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702A - 이동체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702A
KR20110126702A KR1020117021403A KR20117021403A KR20110126702A KR 20110126702 A KR20110126702 A KR 20110126702A KR 1020117021403 A KR1020117021403 A KR 1020117021403A KR 20117021403 A KR20117021403 A KR 20117021403A KR 20110126702 A KR20110126702 A KR 2011012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slider
case
hol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435B1 (ko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2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1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 E05Y2201/41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2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opening
    • E05Y2201/42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opening for the fin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Single use of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이동체의 속도를 감쇠하는 이동장치를 얻는다. 이동장치(16)가 설치된 미닫이를 폐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문틀에 설치된 핀부재(52)에 의해 래치유닛(28)의 로드(74)가 압압되면, 파지부재(64)가 폐쇄되어 파지부(70)끼리가 서로 근접하여 핀부재(52)를 파지한다. 이에 의해, 걸림편(78)은 레일(26)의 선단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인장 스프링(48)의 탄지력에 의해 래치유닛(28)이 래치유닛(30)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래치유닛(28)이 핀부재(52)를 통하여 미닫이가 폐쇄 방향에 끌려 들어간다. 여기서, 래치유닛(28)에는 피스톤 로드(44)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유닛(28)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44)가 실린더(42) 내에 밀려 들어간다.

Description

이동체의 이동장치{MOVING BODY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닫이 등의 이동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에 의해 개구를 폐쇄시키는 이동기구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서는 예를 들면 틀체에 스트라이커가 설치되고, 이동체에 캐처(파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캐처는 이동체의 폐쇄 방향 또는 개방 방향을 향하여 탄지하는 탄지기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이동체의 폐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캐처가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춰지면 캐처의 대기 위치에서의 파지 상태가 해제되고, 탄지기구의 탄지력에 의해 캐처를 통하여 이동체를 정지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본체측에 부착되는 케이스에 제 1 움직임 부재, 제 2 움직임 부재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 1 움직임 부재 및 제 2 움직임 부재에는 케이스에 걸림 가능한 래치가 각각 회전구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움직임 부재와 제 2 움직임 부재의 사이에는 탄지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래치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이동체에 설치된 핀부재가 래치와 걸어맞춰져서 케이스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탄지기구의 탄지력에 의해 제 1 움직임 부재를 통하여 이동체가 제 2 움직임 부재측으로 이동, 또는 제 2 움직임 부재를 통하여 이동체가 제 1 움직임 부재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를 폐쇄할 때 및 개방할 때에 미닫이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6-16990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8-14456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동체의 속도를 감쇠하는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틀체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2개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로부터 멀어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로크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하면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단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파지기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접리(接離)하는 속도를 감쇠하는 감쇠기구와, 한쪽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한쪽 슬라이더를 다른 쪽 슬라이더측에 탄지하는 탄지기구를 가지는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양태에서는 틀체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에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2개의 슬라이더가 수용되어 케이스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틀체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트라이커로부터 멀어져 있을 때, 슬라이더에 설치된 파지기구는 상기 슬라이더를 케이스의 단부에 로크하고, 파지기구가 스트라이커를 파지하면 슬라이더와 케이스의 단부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슬라이더 사이에는 슬라이더가 접리하는 속도를 감쇠하는 감쇠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한쪽 슬라이더에는 탄지기구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탄지기구의 타단부는 케이스에 연결되어 한쪽 슬라이더를 다른 쪽 슬라이더측에 탄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이동체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쪽 파지기구가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춰지면, 한쪽 슬라이더는 로크 해제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한쪽 슬라이더는 탄지기구에 의해 다른 쪽 슬라이더측에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해제되면 한쪽 슬라이더는 다른 쪽 슬라이더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한쪽 슬라이더는 스트라이커를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라이커, 한쪽 슬라이더 및 케이스를 통하여 이동체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한쪽 슬라이더와 다른 쪽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감쇠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 슬라이더가 이동하면 그 이동 속도는 감쇠된다. 이 때문에, 한쪽 슬라이더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케이스의 이동 속도는 감쇠되어 이동체가 완전히 폐쇄될 때, 이동체와 틀체의 접촉에 의한 충격음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구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된 1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를 접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맞닿음부와, 1쌍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피맞닿음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파지부측에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고, 로드가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맞닿음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파지기구가 스트라이커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된 1쌍의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재는 지지부로 지지되어 있고, 지지부를 접리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파지부재에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파지부의 반대측에 피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1쌍의 파지부 및 피맞닿음부의 사이에는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드는 탄지기구에 의해 파지부측에 탄지되어 있다. 또한,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는 피맞닿음부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돌출되어 있고, 로드가 탄지부재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파지부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파지된다.
여기서,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파지부재의 일단측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파지부재의 타단측에 피맞닿음부를 형성하여 로드를 통하여 피맞닿음부끼리를 이간시킴으로써 파지부끼리를 근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드의 이동에 의해 피맞닿음부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피맞닿음부를 서로 이간시키는 외력을 파지부에 의한 파지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로드의 스트로크, 파지부재의 지지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파지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 또는 상기 맞닿음부에 상기 로드의 이동량을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 캠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피맞닿음부 또는 맞닿음부에 경사 캠면을 형성하고, 로드의 이동량을 파지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파지부를 근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로드가 축 방향에 압압되면, 파지부가 근접하여 스트라이커가 파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피맞닿음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지지부에서부터 피맞닿음부에 맞닿음부가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에서부터 파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지지력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의 단부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피맞닿음부의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파지부가 스트라이커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도록 하여 파지부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틀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2개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로부터 멀어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로크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하면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단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파지기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접리하는 속도를 감쇠하는 감쇠기구와, 한쪽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한쪽 슬라이더를 다른 쪽 슬라이더측에 탄지하는 탄지기구를 가지는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양태에서는 이동체측에 스트라이커가 설치되고, 틀체측에 스트라이커를 파지하는 파지기구가 설치된 케이스가 부착되어 있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기재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틀체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경우, 틀체측에 케이스를 부착하려고 하면 가공이 번거로워지기 때문에, 이동체 및 틀체의 재질 등에 따라 어느 쪽에 케이스를 부착한 쪽이 좋을지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구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된 1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를 접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맞닿음부와, 1쌍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피맞닿음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파지부측에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고, 로드가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맞닿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기재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 또는 상기 맞닿음부에 상기 로드의 이동량을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 캠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기재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피맞닿음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기재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의 단부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기재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동체의 속도를 감쇠할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래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파지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래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파지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래치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파지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래치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파지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시한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시한 도 1B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도 1B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시한 도 8A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9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도 8A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시한 도 8B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도 8B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시한 도 8C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도 8C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의 이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이동체로서의 미닫이(10)가 도시되어 있고, 틀체로서의 문틀(12)의 상하에 설치된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미닫이(10)의 이동에 의해 문틀(12) 내의 개구(14)가 폐쇄 또는 개방된다. 여기에서는 이 미닫이(10)의 상단부 중앙에 이동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장치의 구성)
여기서, 이동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장치(16)는 대략 상자형상의 케이스(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하부에 부착부(20,22)가 형성되어 있고, 부착부(20,22)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를 삽통 가능한 삽통구멍(20A,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미닫이(10)(도 1 참조)의 상단면에 형성된 수용구멍(24)(도 1 참조)에 케이스(18)를 수용하고, 삽통구멍(20A,22A)에 고정 나사를 삽통시키고, 수용구멍(24)의 저부에 고정 나사를 죄어 케이스(18)를 미닫이(10)에 고정한다.
또한,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케이스(18)의 내벽면에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레일(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26)에는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래치유닛(28,30)이 재치되어 있다.
래치유닛(28,30)은 케이스(18) 내를 레일(26)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36,38)와, 슬라이더(36,38)의 단부에 형성된 래치 케이스(파지기구)(6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6,38)의 하부에는 레일(26)의 하부를 통해 노출되어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하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36,38)의 빠짐 방지를 행하는 빠짐방지편(32,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36,38)와 빠짐방지편(32,34)의 사이에 레일(26)을 끼워 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래치유닛(28,30)이 케이스(18) 내를 이동할 때, 이 슬라이더(36,38)를 통하여 케이스(18) 내를 이동함으로써 래치유닛(28,3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36)와 슬라이더(38)의 사이에는 댐퍼(감쇠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댐퍼(40)는 실린더(42)를 구비하고 있고, 실린더(42) 내에는 점성 유체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2) 내에는 피스톤(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42)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피스톤에 의해 점성 유체의 체적을 압축하여 피스톤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44)에 감쇠력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이 피스톤 로드(44)가 슬라이더(36)에 연결되고, 실린더(42)가 슬라이더(38)에 연결되어 슬라이더(36)(래치유닛(28)) 또는 슬라이더(38)(래치유닛(30))의 이동시에 그 이동 속도가 감쇠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실린더(42) 및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댐퍼(40)를 예로 들었지만, 슬라이더(36)(래치유닛(28)) 또는 슬라이더(38)(래치유닛(30))의 이동 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댐퍼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래크와 댐퍼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댐퍼이어도 된다.
한편, 래치유닛(28)측의 빠짐방지편(32)의 하부에는 연결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인장 스프링(탄지기구)(48)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18)의 부착부(22)측에는 연결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50)에 인장 스프링(48)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유닛(28)이 케이스(18)의 부착부(20)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도 3참조)에서, 인장 스프링(48)에는 탄성 에너지(탄지력)가 축적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댐퍼(40)에 의한 감쇠력이 래치유닛(28)에 작용하여도 인장 스프링(48)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미닫이(10)(후술한다)는 끝까지 끌려 들어간다.
그런데,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개구되어 있고, 문틀(12)에 형성된 핀부재(스트라이커)(52,54)가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1쌍의 가이드편(56,5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8) 내로 감에 따라 서로 서서히 근접하는 경사면이 되어 있다. 이 가이드편(56,58)에 의해 핀부재(52,54)가 각각 래치유닛(28,30) 내에 확실히게 가이드되게 된다.
또한,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상부에는 가이드편(56,58)에 인접하여 직사각형상의 창구멍(6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지만, 래치유닛(28,30)이 케이스(18)에 대하여 이동 규제된 상태(이른바 로크 상태)에서, 래치유닛(28,30)에 구비된 파지부재(64)가 상기 창구멍(60)을 통하여 외측에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상부 중앙에는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걸어맞춤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오목부(82)의 표면에는 케이스(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82)에는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인 커버(86)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커버(86)의 측벽에는 돌기부(84)가 걸어맞춰지는 직사각형 구멍(88)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86)를 걸어맞춤 오목부(82)의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직사각형 구멍(88)에 돌기부(84)가 걸린다. 이 상태에서 댐퍼(40)가 빠짐 방지됨과 아울러 댐퍼(40)의 상방으로의 들뜸이 억제된다. 그리고, 커버(86)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걸어맞춤편(9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편(90)이 문틀(12)에 설치된 레일(도시 생략)과 걸어맞춰진다.
(래치유닛)
여기서, 래치유닛(28,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래치유닛(28)과 래치유닛(30)은 빠짐방지편(32)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46)의 유무에 의한 차이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대표로 래치유닛(2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유닛(28)을 구성하는 슬라이더(36)의 일단부(케이스(18)의 가이드편(56)측)에는 대략 상자형상의 래치 케이스(66)가 구비되어 있다.
래치 케이스(66)의 일단부(케이스(18)의 가이드편(56)측)에 위치하는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래치 케이스(66)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지지부(6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68)에 파지부재(64)의 대략 중앙부가 지지되어 파지부재(64)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64)는 일단측에 핀부재(52)를 파지하는 파지부(70)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후술하는 캠부(피맞닿음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재(64)와 파지부재(64)의 사이에는 래치 케이스(66)를 관통하는 로드(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드(74)는 래치 케이스(66) 내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고, 로드(74)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75)와 래치 케이스(66)의 사이에 설치된 래치 스프링(탄지부재)(76)에 의해 래치 케이스(66)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에 탄지되어 있다.
또한, 로드(74)의 외주면으로부터는 파지부재(64)의 캠부(72)에 맞닿는 맞닿음부(74A)가 돌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6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파지부(70)는 지지부(68)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감에 따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한편, 캠부(72)는 지지부(68)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감에 따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74)가 래치 스프링(76)의 탄지력이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맞닿음부(74A)의 캠부(72)에 맞닿는 위치가 어긋나서 맞닿음부(74A)가 캠부(72)의 선단부에 감에 따라 캠부(72)끼리가 이간한다. 이에 의해, 지지부(68)를 중심으로 파지부재(64)가 회전하여 파지부(70)끼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파지부재(64)의 타단측에 캠부(72)를 형성하여 로드(74)의 이동량을 파지부재(64)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파지부(70)를 근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드(74)가 축 방향에 압압되면, 파지부(70)가 근접하여 핀부재(52)가 파지된다.
이상과 같이, 파지부재(64)의 지지부(68)를 기준으로 하여 파지부재(64)의 일단측에 파지부(70)를 형성하고, 파지부재(64)의 타단측에 캠부(72)를 형성하여 로드(74)를 통하여 캠부(72)끼리를 이간시킴으로써 파지부(70)끼리를 근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로드(74)의 이동에 의해 캠부(72)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68)를 지점으로 하여 파지부(70)에 의한 파지력을 바꿀 수 있다. 즉, 로드(74)의 스트로크, 파지부재(64)의 지지부(68)의 위치를 바꾸어 지지부(68)에서부터 캠부(72)에 맞닿음부(74A)가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68)에서부터 파지부(70)까지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파지력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70)의 상면측에는 내면이 도려내진 상태에서 걸어맞춤 오목부(70A)가 형성되어 있어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64)가 폐쇄된 상태에서 파지부(70)와 파지부(70)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틈 안에 핀부재(52)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파지부(70)의 하면측은 파지부재(64)가 폐쇄된 상태에서 거의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파지부(70) 내에 핀부재(52)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핀부재(52)의 선단부를 파지부(70)의 하면부가 받치도록 하여 핀부재(52)와 파지부재(64)의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부(72)의 선단부에는 서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케이스(66)의 측벽에는 삽통구멍(구멍부)(66A)이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재(64)가 폐쇄된 상태에서 돌출부(72A)가 삽통구멍(66A)에 삽통되어 파지부재(64)가 핀부재(52)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부재(64)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파지부재(64)의 하부에는 레일(26)의 하부를 통해 노출되어 케이스(18)의 높이 방향의 하부에 위치하는 걸림편(78)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26)은 부착부(20)(도 3 참조)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고 있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64)가 개방된 상태에서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다. 이때, 파지부재(64)는 창구멍(60)을 통하여 외측에 돌출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8)에는 창구멍(60)의 하부에 걸림구멍(80)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편(78)의 선단부가 상기 걸림구멍(80) 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래치유닛(28)은 로크된다.
그리고, 래치유닛(28)의 로드(74)에 핀부재(52)가 맞닿아 로드(74)가 래치 스프링(76)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에 압압되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64)는 폐쇄되는데, 이때 걸림편(78)의 선단부가 걸림구멍(80)으로부터 빠짐과 아울러 걸림편(78)은 레일(26)의 선단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이른바 로크 해제).
(이동체의 이동장치의 작용)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10)를 폐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6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시한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6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시한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동장치(16)의 가이드편(56)(도 2 참조)이 핀부재(52)를 통과하고, 도 5 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부재(52)가 래치유닛(28)의 로드(74)에 맞닿아 래치 스프링(76)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에 로드(74)가 압압되면, 로드(74)에 형성된 맞닿음부(74A)의 이동에 의해 파지부재(64)의 캠부(72)끼리가 넓어져서 서로 이간한다. 이에 의해, 지지부(68)를 중심으로 파지부재(64)가 회전하고, 파지부재(64)가 폐쇄되어 파지부(70)끼리가 서로 근접하여 핀부재(52)를 파지한다.
이때, 도 4A에 도시하는 걸림편(78)의 선단부가 걸림구멍(80)(도 2 참조)으로부터 빠짐과 아울러 걸림편(78)은 레일(26)의 선단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로크 해제된다). 래치유닛(28)이 로크된 상태에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48)에 의한 탄성 에너지(탄지력)가 축적된 상태이기 때문에, 래치유닛(28)이 로크 해제되면 인장 스프링(48)의 탄지력이 작용한다.
래치유닛(28)은 핀부재(52)에 의해 그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B,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48)의 탄지력은 케이스(18)에 작용하게 된다. 즉, 래치유닛(28)을 기준으로 케이스(18)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케이스(18)를 통하여 미닫이(10)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7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시한 도 1B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7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시한 도 1B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서, 래치유닛(28)을 기준으로 케이스(18)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 6A 및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4)가 실린더(42) 내에 밀어 넣어진다. 이 때문에, 케이스(18)에는 댐퍼(40)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닫이(10)는 조용히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미닫이(10)가 완전히 폐쇄될 때, 미닫이(10)가 문틀(12)에 접촉하지만 이때의 충격음이 방지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미닫이(10)를 개방 방향(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미닫이(10) 및 핀부재(52)를 통하여 래치유닛(28)을 이동시키는데, 인장 스프링(48)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래치유닛(28)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미닫이(10)는 그만큼의 하중을 받게 된다. 이에 의해, 미닫이(10)가 함부로 개방되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래치유닛(28)이 이동함으로써 피스톤 로드(44)는 실린더(42)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래치유닛(28)에는 피스톤이 실린더(42) 내를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이른바 항력(<감쇠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핀부재(52)를 통하여 래치유닛(28)을 이동시켜 파지부재(64)의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도달하면,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려서 걸림편(78)의 선단부가 상기 걸림구멍(80) 내에 삽입되어 파지부재(64)는 창구멍(60)을 통하여 외측에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래치유닛(28)은 이동 규제된다(로크 상태).
그리고,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부재(52)는 파지부재(64)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48)에 의한 탄성 에너지(탄지력)가 축적된 상태이다. 또한, 도 9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시한 도 8A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9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시한 도 8A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10)를 개방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인장 스프링(48) 및 댐퍼(40)에 의한 항력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미닫이(10)는 가벼워진다.
그리고, 미닫이(10)를 개방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고, 이동장치(16)의 가이드편(58)(도 2 참조)이 핀부재(54)를 통과하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부재(54)가 래치유닛(30)의 로드(74)에 맞닿아 래치 스프링(76)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으로 로드(74)가 압압된다.
그리고, 로드(74)에 형성된 맞닿음부(74A)의 이동에 의해 파지부재(64)의 캠부(72)끼리가 넓어져서 서로 이간한다. 이에 의해, 지지부(68)를 중심으로 파지부재(64)가 회전하고, 파지부재(64)가 폐쇄되어 파지부(70)끼리가 서로 근접하여 핀부재(54)를 파지한다.
이때, 도 4A에 도시하는 걸림편(78)의 선단부가 걸림구멍(80)(도 2 참조)으로부터 빠짐과 아울러 걸림편(78)은 레일(26)의 선단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로크 해제된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유닛(30)을 통하여 케이스(18)가 이동함으로써 피스톤 로드(44)가 실린더(42) 내에 밀어 넣어진다.
이 때문에, 래치유닛(30)을 통하여 케이스(18)에는 댐퍼(40)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10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시한 도 8B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1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시한 도 8C에 대응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10B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48)은 래치유닛(28)과 케이스(18)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유닛(30)이 로크 해제되어도 인장 스프링(48)에 의한 탄지력은 래치유닛(30)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시한 도 8B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1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시한 도 8C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에 이동장치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문틀측에 이동장치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미닫이측에 핀부재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글 슬라이딩 타입의 미닫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더블 슬라이딩 타입의 미닫이에 적용시켜도 된다. 이 경우, 이동장치는 2개 필요로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닫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닫이에 적용시켜도 되고, 서랍 등에 이 이동장치를 적용시켜도 된다.

Claims (10)

  1. 틀체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2개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로부터 멀어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로크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하면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단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파지기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접리하는 속도를 감쇠하는 감쇠기구와,
    한쪽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한쪽 슬라이더를 다른 쪽 슬라이더측에 탄지하는 탄지기구를 가지는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구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된 1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를 접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맞닿음부와,
    1쌍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피맞닿음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파지부측에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고, 로드가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맞닿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 또는 상기 맞닿음부에 상기 로드의 이동량을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 캠면이 형성된 이동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피맞닿음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고 있는 이동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의 단부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이동장치.
  6. 틀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2개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로부터 멀어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로크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하면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단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파지기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접리하는 속도를 감쇠하는 감쇠기구와,
    한쪽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한쪽 슬라이더를 다른 쪽 슬라이더측에 탄지하는 탄지기구를 가지는 이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구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된 1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를 접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맞닿음부와,
    1쌍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피맞닿음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파지부측에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고, 로드가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의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맞닿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 또는 상기 맞닿음부에 상기 로드의 이동량을 상기 파지부를 근접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 캠면이 형성된 이동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피맞닿음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고 있는 이동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맞닿음부의 단부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이동장치.
KR1020117021403A 2009-02-16 2009-02-16 이동체의 이동장치 KR101254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2584 WO2010092697A1 (ja) 2009-02-16 2009-02-16 移動体の移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702A true KR20110126702A (ko) 2011-11-23
KR101254435B1 KR101254435B1 (ko) 2013-04-12

Family

ID=4256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403A KR101254435B1 (ko) 2009-02-16 2009-02-16 이동체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7637A4 (ko)
JP (1) JPWO2010092697A1 (ko)
KR (1) KR101254435B1 (ko)
CN (1) CN102317561B (ko)
WO (1) WO20100926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657A (ko) * 2012-02-22 2013-08-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완충 장치
KR101447728B1 (ko) * 2014-04-03 2014-10-06 주식회사 세일건구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9459A (ja) * 2011-01-20 2012-08-09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926119B2 (ja) * 2012-05-28 2016-05-25 家研販売株式会社 ソフト開閉装置
AT516391B1 (de) * 2015-06-09 2016-05-15 Blum Gmbh Julius Ausstoß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JP6484575B2 (ja) * 2016-02-22 2019-03-1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構造
CN106320880B (zh) * 2016-10-11 2018-04-06 伍志勇 一种用于家具滑动门的阻尼机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407A (en) * 1983-07-18 1985-03-26 Schlage Lock Company Releasable hold-open device for a door closer
JP3987658B2 (ja) * 1999-06-30 2007-10-10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吊り引き戸用ブレーキ装置
JP3930459B2 (ja) * 2003-06-30 2007-06-13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戸の戸閉装置
JP4751607B2 (ja) 2004-12-20 2011-08-17 株式会社ニフコ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DE202005004336U1 (de) * 2005-03-17 2005-06-23 Hettich-Heinze Gmbh & Co. Kg Selbsteinzugsvorrichtung für bewegliche Möbelteile
JP5093881B2 (ja) 2006-11-13 2012-12-12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4875592B2 (ja) * 2007-06-05 2012-02-15 株式会社Skb 引戸の閉じ支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657A (ko) * 2012-02-22 2013-08-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완충 장치
KR101447728B1 (ko) * 2014-04-03 2014-10-06 주식회사 세일건구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7561B (zh) 2014-10-01
EP2397637A1 (en) 2011-12-21
EP2397637A4 (en) 2014-03-26
WO2010092697A1 (ja) 2010-08-19
CN102317561A (zh) 2012-01-11
KR101254435B1 (ko) 2013-04-12
JPWO2010092697A1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35B1 (ko) 이동체의 이동장치
KR101242976B1 (ko) 래치장치
KR101391247B1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KR20050062502A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RU2516158C2 (ru) Открывающее и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правляющей для выдвигания и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выдвигания
KR102012983B1 (ko) 개폐체 완충 장치
EP3403530B1 (en) Driving mechanism, pro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furniture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100105925A (ko) 서랍 안내구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JP5918308B2 (ja) 開閉体緩衝装置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KR102302094B1 (ko) 개폐 장치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200393608Y1 (ko)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제어장치
KR101129570B1 (ko)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0809810B1 (ko) 도어 록
JP6607658B2 (ja) プッシュラッチ付引戸クローザー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0991628B1 (ko) 슬라이드레일의 3단 자동폐쇄장치
JP6008590B2 (ja) 耐震ラッチ付き開閉体閉塞装置
KR200492717Y1 (ko) 슬라이딩 도어 잠금 장치
JP6771943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