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609A -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609A
KR20110128609A KR1020100048140A KR20100048140A KR20110128609A KR 20110128609 A KR20110128609 A KR 20110128609A KR 1020100048140 A KR1020100048140 A KR 1020100048140A KR 20100048140 A KR20100048140 A KR 20100048140A KR 20110128609 A KR20110128609 A KR 20110128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
kevin
fixing
shot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208B1 (ko
Inventor
곽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to KR102010004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2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은 제1용기, 제2용기, 누수방지판, 배수판 그리고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용기는 경사면의 지반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식생을 위한 부양토가 담긴다. 제2용기는 제1용기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향으로 이동되면 제1용기의 상부를 덮고, 하향으로 이동되면 제1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1용기와 함께 2중을 이루게 된다. 누수방지판은 제1용기와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된다. 배수판은 누수방지판과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방지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잉여수를 포함한 물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고정장치는 제1용기, 누수방지판 및 배수판을 경사면의 지반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cabin cone, shotcrete method using cabin cone}
본 발명은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사면 보강 공법인 소일 네일링(soil nailing)공법이나 락 볼트(rock bolt)공법과 병행하여 숏크리트(shotcrete)를 시공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숏크리트는 시멘트건(cement gun)과 같은 압축공기에 의한 분사기를 사용하여 분사되는 모르타르로 건조시킨 모래와 시멘트를 섞은 것을 펌프로 압송하여 노즐 끝에서 물과 함께 분사하는 방법과, 이미 모르타르로 만든 것을 분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숏크리트는 수밀성(水密性)과 강도가 뛰어난 모르타르를 얻을 수 있어 국착된 암반 지반의 굴곡부를 메우고 절리(節理) 사이를 접합시키며 굴착면을 피복하여 풍화방지 및 침수를 방지시킬 수 있어 경사면을 안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숏크리트 시공방법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경사면에 타설된 숏크리트면은 인공적이어서 삭막함을 느끼게 하고, 특히, 도로변의 경우 위압감을 느끼게 하는 등의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숏크리트면에 식생(植生)을 하기도 하지만 숏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에서 식생용 용기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식생용 용기를 설치하더라도 물의 저수 및 배수가 식생에 적합하도록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친환경적인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면의 지반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식생을 위한 부양토가 담기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용기의 상부를 덮고, 하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와 함께 2중을 이루어 구비되는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와 상기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는 누수방지판; 상기 누수방지판과 상기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잉여수를 포함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수판; 그리고 상기 제1용기, 상기 누수방지판 및 상기 배수판을 상기 경사면의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빈 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용기는 몸체를 형성하여 내측에는 상기 부양토가 담길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연장 구비되어 상기 제2용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용기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안내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용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임장치; 그리고 상기 용기부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장치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용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안내바가 관통 구비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지지구가 상기 제2용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구의 외측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경사면의 지면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고정판; 상기 제1고정판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경사면에 박혀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기둥;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판를 가압 고정하는 제1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에는 상기 제1고정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숏크리트의 타설 두께가 안내될 수 있도록 나타내기 위한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고정판의 하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용기의 내측면에는 부직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의 하향 이동은 안내하는 안내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의 외측에는 상기 배수판을 감싸도록 부직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에는 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획체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에 담겨질 부양토에는 내측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진재; 그리고 상기 유도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충진재의 누출을 방지하고 상기 유도관으로 물의 유입되고, 상기 유도관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도록 통수공이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유도 조립체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의 지반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식생을 위한 부양토가 담기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용기의 상부를 덮고, 하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와 함께 2중을 이루어 구비되는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와 상기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는 누수방지판, 상기 누수방지판과 상기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잉여수를 포함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수판, 그리고 상기 제1용기, 상기 누수방지판 및 상기 배수판을 상기 경사면의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빈 콘을 경사면의 지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제2용기를 상향이동시켜 제1용기의 상부가 덮이게 하는 단계; 상기 케빈 콘의 사이사이로 상기 경사면의 지면에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 숏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높이로 제2고정판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케빈 콘의 사이사이로 상기 철망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제2고정판의 높이로 타설하여 상기 숏크리트가 상기 경사면의 지면에 일정한 두께로 타설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숏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제2용기가 상기 제1용기의 내측으로 하향이동 후 고정되어 2중 용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숏크리트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각 케빈 콘으로 향하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부양토를 담고 식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부양토를 담기 전에, 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된 구획플레이트를 일측면은 상기 제2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은 누수방지판에 밀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2용기 내측의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상부에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부양토를 담으면서 상기 부양토에 물유도 조립체를 설치하되, 유도관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설치하면서 식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용기에 제2용기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제1용기의 내측에 제2용기가 위치되면 2중의 용기가 형성되어 외부 열차단 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제1용기의 외측에 제2용기가 위치되면 숏크리트 타설시 숏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어 식생공간이 학보될 수 있다.
둘째, 누수방지판의 상부에 배출안내턱이 형성되어 잉여수의 배출이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안내턱에 안내홈이 형성된 배수판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안내턱을 통해 배출되는 잉여수를 포함한 물이 하측에 구비되는 다른 케빈 콘에 효과적으로 흐르도록 안내될 수 있다.
셋째, 숏크리트 면에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이 형성되어 케빈 콘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넷째, 고정장치에 제2고정판이 더 구비되어 타설될 숏크리트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참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에서 제2용기가 제1용기의 상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에서 제2용기가 제1용기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숏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이 숏크리트된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이 숏크리트된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의 물유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에서 제2용기가 제1용기의 상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에서 제2용기가 제1용기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빈 콘(10)은 제1용기(20), 제2용기(30), 누수방지판(40), 배수판(50) 그리고 고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용기(20)에는 식생을 위한 부양토가 담김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1용기(20)의 상부를 덮거나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20)와 함께 2중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판(40)은 상기 부양토에 일정 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잉여수는 상기 배수판(50)을 통해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60)는 상기 제1용기(20), 상기 누수방지판(40) 및 상기 배수판(50)이 경사면의 지반에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케빈 콘(10)은 제1용기(20), 제2용기(30), 누수방지판(40), 배수판(50) 그리고 고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20)는 용기부(21), 조임장치(23) 그리고 플랜지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21)는 상기 제1용기(20)의 몸체를 형성하며, 내측에는 물과 부양토(도 5의 120)가 담길 수용공간(15)이 형성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부(21)는 반원구가 다시 반으로 잘린 형상, 즉, 1/4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21)의 상부에는 상기 조임장치(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치(23)는 안내바(24), 지지구(25) 그리고 조임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바(24)는 상기 용기부(21)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부(21)의 외측 및 내측으로 연장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부(21)의 상부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바(24)는 상기 관통홀(22)을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21)의 외측 및 내측, 즉, 상기 안내바(2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구(25)는 상기 안내바(24)의 하단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구(26)는 상기 안내바(24)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안내바(24)의 외측면과 상기 조임구(26)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임구(26)를 양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조임구(26)와 나사결합된 상기 안내바(24)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21)의 테두리에는 상기 플랜지부(2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8)에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29)이 상기 플랜지부(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용기(20)에는 제2용기(3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1용기(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용기(20)보다는 조금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용기(30)의 중앙에는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으로 연장된 상기 안내바(24)가 관통 구비되도록 슬릿(3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릿(35)은 상기 제2용기(30)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용기(30)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구(25)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지지구(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안내바(24)는 상기 슬릿(35)에 관통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35)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조임구(26)가 조여지게 되면 상기 안내바(24)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구(25)가 상기 제2용기(30)의 내측면을 밀어올려 상기 제2용기(30)의 외측면이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조임구(26)가 풀리면 상기 안내바(24)가 하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용기(30)가 상기 제1용기(20)로부터 떨어지게 되면서 구속이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 위치되거나 회전하여 상기 제1용기(20)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용기(30)가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제2용기(30)는 2중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용기(30)가 상기 제1용기(20)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1용기(20)의 상부를 덮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면에는 부직포(3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용기(30)가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제2용기(30)의 사이에는 상기 부직포(37)가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중간에 부직포가 구비되는 2중 용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용기 및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제2용기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용기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면 상술한 원구의 형상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용기(20)의 하측에는 상기 누수방지판(40)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누수방지판(40)은 상기 제1용기(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용기(20)가 1/4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누수방지판(40)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판(4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1관통공(29)에 대응되도록 관통공(4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관통공(29)과 상기 관통공(41)에는 후술할 고정기둥(63)이 관통 구비되어 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누수방지판(40)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면과 상기 누수방지판(40)의 상면에 의해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용공간(15)에는 부양토가 담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5)에는 구획체(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체(70)는 구획플레이트(71) 및 부직포(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플레이트(71)는, 일측면은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용기(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은 상기 누수방지판(40)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타측면은 상기 누수방지판(4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구획플레이트(71)는 상기 수용공간(15)을 구획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하측에는 물이 수용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상측에는 부양토가 담기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하측으로 상기 제2용기(30)와 상기 누수방지판(4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물이 장시간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누수방지판(40)의 접촉부분에는 별도의 기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플레이트(71)에는 다수개의 집수공(73)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구획플레이트(71) 상측의 물은 상기 집수공(73)을 통해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하측으로 흘러들어올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공(73)을 통해 상부의 부양토가 같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상부에는 상기 부직포(7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직포(75)는 상기 구획플레이트(71)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판(40)의 상부에는 상기 누수방지판(40)의 상면보다 낮게 배출안내턱(4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안내턱(45)보다 높은 수위의 물(즉, 잉여수)은 상기 배출안내턱(45)을 통해 넘쳐 흐를 수 있게 되어 잉여수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판(40)의 뒷면에는 상기 배수판(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판(50)에는 상기 제1관통공(29)에 대응되도록 관통공(5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관통공(51)에는 상기 제1관통공(29)과 상기 관통공(41)에 관통 구비되는 상기 고정기둥(63)이 관통 결합될 수 있어 상기 배수판(50)은 상기 누수방지판(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50)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안내턱(45)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판(50)의 양측면에는 상기 배수판(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안내홈(5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안내턱(45)을 통해 배출되는 잉여수는 상기 안내홈(55)을 따라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50)의 외측에는 상기 배수판(50)을 감싸도록 부직포(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60)는 제1고정판(61), 고정기둥(63) 그리고 제1고정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판(61)은 상기 플랜지부(28)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판(61)은 상기 플랜지부(28)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판(61)에는 상기 제1관통공(29)에 대응되도록 제2관통공(6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63)은 상기 제1관통공(29)과 상기 제2관통공(62)을 관통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기둥(63)의 하부는 경사면에 박히게 되어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기둥(63)은 상기 관통공(41,51)을 더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63)에는 상기 제1고정구(65)가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판(61)을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구(65)와 상기 고정기둥(63)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65)가 상기 제1고정판(61)을 가압하면 상기 제1고정판(61)은 상기 플랜지부(28), 상기 누수방지판(40) 그리고 상기 배수판(50)이 가압되어 경사면의 지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빈 콘(10)이 경사면에 숏크리트와 함께 설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숏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이 숏크리트된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빈 콘(10)이 경사면(100)의 지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2용기(30)가 상향이동되어 상기 제1용기(20)의 상부가 덮이도록 하는 단계(S11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조임장치(23)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이후 숏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숏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식생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빈 콘(10)의 사이사이로 상기 경사면(100)의 지면에 철망(111)을 설치하는 단계(S12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망(111)은 타설될 숏크리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타설될 숏크리트의 두께 및 형상이 잘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숏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높이로 제2고정판(68)을 고정하는 단계(S13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판(68)은 상기 고정기둥(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판(61)의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판(61)의 하측에는 제2고정구(6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고정구(67)는 상기 고정기둥(63)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구(67)는 제1고정판(61)의 상측에 요구되는 위치(숏크리트 타설 두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고정기둥(63)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구(67)의 상면에 상기 제2고정판(68)의 하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2고정판(68)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판(68)의 상면에는 제3고정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케빈 콘(10)의 사이사이로 상기 철망(111)에 숏크리트(110)를 타설하되, 상기 제2고정판(68)의 높이로 타설하여 상기 숏크리트(110)가 상기 경사면(100)의 지면에 일정한 두께로 타설되도록 하는 단계(S14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숏크리트(110)는 상기 제2고정판(68)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고정판(68)이 덮이도록 타설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고정판(68)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타설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숏크리트(110)의 경화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제2용기(30)가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으로 하향이동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2중 용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15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숏크리트(110)의 경화가 완료되어 상기 제2용기(30)의 이동이 불가능해지기 전에 상기 조임구(26)를 풀어 상기 제2용기(30)를 상기 제1용기(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제2용기(30)가 2중으로 되어 외부 열차단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제2용기(30)의 사이에 부직포(37)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복사열의 방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숏크리트(110)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각 케빈 콘(10)으로 향하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115)을 설치하는 단계(S16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빗물 등 상기 숏크리트(110) 면으로 직접 제공되는 물이 각 케빈 콘(10)으로 유입될 수 있어 식생을 위한 물공급이 더욱 잘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용기(20)와 상기 제2용기(30)로 이루어진 2중의 용기 내측에 부양토(120)를 담고 식생을 하는 단계(S17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양토(120)는 수평지형을 형성하게 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식물성장에 더욱 적합한 상태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숏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1용기(20)의 상부를 덮은 상기 제2용기(30)에 의해 상기 숏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식생공간이 더욱 많이 확보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경사면(100)의 원지반에 접촉되어 뿌리내리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자생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판(40)은 상기 경사면(100)의 지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판(50)은 상기 경사면에 묻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양토(120)로 유입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수위가 그 이상일 때는 잉여수가 상기 배출안내턱(45)을 통해 넘쳐 흘러 상기 배수판(50)의 상기 안내홈(55)을 따라 흘러내려 하부의 케빈 콘(10)으로 배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식물의 뿌리가 물속에 오래 남아 썩거나 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5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55)은 잉여수가 경사면의 원지반에 직접적으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잉여수가 하측에 있는 다른 케빈 콘(10)으로 유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판(50)을 감싸고 있는 부직포(도 1의 57)로 인해, 상기 안내홈(55)이 흙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물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이 숏크리트된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의 물유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빈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에서는 구획체와 물유도 조립체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부양토(120)를 담기 전에, 다수개의 집수공(73)이 형성된 구획플레이트(71)를 일측면은 상기 제2용기(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은 누수방지판(40)에 밀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2용기(30) 내측의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상부에 부직포(75)를 설치하는 단계(S210)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획플레이트(71)의 하측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저장공간(17)이 형성되며, 상기 물저장공간(17)에 물이 저장될 수 있어 장시간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상기 부직포(75)의 상부에 부양토(120)를 담으면서 상기 부양토(120)에 물유도 조립체(80)를 설치하되, 유도관(81)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설치하면서 식생하는 단계(S220)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유도 조립체(80)는 상기 유도관(81), 충진재(83) 그리고 마개(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관(81)은 내측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PVC 관과 같은 인공제품이나 대나무통과 같은 자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관(81)의 내측에는 상기 충진재(83)가 채워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진재(83)는 작은 자갈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85)는 상기 유도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충진재(83)가 누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85)에는 통수공(8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도관(81)으로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물유도 조립체(80)는 빗물 등의 물이 상기 물저장공간(17)으로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숏크리트 시공방법은 더욱 효과적인 원지반 보호를 위해 네일링(nailing)이나 앵커링(anchoring)에 접목하여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케빈 콘 20:제1용기
23: 조임장치 30: 제2용기
35: 슬릿 40: 누수방지판
45: 배출안내턱 50: 배수판
55: 안내홈 60: 고정장치
68: 제2고정판 70: 구획체
71: 구획플레이트 80: 물유도 조립체
81: 유도관 100: 경사면
110: 숏크리트 111: 철망
115: 유도홈 120: 부양토

Claims (11)

  1. 경사면의 지반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식생을 위한 부양토가 담기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용기의 상부를 덮고, 하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와 함께 2중을 이루어 구비되는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와 상기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는 누수방지판;
    상기 누수방지판과 상기 경사면의 지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잉여수를 포함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수판; 그리고
    상기 제1용기, 상기 누수방지판 및 상기 배수판을 상기 경사면의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빈 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는
    몸체를 형성하여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연장 구비되어 상기 제2용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용기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안내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용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임장치; 그리고
    상기 용기부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장치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용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안내바가 관통 구비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지지구가 상기 제2용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구의 외측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은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경사면의 지면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고정판;
    상기 제1고정판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경사면에 박혀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기둥;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판를 가압 고정하는 제1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에는
    상기 제1고정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숏크리트의 타설 두께가 안내될 수 있도록 나타내기 위한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고정판의 하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의 내측면에는 부직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의 하향 이동은 안내하는 안내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의 외측에는 상기 배수판을 감싸도록 부직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획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담겨질 부양토에는
    내측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진재; 그리고
    상기 유도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충진재의 누출을 방지하고 상기 유도관으로 물의 유입되고, 상기 유도관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도록 통수공이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유도 조립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빈 콘을 경사면의 지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제2용기를 상향이동시켜 제1용기의 상부가 덮이게 하는 단계;
    상기 케빈 콘의 사이사이로 상기 경사면의 지면에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
    숏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높이로 제2고정판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케빈 콘의 사이사이로 상기 철망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제2고정판의 높이로 타설하여 상기 숏크리트가 상기 경사면의 지면에 일정한 두께로 타설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숏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제2용기가 상기 제1용기의 내측으로 하향이동 후 고정되어 2중 용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숏크리트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각 케빈 콘으로 향하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부양토를 담고 식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부양토를 담기 전에,
    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된 구획플레이트를 일측면은 상기 제2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은 누수방지판에 밀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2용기 내측의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상부에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2중 용기의 내측으로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부양토를 담으면서 상기 부양토에 물유도 조립체를 설치하되, 유도관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설치하면서 식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빈 콘을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KR1020100048140A 2010-05-24 2010-05-24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KR10123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40A KR101230208B1 (ko) 2010-05-24 2010-05-24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40A KR101230208B1 (ko) 2010-05-24 2010-05-24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09A true KR20110128609A (ko) 2011-11-30
KR101230208B1 KR101230208B1 (ko) 2013-02-27

Family

ID=4539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140A KR101230208B1 (ko) 2010-05-24 2010-05-24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2700A (zh) * 2022-03-18 2022-04-15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水泥毯高陡岩质边坡绿化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0007B2 (ja) 1995-07-10 2003-10-27 株式会社丹勝 モルタル吹付け処理法面の植生植栽工法
JP3856998B2 (ja) 1999-09-08 2006-12-13 株式会社高特 切土法面、硬質岩盤法面、モルタル吹付層等の草木苗植栽方法及びその草木苗を植栽した緑化法面並びに草木苗植栽用客土袋
KR100697935B1 (ko) 2006-07-25 2007-03-20 (주) 코리아에스이 숏크리트 보강사면에서의 초목 식재용 버켓
KR100822009B1 (ko) 2006-08-30 2008-04-16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경사보강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 및 녹화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2700A (zh) * 2022-03-18 2022-04-15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水泥毯高陡岩质边坡绿化装置及方法
CN114342700B (zh) * 2022-03-18 2022-07-15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水泥毯高陡岩质边坡绿化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208B1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651B1 (ko)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101249670B1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500428B1 (ko) 분리조립이 가능한 식생포트와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용 식생장치 및 벽면녹화 시스템
CN207295737U (zh) 适用于高原山地的生态护坡系统
KR101242112B1 (ko)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KR101034445B1 (ko)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230208B1 (ko) 케빈 콘,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KR20110004305U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KR101201529B1 (ko)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공법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20036006A (ko)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996204B1 (ko)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20160012390A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CN210857234U (zh) 一种边坡马道平台绿化和防护的组合结构
JP2012254023A (ja) 貯水排水基盤材とそれを用いた緑化構造体
KR101141197B1 (ko) 기존옹벽에 시공되는 익스펜디드메탈을 이용한 입면녹화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904546B1 (ko) 건물 옥상 화단 식생토 부설방법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3168644U (ja) 型枠ブロックの壁面緑化装置
JP2002191232A (ja) 植栽アンカー袋体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緑化工法
JP2005009306A (ja) 斜面保護方法
KR101591513B1 (ko) 초기 생육을 위한 수목 식재 공법
JP3164196U (ja) 立体壁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