리판의 개구의 옵셋(offsetting)은 하부 유리판을 조금더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그 에지의 응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 하부 유리판은 벤딩시에 자동차용 캐노피의 상부 판이 될 수 있고, 이것은 특별히 높은 에지 응력을 갖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1 내지 4m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은 효과는 개구의 보더에 충분한 힘을 부여하기 위한 압축 링을 제공하여, 이 압축 링에 의해 개구의 최외부 에지는 개구의 전체 주변부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 하에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2의 a는 스켈레톤의 지지체에 의해 운반된 중첩된 두 개의 유리판의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2의 b는 최종 유리판의 각각에 나타내는 응력 분산을 도시한다.
도 3a와 도 3b는 두 부분의 이중 스켈레톤을 포함하는 유리판을 중력 벤딩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4a와 도 4b는 두 쌍의 스켈레톤의 상대적 이동을 도시한다.
도 5는 관절 형식의 스켈레톤을 도시한다.
도 6a와 도 6b는 관절 형식의 다중 스켈레톤을 도시한다.
도 7은 벤딩중 중첩되어 있는 두 개의 유리판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의 형태를 도시한다. 적층된 글레이징(1)은 그 사이에 PVB 형태의 얇은 중합체층이 삽입된 두 개의 유리판을 포함한다. 이 글레이징은 만곡 되어 있고, 그 표면적이 전체 글레이징의 표면적에 거의 20%를 나타내는 개구(2)를 갖는다. 이 글레이징은 두 개의 주 표면을 갖는다. 이 글레이징은 자동차용 선루프로서 작용할 수 있고, 개구에 관절화된 플립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글레이징은 외부 보더(3)를 포함하며, 개구(2)는 보더(4)를 갖는다. 상기 개구(2)는 아주 큰 곡률반경(R)을 갖는 4개의 코너부가 제공된 사변형 형태의 주변부를 갖는다.
도 2a)는 리플렉터리 섬유 펠트(11)로 덮혀진 스켈레톤 형태의 지지체(10)에 의해 운반되는 중첩된 두 개의 유리판의 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스켈레톤은 유리판의 에지로부터 거리 d(셋백)에 있다. 도 2b)는 각각의 최종 유리판에 나타나는 응력 분산 결과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는 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당해 기술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사용되는 측정공구 "샤플리스(sharples)"를 사용하여 측정된 내재된 응력을 나타내고 있다. 유리판의 최외에지는 응력 커브 부분(12)이 네가티브이고, 따라서 압축 상태에 있게 되어 완전하게 압축상태에 있다. 반면에 지지체(10) 바로 위에 있는 유리의 영역은 응력 커브의 부분(13)이 포지티브 이어서 인장상태에 있다.
도 3은, 유리판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부품(31, 33)과,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부품(32, 34)인 두 개의 부분으로 된 이중 스켈레톤을 포함하는 유리판을 중력 벤딩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각 부품(31, 32, 33, 34)은 그 자체로 단순한 스켈레톤이다. 도 3a)에서 초기 스켈레톤은 상부위치에 있는데, 즉, 다시 말해 한편으로는 초기 스켈레톤이 글레이징의 주변부를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초기 스켈레톤이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고 있다. 글레이징의 주변부와 개구의 주변부의 각각에 대하여 마무리 스켈레톤은 유리판과 접촉할 가능성이 없이 최저위치에 위치한다. 일정한 벤딩시간 이후에, 초기 스켈레톤은 점차적으로 하향하고 유리(도시없음)는 도 3b)에 도시된 마무리 스켈레톤(33, 34)에 의해서 지지받게 된다. 실제로, 초기 스켈레톤(31, 32)은 고착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마무리 스켈레톤(33,34) 역시 고착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초기 스켈레톤으로부터 마무리 스켈레톤으로의 전환은 WO2007/077371의 도 1 내지 5에 기술된 것과 같은 장치에 의해 매우 천천히 수행된다.
도 4a)와 4b)는 개구(2)가 제공된 유리판(1)의 벤딩 시에, 한 쌍의 초기 스켈레톤(31, 32)과 다른 한쌍의 마무리 스켈레톤(33, 34)의 두 쌍의 스켈레톤의 상대적 이동을 보여즌다. 도 4a)에서 개구(2)가 제공된 유리판(1)은 한쌍의 초기 스켈레톤 상에 위치하고, 초기 스켈레톤(31)은 유리판의 주변부를 지지하고, 초기 스켈레톤(32)은 개구(2)의 주변부를 지지한다.제 4 b)도에 있어서, 개구(2)가 제공된 유리판(1)은 한쌍의 마무리 스켈레톤 상에 위치하고, 마무리 스켈레톤(33)은 유리판의 주변부를 지지하고, 마무리 스켈레톤(34)은 개구(2)의 주변부를 지지한다. 초기 스켈레톤(31,32)은 그들의 고정된 연결부(35)에 의해 서로 고착된다. 마무리 스켈레톤(33,34)은 그들의 고정된 연결부(36)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도 5는 개구 주변의 유리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관절화된 스켈레톤을 도시한다. 이 스켈레톤은 벤딩시에 상승할수 있는 관절화된 두개의 측면 부를 포함한다. 이 움직임은 스켈레톤의 구부러짐 또는 오목한 상태(위에서 보았을 때)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게 한다. 글레이지의 주변부와 접촉하는 스켈레톤은 여기에 도시하지 않는다.
도 6은 벤딩 시작시에 개구의 주변부을 지지하는 단순한 제1 스켈레톤(5)을 구비하는 관절화된 다중 스켈레톤을 도시하며, 두개의 관절화된 측면부(8, 9)는 벤딩중에 상승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스켈레톤의 구부러짐 또는 오목한 상태(위에서 보았을 때)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게 한다. 글레이징의 주변부와 접촉하게 되는 스켈레톤은 여기에 도시하지 않는다.
도 7은 벤딩시에 중첩되는 두 개의 유리판(41, 42)을 도시하며(지지 스켈레톤은 도시하지 않는다), 상부 유리판(41)은 하부 유리판(42)보다 큰 개구(43)를 가지며, 따라서 상부 유리판의 보더는 하부 유리판의 보더(44)로부터 Xmm 치우치게 된다. 이러한 두 유리판의 개구의 치우침은 그 에지의 응력을 증가시켜서 하부 유리판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게 한다.
1: 글레이징 2: 개구
4: 보더 10: 지지체
41: 상부 유리판 42: 하부 유리판

Claims (18)

  1. 냉각을 수반하는 벤딩이 행해지는 개구를 갖는 만곡돤 유리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주변부와 상기 개구의 주변부는 적어도 냉각 개시 시점에 마무리 스켈레톤 으로 알려진 스켈레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켈레톤은 유리를 지지하기 위해 위쪽을 향한 하나의 에지 면을 갖는 금속 선형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면의 두께는 1 내지 5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은 상기 유리판의 주변부와 상기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벤딩 스켈레톤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하에서 행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상기 벤딩 스켈레톤의 부분은 벤딩 중에 그 오목부의 증가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상기 벤딩 스켈레톤의 부분은 벤딩 과정 중에 교대로 상기 개구를 지지하는 두 개의 스켈레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스켈레톤은 냉각 시작 시에 개구의 에지로부터 적어도 2m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스켈레톤은 그 전체 주변부의 주위에서 개구의 에지로부터 떨어져 거의 동일한 거리를 유지시키는 개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변부는 모든 지점에서 적어도 15mm 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변부는 모든 지점에서 적어도 60mm 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은 개구의 보더 주위에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의 압축 응력 값을 얻기 위해 충분히 빨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냉각은 개구의 보더 주위에 적어도 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의 압축 응력 값을 얻기 위해 충분히 빨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0.03㎡를 초과하는, 심지어는 0.05㎡를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0.08㎡를 초과하는, 심지어는 0.1㎡를 초과하는, 심지어는 0.2㎡ 를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주 유리판의 전체 면적의 5%를 초과하는, 또는 심지어 10%를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스켈레톤은 또한 벤딩 스켈레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벤딩 스켈레톤의 부분은 벤딩 과정 중에 교대로 유리판을 지지하는 두 개의 스켈레톤을 구비하며, 이차로 유리판을 지지하는 것은 일차로 유리판을 지지하는 것보다 더 현저히 만곡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유리판이 벤딩 및 냉각시에 중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유리판 제조방법.
KR1020117020538A 2009-03-05 2010-03-04 개구를 갖는 유리판 제조방법 KR101699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1382A FR2942793B1 (fr) 2009-03-05 2009-03-05 Formage d'un vitrage comprenant une ouverture
FR0951382 2009-03-05
PCT/FR2010/050364 WO2010100379A1 (fr) 2009-03-05 2010-03-04 Formage d'un vitrage comprenant une ouver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412A true KR20110130412A (ko) 2011-12-05
KR101699015B1 KR101699015B1 (ko) 2017-01-24

Family

ID=4121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538A KR101699015B1 (ko) 2009-03-05 2010-03-04 개구를 갖는 유리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800321B2 (ko)
EP (1) EP2403811B1 (ko)
JP (1) JP5734877B2 (ko)
KR (1) KR101699015B1 (ko)
CN (1) CN102341356B (ko)
BR (1) BRPI1009500B1 (ko)
ES (1) ES2401490T3 (ko)
FR (1) FR2942793B1 (ko)
MX (1) MX340562B (ko)
PL (1) PL2403811T3 (ko)
PT (1) PT2403811E (ko)
WO (1) WO20101003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231A (ko) * 2018-03-08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벤딩 몰드, 이를 포함하는 글라스 벤딩 장치 및 글라스의 벤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1325B1 (fr) * 2011-10-14 2013-10-25 Saint Gobain Toit de vehicule en verre comprenant des zones locales de contrainte en compression
FR2981295B1 (fr) 2011-10-14 2020-02-21 Saint-Gobain Glass France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e
US9206067B2 (en) 2013-03-12 2015-12-08 Glasstech, Inc. Glass sheet support structure
DE102013004347A1 (de) * 2013-03-14 2014-09-18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mit einem Fahrerschutzdach
FR3017865A1 (fr) * 2014-02-27 2015-08-28 Saint Gobain Bombage par gravite sur double-support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TWI826126B (zh) 2016-06-28 2023-12-11 美商康寧公司 層壓薄強化玻璃至用於裝飾及顯示器蓋應用的曲面模製塑膠表面
JP7071294B2 (ja) 2016-07-05 2022-05-1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冷間成形ガラス物品及びその組立方法
CN115403280B (zh) 2016-10-25 2024-03-19 康宁公司 用于显示器的冷成形玻璃积层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TWI771357B (zh) 2017-01-03 2022-07-21 美商康寧公司 具有彎曲的覆蓋玻璃以及顯示器或觸控面板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
EP3625179A1 (en) 2017-05-15 2020-03-25 Corning Incorporated Contou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4190616A3 (en) 2017-07-18 2023-06-28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JP7335872B2 (ja) 2017-09-12 2023-08-3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飾的なガラス上に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のデッドフロント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TWI806897B (zh) 2017-09-13 2023-07-01 美商康寧公司 用於顯示器的基於光導器的無電面板、相關的方法及載具內部系統
EP3692002A1 (en) * 2017-10-06 2020-08-12 Corning Incorporated Process and system for forming curved glass via differential heating of edge region
US20200325056A1 (en) * 2017-10-06 2020-10-15 Corning Incorporated System and process for forming curved glass laminate article utilizing glass viscosity differential for improved shape matching
TW201918462A (zh) 2017-10-10 2019-05-16 美商康寧公司 具有改善可靠性的彎曲的覆蓋玻璃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
US20210188686A1 (en) * 2017-10-19 2021-06-24 Saint-Gobain Glass France Gravity bending of glass in the presence of a radiative counter-skeleton
EP3714316B1 (en) 2017-11-21 2023-12-27 Corning Incorporate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WO2019108015A2 (en) 2017-11-30 2019-06-06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WO2019108016A1 (en) 2017-11-30 2019-06-06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JP7361705B2 (ja) 2018-03-13 2023-10-1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亀裂抵抗性の湾曲したカバーガラスを有する乗物内装システムおよびその形成方法
EP3823825A1 (en) 2018-07-16 2021-05-26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old-bent glass substrat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1263734A (zh) 2018-10-01 2020-06-09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制造车玻璃的工具、系统、方法,车玻璃和车辆
EP3771695A1 (en) 2019-07-31 2021-02-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834A (en) * 1995-12-22 1999-11-02 Saint-Gobain Vitrage Method for bending and/or tempering sheet glass and bending frame therefor
KR20060010814A (ko) * 2003-05-19 2006-02-0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다수의 지지체 상에 중력에 의한 글레이징의 벤딩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6021A (en) * 1960-10-31 1964-04-22 Pittsburgh Plate Glass Co Glass bending moulds
US3356480A (en) * 1963-02-25 1967-12-05 Pittsburgh Plate Glass Co Method for bending glass sheets
US3293021A (en) * 1963-06-06 1966-12-20 Pittsburgh Plate Glass Co Method of heating glass sheets
US4052185A (en) * 1977-02-28 1977-10-04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 bending glass sheets having rabbeted edges
FR2572388B1 (fr) * 1984-10-29 1986-12-26 Saint Gobain Vitrage Cadre de soutien d'une feuille de verre pendant la trempe
JPH0729791B2 (ja) * 1986-08-12 1995-04-05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加工方法
FR2623491B1 (fr) * 1987-11-20 1992-11-13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thermique du verre
DE68919931T2 (de) * 1988-07-18 1995-06-01 Asahi Glas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für laminiertes Glas.
US5118335A (en) * 1990-10-01 1992-06-02 Ppg Industries, Inc. Tempering ring design
FI86405C (fi) * 1990-11-01 1992-08-25 Tamglass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kallning av kantspaenning i vindruta i boejningsugn foer vindrutor.
FR2725194B1 (fr) * 1994-10-04 1996-10-3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US6076373A (en) * 1997-06-16 2000-06-20 Ppg Industries Ohi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glass sheets
US6250301B1 (en) * 1997-08-28 2001-06-26 Hortal Harm B.V. Vaporizer for inhalation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s from a crude natural product or other matrix
DE19746558C1 (de) * 1997-10-22 1999-03-04 Sekurit Saint Gobain Deutsch Verfahren und Formring zum Biegen und Vorspannen von Glasscheiben
JPH11157857A (ja) * 1997-11-19 1999-06-1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および装置
WO2002007967A1 (en) 2000-07-20 2002-01-31 Glaverbel Glazing
DE10105200A1 (de) * 2001-02-06 2002-08-14 Saint Goba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US20020116951A1 (en) * 2001-02-27 2002-08-29 Dunifon Thomas A. Conformally heated male mold
KR100825699B1 (ko) * 2002-03-13 2008-04-2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굽힘성형방법 및 장치
BR0315611A (pt) * 2002-10-21 2005-08-23 Nippon Sheet Glass Co Ltd Método e aparelho para produção de chapas de vidro temperado curvo
FR2852951B1 (fr) * 2003-03-26 2007-02-16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pressage et aspiration
DE10314266B3 (de) * 2003-03-29 2004-06-0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FR2880343B1 (fr) * 2004-12-31 2007-06-22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aspiration
ES2275425B2 (es) * 2005-09-23 2007-11-16 Universidad De Sevilla Dispositivo neumatico para la produccion de un aerosol esterilizado mediante vaporizacion parcial.
FR2894955B1 (fr) * 2005-12-20 2008-05-02 Saint Gobain Dispositif de bombage de verre par gravite sur plusieurs formes de support a transition de forme controlee
EP2083642A4 (en) * 2006-11-06 2013-02-20 Rock Sci Intellectual Llc MECHANICALLY REGULATED STEAMING TUBE
DE102006056501B4 (de) 2006-11-30 2012-05-0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undglasscheibe mit einer in ein Durchgangsloch eingesetzten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 Antenne
FR2909594B1 (fr) 2006-12-06 2011-06-10 Wagon Sas Pavillon vitre de vehicule automobile,procede de montage et vehicule correspondants
GB0810001D0 (en) * 2008-06-02 2008-07-09 Pilkington Group Ltd Gravity bending glass sheets
DE102009011265B4 (de) 2009-03-05 2010-11-18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Ganzglasdach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834A (en) * 1995-12-22 1999-11-02 Saint-Gobain Vitrage Method for bending and/or tempering sheet glass and bending frame therefor
KR20060010814A (ko) * 2003-05-19 2006-02-0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다수의 지지체 상에 중력에 의한 글레이징의 벤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231A (ko) * 2018-03-08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벤딩 몰드, 이를 포함하는 글라스 벤딩 장치 및 글라스의 벤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2951A1 (en) 2015-02-26
BRPI1009500A2 (pt) 2016-03-15
EP2403811A1 (fr) 2012-01-11
BRPI1009500B1 (pt) 2019-09-03
MX2011009077A (es) 2011-09-27
CN102341356B (zh) 2014-07-23
US9227867B2 (en) 2016-01-05
FR2942793A1 (fr) 2010-09-10
ES2401490T3 (es) 2013-04-22
US20110314871A1 (en) 2011-12-29
PL2403811T3 (pl) 2013-05-31
JP5734877B2 (ja) 2015-06-17
FR2942793B1 (fr) 2012-03-23
KR101699015B1 (ko) 2017-01-24
JP2012519642A (ja) 2012-08-30
US8800321B2 (en) 2014-08-12
EP2403811B1 (fr) 2012-12-19
PT2403811E (pt) 2013-03-28
CN102341356A (zh) 2012-02-01
MX340562B (es) 2016-07-14
WO2010100379A1 (fr)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0412A (ko) 개구를 갖는 유리판 제조방법
US11254192B2 (en) Cold formed laminates
CN106346844B (zh) 弯曲的薄片封装的已热处理的安全玻璃板及其制造方法
CN105848884B (zh) 层叠窗玻璃
JP3414205B2 (ja) 合わせガラス
MXPA01012290A (es) Transparencia laminada.
MX2013006688A (es) Panel doblado.
CZ3399A3 (cs) Způsob výroby zakřivených skleněných tabulí
CN107405884B (zh) 具有薄内玻璃板和声阻尼热塑性中间层的复合玻璃
JP2012519620A (ja) 自動車用の全ガラスルーフ
US5484657A (en) Glazing pan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CN107879603A (zh) 双支架上的重力弯曲
US11772367B2 (en) Laminated glazing
KR102626700B1 (ko) 굽혀진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제조 라인
WO2019178339A1 (en) Thin thermally strengthened glass cover panel for vehicle frame assembly and related method
CN107382038B (zh) 一种高速机车玻璃的热弯模具
CN116113604A (zh) 复杂玻璃件及其成型方法
Timm et al. Thermally curved glass for the building envelope
WO202403792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indschutzscheibe mit verbessertem aufprallschutz und ebensolche windschutzscheibe
Gy Tempered and Laminated Glazing for Cars
CN207811556U (zh) 一种钢化玻璃弯曲成型机构
JP2003048764A (ja) 合わせガラス
JPH02172833A (ja) 屈曲ガラス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